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6 13:25:42

국조

나라새에서 넘어옴
1. 國鳥
1.1. 각국의 국조1.2. 비공식 국조
1.2.1. 한국
2. 國朝3. 國祖
3.1. 나라를 세운 조상, 혹은 조상신
3.1.1. 아시아3.1.2. 유럽3.1.3. 아프리카3.1.4. 아메리카3.1.5. 오세아니아
3.2. 묘호3.3. 시호
4. 국정조사의 준말

1. 國鳥

국조는 나라를 대표하는 새를 말하며 일종의 국수라고도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국민과의 친근성·고유성 등을 고려하여 선정한다.

1.1. 각국의 국조

나라 이름 순서로 표시하였다.
국가 동물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가이아나 호아친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금눈쇠올빼미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케찰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 아프리카바다수리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검은관두루미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청두루미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히말라야비단꿩(Himalayan Monal)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흑꼬리도요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흰가슴물까마귀(White-throated Dipper)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대만까치(Taiwan Blue Magpie)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혹고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 종려나무떠들썩새(Palmchat)
파일:도미니카 연방 국기.svg 도미니카 연방 황제아마존앵무(Imperial Amazon)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검독수리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알락할미새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홍부리황새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코뿔새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헨다손매[1]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흰머리수리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자바공작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흰뺨직박구리(White-cheeked Bulbul)
파일:바하마 국기.svg 바하마 쿠바홍학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까치울새(Oriental Magpie Robin)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베네수엘라뚜르삐알(Venezuelan Troupial)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황조롱이
파일:벨리즈 국기.svg 벨리즈 무지개왕부리새(Keel Billed Toucan)
파일:보츠와나 국기.svg 보츠와나 아프리카큰느시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볼리비아 안데스콘도르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큰까마귀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참매까치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붉은배지빠귀(Rufous Bellied Thrush)
파일:세인트루시아 국기.svg 세인트루시아 세인트루시아아마존앵무(Saint lucia amazon)
파일: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국기.svg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무지개아마존앵무(saint vincent amazon)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흰죽지수리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스리랑카멧닭(Sri Lanka Junglefowl)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진홍태양새(Crimson Sunbird)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헨다손매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적갈색호르네로(Rufous Hornero)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흰매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검은머리물떼새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검독수리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붉은볏부채머리(Red Crested Turaco)
파일:앤티가 바부다 국기.svg 앤티가 바부다 아메리카군함조(Magnificent Frigatebird)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제비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안데스콘도르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꼬까울새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제비
파일:온두라스 국기.svg 온두라스 금강앵무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시나이핀치새(Sinai Rosefinch)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회색관두루미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바위자고새/추카(Rock Partridge/Chukar Partridge)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밤꾀꼬리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후투티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초원수리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인도공작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자바뿔매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일본꿩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자메이카 벌새(Doctor-Bird)
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 아프리카바다수리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참새, 두루미, 금계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아프리카바다수리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안데스콘도르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큰따오기(Giant Ibis)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회색어치(Gray Jay)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분홍가슴파랑새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안데스콘도르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트리니다드 토바고 홍따오기(Scarlet Ibis)/붉은등애기과너(Cocrico)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시암꿩(Siamese Fireback Pheasant)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 부채머리수리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바위자고새/추카(Rock Partridge/Chukar Partridge)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푸아뉴기니 라기아나극락조(Raggiana Bird of paradise)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바르셀루스의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흰꼬리수리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큰고니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필리핀수리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헨다손매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에뮤

1.2. 비공식 국조

1.2.1. 한국

까치를 한국의 국조로 아는 경우가 있고, 실제로 국조로 가장 많이 거론된 새이기도 하지만 법적으로 지정된 국조는 아직 없다.

