門 문 문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門, 0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8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モン | ||||||
일본어 훈독 | かど, と | ||||||
门 | |||||||
표준 중국어 | mén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획순 |
[clearfix]
1. 개요
門은 '문 문'이라는 한자로, '문(門)', '집안', '방법' 등을 뜻하며, 창힐수입법으로는 日弓(AN)으로 입력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문 |
음 | 문 | |
중국어 | 표준어 | mén |
광동어 | mun4 | |
객가어 | mùn | |
민북어 | mô̤ng | |
민동어 | muòng | |
민남어 | bûn[文] / mn̂g[白] | |
오어 | men (T3) | |
일본어 | 음독 | モン |
훈독 | かど, と | |
베트남어 | môn |
유니코드에선 U+9580에 배정되어있다.
상형자로, 두 개의 문짝이 있는 문의 모양을 나타낸 한자이다. 일본에서는 이 한자가 대문이라는 뜻으로 한정되어 있고, 방문을 비롯한 일반적인 문은 扉(사립문 비)나 戶(지게 호)자로 가리킨다.
3. 자형
갑골문 | 금문 | 대전체 | 소전체 |
- 이체자 : 门, 𨳇[3], 閅
门은 옛날부터 한자문화권에서 통용되던 속자로, 중국에서는 공식적으로 간체자로 채택되었다. 일본에서도 필기체에선 제법 보이며, 한국에서도 한자를 많이 쓰던 과거 세대라면 금방 알아보는 자형이다.[4] 다만 한국과 일본에서는 门보다는 冂 꼭대기 가운데에 짧은 세로획을 하나 꽂아놓은 형태를 주로 쓴다. 宀(집 면)에서 가운데 세로획을 제외한 부분을 세로로 잡아 늘린 듯한 모양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유니코드에는 수록되지 못했고, 폰트에 따라 门을 그런 형태로 표시하는 경우가 있다.
4. 부수
| ||||
{{{#!wiki style="margin:3px -10px -3px; min-height:1.5em;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214 부수 ] | 1획 | <colbgcolor=#fff,#1f2023>1 一 2 丨 3 丶 4 丿 5 乙(乚) 6 亅 | ||
2획 | 7 二 8 亠 9 人(𠆢, 亻) 10 儿 11 入 12 八 13 冂 14 冖 15 冫 16 几 17 凵 18 刀(刂) 19 力 20 勹 21 匕 22 匚 23 匸 24 十 25 卜 26 卩(㔾) 27 厂 28 厶 29 又 | |||
3획 | 30 口 31 囗 32 土 33 士 34 夂 35 夊 36 夕 37 大 38 女 39 子(孑) 40 宀 41 寸 42 小 43 尢(尣) 44 尸 45 屮 46 山 47 巛(川) 48 工 49 己 50 巾 51 干 52 幺 53 广 54 廴 55 廾 56 弋 57 弓 58 彐(彑, ⺕) 59 彡 60 彳 | |||
4획 | 61 心(忄, ⺗) 62 戈 63 戶 64 手(扌) 65 支 66 攴(攵) 67 文 68 斗 69 斤 70 方 71 无(旡) 72 日 73 曰 74 月 75 木 76 欠 77 止 78 歹(歺) 79 殳 80 毋 81 比 82 毛 83 氏 84 气 85 水(氵, 氺) 86 火(灬) 87 爪(爫, ⺥) 88 父 89 爻 90 爿(丬) 91 片 92 牙 93 牛(牜) 94 犬(犭) | |||
5획 | 95 玄 96 玉(王) 97 瓜 98 瓦 99 甘 100 生 101 用 102 田 103 疋(⺪) 104 疒 105 癶 106 白 107 皮 108 皿 109 目(罒) 110 矛 111 矢 112 石 113 示(⺬, 礻) 114 禸 115 禾 116 穴 117 立 | |||
6획 | 118 竹(⺮) 119 米 120 糸(糹) 121 缶 122 网(罒, 罓, 㓁) 123 羊(⺶, ⺷) 124 羽 125 老(耂) 126 而 127 耒 128 耳 129 聿 130 肉(月, ⺝) 131 臣 132 自 133 至 134 臼(𦥑) 135 舌 136 舛 137 舟 138 艮 139 色 140 艸(⺿, 艹, 䒑) 141 虍 142 虫 143 血 144 行 145 衣(衤) 146 襾(覀) | |||
7획 | 147 見 148 角 149 言(訁) 150 谷 151 豆 152 豕 153 豸 154 貝 155 赤 156 走 157 足(𧾷) 158 身 159 車 160 辛 161 辰 162 辵(⻍, ⻌) 163 邑(⻏) 164 酉 165 釆 166 里 | |||
8획 | 167 金(釒) 168 長 169 門 170 阜(⻖) 171 隶 172 隹 173 雨(⻗) 174 靑 175 非 | |||
9획 | 176 面 177 革 178 韋 179 韭 180 音 181 頁 182 風 183 飛 184 食(𩙿, 飠) 185 首 186 香 | |||
