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7 18:15:49

고를리체-타르누프 공세

{{{#fff {{{+1 [[제1차 세계 대전|{{{#fff 제1차 세계 대전}}}]]의 전투 목록}}}}}}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font-size: 0.92em; letter-spacing: -0.4px; word-break: keep-all"
※문서가 생성된 전투만 기재
전투 이름 교전국
<rowcolor=#FFF> 공격측 방어측
<colbgcolor=#b31c31> 세르비아 침공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세르비아 왕국 국기.svg 세르비아 왕국
벨기에 침공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왕국
국경전투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왕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타넨베르크 전투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제1차 헬리골란트-바이트 해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제1차 마른 전투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뉴기니 전투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프셰미실 공방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제1차 아라스 전투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제1차 이프르 전투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왕국
칭다오 전투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코로넬 해전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탕가 전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메소포타미아 침공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포클랜드 해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제1차 아르투아 전투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사르카므쉬 전투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카르파티아 전투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도거 뱅크 해전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무제한 잠수함 작전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대서양의 선박
다르다넬스 해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제2차 이프르 전투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왕국
갈리폴리 전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고를리체-타르누프 공세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제2차 아르투아 전투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이손초 전투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말라즈기르트 전투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오소비에츠 전투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코스투리노 전투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쿠트 포위전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베르됭 전투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나로치 호수 공세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유틀란트 해전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트렌티노 공세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브루실로프 공세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솜 전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제2차 아라스 전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비미 능선 전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868-1921).svg 캐나다 자치령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니벨 공세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샹파뉴고지 전투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제2차 가자 전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오트란토 해협 해전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60고지 전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케렌스키 공세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공화국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왕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스샹달 전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머러셰슈티 전투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공화국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왕국
알비온 작전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말메종 전투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카포레토 전투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베르셰바 전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제1차 그라파산 전투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제2차 헬리골란트-바이트 해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루덴도르프 공세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왕국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제1공화국
미하엘 공세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868-1921).svg 캐나다 자치령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제브뤼헤 급습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피아베강 전투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제2차 그라파산 전투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제2차 마른 전투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수아송 전투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백일 공세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왕국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868-1921).svg 캐나다 자치령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제1공화국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아미앵 전투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생미이엘 공세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뫼즈-아르곤 공세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셀 전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868-1921).svg 캐나다 자치령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제3차 그라파산 전투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비토리오 베네토 전투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기 구분은 전투 및 교전 발생 일자 기준, 전투 기간은 개별 문서 확인 }}}}}}}}}
<colbgcolor=#536349> 고를리체-타르누프 공세
Gorlice–Tarnów offensive
Горлицкий прорыв
Schlacht bei Gorlice-Tarnów
Durchbruchsschlacht bei Gorlice-Tarnów
제1차 세계 대전 동부전선 전투 중 하나
파일:rara4176.jpg
포로로 잡힌 러시아 제국군
날짜
1915년 5월 1일 ~ 1915년 6월 22일
장소
갈리치아, 러시아령 폴란드 일대
결과
러시아 제국군 참패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전쟁 전 영토 수복
동맹국 협상국
교전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틀:국기|]][[틀:국기|]]

[[독일 제국|]][[틀:국기|]][[틀:국기|]]

[[러시아 제국|]][[틀:국기|]][[틀:국기|]]
지휘관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에두아르트 폰 뵘에르몰리|
에두아르트 폰 뵘에르몰리
]]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아우구스트 폰 마켄젠|
아우구스트 폰 마켄젠
]]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니콜라이 니콜라예비치 대공|
니콜라이 니콜라예비치 대공
]]
병력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90,000명
독일 제국: 126,000명
러시아 제국: 219,000명
피해 규모 사상 87,000여명 사상 100,000명
포로 최대 250,000명
결과
동맹국의 승리
영향
러시아군, 폴란드에서 전략적 후퇴
발칸 전선에 대한 동맹국의 압박 강화
러시아에 의한 동부전선 위협 제거

1. 배경2. 전투
2.1. 두나제츠 전투2.2. 프셰미실 공방전2.3. 그로텍 전투2.4. 렘베르크 탈환
3. 러시아군의 참패 원인4. 영향

[clearfix]

