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7:06:07

T1/리그 오브 레전드

쮼쮼준에서 넘어옴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세요.

'''
2024 월즈 감독을 누구로 서술해야 하는지에 대한
이 문서에서
토론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토론 중인 내용을 일방적으로 편집할 경우 관련 규정에 따라 제재될 수 있습니다.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T1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T1/리그 오브 레전드/2024 시즌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wiki style="margin:-10px"<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1C192B> 파일:LCK 로고 흰색.svgLCK
참가팀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 (텍스트).svg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T1 로고.svg 파일:Dplus KIA 로고.svg파일:Dplus KIA 로고(화이트).svg 파일:kt 롤스터 로고.svg파일:kt 롤스터 로고(다크모드).svg
Hanwha Life Esports Gen.G T1 Dplus KIA kt Rolster
파일:BNK FearX 로고.svg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파일:광동 프릭스 로고 (화이트, 주황).svg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파일:DRX 로고.svg파일:DRX 로고(화이트).svg 파일:OK저축은행 브리온 로고.svg파일:OK저축은행 브리온 로고 화이트.svg
BNK FearX KWANGDONG FREECS Nongshim RedForce DRX OKSavingsBank BRION
LCK CL 참가팀 LCK Cup 참가팀 해체된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
파일:T1 로고.svg
<colbgcolor=#e4002b><colcolor=#fff> 티원
T1
창단 2012년 12월 13일
소속 리그 LCK
팀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통합 이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SK telecom T1(2012.12)
SK telecom T1 #1(2012.12~2013.11)
SK telecom T1 S(2013.11~2014.12)
SK telecom T1 #2(2012.12~2013.7)
SK telecom T1(2013.7~2013.11)[1]
SK telecom T1 K(2013.11~2014.12)
}}}}}}}}}
SK telecom T1(2015.1~2019.12)
T1(2020.1~)[2]
모기업 ㈜에스케이텔레콤씨에스티원
CEO [[조 마쉬|조 마쉬
Joe Marsh
]]
COO 안웅기
Josh
파트 오너 [[이상혁|이상혁
Faker
]]
단장 [[정회윤|정회윤
Becker
]]
사무국장 송종호
프런트 문경남
감독 [[김정균|김정균
kk0ma
]]
코치 [[임재현(e스포츠)|임재현
Tom
]] | [[김강희|김강희
Roach
]]
주장 [[이상혁|이상혁
Faker
]]
약칭 T1
파일:T1 로고.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 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
우승 기록[3]
Worlds
(5회, 최다)
2013, 2015, 2016, 2023, 2024
MSI
(2회)
2016, 2017
LCK
(10회, 최다)
2013 서머, 2013-2014 윈터[A], 2015 스프링, 2015 서머, 2016 스프링, 2017 스프링, 2019 스프링, 2019 서머, 2020 스프링, 2022 스프링[A]
EWC
(1회, 최다)
2024[6]
IEM
(1회)
2016 월드 챔피언십[A]
RR
(1회)
2019
All-Star
(1회, 최다)
2014 인비테이셔널[A][9]
NLB
(1회)
2014 서머[A]
로스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4002b><colcolor=#fff>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우제|최우제
Zeus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문현준|문현준
Oner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crwn.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상혁|이상혁
Faker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민형|이민형
Gumayusi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P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류민석|류민석
Keria
]]
}}}}}}}}}
팀 컬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파일:T1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league-of-legends.png 파일:valorantlogo.png
T1
T1 Esports Academy
T1
T1 VALORANT Academy
파일:PUBG: BATTLEGROUNDS 아이콘.svg 파일:tekken8_logo_nonum.png
T1 T1 }}}}}}}}}


1. 개요2. 상세3. 주요 경력4. 관련 기록5. 스폰서6. 역사 및 역대 시즌7. 위상 및 인기8. 특징9. 플레이 스타일10. 성적 및 전적11. 구성원
11.1. 로스터 연혁11.2. 스태프 연혁
12. 게임단 산하
12.1. T1 Esports Academy12.2. T1 Esports Academy Rookies
13. 관련 매체14. 팬덤15. 라이벌리16. 여담17. 사건 사고18.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우승 스킨
18.1. 2013 시즌18.2. 2015 시즌18.3. 2016 시즌18.4. 2023 시즌18.5. 2024 시즌
19. 전설의 전당 스킨20.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T1 로고 화이트.svg
파일:2024 Worlds T1.jpg
#Brotherhood
T1 소속 대한민국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팀 약자는 T1.[11]

2. 상세

2012년 후반기 SK telecom T1이라는 이름으로 창단되었다. 2013 LCK 서머 우승 이후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3 월드 챔피언십 우승까지 달성하면서 LCK 팀들 중 최초로 월드 챔피언십과 메이저 국제 대회를 우승한 팀으로서 한 해를 제패하였고, 동시에 이후 5년간 지속되었던 리그의 기나긴 황금기를 열어젖히며 LCK의 황금기를 상징하는 최고의 팀이 되었다. 2015년 통합 팀 체제 구축 이후부터 2017년 초중반까지는 단순 국내만이 아닌 전 세계적으로 공인받을 만한 왕조로서 그 명맥을 구가했다. 우승을 달성했음에도 평가가 갈렸던 시절과[12] 극심한 수준의 침체기[13] 역시 존재하지만 암흑기가 전성기의 찬란한 광휘를 가리지 못하고 있고, 전 세계의 수많은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 팀 중 명문 팀을 꼽으라고 하면 반드시 언급된다.

지역을 막론하고 수많은 팬을 거느리고 있으며 가장 높은 인지도를 자랑한다. 타 팀 팬들에게는 '공공의 적' 내지는 '최종 보스'로 간주되고 있으며, 그간 퍼포먼스로나 족적으로나 LoL e스포츠 역사에 거대한 획을 그은 팀이다.

또한 대한민국 프로 스포츠 클럽 한정 최다 국제 클럽 대항전 우승 기록도 보유하고 있다. 종전 최고 기록은 K리그포항 스틸러스이다.[14]

3. 주요 경력

우승 경력
HOT6 Champions Summer 2013 우승
PANDORA TV Champions Winter 2013-2014 우승
MVP Ozone SK telecom T1
SK telecom T1 K
Samsung Galaxy Blue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 3 월드 챔피언십 우승
Taipei Assassins SK telecom T1 Samsung Galaxy White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2014 인비테이셔널 우승
대회 출범 SK telecom T1 K Edward Gaming[15]
IT ENJOY NLB Summer 2014 우승
CJ Entus Frost SK telecom T1 K Anarchy[16]
2015 SBENU LoL Champions Korea Spring 우승
2015 SBENU LoL Champions Korea Summer 우승
2016 꼬깔콘 LoL Champions Korea Spring 우승
[17]
kt Rolster Arrows SK telecom T1 ROX Tigers
리그 오브 레전드 2015 월드 챔피언십 우승
리그 오브 레전드 2016 월드 챔피언십 우승
Samsung Galaxy White SK telecom T1 Samsung Galaxy
IEM Season Ⅹ - World Championship 우승
Team SoloMid SK telecom T1 Flash Wolves
2016 Mid-Season Invitational 우승
2017 Mid-Season Invitational 우승
Edward Gaming SK telecom T1 Royal Never Give Up
2017 LoL Champions Korea Spring 우승
ROX Tigers SK telecom T1 Longzhu Gaming
2019 스무살우리 LoL Champions Korea Spring 우승
2019 우리은행 LoL Champions Korea Summer 우승
2020 우리은행 LoL Champions Korea Spring 우승
[18]
kt Rolster SK telecom T1
SK telecom T1
T1
DAMWON Gaming
2019 리프트 라이벌즈 우승
LPL
(RNG, EDG, RW, IG)
LCK
(SKT, GRF, KZ, DWG)
폐지
2022 LoL Champions Korea Spring 우승
DWG KIA T1 Gen.G
리그 오브 레전드 2023 월드 챔피언십 우승
리그 오브 레전드 2024 월드 챔피언십 우승
DRX T1 미정
Esports World Cup 2024 우승
대회 출범 T1 미정
준우승 경력
SKT LTE-A LoL 마스터즈 2014 준우승
Xenics United[19] SK telecom T1 폐지[20]
2015 Mid-Season Invitational 준우승
Oh My God[21] SK telecom T1 Counter Logic Gaming
2017 & 2018 리프트 라이벌즈 준우승
대회 출범 LCK
17 (SKT, kt, SSG, MVP)
18 (KZ, AFs, KT, SKT)
LPL
(IG, JDG, FPX, TES)
2017 LoL Champions Korea Summer 준우승
kt Rolster SK telecom T1 Afreeca Freecs
리그 오브 레전드 2017 월드 챔피언십 준우승
Samsung Galaxy SK telecom T1 Fnatic
2021 LoL Champions Korea Summer 준우승
Gen.G T1 Gen.G
2022 Mid-Season Invitational 준우승
DWG KIA T1 Bilibili Gaming Pingan Bank
2022 LoL Champions Korea Summer 준우승
2023 LoL Champions Korea Spring 준우승
2023 LoL Champions Korea Summer 준우승
2024 LoL Champions Korea Spring 준우승
Gen.G T1 Gen.G
리그 오브 레전드 2022 월드 챔피언십 준우승
DWG KIA T1 Weibo Gaming Faw Audi
수상 경력
2013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올해의 e-스포츠 대상
시상 출범 SK telecom T1 K[22] 이상혁
(SK telecom T1)
2013 / 2015 / 2016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최우수 e-스포츠 팀상
CJ Entus Frost SK telecom T1 K
SK telecom T1
SK telecom T1
폐지[23]
2019 e-스포츠 명예의 전당 올해의 e-스포츠 팀상
시상 출범 T1 DWG KIA
2022 올해의 브랜드 대상 e-스포츠팀 부문 수상
시상 출범 T1 미정
2023 e스포츠 어워드 올해의 팀
LOUD T1 미정
2023 e-스포츠 명예의 전당 올해의 e-스포츠 팀상
DRX T1 미정

