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earfix]
1. 개요
로마 제국 쇠망사(로마帝國衰亡史, The History of the Decline and Fall of the Roman Empire)는 영국의 역사가 에드워드 기번이 1770년부터 1788년에 걸쳐 집필한 역사서.2. 내용
로마 제국 초기 트라야누스 황제의 치세로 시작해서 로마 제국이 콤모두스의 즉위 이후 쇠퇴하는 과정과 초기 기독교사, 서로마 제국의 멸망 이후에 동로마 제국의 역사, 콘스탄티누스 11세의 최후와 함께 수도 콘스탄티노폴리스가 오스만 제국의 술탄 메흐베트 2세에 의해 함락되어 로마 제국이 멸망하는 시기까지가 다루어져 있다.역사적 가치가 작성된 시기의 한계를 넘지 못했지만 문학적으로는 뛰어난 논픽션이라 많은 이들의 애독서이기도 했다. 젊은 시절 윈스턴 처칠와 자와할랄 네루의 애독서로도 알려져 있으며 아이작 아시모프는 로마 제국 쇠망사를 읽고 이에 영감을 받아 파운데이션 시리즈를 지었다.
인터넷 밈으로서는 옆표지의 사진이 짤방으로 유명하다.
3. 읽을 때의 유의점
집필된 연도가 18세기다 보니, 현대의 역사학 성과와는 매우 거리가 있는 책이다. 그렇기에 로마 제국 쇠망사만을 읽고 로마사에 대해 모든 것을 아는 체하며 이야기하는 것은 지양할 필요가 있다. 어떤 분야든간에 전문적으로 연구할 경우 그 분야에 대한 최신 논문이 언제적 것인지와 그 논문은 그 이전까지의 논문과 어떻게 다른지를 반드시 살펴봐야 하는데, 20년도 아니고 2백 년도 더 전에 나온 책의 학문적인 가치가 어떤지는 더 말할 필요가 없다. 즉 이 책은 방대한 분야를 쉽게 읽히는 명문으로 풀어낸 논픽션으로 읽어야지, 역사서로 보면 곤란하다.특히 "동로마는 로마가 아니다"라는 식으로 부정적으로 서술되어 있는데, 이것은 18세기 당대의 인식과 호응하는 것이었으나 현대에는 동로마의 로마로서의 정체성이 인정되고 있다. 또한 팔미라 제국의 제노비아의 최후를 설명하면서 "그러나 여성의 강인함은 대개 인위적인 것이어서 한결같이 지속되기가 함든 법이다.(민음사 번역본)"라고 적는 등, 그 시대의 관점이 강하게 드러난다. 특히나 18세기 프랑스의 저명한 계몽주의 철학가이자 작가인 볼테르의 경우, 기독교가 로마 제국의 몰락에 일정 부분 기여했다는 기번의 주장에 동의했다고 전해진다.
4. 구성
4.1. 1권(1770년)
- 1장: 오현제 시대 개략
- 2장: 오현제 시대의 로마 사회
- 3장: 오현제까지의 로마 정치 체제
- 4장: 콤모두스의 폭정과 암살 직후, 페르티낙스 황제 시기
- 5장: 디디우스 율리아누스와 클로디우스 알비누스, 페스켄니우스 니게르, 셉티미우스 세베루스의 내전, 세베루스 왕조의 성립
- 6장: 카라칼라, 마크리누스, 엘라가발루스, 알렉산데르 세베루스. 당시 군대와 재정 상태 정리
- 7장: 군인 황제 시대의 시작, 막시미누스 트라쿠스부터 필리푸스 아라부스까지
- 8장: 사산 제국 건국 전후의 이란 정세
- 9장: 게르만족의 침입, 데키우스의 즉위 전후
- 10장: 데키우스부터 갈리에누스까지의 정세, 게르만 침입 격화
- 11장: 클라우디우스 고티쿠스와 로마의 반격, 아우렐리아누스의 로마 제국 재통일
- 12장: 타키투스, 프로부스, 카루스
- 13장: 디오클레티아누스 시기
- 14장: 콘스탄티누스 1세의 로마 제국 재통일
- 15장: 초기 기독교사
- 16장: 기독교 박해 시기 정리
4.2. 2권(1781년)
- 17장: 콘스탄티노폴리스 건설과 당시 로마의 체제와 제도 정리