10획 | 187 馬 188 骨 189 高 190 髟 191 鬥 192 鬯 193 鬲 194 鬼 | |||
11획 | 195 魚 196 鳥 197 鹵 198 鹿 199 麥 200 麻 | |||
12획 | 201 黃 202 黍 203 黑 204 黹 | 15획 | <colbgcolor=#fff,#1f2023>211 齒 | |
13획 | 205 黽 206 鼎 207 鼓 208 鼠 | 16획 | 212 龍 213 龜 | |
14획 | 209 鼻 210 齊 | 17획 | 214 龠 | |
참고문서 : 부수 · 한자/목록/부수별 · 강희자전 |
- [ 위치별 주요 부수 ]
- ||<:><table align=center>변
<colbgcolor=#fff,#1f2023>氵 · 亻 · 木 · 糹 · 訁 · 口 · 扌 · 忄 · 女 · 山 · 虫 · 火 · 釒 · 日 · 月/⺼ · 禾 · 土 · ⻖ · 犭 · 馬 · ⻞/飠 · 目 · 王 · 石 · 米 · 衤 · ⻊ · ⺬/礻 · 彳 · 車 · 魚 · 冫 · 貝 · 酉 · 耳 · 弓 · 牜 · 舟 · 立 · 方 · 歹 · 止 · 音 방 攵 · 頁 · 隹 · 鳥 · ⻏ · 刀 · 欠 · 又 · 見 · 力 · 殳 · 寸 · 戈 · 斤 · 卩 · 瓦 · 乚 · 彡 머리 ⺿/艹 · ⺮ · 宀 · 亠 · 冖 · 𠆢 · 爫/⺥ · ⻗ · 穴 · 覀 · 罒 · 止 발 木 · 心 · 灬 · 夊 · 女 · 大 · 示 · 土 · 子 · 見 · 貝 · ⺝ · 皿 · 止 받침 ⻍/⻌ · 廴 · 走 · 鬼 · 麥 엄 广 · 厂 · 尸 · 戶 · 疒 · 耂 · 虍 <colbgcolor=#fff,#1f2023>勹 · 气 몸 囗 門 · 鬥 凵 匚 그외 {{{#!wiki style="margin:-16px -11px" 心 衣 }}} 行
- [ 수록자 보기 ]
- ||1획
<colbgcolor=#fff,#1f2023>1 一 2 丨 3 丶 4 丿 5 乙(乚) 6 亅 2획 7 二 8 亠 9 人(𠆢, 亻) 10 儿 11 入 12 八 13 冂 14 冖 15 冫 16 几 17 凵 18 刀(刂) 19 力 20 勹 21 匕 22 匚 23 匸 24 十 25 卜 26 卩(㔾) 27 厂 28 厶 29 又 3획 30 口 31 囗 32 土 33 士 34 夂 35 夊 36 夕 37 大 38 女 39 子(孑) 40 宀 41 寸 42 小 43 尢(尣) 44 尸 45 屮 46 山 47 巛(川) 48 工 49 己 50 巾 51 干 52 幺 53 广 54 廴 55 廾 56 弋 57 弓 58 彐(彑, ⺕) 59 彡 60 彳 4획 61 心(忄, ⺗) 62 戈 63 戶 64 手(扌) 65 支 66 攴(攵) 67 文 68 斗 69 斤 70 方 71 无(旡) 72 日 73 曰 74 月 75 木 76 欠 77 止 78 歹(歺) 79 殳 80 毋 81 比 82 毛 83 氏 84 气 85 水(氵, 氺) 86 火(灬) 87 爪(爫, ⺥) 88 父 89 爻 90 爿(丬) 91 片 92 牙 93 牛(牜) 94 犬(犭) 5획 95 玄 96 玉(王) 97 瓜 98 瓦 99 甘 100 生 101 用 102 田 103 疋(⺪) 104 疒 105 癶 106 白 107 皮 108 皿 109 目(罒) 110 矛 111 矢 112 石 113 示(⺬, 礻) 114 禸 115 禾 116 穴 117 立 6획 118 竹(⺮) 119 米 120 糸(糹) 121 缶 122 网(罒, 罓, 㓁) 123 羊(⺶, ⺷) 124 羽 125 老(耂) 126 而 127 耒 128 耳 129 聿 130 肉(月, ⺝) 131 臣 132 自 133 至 134 臼(𦥑) 135 舌 136 舛 137 舟 138 艮 139 色 140 艸(⺿, 艹, 䒑) 141 虍 142 虫 143 血 144 行 145 衣(衤) 146 襾(覀) 7획 147 見 148 角 149 言(訁) 150 谷 151 豆 152 豕 153 豸 154 貝 155 赤 156 走 157 足(𧾷) 158 身 159 車 160 辛 161 辰 162 辵(⻍, ⻌) 163 邑(⻏) 164 酉 165 釆 166 里 8획 167 金(釒) 168 長 169 門 170 阜(⻖) 171 隶 172 隹 173 雨(⻗) 174 靑 175 非 9획 176 面 177 革 178 韋 179 韭 180 音 181 頁 182 風 183 飛 184 食(𩙿, 飠) 185 首 186 香 10획 187 馬 188 骨 189 高 190 髟 191 鬥 192 鬯 193 鬲 194 鬼 11획 195 魚 196 鳥 197 鹵 198 鹿 199 麥 200 麻 12획 201 黃 202 黍 203 黑 204 黹 15획 <colbgcolor=#fff,#1f2023>211 齒 13획 205 黽 206 鼎 207 鼓 208 鼠 16획 212 龍 213 龜 14획 209 鼻 210 齊 17획 214 龠 참고문서 : 부수 · 한자/색인/부수별 · 강희자전
門자가 부수인 한자는 양쪽 문짝 가운데에 한자가 들어가 새로운 한자가 된다. 예를 들면, 間(사이 간), 閑(한가할 한), 開(열 개), 關(관계할 관), 閉(닫을 폐) 등.[5] 물론 예외가 없진 않지만, 대개 閄처럼 일반적으로는 용례가 없는 벽자들이다.