4. 관련 기록

국제 대회 관련
* 라이엇 게임즈가 주최 및 주관하는 모든 국제 대회를 우승한 최초의 팀[24][25]
* 메이저 국제 대회[목록] 최다 우승(총 7회)[27][28]
* 4연속으로 메이저 국제 대회를 우승한 유일한 팀[29]
* 리그 오브 레전드 e스포츠 역사상 논 캘린더 및 커리어 그랜드 슬램을 달성한 최초이자 유일한 팀[30]
* 리그 오브 레전드 e스포츠 역사상 논 캘린더 및 커리어 러너업 슬램을 달성한 최초이자 유일한 팀[31]
* 메이저 국제 대회[목록] 최다 결승(총 11회)[33]
* 6연속으로 메이저 국제 대회 결승에 진출한 유일한 팀[34]
국내대회 관련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최초 10회 우승 및 최다 우승(10회)[54][55][56]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최다 통합 우승(3회)[57]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최초 2회, 3회 연속 우승 및 유일한 2회 3연속 우승[58][59]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최초, 최다 업셋 우승(5회)[60]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플레이오프 개편 전(싱글 엘리미네이션) 최다, 유일한 업셋 팀(5회)[61]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유일한 와일드 카드 대전 팀의 우승[62]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최초 연속, 최다 연속(3회) 업셋 우승[63]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최초이자 최다 전승 우승[64][65]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최다 결승 진출(16회)[66]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최초 5회 연속 결승전 진출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최단 시간 다전제 승리(72분 28초)[67][68]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최초의 전승 플레이 오프 진출[69][70]
* 리그제 전환 이후 플레이오프 최단 시간 내에 진출 확정[71][72]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최초 올프로 퍼스트 팀 단일 팀 수상[73][74]
기타 기록 관련
* 메이저 국제 대회[목록]에서 총 7회 우승을 달성한 선수를 배출한 팀[76]
* 메이저 국제 대회[목록] 통산 100승을 달성한 선수를 배출한 팀[78]
*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총 9회 출전 기록 달성 및 보유자를 배출한 팀[79]
*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총 7회 결승 진출 기록 달성 및 보유자를 배출한 팀[80]
* LoL e스포츠 메이저 국제 대회[목록]에서 대회 최저 성적이 4위인 팀[82][83]
* Mid-Season Invitational 최다 출전 기록, 최다 결승 진출 기록 보유자를 배출한 팀[84][85]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총 12회 결승 진출 및 10회 우승자를 배출한 팀[86]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3연속 우승을 2회 달성한 유일한 선수를 배출한 팀[87]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1,000, 2,000, 2,500, 3,000킬 기록을 달성한 최초의 선수를 배출한 팀[88]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최연소 및 최고령 미드 라이너 우승자 기록을 모두 달성한 선수를 배출한 팀[89][90]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700전 및 500승을 최초로 달성한 선수를 배출한 팀[91][92]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단일 정규시즌 최다 킬(219킬) 선수를 배출한 팀[93]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단일 정규시즌 최다 어시스트(462 어시스트) 선수를 배출한 팀[94]
* 같은 해에 자국 스프링과 서머 및 메이저 국제 대회[목록] 모두 결승전에 올라가 본 최초의 팀[96]
* 3회 이상 같은 해에 자국 스프링과 서머 및 메이저 국제 대회[목록] 모두 결승전에 올라가 본 최초이자 유일한 팀[98]
*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우승 이후 차후 우승까지 가장 오랜 시간이 걸린 팀[99][100]
* 메이저 국제 대회[목록]가 열린 4대 주요 지역에서 모두 우승한 최초이자 유일한 팀[102]
*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결승에서 레드 진영에서만 3:0으로 승리하고 우승을 차지한 유일한 팀[103]
* Esports World Cup 로얄로더 우승

T1 선수들이 우승하지 못한 대회중 사실상 폐지된 1회성 대회는 GIGABYTE StarsWar League Season 2, 인천 실내 무도 아시안 게임, 인텔 AMD 리그 오브 레전드 대회, WCG, 마스터즈, MSC가 있으며, 현재 참가할 수 있는 리그 오브 레전드 대회 중 아직 우승하지 못한 대회는 KeSPA Cup뿐이다.[104][105]

또한 이러한 압도적인 커리어를 다수로 보유한 T1조차 못 이룬 대기록 중 하나가 바로 단일 시즌(캘린더) 그랜드 슬램이다. LoL e스포츠 역사상 역대 최강팀이라 평가받는 2015 SKT는 MSI 결승에서 EDG에게 발목을 잡혔고, 2016 SKT도 서머에서 KT에게 결승 진출이 좌절되어 이루어내지 못했다.[106]

5. 스폰서

LEAD
파일:SK텔레콤 로고.svg
T 우주 (모기업)[107]
PREMIER
파일:삼성 오디세이 네오 로고 블랙.svg 파일:레드불 로고.svg 파일:골스튜디오 텍스트 로고.svg
Samsung Odyssey Neo Red Bull [[골스튜디오|{{{#fff GOALSTUDIO의류}}}]]
파일:SOOP 로고.svg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파일:나이키 로고.svg
SOOP Mercedes-Benz[108] NIKE
PARTNER
파일:하나은행 로고.svg 파일:스틸시리즈 로고.svg 파일:랄프 로렌 로고.svg
[[하나은행|{{{#fff 하나은행}}}]] SteelSeries Ralph Lauren
파일:KLEVV 로고.svg 파일:HSBC 로고.svg 파일:인스파이어 엔터테인먼트 리조트 로고.svg
[[에센코어|{{{#fff KLEVV}}}]] HSBC 인스파이어 엔터테인먼트 리조트
SUPPORTER 업무계약 MOU
파일:Secretlab 로고.svg 파일:OP.GG 로고.svg
Secretlab[109] OP.GG

6. 역사 및 역대 시즌

통합 이전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attachment/Sktt1_s.png 파일:attachment/Sktt1_k.png
SK telecom T1 S SK telecom T1 K
SK텔레콤 T1 S SK텔레콤 T1 K
}}}
통합 이후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파일:T1 LoL 로고.svg 파일:T1 로고.svg
SK telecom T1 T1
SK텔레콤 T1 티원


2024

LCK의 초창기 합류한 팀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타 팀들과 마찬가지로 오랜 기간 구단을 유지하며 수많은 로스터 변화와 그에 따른 전성기-암흑기가 번갈아가며 발생한다. LoL e스포츠의 특성상 선수 이동이 많고 국제대회 우승의 난이도가 높아 팀의 역사를 구분짓기 어렵지만 화려한 국제 대회와 국내 리그 성적을 보유한 T1의 경우 팬들이 당시 우승 멤버를 추억하기 쉬운 편에 속한다. 보통 2013-2014 형제팀 시기[110] - 2015-2017 무적함대(단일팀) 시기[111] - 2018 리빌딩 - 2019 드림팀 시기[112] - 2020-2021 리빌딩 - 2022-현재 제오페구케 시기[113]로 보통 구분하며 우승 커리어나 멤버 구성면에서 팬들이 기억하는 선수가 소속된 시기가 일치한다.

원래 SKT T1 스페셜 포스 팀[114]의 코치였던 최병훈리그 오브 레전드의 인기가 올라옴을 느끼던 와중, 당시 통신사 라이벌 구단이었던 KTLoL 프로 팀을 창단하는 것을 보면서 구단 측에 SKT도 LoL 프로 팀이 필요하다고 주장했고, 이것이 받아들여지면서 2012년 창단되었다. 창단 초창기 팀의 구심점이었던 것은 최병훈과 당시 Azubu BLAZE에서 나와 새 팀을 구하고 있던 복한규. 초창기 로스터 영입은 모두 복한규의 주도하에 이루어졌고, 창단과 동시에 IEM 쾰른에서 우승하며 단숨에 주목받는 팀이 되었다. 그리고 이후 영입된 김정균 코치 주도로 2팀이 새롭게 창단되었다.

형제 팀이 존재했었던 과거에는 IM을 비롯한 여러 팀들처럼 별다른 팀명 없이 1팀, 2팀으로 불렀었다. 그리고 이에 reddit 등지의 해외 팬들은 롤챔스 영어 해설자인 '몬테크리스토' 크리스토퍼 마이클스가 만든 별명인 T1 Terminator, T2 Judgement Day로 부르곤 했다. 또한 상술했듯 기존 1팀은 해체되고 새로운 1팀이 창단되어 2013년 11월 12일에 드디어 팀 이름이 정해졌는데, 1팀은 S, 2팀은 K로 결정되었다.[115]

2014 스프링 땐 전 시즌 서머, 윈터와 월즈에서 우승하고 돌아온 SK텔레콤 T1 K가 폭망하고 새로운 멤버들로 새출발하게 된 SK텔레콤 T1 S도 제 기량을 뽐내지 못하고 부진하면서 처참한 성적을 맛봐야 했다. SK텔레콤 T1 S의 경우 솔랭에서는 선수들이 날아다니는 경우가 많았지만(MaRin, Bang 등), 대회 울렁증이라도 있는지 대회에서만 오면 이해가 가지 않는 스로잉을 여러 번 보여주며 엄대엄, 강자판독기라는 썩 좋지 않은 별명을 얻게 되었다. SK텔레콤 T1 K의 경우 시즌 3 때 주전으로 활약하며 SK텔레콤 T1 K의 한 축을 담당한 PoohManDu가 지병으로 인한 휴식 때문에 출전하지 못했고, Casper(後 Wraith)가 대신 출전하였으나 매우 부진한 모습을 보여주면서 기대에 못 미치는 성적을 받아 팬들로 하여금 바로 전 윈터를 압도적으로 찍어누른 전승 우승 팀이 맞는지 의문이 들게 하였다. 연습실 정전 등 모종의 사고들로 인해 시즌 3 때보다 연습량이 부족하거나 팀 단위로 잘 맞지 않았고, 그중에서도 가장 타격이 컸던 것은 형제 팀 져주기 논란. 이 논란에 휘말리게 되면서 양 SKT 선수들은 정신적 충격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가뜩이나 좋지 않은 상황에서 악재를 만나게 되어 본인들의 기량을 자신 있게 뽐내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2015 시즌부터 LCK 개편과 함께 1기업 1티어당 1팀 원칙이 세워지면서 통합 팀으로 활동하게 되었다. 이후 2017년까지 리그 쓰리핏을 포함한 리그 우승 4회, 월즈 3연속 결승 진출 및 월즈 2회 우승, MSI 2회 우승 및 MSI와 같은 해 월즈를 우승한 유일한 팀이 되었고, 국제전 6연속 결승 진출 및 4연속 우승 등 그 어떤 팀도 기록하지 못했던 역대 최고의 성적을 기록하며 왕조로 거듭나게 되었다.

2019년 미국 자본인 컴캐스트와 합작하며 SK Telecom T1에서 T1으로 리브랜딩하였다. 다만 변경된 팀명은 2020년부터 적용되었다.

2021년 후반기부터 그 윤곽을 드러내기 시작한 새로운 T1은 팀의 역사를 통틀어 가장 빠르고 화끈한 팀으로 변모하였으며, 2022년부터 2024년 현재까지 함께하고 있는 제오페구케 로스터는 이전의 T1이 주로 사용하던 눕는 전략을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주도권 중심의 교전 지향적 팀으로 자리잡았다. 전 라인이 주도권을 쥐고 상대의 실수를 유도하여 빠른 스노우볼링을 굴리는 데에 특화된 팀으로 변화한 덕분에[116] 시즌 최다 킬, 최단 경기가 자주 나오기도 한다. 이러한 팀 특성과 T1이라는 이름값, 전례를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합을 오래 맞춘 현 로스터 멤버의 인기[117][118]에 힘입어 LCK 및 LOL e스포츠의 뷰어쉽을 책임지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2022년 스프링 전승 우승, 2023년, 2024년 월즈를 우승하면서 T1의 역사를 계속해서 이어가는 중.