1. 배경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동맹국프랑스러시아 제국의 사이에 끼여 양면 전선을 강요받았다. 당초 슐리펜 계획에 따른 독일 제국군의 전쟁계획은 러시아의 빠른 총동원령과 마른 전투를 비롯한 서부전선에서의 실패로 수포가 되어버렸다. 러시아 제국독일의 예상을 깨고 적극적으로 공세를 펼쳤다. 동부전선을 담당해야 했던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은 갈리치아 전투에서 참패하고 카르파티아산맥에서 러시아군의 공세를 겨우 막고 있었다. 독일 제국군타넨베르크 전투와 마주리아호 전투(Battle of Masurian Lake)에서 승리하여 동프로이센을 지켰으나, 러시아의 위협을 완전히 제거하지는 못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독일군우치 전투를 통해 러시아령 폴란드에 대한 공세를 시도했으나 러시아군의 저항에 막혀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한편, 리마노바-와파누프 전투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이 간신히 승리를 거두긴 했으나, 이어진 카르파티아 전투에서는 러시아군의 반격을 받아 큰 피해를 입었다. 이후 프셰미실이 포위당하고, 이 곳을 점령당한다면 러시아군이 헝가리 대평원과 부다페스트를 위협할 수 있었다. 그런 상황이 되자, 오스트리아-헝가리군 참모총장 프란츠 콘라트 폰 회첸도르프이탈리아의 참전 가능성까지 우려하며 러시아군의 돌파를 막기 위해 먼저 고를리체-타르누프 (독일어: Gorlice-Tarnów, 러시아어: Горлице-Тарнув) 지역에서의 중앙 돌파 작전을 구상하고 독일군의 협력을 요청했다.

독일군 참모총장 에리히 폰 팔켄하인서부전선에 집중하길 원했으므로 이런 오스트리아의 요청에 난색을 표했다. 그러나 오스트리아군의 궤멸 위기와 단독 강화 가능성에 결국 1915년 4월 갈리치아 공세를 승인하였다. 이에 맞춰 새로 창설된 독일 제11군을 갈리치아로 보내 오스트리아군과 합동작전을 펼치기로 하고, 총지휘관에 아우구스트 폰 마켄젠 장군을 임명하였다. 공격 목표는 콘라트가 제안한 대로 러시아군 방어선의 중앙인 고를리체, 타르누프 지역으로 정해졌다.

2. 전투

2.1. 두나제츠 전투

5월 1일, 공세가 시작되자 독일 제국군은 러시아군에 우위를 점하고 있던 포병전력을 이용하여 러시아군 방어선에 맹폭을 퍼부었고 뒤이어 보병들이 러시아군의 참호를 점령하는데 성공했으며 5월 2일에는 독일군이 염소가스를 이용하여 공격했다. 러시아군은 방어선 유지를 위해 2개 사단을 증원하려 했으나 양일에 걸친 독일군의 공세에 러시아군의 방어선은 붕괴되어버렸고 이들이 도착하기도 전에 독일군의 돌파를 허용했다. 독일군은 공세 초반에만 14km를 전진하여 타르누프를 점령하는 한편 17,000명이 넘는 러시아군 포로를 잡았다. 러시아군은 독일의 공세를 저지하면서 비츨로카 강 건너편으로 철수하였다. 러시아군은 병력들이 산개되면서 밀집도가 떨어졌고 갑작스러운 공세에 미처 방어선을 구축하지 못했으나 러시아군 수뇌부에서는 후퇴 절대 불가를 내세워 반격작전을 요구했다. 독일군 일부가 이미 두클라에 다다라 후방을 위협하는 상황에도 불구하고 5월 7일 러시아군은 반격을 시작했으나 러시아군 제48사단은 두클라에서 독일군에게 포위되어 항복했고 나머지 러시아군도 독일군의 역공에 참패하여 질서없이 패주하였다. 5월 11일 러시아군은 산강에 방어선을 구축하였고 강을 향해 진격하는 독일군을 최대한 지연시키기 위해 전투를 벌였으나 5월 12일 독일군이 교두보를 마련하였고 5월 17일 산 강을 도하하여 러시아군의 방어선을 돌파하는데 성공했다.

