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3 10:10:42

나카가와 이치로

역임 직위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000,#e5e5e5
전전 농림대신 (1925~1943)
초대
다카하시 고레키요
2대
오카자키 쿠니스케
3대
하야미 센지
4·6대
마치다 추지
5·7대
야마모토 데이지로
4·6대
마치다 추지
5·7대
야마모토 데이지로
8대
고토 후미오
9·11·20대
야마자키 다쓰노스케
10·16대
시마다 도시오
9·11·20대
야마자키 다쓰노스케
12대
아리마 노부야스
13대
사쿠라우치 유키오
14·16대
고도 다쿠오
15대
사카이 다다마사
10·16대
시마다 도시오
17대
고노에 후미마로
18대
이시구로 다다아쓰
19대
이노 히로야
9·11·20대
야마자키 다쓰노스케
전후 농림대신 (1945~1978)
초대
센고쿠 고타로
2대
마츠무라 겐조
3대
소에지마 센파치
4대
시부사와 게이조
5대
요시다 시게루
임시대리
가타야마 데쓰
6대
히라노 리키조
7대
하타노 카나에
8대
나가에 가즈오
임시대리
요시다 시게루
9대
스토 히데오
10대
모리 고타로
12·14·16대
히로카와 고젠
13대
네모토 류타로
15대
오가사와라 산쿠로
12·14·16대
히로카와 고젠
17대
타코 이치민
18대
우치다 나오야
19대
호리 시게루
20-21·22대
고노 이치로
23·24대
이데 이치타로
25대
아카기 무네노리
26대
미우라 쿠니오
27대
후쿠다 다케오
28대
난조 도쿠오
29대
스토 히데오
30대
고노 이치로
31대
시게마사 세이지
32·33·34대
아카기 무네노리
35대
사카타 에이치
36대
마츠노 라이조
37·38대
쿠라이시 타다오
39대
니시무라 나오미
40대
하세가와 시로
41대
쿠라이시 타다오
42대
아카기 무네노리
43대
아다치 도쿠조
44대
사쿠라우치 요시오
45대
쿠라이시 타다오
46대
아베 신타로
47대
오이시 부이치
48대
스즈키 젠코
49대
나카가와 이치로
농림수산대신(1978년~현재)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초대
나카가와 이치로
2대
와타나베 미치오
3대
무토 가분
4대
가메오카 다카오
5대
다자와 기치로
{{{#!wiki style="margin: -16px -11px" }}}
6대
가네코 이와조
7대
야마무라 신지로
8대
사토 모리요시
9·12대
하타 쓰토무
10대
가토 무쓰키
{{{#!wiki style="margin: -16px -11px" }}}
11대
사토 다카시
9·12대
하타 쓰토무
13대
호리노우치 히사오
14·51·52대
카노 미치히코
15대
야마모토 도미오
{{{#!wiki style="margin: -16px -11px" }}}
16대
곤도 모토지
17대
다나부 마사미
18대
미야자와 기이치
19대
하타 에이지로
20대
가토 무쓰키
{{{#!wiki style="margin: -16px -11px" }}}
21대
오가와라 다이치로
22대
노로타 호세이
23대
오하라 이치조
24대
후지모토 다카오
25대
오치 이헤이
{{{#!wiki style="margin: -16px -11px" }}}
26대
시마무라 요시노부
27·40대
나카가와 쇼이치
28·29대
다마자와 도쿠이치로
30대
다니 요이치
{{{#!wiki style="margin: -16px -11px" }}}
31대
야쓰 요시오
32대
다케베 쓰토무
33대
오시마 다다모리
34·35대
가메이 요시유키
{{{#!wiki style="margin: -16px -11px" }}}
36대
시마무라 요시노부
37대
고이즈미 준이치로
38·39대
이와나가 미네이치
27·40대
나카가와 쇼이치
{{{#!wiki style="margin: -16px -11px" }}}
41대
마쓰오카 도시카쓰
42대
아카기 노리히코
43·45·46대
와카바야시 마사토시
44대
엔도 다케히코
43·45·46대
와카바야시 마사토시
{{{#!wiki style="margin: -16px -11px" }}}
43·45·46대
와카바야시 마사토시
47대
오타 세이이치
48대
이시바 시게루
49대
아카마츠 히로타카
50대
야마다 마사히코
{{{#!wiki style="margin: -16px -11px" }}}
14·51·52대
카노 미치히코
53대
군지 아키라
54·57대
하야시 요시마사
55·56대
니시카와 고야
{{{#!wiki style="margin: -16px -11px" }}}
55·56대
니시카와 고야
54·57대
하야시 요시마사
58대
모리야마 히로시
59대
야마모토 유지
60·61대
사이토 겐
{{{#!wiki style="margin: -16px -11px" }}}
60·61대
사이토 겐
62대
요시카와 다카모리
63대
에토 다쿠
64대
노가미 고타로
65·66대
가네코 겐지로
65·66대
가네코 겐지로
67대
노무라 데쓰로
68대
미야시타 이치로
69대
사카모토 데쓰시
}}}}}}}}}}}}