7. 위상 및 인기

파일:Screenshot_20231213_17285_Chrome.png
T1이 지금까지 모은 트로피 中 일부[119]
파일:Screenshot_20231213_174258_Chrome.png
리그 오브 레전드 2023 월드 챔피언십 결승전 시청자 수 통계[120]
4회 우승. 3년 연속 결승 진출. 소환사의 컵을 두 번 이상 들어 올린 유일무이한 팀. 바로 T1입니다. 역사상 최고의 월드 챔피언십 왕조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그리고 그 모든 로스터의 중심에는 리그 오브 레전드 역사상 최고선수, Faker 선수가 있습니다.
LoL Esports. 월즈 결승전 티저 코멘트

리그 오브 레전드 e스포츠 역사상 최고의 명문 팀이다. 축구에서 레알 마드리드 CF, 야구에서 뉴욕 양키스가 가진 위상에 비견될 만한 수준. 특히 팀의 우승 족적이나 행보와 관련하여 적지 않은 부분에서 매우 화려한 금자탑을 세웠고, 주요 족적과 여러 대회에서 이루어낸 우승을 비롯하여 최다, 최초, 유일무이, 전무후무 등 각종 수식어가 아깝지 않을 정도의 리그 오브 레전드에서 독보적인 수상 기록을 보유한 대표적인 명문 팀이다. 단적인 예로 월즈만 보더라도 5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 팀이며, 자국 리그 LCK를 예로 들자면 2024 서머 기준으로 디플러스(담원), 피어엑스(배틀코믹스), 광동(아나키), 농심(다이나믹스)은 승강전을 통해 LCK에 진출한 승격 팀이고, DRX(IM), 젠지(삼성), 브리온(콩두), 한화생명, KT는 승강전에 갔다온 적이 있는 반면 T1은 승강전과 리그제가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시작한 2015년 이후부터 역대 LCK 팀들 중 유일하게 승강전에 간 적이 없는 팀이다.[121] 그리고 LCK가 프랜차이즈를 도입하게 됨에 따라 이러한 기록은 불멸로 남았다.

LCK 우승 기록으로만 한정하면 LCK 10번의 최다 우승 팀. 최초의 LCK 3연속 우승 팀-LCK 3연속 우승을 2번 달성한 팀이며 플레이오프 5강 체제 시절 최다이자 유일한 업셋 팀으로 특히 유일무이한 와일드 카드전 시작 도장깨기 우승에 성공한 팀이다. 또한 2013-2014년 윈터 시즌 롤챔스에서 유일한 세트 전승 우승 팀이자 무패 우승 팀이며[122] 리그 전환 이후 2022 스프링에서 LCK 역사상 최초로 매치 전승 우승을 달성했다. 리그 전환 이전 이후 둘 중 하나라도 달성한 팀은 T1이 유일하며 당연히 둘 다 달성한 팀 역시 T1이 유일. 이 밖에도 많은 기록들을 가지고 있는 명실상부 LCK 역사상 최강의 팀이다.

뷰어십(시청자 수) 면에서도 세계 최고 수준인데, 일례로 T1이 우승한 리그 오브 레전드 2023 월드 챔피언십에선 평균 뷰어십 1위를 달성했으며 결승전에선 무려 중국 제외[123]640만 명이라는 월즈 역사상 전례가 없는 뷰어십 기록을 세웠으며, 이 어마어마한 기록도 리그 오브 레전드 2024 월드 챔피언십 결승전에서 또다시 690만명으로 갈아엎혀졌다.

자국 리그 LCK내에서도 당연히 평균 뷰어십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LCK의 라이벌로 여겨지는 중국 LPL에서도 역시 상당한 인기를 가진 것으로 여겨진다.[124]

SK telecom T1은 SK가 가진 브랜드 중 글로벌 인지도가 가장 높은데, 그 인지도의 중심에 바로 T1의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이 있다. 2018년 스토브리그에서 '드림팀'으로 불릴 만한 파격적인 영입을 한 이후에 전 SKT 오경식 단장[125]인터뷰 기사에 따르면 “우리 그룹 수영팀이 프랑스터키 시골로 전지훈련을 가곤 한다. 그런데 수영 선수들 유니폼에도 SKT 로고가 새겨져 있지 않나. 선수에게 현지인들이 ‘너 SKT T1 소속이냐, 사인 부탁한다’고 할 정도다. 유럽 시골에서도 SK텔레콤은 모르는데 SKT T1은 안다는 것이다."라는 언급을 직접 남겼을 정도이다. SK텔레콤은 대한민국 내에서만 운영하는 이동통신 기업이니 유럽에서 모르는 게 당연하다고 할 수 있고, 다만 T1이 그만큼 전 세계적으로 유명하다는 것.

이처럼 해외에서도 인기가 많지만 단연 인기가 많은 곳은 한국으로, '롤은 몰라도 페이커는 안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롤을 하지 않는 일반인들에게도 이름이 알려진[126] 페이커가 있는 T1의 팬덤은 연예계와 스포츠계를 막론하고 팬을 자청한 사람이 매우 많다.[127] 각종 통계를 보면 LCK의 나머지 9팀의 팬덤을 합한 것보다 T1의 팬덤 수가 더 많을 정도이다. 한국에서 열린 2023 월즈를 우승한 이후 더 많은 팬들의 유입으로 롤 판이 망하기 전까지 큰 사건이 일어나지 않는 이상 T1의 인기는 굳건할 것으로 보인다.

8. 특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1/리그 오브 레전드/특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플레이 스타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1/리그 오브 레전드/플레이 스타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성적 및 전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1/리그 오브 레전드/성적 및 전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구성원

11.1. 로스터 연혁

||<-7><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e4002b><bgcolor=#e4002b> 로스터 연혁 ||
<rowcolor=#fff> ID 이름 역할 이전 소속 입단 탈퇴 이적
Impact 정언영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svg 파일:attachment/Sktt1_k.png SK telecom T1 K 2014년 12월 2일 2014년 12월 19일 파일:Team Impulse_logo.png Team Impulse
Bengi 배성웅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svg 2016년 11월 29일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Vici_Gaming_Logo.png Vici Gaming
Faker 이상혁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svg
MaRin 장경환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svg 파일:attachment/Sktt1_s.png SK telecom T1 S 2015년 11월 25일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123px-LGD_logo150.png LGD Gaming
Easyhoon 이지훈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svg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Vici_Gaming_Logo.png Vici Gaming
Bang 배준식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svg 2018년 11월 20일 파일:100 Thieves 로고 심플.svg파일:100 Thieves 로고 심플 white.svg 100 Thieves
Wolf 이재완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svg 파일:Bahçeşehir SuperMassive.png Bahçeşehir SuperMassive
Piccaboo 이종범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svg 파일:/mtasp/gamemeca/2012/2012022215412600020_img1.jpg Xenics Storm 2015년 5월 19일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 kt Rolster
Tom 임재현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svg N/A 2015년 2월 5일 2015년 11월 25일 파일:Qiao_Gu_Reaperslogo_square.png Qiao Gu Reapers
Scout 이예찬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svg 2015년 11월 5일 2016년 3월 23일 파일:EDG_logo_no_background.png Edward Gaming
Duke 이호성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svg 파일:external/lol.esportswikis.com/300px-NaJin_e-mFirelogo_square.png NaJin e-mFire 2015년 12월 7일 2016년 11월 28일 파일:Invictus Gaming 로고.svg파일:Invictus Gaming 로고 화이트.svg Invictus Gaming
Blank 강선구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svg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10908-460.jpg Star Horn Royal Club 2015년 12월 31일 2018년 11월 20일 파일:380px-Sengoku_Gaming_allmode.png Sengoku Gaming
Profit 김준형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svg 파일:Young_Glorylogo_square.png Young Glory 2016년 11월 1일 2017년 5월 23일 파일:external/wiki.teamliquid.net/NiP-StarLogo_20170209-Original.png Ninjas in Pyjamas
TaeHoon 김태훈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svg N/A 2016년 12월 파일:external/s20.postimg.org/ROXtigersnewlogo.png ROX Tigers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svg MID
Peanut 한왕호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svg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ROX_Tigers_logo.png ROX Tigers 2016년 12월 1일 2017년 11월 21일 파일:LongZhu Gaming 로고.png Longzhu Gaming
Huni 허승훈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svg 파일:Immortals.png Immortals 2016년 12월 2일 2017년 11월 24일 파일:Echo_Fox_only_logo.png Echo Fox
Sky 김하늘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svg 파일:CJ 엔투스 로고.svg CJ Entus 2016년 12월 12일 2017년 11월 21일 파일:RED_Canids_logo.png RED Canids
파일:T1 로고.svg T1 코치 2023년 2월 15일 2023년 11월 21일
Untara 박의진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svg 파일:CJ 엔투스 로고.svg CJ Entus 2017년 5월 24일 2018년 11월 20일 파일:1907 Fenerbahçe Esports.png 1907 Fenerbahçe Espor
Effort 이상호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svg N/A 2017년 11월 24일 2020년 12월 1일 파일:sandbox_gaming_logo.png SANDBOX Gaming
Thal 박권혁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svg 파일:external/lol.esportswikis.com/300px-Red_Bullslogo_square.png Red Bulls 2018년 1월 8일 2018년 11월 20일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 Hanwha Life Esports
Blossom 박범찬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svg N/A 파일:1200px-XTEN_Esportslogo_square.png XTEN Esports
Pirean 최준식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svg 파일:external/lol.esportswikis.com/300px-Phoenix1logo_square.png Phoenix1 2018년 2월 19일 파일:SK gaming 심볼.svg SK Gaming
Leo 한겨레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svg N/A 2019년 11월 27일 파일:sandbox_gaming_logo.png SANDBOX Gaming
Khan 김동하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svg 파일:Kingzone only logo.png KING-ZONE DragonX 2018년 11월 22일 2019년 11월 18일 파일:FPX_LoL_new_logo.png FunPlus Phoenix
Clid 김태민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svg 파일:external/519560e6443b9d305e28023f62334809a4f4896fd22dad22fda13eb828d4c60b.png JD Gaming 파일:Gen.G 로고.svg Gen.G
Crazy 김재희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svg 파일:bbq_olivers.png bbq OLIVERS 2019년 11월 19일 파일:Rogue Warriors.png Rogue Warriors
Haru 강민승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svg 파일:Gen.G 로고.svg Gen.G 2019년 11월 20일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 Hanwha Life Esports
Teddy 박진성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svg 파일:진에어 그린윙스 로고.png Jin Air Greenwings 2021년 11월 15일 파일:Afreeca_Freecs.png Afreeca Freecs
Mata 조세형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svg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 kt Rolster 2018년 11월 26일 2019년 11월 19일 파일:RNG 로고 2017.svg Royal Never Give Up 감독
Gori 김태우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svg 파일:RGAlogo_square.png RGA 2018년 12월 13일 2020년 6월 1일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 Edward Gaming
Cuzz 문우찬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svg 파일:DRX 로고(2020~2022).svg DragonX 2019년 11월 21일 2021년 11월 16일 파일:kt 롤스터 심볼.svg kt Rolster
Roach 김강희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svg 파일:Gen.G 로고.svg Gen.G 2019년 11월 26일 2020년 11월 26일 파일:T1 로고.svg T1 Challengers
파일:T1 로고.svg T1 코치 2024년 2월 21일 2024년 5월 28일 파일:T1 로고.svg T1 코치
Canna 김창동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svg 파일:T1 로고.svg T1 Rookies 2019년 11월 26일 2021년 11월 25일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Nongshim RedForce
Ellim 최엘림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svg 2021년 7월 19일 파일:T1 로고.svg T1 Challengers
Gumayusi 이민형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svg
Kuri 최원영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svg 2020년 11월 18일 파일:Flamengo_Esportslogo_square_notext.png Flamengo Esports
Clozer 이주현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svg 2020년 6월 4일 2021년 11월 16일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Liiv SANDBOX
Keria 류민석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svg 파일:DRX 로고(2020~2022).svg DRX 2020년 11월 18일
Zeus 최우제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svg 파일:T1 로고.svg T1 Rookies 2020년 11월 26일
Oner 문현준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svg 2020년 12월 2일
Hoit 류호성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svg 파일:T1 로고.svg T1 Challengers 2021년 7월 19일 2021년 11월 16일 파일:Afreeca_Freecs.png Afreeca Freecs
Asper 김태기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svg 2021년 12월 3일 2022년 11월 18일 파일:FUT Esports 로고.svg FUT Esports
Poby 윤성원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svg 파일:T1 로고.svg T1 Esports Academy 2023년 7월 5일 2023년 7월 31일 파일:T1 로고.svg T1 Esports Academy
Rekkles 마틴 라르손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svg 파일:T1 로고.svg T1 Challengers 2024년 9월 20일