- 18장: 콘스탄티누스 대제의 말년, 사후 콘스탄티누스 1세, 콘스탄스, 콘스탄티우스 2세의 제국 분할과 한니발리아누스&달마티우스 숙청, 마그넨티우스의 반란
- 19장: 갈루스와 율리아누스
- 20장: 콘스탄티누스 대제와 기독교
- 21장: 콘스탄티누스 사후 기독교 정세
- 22장: 율리아누스의 황제 즉위
- 23장: 율리아누스의 이교 부흥 정책
- 24장: 율리아누스의 페르시아 원정과 죽음
- 25장: 요비아누스의 짧은 치세, 발렌티니아누스 1세와 발렌스의 서로마/동로마 통치, 4세기 후반의 로마 주변 정세, 발렌티니아누스 2세와 그라티아누스의 통치
- 26장: 훈족과 게르만족의 로마 영토로의 이동, 하드리아노폴리스 전투, 고트족의 로마 영토로의 이동, 테오도시우스 1세의 대두
4.3. 3권(1781년)
- 27장: 그라티아누스의 죽음과 막시무스 vs 테오도시우스 1세의 내전, 발렌티니아누스 2세의 죽음과 에우게니우스 vs 테오도시우스 1세의 내전, 테오도시우스 1세의 단독 재위와 죽음, 성 암브로시우스 주교의 활약과 아리우스파에 대한 삼위일체파의 승리, 해이해진 로마군의 기강
- 28장: 기독교의 국교화와 이교의 몰락, 기독교의 성인 공경 문화
- 29장: 호노리우스와 아르카디우스의 서로마/동로마 통치, 스틸리코와 루피누스, 길도의 난. 호노리우스의 결혼
- 30장: 알라리크의 동로마 침공, 알라리크와 라다가이수스의 서로마 침공, 스틸리코의 반격, 브리타니아의 참칭 황제 콘스탄티누스, 스틸리코의 몰락, 시인 클라우디아누스
- 31장: 스틸리코 사후 알라리크의 서로마 재침공과 로마 약탈[1], 참칭 황제 콘스탄티누스의 몰락, 서로마의 브리타니아 포기, 갈리아와 히스파니아로 몰려든 게르만 부족들의 당시 상황.
- 32장: 아르카디우스 시기 동로마 정세, 환관 에우트로피우스, 가이아스의 난, 아일리아 에우독시아 황후와 성 요한네스 크리소스토무스의 대립, 테오도시우스 2세의 치세, 테오도시우스 2세의 누이 아일리아 풀케리아 및 황후 아일리아 에우도키아, 동로마와 페르시아의 아르메니아 분할
- 33장: 호노리우스의 죽음과 발렌티니아누스 3세의 즉위, 섭정 갈라 플라키디아, 아에티우스와 보니파키우스의 대립, 가이세리크와 반달족의 북아프리카 정복
- 34장: 아틸라의 대두, 테오도시우스 2세의 죽음과 마르키아누스의 즉위
- 35장: 아틸라에게 청혼한 호노리아, 아틸라의 갈리아 침공과 아에티우스의 반격, 아틸라의 이탈리아 침공과 교황 레오 1세, 아틸라 사후 훈족의 몰락
- 36장: 가이세리크의 로마 약탈, 리키메르의 전횡, 오도아케르에 의한 서로마 제국의 멸망
- 37장: 중세 수도원의 기원, 게르만족의 기독교 개종 역사, 히스파니아 유대인에 대한 기록
- 38장: 클로비스의 가톨릭 개종과 프랑크 왕국의 영토 확장, 서고트족과 앵글로색슨족의 히스파니아와 브리타니아 정복, 아서 왕에 대한 분석, 서로마 제국의 멸망에 대한 개관
4.4. 4권(1788년)
- 39장: 제노와 아나스타시우스 1세의 치세, 테오도리크의 동고트 왕국 건국, 6세기 초 서방 정세 정리, 테오도리크의 말년
- 40장: 유스티누스 1세의 치세, 유스티니아누스 1세 즉위, 황후 테오도라, 니카 반란, 하기아 소피아 재건축, 유스티니아누스의 아테네 학당 폐쇄
- 41장: 벨리사리우스의 반달 왕국 정복, 고트 전쟁의 시작, 동고트 왕 비티게스 생포
- 42장: 슬라브족과 돌궐의 기원, 랑고바르드족의 다뉴브 유역 정착, 아바르와 동로마의 전쟁, 호스로 1세 시기의 페르시아 정세, 에티오피아, 라지카[2] 전쟁