일본국 초대 농림수산대신
<colbgcolor=#3CA324><colcolor=#ffffff> 일본국 제30-36대 중의원 의원
나카가와 이치로
中川 一郎 | Nakagawa Ichirō
파일:나카가와 이치로1.jpg
출생 <colbgcolor=#ffffff,#191919>1925년 3월 9일
홋카이도 히로오군 히로오정
(현 홋카이도 토카치 종합진흥국 히로오정)
사망 1983년 1월 9일 (향년 56세)
홋카이도 삿포로시 주오구
국적
[[일본|]][[틀:국기|]][[틀:국기|]]
학력 토요사 소학교 (졸업)
홋카이도 오비히로 농업학교 (졸업)
우츠노미야 고등 농업학교 (졸업)
규슈대학 (농학부 / 학사)
직업 정치인
가족 아내 나카가와 사다코[1]
남동생 나카가와 요시오[2]
장남 나카가와 쇼이치
며느리 나카가와 유코
최종 당적

의원 선수 8 (중)
지역구 홋카이도 5구
약력 홋카이도 개발청 개발 담당관
중의원 오노 반보쿠 비서
대장 정무차관
제35대 과학기술청 장관
제49대 농림대신
초대 농림수산대신
1. 개요2. 생애3. 말년 및 사망4. 소속 정당5. 선거 이력6. 여담 및 기타

[clearfix]

1. 개요

일본의 정치인. 북해의 큰곰 (北海のヒグマ)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는 등, 자민당을 대표했던 강경파 의원으로 알려져 있었다.

2. 생애

1925년 3월 9일 일본 홋카이도 히로오군 히로오정(현 홋카이도 토카치 종합진흥국 히로오정)에서 나카가와 분조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부친인 나카가와 분조는 농민 출신으로 잡화상 및 가축 매매업에 종사했으며, 히로오정의회 의원을 지낸 지방 정치인이기도 했다.

1947년 규슈제국대학 (현 규슈대학) 농학부를 졸업하고, 홋카이도로 돌아와 홋카이도청 공무원으로 사회 경력을 시작한다. 이후 1951년 홋카이도개발청이 신설되자 홋카이도개발청 공무원이 된다. 홋카이도개발청 근무 도중 1954년 1월부터 7월까지 개발청 장관을 지낸 유력 정치인 오노 반보쿠의 비서로 재직했으며, 이것이 인연이 되어 1959년 개발청에서 퇴직하고 다시 오노의 비서가 된다. 이 경력을 발판삼아 1963년 제30대 중의원 선거에 당시 중대선거구였던 홋카이도 5구에 출마해 당선된다.

중의원 의원으로 활동하면서 자민당내 강경우파의 대표적 스피커로 맹활약한다. 다나카 가쿠에이 전 총리의 중일국교정상화를 비판하며 친대만(중화민국) 노선을 주장했고, 1973년 박정희 정부김대중 납치 사건때도 한국 정부의 입장을 옹호하며 일본에 망명했다 본국으로 납치 후 강제 귀국을 당한 김대중 당시 신민당 전 대선후보를 비판했다. 과거사에 대해서도 수정주의적 견해를 드러냈다.