11.2. 스태프 연혁

||<-7><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e4002b><bgcolor=#e4002b> 스태프 연혁 ||
<rowcolor=#fff> ID 이름 역할 이전 소속 입단 탈퇴 이적
cCarter 최병훈 감독[128]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SK telecom T1 스페셜 포스 2012년 12월 13일 2017년 11월 4일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SK telecom T1 PUBG
kkOma 김정균 감독[129] 파일:Startalelogo.png StarTale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svg JGL
2019년 11월 19일 파일:Vici_Gaming_no_text.png Vici Gaming
파일:DWG KIA 엠블럼.svg DWG KIA 총감독 2023년 11월 23일
PoohManDu 이정현 코치 파일:Young_Glorylogo_square.png Young Glory 2015년 12월 31일 2016년 11월 29일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Vici_Gaming_Logo.png Vici Gaming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Vici_Gaming_Logo.png Vici Gaming 2017년 11월 28일 2018년 11월 26일 파일:misfits-logo.png Misfits Gaming
RapidStar 정민성 코치 파일:EDG_logo_no_background.png Edward Gaming 2016년 12월 21일 2017년 11월 24일 파일:FlyQuest_only_logo.png FlyQuest
Bengi 배성웅 코치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Vici_Gaming_Logo.png Vici Gaming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svg JGL
2017년 11월 28일 2018년 11월 26일 파일:T1 로고.svg T1 Challengers 감독
감독[130] 파일:T1 로고.svg T1 Challengers 감독 2021년 12월 3일 2023년 7월 8일 N/A
Fly 김상철 코치 파일:진에어 그린윙스 로고.png Jin Air Greenwings 2018년 11월 26일 2019년 11월 19일 파일:Invictus Gaming 로고.svg파일:Invictus Gaming 로고 화이트.svg Invictus Gaming 감독
Zefa 이재민 코치 파일:Afreeca Freecs logo.png Afreeca Freecs 2018년 12월 3일 2019년 11월 20일 파일:DAMWON.png DAMWON Gaming
파일:DAMWON.png DAMWON Gaming 감독 2020년 11월 13일 2021년 7월 15일 파일:DWG KIA 엠블럼.svg DWG KIA 코치
Kim 김정수 감독 파일:DAMWON.png DAMWON Gaming 코치 2019년 11월 26일 2020년 9월 13일 파일:Bilibili_Gaming.png Bilibili Gaming
Comet 임혜성 코치 파일:sandbox_gaming_logo.png SANDBOX Gaming 2019년 11월 27일 2020년 11월 1일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Nongshim RedForce
Moment 김지환 코치 파일:진에어 그린윙스 로고.png Jin Air Greenwings 2019년 12월 9일 2021년 7월 5일 파일:T1 로고.svg T1 Challengers
파일:T1 로고.svg T1 Challengers 2021년 7월 15일 2022년 11월 18일 N/A
Tolki 개리 미알라헤 분석 파일:300px-Splycelogo_square.png Splyce 2019년 12월 13일 2020년 11월 1일 파일:Fnatic 로고.svg Fnatic 코치
Hajin 박현선 코치[131] 파일:misfits-logo.png Misfits Gaming 통역 2021년 11월 11일 N/A
Daeny 양대인 감독 파일:DAMWON.png DAMWON Gaming 코치 2020년 11월 13일 2021년 7월 15일 파일:DWG KIA 엠블럼.svg DWG KIA 분석
Stardust 손석희 감독 대행[132] 파일:Flamengo_eSportslogo_square2.png Flamengo eSports 2020년 12월 16일 2021년 11월 8일 파일:Rainbow7logo.png Rainbow7
Polt 최성훈 총감독[133] 파일:T1 로고.svg T1 단장 2021년 12월 3일 2022년 11월 14일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 Hanwha Life Esports 전력분석유닛장
Gisepa 강지문 분석 파일:kt 롤스터 심볼.svg kt Rolster 2022년 1월 6일 2023년 12월 1일 N/A
Sky 김하늘 코치 파일:T1EsportsAcademy.jpg T1 Esports Academy 2022년 9월 5일 2023년 2월 15일 파일:T1 로고.svg T1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svg MID
Roach 김강희 코치 파일:T1 로고.svg T1 Challengers 2022년 11월 28일 2023년 11월 21일 파일:T1 로고.svg T1
파일:T1 로고.svg T1 2023년 11월 27일 2024년 2월 21일 파일:T1 로고.svg T1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svg TOP
파일:T1 로고.svg T1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svg TOP
2024년 5월 28일
Tom 임재현 코치[134] 파일:PSG Talon 로고 2022.svg파일:PSG Talon 로고 2022 화이트.svg PSG Talon 2022년 11월 28일

12. 게임단 산하

12.1. T1 Esports Academy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1 Esports Academy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2. T1 Esports Academy Rookies

파일:T1 로고.svg
<colbgcolor=#e4002b><colcolor=#fff> 티원 이스포츠 아카데미 루키즈
T1 Esports Academy Rookies
창단 2018년 12월 28일
소속 리그 LCK AS
팀명 T1 Rookies(2018. 12 ~ 2023. 5)
T1 Esports Academy Rookies(2023. 5 ~ )
모기업 ㈜에스케이텔레콤씨에스티원
코치 [[유선우(프로게이머)|유선우
GAP
]]|황인철
NoRoo
| 이장희
Jay
약칭 T1A
파일:T1 로고.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 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
우승 기록
LCK AS
(4회)
2020 9월, 2020 10월, 2021 7월, 2022 8월
로스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4002b><colcolor=#fff>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재경
Quokk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윤기찬
Abyss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황치현
Dinai
파일:미국 국기.svg 존슨 레
Gryffinn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승우
Crow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휘찬
Hwichan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유준
Cypher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P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민호
CaNe
}}}}}}}}}
팀 컬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우승 기록
2020 LCK Academy Series 9월 & 10월 오픈 토너먼트 우승
DRX Rookie T1 Rookies kt Rolster A
2021 LCK Academy Series 7월 오픈 토너먼트 우승
⁠범사마 팬클럽 T1 Rookies Gen.G Academy
2022 LCK Academy Series 8월 오픈 토너먼트 우승
⁠AMY T1 Rookies Liiv SANDBOX Academy
준우승 기록
2020 Logitech G Rookie Invitational 준우승
대회 출범 T1 Rookies 폐지
2020 LCK Academy Series 8월 오픈 토너먼트 준우승
대회 출범 T1 Academy DRX Rookie
2021 LCK Academy Series 8월 오픈 토너먼트 준우승
⁠배밥수빡고 T1 Rookies EFS
2022 LCK Academy Series 상반기 아카데미 리그 준우승
NS Academy T1 Rookies Liiv SANDBOX Academy
2023 LCK Academy Series 하반기 아카데미 리그 준우승
⁠GJ Shadow T1 Academy HLE Academy
T1의 연습생으로 구성된 세미프로 팀이다.

선수 모집 공고를 통해 유망주들을 선발하거나 아마추어 대회나 솔로 랭크에서 뛰어난 활약을 보이는 유저들을 스카우트 해온다고 한다. 대기업 스폰서를 받는 명문 팀이고 적극적으로 유망주들을 발굴하고자 하기에 실력만 있다면 데뷔도 충분히 가능하기 때문에 프로 지망생들이 입단하고 싶어하는 팀 중 하나이다.

2020 Logitech G Rookie Invitational에서는 강력한 우승 후보로 손꼽히는 샌드박스 게이밍 아카데미를 격파했으나, 결승전에서 젠지 아카데미에게 패배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다만 기존의 강력했던 멤버들이 모두 콜업되어 전력이 많이 약화된 것을 고려하면 상상 이상이라는 모습을 보여줬다는 평이다.

2020 LCK Academy Series에서는 9월, 10월 토너먼트에서 우승했으나, 챔피언십에서는 불참했다.

롤 판의 라 마시아라고 해도 될 정도로 프랜차이즈 이전부터 상당히 뛰어난 유스 시스템을 보유한 팀으로 출신 선수 중 1군에 데뷔한 선수로는 스카웃, 레오, 에포트, 엘림, 칸나, 쿠리, 클로저, 구마유시, 제우스, 오너가 있다. 그 밖에도 다른 팀에서 프로 데뷔를 한 리헨즈, 에이밍, 라바, 마스크, 딜라이트, 버돌, 윌러, 버서커, 로머, 피셔, 스타릿, 로디도 있다.

특이한 점이 있다면 T1 Rookies에서 1군으로 콜업된 선수는 라인전에서 CS 차이를 내는 스타일의 라인전 형식이 적다. 멀리 갈것도 없이 칸나와 클로저만 봐도 눈에 보이는 CS 격차가 거의 없는데, 대신 메카닉 하나만큼은 굉장히 뛰어난 선수들이어서 이에 대한 말은 적게 나오는 편이다.

2021 LCK Academy Series에서는 7월 토너먼트에 참여했다. 한화 연습생 출신 포레스트와 젠지 연습생 출신 퓨리를 영입했으며 우승을 차지했다.

최근 들어서 티원 루키즈 탑 라이너인 달(문정완)의 매드무비 영상이 점점 나오기 시작했다. T1 역대급 유망주 평가는 꽤나 좋은 편이다.

여담으로 3군 팀 이름이 대부분의 팀이 쓰는 '아카데미'가 아니라, '루키즈'이다. 아카데미라는 이름은 2021년 8월에 런칭된 'T1 Esports Academy'라는 이스포츠 교육 프로그램에 붙었는데, 아카데미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둔 학생에게만 3군 팀 오디션 기회가 주어지므로 사실상 4군인 셈.

13. 관련 매체

14. 팬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1/리그 오브 레전드/팬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5. 라이벌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1/리그 오브 레전드/라이벌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6. 여담

17. 사건 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1/리그 오브 레전드/사건 사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8.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우승 스킨

18.1. 2013 시즌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2013 시즌
파일:2014_SKT T1.jpg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Impact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Bengi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Faker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Piglet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PoohManDu
잭스 리 신 제드 베인 자이라
SKT T1 와드
파일:SKT_T1_Ward.png

우승 스킨뿐만 아니라 시즌 3 월드 챔피언십 우승 기념 와드 스킨도 있다. 와드 스킨이 만들어진 이유로 이 당시 다양한 종류의 와드 스킨 제작이 대량으로 제작된 적이 있는데 그 과정 중에 SKT의 우승 기념 와드 스킨도 함께 제작되었다고 한다. 2017 시즌부터 3회 우승한 코치한테만 만들어 주는 걸로 변경되었다.