까치의 경우, 1964년 국제조류회의(ICBP)한국본부와 한국일보가 주최한 '나라 새 뽑기 운동'에서 총 2만 2780표 중 9373표로 까치가 1위를 차지한 바 있고, 32년 뒤인 1996년 정부 여론조사에서도 까치가 1위를 차지했다. 그리고 까치는 한국 지자체가 지정한 상징새 중에서 가장 많이 채택된 새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렇게 높은 인기를 구가했던 까치도 농작물 피해, 정전사고 유발 등 각종 피해를 끼치는 사례가 늘어나면서[2] 2000년 9월 환경부가 유해조수로 지정할 정도로 인식이 안 좋아진 탓에 국조로 지정될 가능성이 떨어진 상태다. 지방자치단체도 마찬가지로, 일부 지역에서는 비둘기와 함께 상징새 퇴출대상이였다.

까치 다음으로 상징새로 많이 채택된 비둘기 역시 닭둘기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인식이 안 좋아졌고 유해조수에 속하는지라 역시 가능성이 낮다.# 게다가 까치는 각종 민담에서 자주 등장하여 전통문화와 연관이 있는데 비둘기는 그런 것도 없고 애초에 뜬금없는 소리다.

이외 2008년 학송회(鶴松會)를 중심으로 국조(國鳥)학 선정 범국민 운동을 개최하여 박재순 한나라당 최고위원과 같은 사람들이 적극적으로 을 지지하기도 했다. 학송회가 '건국 60년 국조 선정 범국민 추진 본부'를 구성해 18대 국회의원 299명을 상대로 국조 선정에 대한 설문을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61%인 67명이 학을 꼽았고, 봉황이 5명, 까치와 비둘기가 각각 3명, 삼족오가 2명 순이었다. 그러나 이후 별다른 말이 없는 것을 보면 학도 묻혔다고 봐도 좋다. 그래서, 실질적으로 상징적인 국조는 봉황에 가깝다.

2023년 북한은 까치를 국조로 정했는데, 그 이전에는 대한제국의 국조이기도 했던 참매를 국조로 삼았다.

2. 國朝

'우리나라' 또는 '우리 나라 조정'을 이르는 말.
당대 사람이 당시 자신의 나라나 나라의 조정을 이를 때 '국조에서는~' 이라고 말했다.
在甲申年閒, 弓漢村人不順太師指諭者, 擧兵懲之, 國朝以我爲犯境, 出兵征之, 復許修好.
갑신(甲申, 1104) 연간에 궁한촌(弓漢村) 사람들 중 태사의 지시에 복종하지 않은 사람들을 군사를 일으켜 응징하자, 국조(國朝, 여기서는 고려)에서는 우리들이 국경을 침범한 것으로 생각하고 군사를 내어 정벌하였지만 다시 수호(修好)를 허락하였습니다
- 고려왕조실록 권13#
國朝以六衙日視朝, 尙且廢朝, 于今累月矣。
지금 국조(國朝, 여기서는 조선)에서는 여섯 아일(衙日)을 당하면 정전(正殿)에 앉아 조회를 보는데도, 오히려 조회를 폐한 것이 지금 여러 달이 되었습니다.
- 조선왕조실록 권13#

3. 國祖

3.1. 나라를 세운 조상, 혹은 조상신

다신교 신의 종류
정렬 가나다순

일반적으로 국부는 나라를 건국한 역사상의 실존인물인 경우가 많고 국조는 전설적인 영웅이나 신화상의 인 경우가 많다. 물론 역사가 오래된 나라들은 신화적 영웅이나 신을 국조뿐만 아니라 국부로도 여기는 경우도 있다. 호국신의 역할을 겸하는 경우도 있다.