2.2. 프셰미실 공방전

5월 28일 독일군이 프셰미실 요새 북쪽의 주요거점들을 점령하자 러시아군은 요새를 포기하고 후퇴하였다.[1] 요새를 점령한 독일군은 6월 3일까지 별다른 저항없이 계속 진군했으며 러시아군은 타뉴 강과 렘베르크 서북쪽의 그로텍으로 후퇴하여 방어선을 구축했다.

2.3. 그로텍 전투

렘베르크 서북쪽 30km 지점 마헤리브(Maheriv)[2]에 교두보를 확보한 동맹군은 교두보 동쪽으로 진군하여 아직 방어선을 제대로 구축하지 못한 러시아군을 양분시켜 버리고 최종적으로 렘베르크를 점령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북부측면은 독일, 남부측면은 오스트리아-헝가리가 맡았으며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은 공세를 위하여 12개 사단을 포함한 4개군단을 준비하여 이들을 좌익과 우익으로 나누어 북쪽 측면의 독일군과 함께 삼면에서 공세를 계획했다. 6월 17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이 공세를 시작하였고 오스트리아군 좌익은 러시아군의 철로와 주요 도로들을 점령했다. 오스트리아군 우익은 러시아군의 저항에 고전했지만 렘베르크 서쪽까지 러시아군을 밀어내는데 성공했다. 그러나 러시아의 반격 우려에 오헝군은 진격을 중지하고 전선을 가다듬었으며 6월 20일 독일군이 마지에로프의 러시아 방어선을 돌파하자 러시아군은 렘베르크로 후퇴하였다.

2.4. 렘베르크 탈환

6월 21일 동맹군의 공세에 결국 니콜라이 니콜라예비치 대공은 갈리치아 포기를 명령했고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은 6월 22일 렘베르크를 재탈환하였다.

3. 러시아군의 참패 원인

공세 초기 러시아군과 동맹국의 병력은 별로 차이가 없었으나 러시아군에 비해 동맹군은 압도적인 화력을 가지고 있었다. 러시아군이 중포 4문, 야포 600여문을 보유한데 비해 동맹군은 공세를 위해 철저한 준비를 하여 중포 334문, 야포 1272문을 준비하여 러시아군을 압도했다. 게다가 러시아군은 포탄부족에 시달렸는데 동맹군 역시 포탄수급의 문제에서 자유로웠던 것은 아니지만 공세를 위해 포탄을 구비해놓았고 포병지원을 위해 비행기 100여대를 동원하였다. 또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동유럽의 열악한 도로환경을 극복하고자 마차를 이용하여 보급문제를 수월하게 했으나 러시아의 경우 고질적인 물자문제에 시달리고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러시아군 수뇌부는 동맹국의 동부전선에 대한 공세의 규모를 오판하고 있었으며 병력을 넓은 구역에 산개시켜 놓아 방어전을 실시하기도 전에 개전하자마자 각개격파당하고 남은 병력들마저도 어설픈 반격작전과 후퇴금지 명령으로 인해 포위섬멸되고 말았다.

4. 영향

러시아군이 갈리치아 지역을 내어주면서 폴란드는 동부전선에서 독일쪽으로 돌출된 거대 돌출부가 되었다. 러시아는 포위위협을 제거하고 전선을 단축시키기 위해서 폴란드에서 대후퇴를 결정하였다. 한편 동맹국[3]의 경우 러시아의 공세로 잃어버렸던 영토들을 대부분 탈환하였고 일시적으로 러시아군의 위협을 제거하는데 성공하면서 다른 전선에서의 기회를 얻게 되었다.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은 발칸 전선에 집중할 수 있게 되었으며 동맹국은 그해 겨울 세르비아에 대한 총공세를 퍼부어 점령하는데 성공한다. 이후 전선을 안정시킨 러시아는 해당 지역에 대해 브루실로프 공세를 퍼부어 복수에 성공한다. 그리고 거기서 입은 피해 때문에 나라가 망했다.


[1] 프셰미실 요새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주요 거점 중 하나였으며 개전 초기 러시아군의 공세를 저지했으나 오스트리아군이 러시아군의 공세에 갈려나가자 1915년 3월 포위당하여 10만명이 넘는 병력이 항복한 곳이다.[2] 오늘날 우크라이나 영토.[3] 특히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