SKT 스킨 시리즈는 대개 평가가 좋지 않은 편인데, 그중에서도 특히 2013 스킨은 평이 매우 안 좋다. 처음 공개 당시부터 국내 별명도 주유소 알바 같다고 '주유소 에디션'이었다. 그나마 평타 소리가 찰지게 변해서 좋은 잭스 스킨과 깔끔한 와드 스킨이 괜찮은 평가를 받고 있다. SKT 와드 스킨은 2024년 6월 13일 페이커의 전설의 전당 스킨 발매 기념으로 10년만에 이 와드 스킨이 다시 상점에서 판매가 되었다.

18.2. 2015 시즌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2015 시즌
파일:2016_SKT T1.jpg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MaRin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Bengi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Faker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Easyhoon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ang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Wolf
레넥톤 엘리스 라이즈 아지르 칼리스타 알리스타

처음으로 식스맨을 위한 스킨이 생긴 것에 더해서, 이때를 기점으로 월즈 우승팀 헌정 스킨을 만들 때 귀환 모션 등에 선수들의 의견을 받기 시작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 PBE 공개 스킨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파일:2016_SKT T1_canceled.jpg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MaRin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Bengi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Faker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ang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Wolf
레넥톤 엘리스 라이즈 시비르 알리스타 }}}}}}
PBE 서버를 통해 선공개되었을 당시, 스킨의 상태가 너무나도 조악하여 SKT 팀원들조차 대놓고 퀄리티에 불만을 표출할 정도였다.[146] 심지어 스킨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 페이커도[147] "좀 더 잘 만들어 주셨으면 좋겠다"라는 언급까지 했으며. SKT는 이해에 스프링 시즌을 제외하면 빨간색 유니폼을 입지도 않았는데 빨간색 베이스의 스킨이 나왔다든지, 더군다나 뱅이 기존에 원했던 칼리스타가 아닌 시비르가 원딜 챔피언으로 채택되기까지 한 상황이었고, 무엇보다 가장 결정적으로 첫 식스맨 스킨으로 나올 것으로 예상되었던 이지훈의 스킨까지 없어서 세계적으로 논란이 되었다. 그 전년도까지는 식스맨이 활약해서 우승한 경우가 없었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았지만, 이지훈은 월즈 4강이라는 큰 무대에서 선발로 출전할 정도로 꾸준히 페이커와 함께 활약했던 선수였다. 월즈 우승에 이지훈이 기여한 바가 없다고 할 수 없는데도 스킨이 나오지 않으니 논란이 될 수밖에. 이지훈 선수의 말에 따르면 월즈가 끝나고, 라이엇에서 진행한 파티에서 자신의 스킨에 대해 긍정적인 답변을 받았다고 했으나, 나오지 않아서 아쉬웠었다고 했다.

결국 이를 인지한 라이엇 측에서 전반적인 퀄리티 상승을 약속하며 출시 시기를 뒤로 미루기까지 했다. 그 결과 퀄리티를 상승시킴은 물론, 스킨을 빨간색에서 파란색으로 바꾸고[148], 이지훈의 스킨을 추가하고 뱅이 기존에 원했던 칼리스타로 원딜 챔피언을 교체하는 등, 선수들과 팬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용한 스킨 세트가 완성되었고[149] 그 뒤로는 우승한 선수들을 곧바로 라이엇 본사에 직접 초대해서 함께 디자인을 계획하기로 발표했다.

이번 년도부터 미드 선수가 선택한 챔피언을 센터에 배치하는 관행이 시작되었다. 이 시리즈의 경우 이지훈의 아지르는 이지훈이 식스맨이었기에 페이커의 라이즈와 등을 맞대고 뒷모습을 보여주는 구도로 일러가 그려진 것으로 추정된다.

18.3. 2016 시즌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2016 시즌
파일:2017_SKT T1.jpg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Duke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Bengi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Blank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Faker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ang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Wolf
파일:Coach_white.png
kkOma
에코 올라프 자크 신드라 나미 꼬마 와드
꼬마 와드[150]
파일:Khoma Ward.png

단체 일러스트 우하단의 헤드셋 쓴 요들족은, 월즈 3회 우승 시 본인의 스킨을 만들어달라는 김정균 코치의 요청에 따라 만들어진 '꼬마 와드 스킨'이다. 원래 티모를 만들어 달라고 했었으나, 요들의 모습을 한 와드 쪽으로 최종 결정되었다. 또한 이때를 기점으로 단순히 팀 점퍼를 입히는 방식에서 팀 컬러가 컨셉으로 묻어나는 판타지스러운 디자인으로 변경된다.

2017년 6월 9일, 라이엇에서 2016 시즌 우승 스킨 제작 영상을 공개했는데, 앞부분에는 2015 시즌 스킨이 얼마나 욕을 먹었는지에 대한 셀프 디스에 가까운 내용을 넣었고, 그 피드백을 바탕으로 이번 스킨을 더 신중하게 제작하겠다는 결심을 밝히는 내용이었다. 물론 김정균 코치가 원했던 꼬치 티모 스킨은 나오지 못했지만, 대신 요들 종족으로 구현된 꼬치 와드 스킨이 나와 커뮤니티에서 큰 웃음을 주었다. 꼬마 와드 스킨은 2024년 6월 13일 페이커의 전설의 전당 스킨 발매 기념으로 7년만에 이 와드 스킨이 다시 상점에서 판매가 되었다.

16년까지의 스킨들은 2020년대에 접어들며 좋은 스킨들이 많이 출시되어 대회에서는 거의 다 대체된 상황이고, 혹평 일색인 SKT 스킨이라면 더더욱 그러한데, SKT T1 신드라, 진만은 아직까지 채용률이 꽤나 나오는 스킨이다.

18.4. 2023 시즌

파일:T1 로고.svg
2023 시즌
파일:2024_T1.jpg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Zeus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Oner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Faker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Gumayusi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Keria
제이스 리 신 오리아나 징크스 바드
프레스티지 T1 제이스
[math(\mathcal{Prestige})] [math(\mathcal{T1})] [math(\mathcal{Jayce})]
파일:jayce_T1_Prestige.jpg
T1 와드
파일:2024_T1_Ward.png

23 월즈 종료 후 인터뷰 및 선수 개인방송에서의 언급으로는 제우스는 제이스 혹은 요네, 오너는 리 신, 페이커는 아리, 구마유시는 징크스, 케리아는 럭스를 원한다고 밝혔다. 이후 제우스는 제이스로 최종 결정, 페이커는 전설의 전당 이슈로 아리에서 오리아나로 변경, 케리아는 럭스를 선택할 수 없었기에 바드와 레나타 글라스크 중 고민하다 바드로 최종 결정했다.

T1의 브랜드 컬러인 빨간색과 검은색은 페이커의 전설의 전당 스킨이 가져간 만큼, T1의 우승 스킨은 선수들이 요청했던 흰색+금색에 한국을 상징하는 붉은색과 푸른색이 조합되었다. 상단의 스킨 메인 일러스트는 일월오봉도에서 모티브를 따왔다고 디자이너가 공식적으로 언급했다.

T1 와드 스킨은 우승 로스터인 제우스, 오너, 페이커, 구마유시, 케리아의 영문 이니셜을 따온 'ZOFGK'를 유물의 모양으로 형상화한 와드이다. 해당 로스터를 오래 유지하고 있는 만큼 팬들에게는 의미 있고 뜻깊지만, 한국 풍의 스킨에 산세리프체의 알파벳이 들어가 미스매칭이라는 지적 역시 있는 편 제오페구케 와드에 대한 아이디어는 제우스의 아이디어라고 한다. 별개로 스킨 일러스트에 대한 평가는 좋은 편이다.

18.5. 2024 시즌

파일:T1 로고.svg
2024 시즌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Zeus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Oner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Faker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Gumayusi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Keria
프레스티지 T1 챔피언명
[math(\mathcal{Prestige})] [math(\mathcal{T1})] [math(\mathcal{명칭})]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19. 전설의 전당 스킨

파일:롤-전설의전당-로고2.svg
전설의 전당
Faker
떠오른 전설 아리
떠오른 전설 르블랑
불멸의 전설 아리
파일:ahri_Risenlegend.jpg
파일:leblanc_Immortalizedlegend.jpg
파일:ahri_Immortalizedlegend.jpg

월드 챔피언십 우승팀 스킨과 유사하게, 헌액자 페이커와 소속팀 T1은 전설의 전당 이벤트 수익의 30%를 전달받는다.

20.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324><tablebgcolor=#000324>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League of Legends
World Championship

역대 우승팀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0a42, #0264fb, #010a42)"
{{{#!wiki style="color: white;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normal"
시즌1 시즌2 시즌3 2014
파일:590px-Fnatic_full_lightmode.png파일:Fnatic_old_logo_full_darkmode.png 파일:Taipei_Assassinslogo_square.png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파일:Samsung white.png
Fnatic
Taipei Assassins
SK telecom T1
Samsung Galaxy White
2015 2016 2017 2018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파일:Samsung_Galaxy.png 파일:Invictus Gaming 로고.svg파일:Invictus Gaming 로고 화이트.svg
SK telecom T1
Samsung Galaxy
Invictus Gaming
2019 2020 2021 2022
파일:FPX_LoL_new_logo.png 파일:DAMWON.png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 화이트.svg 파일:DRX 로고(2020~2022).svg
FunPlus Phoenix
DAMWON Gaming
Edward Gaming
DRX
2023 2024 2025 2026
파일:T1 로고.svg
T1
}}}}}}}}}}}} ||

'''{{{#!wiki style="margin:-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 파일:Mid-Season Invitational 로고 레드.svgMid-Season Invitational
역대 우승팀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normal"
<rowcolor=#fe0000> 2015 2016 2017 2018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EDG_logo.png파일:EDG-OLD-darkmode-logo.png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파일:RNG 로고 2017.svg
Edward Gaming (LPL)
SK telecom T1 (LCK)
Royal Never Give Up (LPL)
2019 2021 2022 2023
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파일:RNG 로고 2017.svg 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
G2 Esports (LEC)
Royal Never Give Up (LPL)
JDG Intel Esports Club (LPL)
2024 2025 2026 2027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Gen.G (LCK)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aeaea><tablebgcolor=#eaeaea> 파일:이스포츠 월드컵 로고.svgEsports World Cup
League of Legends

역대 우승팀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normal"
2024 2025 2026 2027
파일:T1 로고.svg
T1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d72b6> 파일:external/www.esl-one.com/IEM_v2014.pngIntel Extreme Masters
League of Legends 부문