3.1.1. 아시아

3.1.2. 유럽

3.1.3. 아프리카

3.1.4. 아메리카

3.1.5. 오세아니아

3.2. 묘호

국조()는 동아시아의 군주가 받는 묘호 중에서 하나며 주로 왕조의 건국자의 조상이 받는 묘호다.
성명 묘호 시호 재위기간 비고
왕국조(王國祖) 고려국조
(高麗國祖)
원덕대왕(元德大王) - 고려 태조 추존
호계리(胡季犛) - 국조장황
(國祖章皇)[9]
1400 초대 황제

3.3. 시호

성명 묘호 시호 재위기간 비고
고궁(高宮) 고구려태조
(高句麗太祖)
국조왕(國祖王)
태조대왕(太祖大王)
53 ~ 146 고구려 제 6대 국왕

4. 국정조사의 준말



[1] 소년이었을 적 칭기즈 칸이 사냥을 하다가 목이 몹시 마른 상황에서 샘물이 떨어지는 바위를 발견하고 잔으로 받아 마시려는데, 자신이 키우던 매가 날아와 손을 쳐서 잔을 떨어뜨려 물을 쏟아버리기를 세 번이나 반복했다. 이에 단단히 화가 난 칭기즈 칸은 매를 도검으로 베어 죽여버리고 바위 위쪽에 물의 근원이 있을 거라고 생각하여 바위 위로 올라갔다. 그런데 그 샘물에는 독사가 빠져 죽은 광경을 뒤늦게 발견하였고, 이 샘물에 독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사실 뱀독은 단백질이라서 입에 상처만 없으면 먹어도 괜찮다.) 당연히 칭기즈 칸은 매를 죽인 것을 평생 후회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헨다손매는 몽골 제국의 국조가 되었고, 이게 고려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송골매'의 '송골'이 몽골어 숑홀(шонхор)에서 나온 것이다(KBS의 매 다큐멘터리에서 이 이야기를 하자 몽골인이 신기하다는 반응을 보이는 장면이 있다). 특히 강력한 흰매를 뜻하는 '차간숑홀'은 몽골의 상징 그 자체. 다만 이 이야기 자체는 사실이 아니다.[2] 환경부에서 조사한 유해야생동물 피해현황에 따르면 멧돼지, 고라니 다음으로 많은 피해를 주는 생물이 까치였다.[3] 정작 직전 왕조의 시조인 고려 태조는 여기에 포함되지 못했는데, 선양이라는 형식적인 절차도 지키지 않은 역성혁명을 통해 건국되어 정통성이 취약하다는 약점 때문에 국가 차원에서 제사를 지내기 껄끄러웠고, 이는 왕씨 몰살이 종식된 이후에도 지속되었다. 다만 어디까지나 국가가 주도한 제사를 지내지 않을 뿐, 왕씨 문중이 자체적으로 제사를 지내는 것에 대한 지원은 해줬는데, 숭의전이라는 사당을 짓고 숭의전사라는 관직을 하사하여 대대로 고려 왕들에 대한 제사를 지내도록 했다.[4] 한영우, <다시 찾는 우리 역사>. 제2전면개정판 6쇄. 317쪽 참고.[5] 아케메네스 왕조의 시조라고 전해지는 인물이다. 그러나 실존인물이 아니라 신화적 존재일 가능성이 높은데다, 오늘날 이란에서도 그가 아니라 키루스 2세를 국조로 추앙하고 있다.[6] 그가 즉위한지 2,500년이 되는 해인 1971년팔라비 2세가 이란 건국 2,500주년 축하 행사를 열어 성대하게 기념했고, 혁명 이후 들어선 이란 이슬람 공화국 역시 그가 국조라는 것을 부정하진 않는다.[7] 폴란드 민주화의 주역인 레흐 바웬사의 이름이 여기서 유래했다[8] 악숨 왕국이 존재할 당시의 기록에는 그가 언급되지 않고, 솔로몬 왕조는 악숨이 망하고 300여년 후에 들어선 왕조라서, 실질적 창업군주인 예쿠노 암라크 황제 또는 그 후임 황제들이 직전 왕조인 자그웨 왕조의 정통성을 부정하고 자신들이 에티오피아의 유일하고 적법한 황통이라 주장하기 위해 만든 신화일 가능성이 높다.[9] 자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