- 43장: 북아프리카의 반란, 토틸라에 의한 로마 함락, 나르세스의 반격과 동고트 왕국의 멸망, 프랑크족과 알레마니족의 전쟁, 벨리사리우스와 유스티니아누스의 말년
- 44장: 왕정 시기부터 로마법 대전 반포 시기까지의 로마법 정리
- 45장: 유스티누스 2세의 치세, 아바르족의 판노니아 정착, 랑고바르드족의 이탈리아 침공과 정복, 티베리우스 2세와 마우리키우스의 치세, 랑고바르드 침공 이후 이탈리아와 교황령의 정세
- 46장: 호스로 2세까지의 페르시아 정세, 포카스의 찬탈과 폭정, 페르시아의 대공세, 헤라클리우스의 즉위
- 47장: 성육신 교리 논쟁사, 키릴로스와 네스토리우스의 대립, 제3차 에페수스 공의회에서 에우티케스의 단성론이 이단으로 정죄됨, 제4차 칼케돈 공의회, 단의론 및 네스토리우스교, 야고보파, 마론파, 사도 교회, 콥트교 등 동방 전례 교회의 당시 상황
4.5. 5권(1788년)
- 48장: 5권과 6권의 방향성에 대한 기번의 설명, 이라클로나스부터 알렉시오스 4세까지의 동로마 역사 정리
- 49장: 성상 파괴 논쟁, 카롤루스 대제의 서로마 황제 대관, 신성 로마 제국의 성립과 카를 4세까지의 역사
- 50장: 이슬람교와 무함마드의 등장, 이슬람 제국 성립, 수니파와 시아파로의 분열
- 51장: 이슬람 정복 시대, 이슬람 세력권에서의 기독교 세력 쇠퇴
- 52장: 동로마와 우마이야 왕조의 전쟁, 카롤루스 마르텔의 이슬람 서진 방어, 아바스 왕조의 등장과 쇠퇴, 동로마 제국의 반격
- 53장: 10세기 동로마 제국의 상황 정리, 프랑크인과 동로마인의 전술 설명, 7세기와 8세기에 동로마가 겪은 학문적 쇠퇴
- 54장: 바울파 박해, 서방의 카타리파 박해, 종교개혁과 가톨릭 교회의 영향력 약화
- 55장: 불가리아인과 마자르인의 이주, 키예프 루스와 동로마의 교류, 러시아의 정교회 개종
- 56장: 로베르 기스카르와 노르만인의 남이탈리아 정복과 오트빌 왕조의 흥망
- 57장: 셀주크 제국의 흥기와 만지케르트 전투의 영향
4.6. 6권(1788년)
- 58장: 십자군 전쟁의 기원, 제1차 십자군 원정과 예루살렘 왕국 수립
- 59장: 1차 십자군 당시 동로마의 정세, 제2차 십자군 원정과 제3차 십자군 원정, 살라딘의 예루살렘 정복, 제3차 십자군 원정부터 맘루크 왕조의 십자군 국가 축출까지의 역사
- 60장: 동서 대분열, 콤니노스 왕조의 몰락과 제4차 십자군 원정
- 61장: 라틴 제국의 역사
- 62장: 니케아 제국의 콘스탄티노폴리스 수복과 동로마 재건, 미하일 8세와 서방의 관계, 카탈루냐 용병의 반란
- 63장: 팔레올로고스 내전
- 64장: 몽골 제국의 서방 침공, 오스만 투르크의 출현
- 65장: 티무르 제국의 아나톨리아 침공, 오스만의 분열과 재건
- 66장: 팔레올로고스 왕조 말기의 동서 교회 통합시도, 바젤 공의회[3]와 피렌체-페라라 공의회[4]에서의 동서교회 통합 합의[5], 동로마 말기의 문화 부흥과 서방에 끼친 영향
- 67장: 피렌체 공의회 결과에 대한 동로마인의 반발, 바르나 십자군, 후녀디와 스칸데르베그의 활약, 콘스탄티노스 11세의 즉위
- 68장: 메흐메트 2세의 즉위와 치세,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과 동로마 제국의 멸망, 모레아 전제군주국과 트라페준타 제국의 멸망
- 69장: 중세 성기와 후기의 교황령 정세, 아비뇽 유수 시기
- 70장: 서방 교회의 분열과 재통합
- 71장: 로마 제국의 쇠망 원인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