역대 우승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Season V
- LoL Invitational
Season VI
- Cologne
Season VI
- Guangzhou
Season VI
- New York
파일:11270481_1596078760651428_8852551750357089228_o.png 파일:CLG Blue Logo.png 파일:Team_WE.png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Fnaticlogo.png
myRevenge
Counter Logic Gaming Prime
World Elite
Fnatic
<rowcolor=#fff> Season VI
- Kiev
Season VI
- Sao Paulo
Season VI
- World Championship
Season VII
- Singapore
파일:Moscow_Fivelogo_square.webp 파일:NoobDaNetLogo.jpg 파일:Moscow_Fivelogo_square.webp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Mymlogo.png
Moscow 5
Noob Da Net
Moscow 5
MeetYourMakers
<rowcolor=#fff> Season VII
- Cologne
Season VII
- Katowice
Season VII
- Sao Paulo
Season VII
- World Championship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파일:attachment/gambit.png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IMlogo.png 파일:CJ Entus BLAZE.png
SK telecom T1 #1
Gambit Gaming
Incredible Miracle
CJ Entus Blaze
<rowcolor=#fff> Season VIII
- Shanghai
Season VIII
- Cologne
Season VIII
- Singapore
Season VIII
- Sao Paulo
파일:Team_WE.png 파일:attachment/gambit.png 파일:Invictus Gaming 로고.svg파일:Invictus Gaming 로고 화이트.svg 파일:Milleniumlogo_square.png파일:Millenium_2017_darkmode.png
World Elite
Gambit Gaming
Invictus Gaming
Millenium
<rowcolor=#fff> Season VIII
- World Championship
Season IX
- Shenzhen
Season IX
- San Jose
Season IX
- Cologne
파일:attachment/Kt_rolster_bullets.png 파일:Team_WE.png 파일:Cloud9 아이콘.svg 파일:attachment/gambit.png
kt Rolster Bullets
World Elite
Cloud9
Gambit Gaming
<rowcolor=#fff> Season IX
- Taipei
Season IX
- World Championship
Season X
- San Jose
Season X
- Cologne
파일:Flash_wolves_logo.png 파일:TSM_Logo.png파일:TSM White Gradient Logo.png 파일:Origen_lightmode.png파일:Origen_darkmode.png 파일:ESCEVER.png
yoe Flash Wolves
Team SoloMid
Origen
ESC Ever
<rowcolor=#fff> Season X
- World Championship
Season XI
- Oakland
Season XI
- Gyeonggi
IEM Season XI
- World Championship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파일:Unicorns_Of_Love_Logo.png 파일:Samsung_Galaxy.png 파일:Flash_wolves_logo.png
SK telecom T1
Unicorns of Love
Samsung Galaxy
Flash Wolves
}}}}}}}}} ||


'''{{{#!wiki style="margin:-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d72b6> 파일:external/www.esl-one.com/IEM_v2014.pngIntel Extreme Masters
LoL World Championship

역대 우승팀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Season VI Season VII Season VIII
파일:300px-Moscow_Fivelogo_square.png 파일:CJ Entus BLAZE.png 파일:attachment/Kt_rolster_bullets.png
Moscow 5
CJ Entus Blaze
kt Rolster Bullets
<rowcolor=#fff> Season IX Season X Season XI
파일:TSM_Logo.png파일:TSM White Gradient Logo.png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파일:Flash_wolves_logo.png
Team SoloMid
SK telecom T1
Flash Wolves
}}}}}}}}} ||


'''{{{#!wiki style="margin:-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31313> 파일:LCK 심볼(2012~2017) 화이트.svgLeague of Legends
Champions

역대 우승팀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역대 롤 더 챔피언스 우승팀
<rowcolor=#fff> 윈터 2012 - 2013 스프링 2013 서머 2013
파일:130px-NaJin_Swordlogo_square.png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MVPlogo.png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NaJin Sword
MVP Ozone
SK telecom T1
<rowcolor=#fff> 윈터 2013 - 2014 스프링 2014 서머 2014
파일:attachment/Sktt1_k.png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Samsung_Bluelogo_square.png 파일:attachment/Kt_rolster_arrows.png
SK telecom T1 K
Samsung Galaxy Blue
kt Rolster Arrows
역대 LCK 우승팀 →
}}}}}}}}} ||

'''{{{#!wiki style="margin:-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92b> 파일:LCK 로고 흰색.svg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역대 우승팀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역대 롤챔스 우승팀
2015 스프링 2015 서머 2016 스프링 2016 서머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ROX_Tigers_logo.png
SK telecom T1
ROX Tigers
2017 스프링 2017 서머 2018 스프링 2018 서머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파일:LongZhu Gaming 로고.png 파일:King_zone_DragonXlogo_square.png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 화이트.svg
SK telecom T1
Longzhu Gaming
KING-ZONE DragonX
kt Rolster
2019 스프링 2019 서머 2020 스프링 2020 서머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파일:T1 LoL 로고.svg 파일:DAMWON.png
SK telecom T1
T1
DAMWON Gaming
2021 스프링 2021 서머 2022 스프링 2022 서머
파일:DWG KIA 엠블럼.svg 파일:T1 LoL 로고.svg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DWG KIA
T1
Gen.G
<rowcolor=#fff> 2023 스프링 2023 서머 2024 스프링 2024 서머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 (텍스트).svg
Gen.G
Hanwha Life Esports
}}}}}}}}} ||

'''{{{#!wiki style="margin:-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c1c> 파일:nlb_logo.pngNiceGameTV
League of Legends Battle

역대 우승팀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2012 스프링 2012 서머 2012 - 2013 윈터 2013 스프링
-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MVPlogo.png - 파일:130px-NaJin_Swordlogo_square.png
거품게임단
MVP White
GSG
NaJin Sword
<rowcolor=#fff> 2013 서머 2013 - 2014 윈터 2014 스프링 2014 서머
파일:external/i1.wp.com/Najin_Black_Sword_logo.png 파일:CJ Entus BLAZE.png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CJ_Entus_Frostlogo_square.png 파일:attachment/Sktt1_k.png
NaJin Black Sword
CJ Entus Blaze
CJ Entus Frost
SK telecom T1 K
}}}}}}}}} ||

'''{{{#!wiki style="margin:-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92b> 파일:LCK 로고 흰색.svg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역대 정규시즌 1위팀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2015 스프링 2015 서머 2016 스프링 2016 서머
파일:Tigers.png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ROX_Tigers_logo.png
GE Tigers2 SK telecom T11 ROX Tigers2,1
<rowcolor=#fff> 2017 스프링 2017 서머 2018 스프링 2018 서머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파일:LongZhu Gaming 로고.png 파일:King_zone_DragonXlogo_square.png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 화이트.svg
SK telecom T11 Longzhu Gaming1 KING-ZONE DragonX1 kt Rolster1
<rowcolor=#fff> 2019 스프링 2019 서머 2020 스프링 2020 서머
파일:팀그리핀.png 파일:Gen.G 로고.svg파일:Gen.G 로고 화이트 골드.svg 파일:DAMWON.png
Griffin2,2 Gen.G2 DAMWON Gaming1
<rowcolor=#fff> 2021 스프링 2021 서머 2022 스프링 2022 서머
파일:DWG KIA 엠블럼.svg 파일:T1 LoL 로고.svg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DWG KIA1,1 T11 Gen.G1
<rowcolor=#fff> 2023 스프링 2023 서머 2024 스프링 2024 서머
파일:T1 LoL 로고.svg 파일:kt 롤스터 로고.svg파일:kt 롤스터 로고(다크모드).svg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T12 kt Rolster3 Gen.G1,2
<rowcolor=#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2 ^^1^^통합 우승 | ^^2^^준우승 | ^^3^^최종 3위}}}
}}}}}}}}} ||

파일:LCK 로고 흰색.svg LCK 역대 왕조팀
★★★
2015 스프링 ~ 2016 스프링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SKT
★★★
2019 스프링 ~ 2020 스프링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SKT ~ T1 파일:T1 로고 화이트.svg
★★★
2020 서머 ~ 2021 서머
파일:DAMWON.png DWG ~ DK 파일:DWG KIA 엠블럼.svg
★★★★
2022 서머 ~ 2024 스프링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GEN
LCK 기록만 서술하며, 왕조를 달성한 당시 구단명과 엠블럼으로 서술함
다른 틀 둘러보기: 한국프로야구 역대 왕조팀 · 일본프로야구 역대 왕조팀 · 미국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역대 왕조팀
한국프로축구 역대 왕조팀 · 잉글랜드 프리미어 리그 역대 왕조팀