간체자에선 대다수가 门 부수가 되었지만, 闇(暗)처럼 다른 글자로 대체되거나 開(开), 關(关)처럼 부수 자체가 사라진 경우도 존재한다.
5. 용례
5.1. 단어
- 문(門)
- 가문(家門)
- 간문맥(肝門脈)
- 개선문(凱旋門)
- 관문(關門)
- 교문(校門)
- 권문(權門)
- 대문(大門)
- 동문(同門)
- 등룡문(登龍門)
- 맥문동(麥門冬)
- 명문(名門)
- 문벌귀족(門閥貴族)
- 문중(門中)
- 문파(門派)
- 문하(門下)
- 문호(門戶)
- 방문(房門)
- 부문(部門)
- 비사문천(毘沙門天)
- 사대문(四大門)
- 성문(城門/聲門)
- 일주문(一柱門)
- 입문(入門)
- 전문(專門)
- 정문(正門)
- 창문(窓門)
- 측문(側門)
- 폐문(閉門/廢門/肺門)
- 포문(砲門)
- 항문(肛門)
- 후문(後門)
5.2. 고사성어/숙어
5.3. 인명
- 대문예(大門藝)
- 류몬부치 토오카(龍門渕 透華)
- 모지 마히비(門司 真罅)
- 몬치 카오리(門地 かおり)
- 사사카도 노부요시(佐々門 信芳)
- 서문탁(西門卓)
- -에몬(衛門)
- 이카루가 시몬(斑鳩 士門)
- 인부몬인노 다이후(殷富門院 大輔)
- 오쿠토 가몬(奥戸 我門)
- 카도바야시 유우(門林 有羽)
- 카도와키 무기(門脇 麦)
- 카도쿠라 유다이(門倉 雄大)
- 카마도 네즈코(竈門 禰豆子)
- 카마도 탄쥬로(竈門 炭十郎)
- 카마도 탄지로(竈門 炭治郎)
- 키요카도 키요시로(青門 碧郎)
- 타이라노 후미카도(平 文門)
- 테라카도 츠우(寺門 通)
- 후지바야시 가이몬(藤林 鎧門)
5.4. 지명
- 서울 한양도성 4대문
- 나가토아와노역(長門粟野駅)
- 동대문구(東大門區)
- 동문동(東門洞) - 한국에 '동문동'이라는 이름의 동은 세 곳(대구, 경북 안동, 충남 서산)이 있는데, 국문과 마찬가지로 한문 또한 모두 동일하다.
- 서대문구(西大門區)
- 문현동(門峴洞)
- 용문동(서울)(龍門洞) - 대전광역시 서구에 위치한 동명의 동은 門이 아닌 汶(내이름 문)이다.
- 자하문(紫霞門)
- 판문점(板門店)
- 광화문(光化門)
- 동대문역
-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 서대문역
- 광화문역
- 독립문역
- 용문역
- 쌍문역
- 보문역
- 문현역
5.5. 창작물
5.6. 기타
- 門OON: 문별의 2020년 콘서트
- 天安門 天安门 法輪功 李洪志 Free Tibet 劉曉波
5.7. 중국어
- 门 [mén]
- 명) 문/개폐기
- 예1) 大门 [dàmén]: 대문, 정문
- 예2) 闸门 [zhámén]: 갑문
- 명) 가문, 족벌
- 예) 豪门 [háomén]: 호족
- 명) (종교/사회적) 파벌
- 예) 儒门 [rúmén]: 유가
- 명) 종류
- 예) 分门 [fēnmén]: 부문
- 명) 생물학적 단위
- 예) 脊椎动物门 [jĭzhuīdòngwùmén]: 척추동물문
- 양) 대포/학문/기술/통화량을 세는 단위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7. 여담
- 門은 훈음이 회문인 동시에 門의 모양도 마침 좌우 대칭이다. 이런 특징을 가진 또 다른 한자로는 南(남녘 남), 東(동녘 동), 西(서녘 서), 宰(재상 재), 兆(조 조/조짐 조)가 있는데, 南은 일본어 훈독까지도 みなみ로 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