1973년 7월 이시하라 신타로, 와타나베 미치오 등과 당내 범파벌 강경 정책집단인 '세이란카이'(靑嵐會·청람회)를 결성한다. 그러나 70년대만 해도 자민당은 경제 우선, 대미협조외교를 주창한 보수 본류세력이 주류였고, 세이란카이는 와타누키 다미스케, 야마사키 타쿠, 노다 다케시 등 초재선 의원들이 하나둘씩 이탈하면서 세력이 줄어들었다. 게다가 나카가와와 와타나베의 갈등으로 인해 더이상 파벌의 유지가 어려워졌다. 이후 세이란카이는 정식 파벌인 자유혁신동우회(나카가와파)로 재편성되고, 자유혁신동우회는 나카가와 사후 이시하라파로 불리우다가 그나마 성향이 비슷한 보수 방류의 후쿠다파로 편입된다.

1977년 12월 후쿠다 다케오 개조내각에서 농림대신으로 처음 입각한다. 농업이 중요한 홋카이도의 특성을 고려한 각료 배치였다. 재직 도중 농림성이 농림수산성으로 개편되면서 초대 농림수산대신이 된다. 1978년 12월 후쿠다 총리가 물러나고 오히라 마사요시 신임 총리가 취임하면서 물러났다가, 1980년 7월 스즈키 젠코 내각에서 과학기술청 장관으로 다시 입각한다. 과학기술청 장관으로는 1982년 11월까지 2년 4개월동안 재직하면서 평균 임기가 1년인 일본 장관치고는 꽤 오래 재직한다. 다만 과학기술청 장관직은 비교적 한직이였고, 당이나 내각에서 큰 역할은 하지 못했다. 소수파벌 장관이라 어쩔 수 없었다.

3. 말년 및 사망

과학기술청 장관 재직중이며 사망 2개월 전인 1982년 11월에 사실상의 일본 총리가 되는 자민당 총재경선에 출마하나 당시 행정관리청 장관이던 나카소네 야스히로 후보에게 패하며 4명의 후보 중 최하위를 기록한다. 나카소네 내각이 새로 출범하면서 자연스럽게 과학기술청 장관직에서 물러난다.

이후 1983년 1월 9일 삿포로 시내 호텔에서 숨진 채 발견된다. 향년 57세이고, 공식 사인은 자살이다. 동료 정치인들에 의해 사망 몇 년전부터 스트레스로 인해 술에 의존하면서 알콜중독 증세를 보였고, 아내와도 매우 사이가 나쁜 등 가정불화가 있었음이 밝혀졌다. 다만 소련과 몰래 접촉하고 간첩으로 활동하다가 CIA에 의해 타살되었다는 등 온갖 의문사를 가장한 음모론들도 제기되었다.[3] 한편 나카가와는 자민당 총재선거가 끝난 뒤 스트레스로 인한 불면증으로 인하여 평소 수면제를 복용하고 있었는데, 이 수면제를 과다 복용 한것이 사망의 원인이 아니냐는 말도 나오고 있다.[4]

4. 소속 정당

소속 기간 비고


1959 - 1983 입당
사망

5. 선거 이력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1963 제3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홋카이도 5구

68,231 (14.6%) 당선 (2위) 초선
1967 제3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90,733 (18.0%) 재선
1969 제3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90,074 (16.6%) 당선 (1위) 3선
1972 제3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115,040 (20.3%) 4선
1976 제3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103,965 (18.4%) 당선 (2위) 5선
1979 제3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158,027 (26.37%) 당선 (1위) 6선
1980 제3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145,801 (24.05%) 7선[5]

6. 여담 및 기타


[1] 결혼전 성 키노시타[2] 1938~ 홋카이도 의회 의장, 재선 참의원 의원 역임.[3] 그러나 그의 측근인 스즈키 무네오 등은 CIA 타살설은 근거 없는 헛소문이라며 이를 부정했다.[4] 여담이지만 아들 쇼이치의 사인도 불면증으로 인한 수면제 과다복용이 원인이었다.[5] 1983.1.9 임기 중 사망[6] 아들 나카가와 쇼이치도 아버지의 이런 성향을 물려받아 국회 내의 대표적인 애주가로 유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