[1] 스프링 종료 후 #1팀을 진에어가 시드권을 인수해 가면서 단일팀이 된 #2팀은 2013 서머~시즌 3 월즈까지 SK telecom T1 이라는 팀명을 사용했다.[2] 컴캐스트와 파트너십 체결 후 2020 시즌부터 기존의 이름에서 T1으로 변경하였고, 로고도 같이 변경됨.[3] SK telecom T1 #1(우승 당시 팀명은 SK telecom T1)이 우승한 2012 IEM 쾰른을 제외하면 2014년까지의 우승 기록들은 통합 이전 SK telecom T1(흔히 K라고 알려진 2팀. SK telecom T1 K라는 팀명으로 우승한 것은 13-14윈터 시즌 밖에 없다.) 시절, 2015년부터 2019년까지의 우승 기록들은 다 SK telecom T1 시절 달성한 것이다.[A] 전승 우승[A] [6] 초대 우승[A] [A] [9] MSI의 시초격 대회로, 당시에는 올스타전이 지금의 MSI와 비슷하게 시즌 중간에 개최.[A] [11] SK telecom T1 시절에는 SKT.[12] 2014 시즌, 2017 시즌 중후반, 2019 시즌, 2020 시즌 등 평가가 아주 낮지는 않으나 일명 마지막에 용두사미로 끝난 시즌을 의미한다.[13] 2018 시즌, 2021 시즌 등 무관을 기록했다거나 매우 두드러진 부진을 겪었던 시기를 의미한다.[14] 여기서 국제전은 연간 개최되는 리그 간 왕중왕전이 해당되며 타 종목의 경우 축구는 포항 스틸러스가 3회, 농구는 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가 1회, 야구는 삼성 라이온즈가 1회(대회 폐지로 적립 불가능), 배구는 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남자)가 2회, GS칼텍스 서울 KIXX(여자)이 1회를 기록하고 있다. 이 중 배구는 모두 아마추어 시절 따낸 우승이다.[15] 2014년의 All-stars Invitational이 2015년 MSI로 이전. 첫 MSI의 우승 팀.[16] NLB의 후신인 League of Legends Challengers Korea의 초대 우승 팀이다.[17] 1번째 3연속.[18] 2번째 3연속.[19] 이 대회의 전신인 롤 클럽 마스터즈 준우승 팀.[20] LCK가 리그제 방식으로 개편되면서 폐지되었다.[21] 2014 올스타전 인비테이셔널 매치가 2015 MSI로 이전되었다.[22] 선수가 아닌 팀이 대상 수상.[23] 2018년부터 e스포츠 명예의 전당 헌액식을 하는 방향으로 바뀌게 되었다.[24]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Mid-Season Invitational, 리프트 라이벌즈,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25]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의 경우에는 MSI의 전신격으로 펼쳐졌던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2014/인비테이셔널.[목록] 월즈MSI[27] 월드 챔피언십 5회 우승, MSI 2회 우승. 관련 기사[28] 공동 2위로는 MSI 기준 3회의 RNG와 월드 챔피언십과 MSI 도합 3회의 Gen.G. 3위는 월드 챔피언십과 MSI 도합 2회의 EDG.[29] 2015 월즈, 2016 MSI, 2016 월즈, 2017 MSI 연속 우승. 라이엇 주관 대회는 아니지만 2016년 IEM 우승 기록 또한 이 기간 내에 포함되어 있다.[30] 논 켈린더 그랜드 슬램은 라이엇이 주관하는 메이저 대회를 기준으로 2015 LCK 서머, 2015 월드 챔피언십, 2016 LCK 스프링, 2016 MSI 우승으로 달성.[31] 라이엇이 주관하는 메이저 대회를 기준으로 하며 2022 MSI, 2022 LCK 서머, 2022 월드 챔피언십, 2023 LCK 스프링 준우승.[목록] 월즈MSI[33] 월드 챔피언십 결승 7회 진출, MSI 4회 진출.[34] 2015 MSI, 2015 월드 챔피언십, 2016 MSI, 2016 월드 챔피언십, 2017 MSI, 2017 월드 챔피언십.[35]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 3 월드 챔피언십, 리그 오브 레전드 2015 월드 챔피언십, 리그 오브 레전드 2016 월드 챔피언십, 리그 오브 레전드 2023 월드 챔피언십, 리그 오브 레전드 2024 월드 챔피언십.[36] 최다 우승 2위는 2회의 Gen.G이며 인수 이전 Samsung Galaxy White & Samsung Galaxy 시절에 달성했다.[37] 15승 1패. 승률 2위는 2014 시즌 88.24% (15승 2패)의 Samsung Galaxy White.[38] 리그 오브 레전드 2015 월드 챔피언십~리그 오브 레전드 2016 월드 챔피언십, 리그 오브 레전드 2023 월드 챔피언십~리그 오브 레전드 2024 월드 챔피언십 우승으로 달성.[39] 1시드 - 2015 / 2시드 - 2016, 2023 / 3시드 - 2013 / 4시드 - 2024[40] T1 외에 이 기록을 가지고 있는 팀은 2011년의 Fnatic, 2012년의 Taipei Assasins, 2019년의 FunPlus Phoenix가 있다.[41]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 3 월드 챔피언십, 리그 오브 레전드 2015 월드 챔피언십, 리그 오브 레전드 2016 월드 챔피언십, 리그 오브 레전드 2017 월드 챔피언십, 리그 오브 레전드 2022 월드 챔피언십, 리그 오브 레전드 2023 월드 챔피언십, 리그 오브 레전드 2024 월드 챔피언십[42] 최다 결승 진출 2위는 3회의 Gen.G다.[43] 리그 오브 레전드 2015 월드 챔피언십 ~ 리그 오브 레전드 2017 월드 챔피언십, 리그 오브 레전드 2022 월드 챔피언십 ~ 리그 오브 레전드 2024 월드 챔피언십[44] 페이커, 뱅, 울프의 리그 오브 레전드 2015 월드 챔피언십~리그 오브 레전드 2017 월드 챔피언십[45] 제오페구케의 리그 오브 레전드 2022 월드 챔피언십 ~ 리그 오브 레전드 2024 월드 챔피언십[46] 1시드 - 2015 / 2시드 - 2016, 2017, 2022, 2023 / 3시드 - 2013 / 4시드 - 2024[47]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3 월드 챔피언십 4강 4세트부터 2승, 결승전 3:0 스윕으로 5연승, 리그 오브 레전드 2015 월드 챔피언십 결승전 3세트 이전까지 14연승. 결승전 3세트에서 KOO Tigers가 세트 승을 거두면서 세트 연승 및 전승 우승 기록이 저지되었다.[48] 2016 Mid-Season Invitational, 2017 Mid-Season Invitational 우승으로 달성.[49] 또다른 2회 연속 우승 팀으로 2021년과 2022년 대회를 연속 우승한 Royal Never Give Up이 있다.[50] 4회. 2015 Mid-Season Invitational, 2016 Mid-Season Invitational, 2017 Mid-Season Invitational, 2022 Mid-Season Invitational[51] 2위는 3회 진출한 Royal Never Give Up이다.[52] 7회. 2위는 6회 진출한 G2 Esports이다.[53] 2016 Mid-Season Invitational, 리그 오브 레전드 2016 월드 챔피언십 우승. 해당 징크스 참고.[54] 2013 서머, 2013-14 윈터, 2015 스프링, 2015 서머, 2016 스프링, 2017 스프링, 2019 스프링, 2019 서머, 2020 스프링, 2022 스프링 우승으로 달성.[55] '최다 우승 메이저 지역 팀' 단위로 LECG2 Esports가 11회, LCSTeam SoloMid가 7회, LPLEdward Gaming Hycan이 6회 우승을 거두었다.[56] 한국 프로스포츠 전체로 따지면 우승 횟수 3위에 해당하며 1위는 13회의 우승을 기록한 WKBL아산 우리은행 우리WON이고, 2위는 12회의 우승을 기록한 KBO 리그KIA 타이거즈. V-리그 8회 우승 및 대통령배-슈퍼리그 8회 우승을 도합하여 총 16회의 우승을 기록한 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의 경우 슈퍼리그 시절에는 세미프로였기에 논외로 한다.[57] 2015 서머, 2017 스프링, 2022 스프링. Dplus와 공동[58] 최초 2회:2013 서머~2013-14 윈터. 3회: 2015 스프링 ~ 2016 스프링, 2019 스프링 ~ 2020 스프링.[59] LPL의 EDG, LEC의 G2와 프나틱, LCS의 TL와 TSM이 있다. 그리고 이 중에서도 T1처럼 2회 이상 3연속 우승을 해본 팀으로는 G2가 유일하며, 다른 팀들은 모두 3연속 우승 기록을 1회씩 달성하였다.[60] 5회. 리그제 전환 이후 시점에서 역대 시즌별로 세부적으로 한정해보면, 그간 스프링에서는 총 4회의 업셋 우승(2015 스프링, 2016 스프링, 2019 스프링, 2020 스프링)을 이뤄냈고, 서머까지 포함하면(2019 서머) 10회의 LCK 우승 중 총 5번을 업셋으로 기록하였다.[61] 위와 동일. T1만이 유일하게 업셋에 성공했으며 2023년 스프링 플레이오프부터 더블 엘리미네이션 체제로 바뀌면서 불멸의 기록이 되었다.[62] 2019 서머. 2019 서머 아프리카전 2:1, 샌드박스전 3:0, 담원전 3:0, 그리핀전 3:1.[63] 2019 스프링 ~ 2020 스프링[64] 2회. 리그제 이전: 2013-14 윈터, 리그제 이후: 2022 스프링[65] LCK 유일하게 전승 우승 달성.[66] 2위는 10회의 Gen.G이다.[67] 2013 서머 8강 C조 진에어 그린윙스 팰컨스를 상대로 달성.[68] 비단 LCK가 아니라 4대 메이저 리그로 기준을 대폭 넓혀서 따졌을 경우에도 역대 최단 시간 승리 기록으로 남아 있다. 메이저 4대 리그들의 2022 서머가 종료된 시점을 기준으로 각각 리그별로 전제 역대 최단 기록은 다음과 같다. LPL은 2021 LPL 스프링 SN vs LNG의 경기가 73분 26초, LEC는 2019 스프링 G2 vs OG의 경기가 74분 32초, LCS는 2018 스프링 FOX vs CG의 경기가 75분 36초이다.[69] 2015년 이전의 기록을 제외한 풀 리그제 방식 도입과 프랜차이즈 이후를 통틀어서 기록하게 된 최초의 전승이다.[70] 2015년 풀 리그 방식 도입 이후 기록한 최초 전승이다.[71] 순위와 상관없이 2022 LoL Champions Korea Spring/6주차에 펼쳐진 리그 52번째 경기에서 11승을 달성하였다.[72] 해당 기록은 2015 서머와 2017 스프링 당시의 T1(SKT), 2020 서머 당시의 담원보다도 빠르게 달성한 기록으로 남게 되었다.[73] 2023 스프링, 제우스, 오너, 페이커, 구마유시, 케리아[74] 4대 메이저 리그 올프로 퍼스트 팀 단일 팀을 수상한 국내 팀에는 2023 서머 KT, 2024 서머 젠지가 있다. 다음으로 해외팀에는 LCS의 2020 스프링 C9과 LEC의 2021 스프링 G2가 있다.[목록] [76] 페이커. 월드 챔피언십 5회 우승, MSI 2회 우승, 관련 기사, 2위는 월드 챔피언십과 MSI 도합 4회 우승자인 벵기, , 울프.[목록] [78] 페이커. 기록 링크. 공동 2위는 1위인 페이커 다음 순위에 위치한 76승의 &울프.[79] 페이커. 2013, 2015, 2016, 2017, 2019, 2021, 2022, 2023,2024.[80] 페이커. 2013, 2015, 2016, 2017, 2022, 2023, 2024.[목록] [82] 월드 챔피언십: 출전한 총 8번의 대회 중 4회 우승(2013, 2015, 2016, 2023), 2회 준우승(2017, 2022), 2회 3위(2019, 2021)[83] MSI: 출전한 총 6번의 대회 중 2회 우승(2016, 2017), 2회 준우승(2015, 2022), 1회 3위(2023), 1회 4위(2019).[84] 2015-2017(3연속 결승 진출 및 1번의 준우승과 이후 2회 연속 우승), 2019(4위), 2022(준우승), 2023(3위)의 페이커[85] T1을 제외하면 RNG는 3회, 나머지는 모두 한 번씩 우승을 기록했다.
2015 시즌: EDG, 2018 시즌: RNG, 2019 시즌: G2, 2021~2022 시즌: RNG.
[86] 페이커.[87] 페이커.[88] 타 리그에서 우지가 롤 e스포츠와 LPL 최초 2,500킬을 달성하였고, 이후 루키가 LPL에서 2,500킬을 달성한 최초의 한국인 선수로 거듭나게 되었으며, 페이커는 LCK 최초 2,500킬의 기록을 작성하였다. 또한 LCK와 LPL에서 각각 2,000킬과 1,000킬을 모두 합친 도합 3,000킬을 기록하면서 LoL e스포츠 역사상 모든 선수들 가운데에서도 최다 킬 기록을 지속적으로 갱신하고 있는 데프트도 있다.[89] 페이커. 특히 최연소 기록은 LCK' 선수 전체'로 따져도 최연소 기록이다.[90] LCK 최고령 우승자는 플레임의 만 28세 23일이지만 당시에 한 경기도 나오지 않았을뿐더러, 애초에 미드 라이너로만 한정하면 페이커가 최고령 기록을 지녔다(만 25세 331일).[91] 페이커.[92] 600전 달성일자: 2021년 2월 3일, 450승 달성일자: 2022년 1월 20일, 500승 달성일자: 2022년 7월 8일[93] 2022 스프링 구마유시. 2위는 209킬의 20 서머 룰러.[94] 22 스프링 케리아. 2위는 445 어시스트의 15 서머 울프.[목록] [96] 2015년 SKT T1 시절 스프링과 서머 우승, 월즈 우승, MSI 준우승으로 달성.[목록] [98] 2015년과 2017년 SKT T1, 2022년 T1 시절까지 총 3번 달성했으며, T1 외에 이 기록을 달성한 팀은 2019년의 G2와 2021년의 담원 기아뿐이다.[99] 2016 시즌 우승 이후 2023 시즌 우승까지 7년. 2014 시즌 삼성 화이트 이후 2017 시즌 갤럭시 우승까지 3년이 걸렸던 젠지가 이전 기록. 마찬가지로 월즈 결승 진출 이후 가장 오랜 시간이 걸려 월즈 결승에 진출한 기록도 T1이 보유. 젠지나 T1은 리빌딩 이후 다시 결승에 진출한 사례들이기에 이와 관련된 기록 1, 2위는 T1과 젠지가 보유 중이다.[100] 월즈 우승 전력을 만드는 게 오랜 시간이 걸리는 LoL Esports 특성상 깨지기 어렵다. 각 팀들의 우승 기록을 보면 보통 우승 전력을 가진 기간 동안 월즈 토너먼트 상위권 기록이 몰려 있으며 이는 T1이나 젠지(2014 우승, 2016 준우승, 2017 우승), 디플러스 기아(2020 우승, 2021 준우승), IG(2018 우승, 2019 4강)와 같은 월즈에서 한 획을 그은 강팀들도 짧으면 2시즌~길어야 3시즌 동안 기록을 쌓고 이후 리빌딩으로 인한 부진의 시기가 발생한다. 현재까지 월즈 우승권이었다가 리빌딩 이후 다시 월즈 우승권으로 올라온 팀은 T1(2013 우승, 2015-16 우승, 2017 준우승 이후 4년간 4강 or 탈락, 2022 준우승, 2023 우승)과 젠지(14시즌 이후 팀 멤버 해산, 이후 1시즌 리빌딩)가 유이하다.[목록] [102] 미국: 2013 월즈, 2016 월즈
유럽: 2015 월즈
중국: 2016 MSI
한국: 2023 월즈
[103] 2023 (vs Weibo Gaming Faw Audi)[104] 앞서 언급한 단발성 대회들과 달리 꾸준히 진행해온 케스파컵은 유난히도 인연이 없는 편인데, 케스파컵에 리그 오브 레전드 게임 종목 부문이 도입된 2015 시즌부터 2020 시즌까지 출전했던 대회를 기준으로 모두 우승에 실패했다.[105] 2015, 2016, 2017, 2019 시즌에는 4강, 2018 시즌에는 8강, 2020 시즌에는 2군이 출전해 상대팀이 코로나로 불참해 부전승으로 꽁승한거 외 전패 조별 탈락. 2021년에는 아예 불참을 선언했고 이후에 2022, 2023년 대회는 열리지 않았다. 즉 결승조차 가본 적이 없다. 그렇게 이대로 폐지 엔딩이 되나 싶었던 대회였으나 2024년부터 다시 부활 예정이라고 하니 다시 기회가 생긴 셈[106] 이후 시간이 흘러 2018 RNG와 2019 G2, 2023 JDG도 단일 시즌 그랜드 슬램에 도전했지만 2018 RNG는 월드 챔피언십 8강에서 G2에게 업셋을 당했고, 2019 G2도 월드 챔피언십 결승에서 FPX에게 0:3 완패를 당해 실패. 그리고 2023 JDG는 월드 챔피언십 4강에서 T1에게 3:1로 패배하면서 달성하지 못했다.[107] SK텔레콤의 구독 서비스.[108] 본사가 아니라 한국 지사인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에서 후원한다.[109] 게이밍 체어를 전문으로 하는 싱가포르의자 제조사.[110] K팀 소속 페이커, 벵기, 피글렛, 푸만두, 임팩트 S팀 소속 이지훈, 마린, 호로, 울프, 뱅 등[111] 페이커, 벵기, 뱅, 울프, 이지훈, 마린, 듀크, 후니, 피넛[112] 페이커, 칸, 클리드, 테디, 마타, 에포트[113] 페이커, 제우스, 오너, 구마유시, 케리아[114] 스페셜 포스 팀은 2012년 스페셜 포스 2 프로리그 종료와 함께 해체되었다. 마지막 시즌의 결과는 준우승.[115] SK라는 본인들의 기업명을 S와 K로 나눈 다음 알파벳에 의미를 부여한 것인데, 그중 K에는 '절대온도 K'라든가 'Kaiser' 같은 단어를 갖다 붙이는 일도 있었고, 이를 비롯한 또다른 별명들이 해외와 국내에 역수입되면서 놀림감이 되는 경우도 존재했다.[116] 팀의 색이 변하게 된 이유에는 오너와 구마유시의 역할이 가장 크다. 또 케리아라는 유니크한 서포터, 원래도 공격적이고 변칙적인 플레이를 자주 했던 페이커, 데뷔 하자마자 페이커 못지않은 재능이라는 평을 들으며 최고의 탑솔러 반열에 든 제우스까지 더해져 굉장히 호전적인 팀이 되었다.[117] 선수가 부진할 경우 극단적으로 시즌 도중임에도 퇴출하라는 여론이 빗발치는 것이 e스포츠 팬 문화의 현실인데, 제오페구케 로스터는 "오래 보고 싶으니 잘 좀 해달라" 는 말이 훨씬 많으며, 이러한 내용이 유튜브 인기 댓글이 될 정도. e스포츠 특성상 선수들은 스포츠 선수임과 동시에 엔터테이너적 성향을 띌 수 밖에 없는데, 페이커는 말할 것도 없고 제우스, 오너, 구마유시, 케리아 전원 실력은 물론 스타성도 뛰어나다고 평가된다.[118] 페이커 또한 자신의 수많은 어록들 중 23월즈 결승전 티저의 "4번째 우승은 우리 팀을 위한 것입니다." 를 가장 기억에 남는 것으로 꼽았고, 자신과 함께했던 수많은 팀메이트들이 있었지만 현 로스터인 제오구케와 오래 합을 맞춰왔고 정이 들었기에 이 멤버로 더 많은 것들을 이루고 싶다며 애정을 드러낸 바 있다.[119] 참고로 예전 LCK 트로피의 왼쪽에 있는 트로피들은 스타크래프트 팀의 프로리그 우승 트로피다.[120] 이는 Esports Charts가 조사한 역대 e스포츠 대회 최고 시청자 기록이다. 모바일 종목까지 포함해서.[121] 역대 최악의 암흑기로 평가받는 2018 시즌에도 스프링 시즌 최종 4위, 서머 정규시즌 최종 7위를 기록하였다.[122] LCK 개편 이전이긴 하지만 이 당시 SKK는 16강 CJ 블레이즈-8강 삼성 블루-4강 KT 불리츠-결승 삼성 화이트라는, 받아들 수 있는 대진표 중 본인을 제외한 당대 강팀들이 전부 포진한 최악의 대진표를 받았다. 그럼에도 이런 팀들을 상대로 세트 하나 내주지 않고 전부 셧아웃을 시켰고, 경기 내용조차 대충 봐도 SKK가 불리했던 적은 없을 정도로 압도적이었다. 결승전 1세트에서는 무려 20분 칼서렌마저 나왔다.[123] 중국을 포함하면 동시 시청자 약 1억 명, 누적 시청자 약 4억 명이라는 어마어마한 시청자 수가 집계 되었다.[124] T1은 LCK팀 중 이례적으로 LPL 내에서도 상당한 인기를 가지고 있는 팀으로 웬만한 명문 LPL팀들과 엇비슷한 인기를 가지고 있을 정도이다. T1이 중국에서 인기가 꽤나 있지만 평시엔 당연히 LPL팀 위주의 관심이 더 쏠릴게 뻔한데도 불구하고 항상 상위권의 인기를 자랑하고 있다.[125] 현재는 SK텔레콤 부사장으로 영전했다.[126] 이는 페이커 본인이 롤 프로게이머 중에선 광고나 방송에 자주 출연한 적이 매우 많은 편이기 때문이기도 하다.[127] 손흥민, 박보영, 김희철, 세븐틴 원우, 타이거JK, 우원재 등 매우 많다.[128] 코치 → 감독 직책 변경.[129] 코치 → 감독 직책 변경.[130] 코치 → 감독 직책 변경.[131] 분석 & 매니저 → 코치 직책 변경.[132] 코치 → 감독 대행 직책 변경.[133] 감독 → 총감독 직책 변경.[134] 코치 → 감독 대행 → 코치 → 감독 직책 변경.[135] 그래서인지 역시 마스터즈 결승에서 나온 정노철 해설위원의 으리 영상을 보면 치킨에 환장하는 것 같다. 꼬치: 얘들아 치킨 사왔다. T1 일동: 와아아아악악악악!![136] KT는 데뷔 후 2018 시즌까지 서머 결승은 항상 올라갔다.[137] 3세트 도합 용 스코어가 12:0이었을 정도.[138] 심지어 2세트는 킬 스코어 15:0이었다.[139] 그리고 이로 인한 프론트와 감독과의 불화로 인한 LCK를 뒤집어 놓은 초대형 사건이 일어났고, 결국 그리핀은 코칭 스태프, 선수 유출에 안티로 완전히 돌아선 모든 팬들의 조롱까지 뒤집어쓰며 다음 시즌 강등이라는 최악의 상황을 맞이하게 되었다. 협박을 통해 노예 계약에 묶인 카나비가 극적으로 구출받을 수 있었던 배경이 바로 그리핀 사건이라, T1이 카나비의 진정한 구세주라는 드립도 나왔다.[140] D 점멸 vs F 점멸이라든가 테디의 원딜 감수성 발언 등.[141] 파일:T1_MVP_BELT.jpg[142] 탑: 임팩트, 마린, 듀크, 후니, 칸, 제우스 / 정글: 벵기, 블랭크, 피넛, 클리드, 하루, 커즈, 오너 / 미드: 페이커, 이지훈, 스카웃/ 바텀: 피글렛, 뱅, 테디, 구마유시 / 서포터: 푸만두, 울프, 마타, 케리아[143] LCK 스프링, MSI, 월즈 우승.[144] 그나마 윈터 우승 1회는 있다.[145] 페이커 전자음성비 100개 정보 #출처, 에스퍼 전자음성비 10개 정보 #출처 나머지 멤버 전자음성비 50개 정보 출처 - 제우스, 오너, 구마유시, 케리아[146] 최병훈 감독의 언급에 따르면, 그 전에 만들었던 시즌 3 우승 스킨 같은 경우에는 그래도 어느 정도 서로 논의가 된 상태에서 나온 스킨인 반면 이번 스킨 같은 경우에는 따로 논의가 없는 상태에서 나온 퀄리티였다고 한다.[147] 그래도 페이커는 자신을 위해 만들어진 스킨들을 모두 대회에서 일부러 한번씩 사용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148] 사실 월즈 유니폼은 검은색/남색 계열의 유니폼이었으나 전체적인 색상이 어둑어둑해서 그나마 좀 더 최근인 서머 시즌 때 입었던 파랑색 유니폼으로 바꿨다고 한다[149] 다만 페이커가 처음부터 계속 원했었던 라이즈의 브로콜리 머리 헤어 스타일은 끝내 구현되지 않았기에 아쉬움을 표하는 이들도 많았다.[150] SKT 코치 kkOma 월즈 3회 우승 기념 와드 스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