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9 17:32:42

무적용사 사자왕

무적용사 사자왕 (1994)
ヤマトタケル
파일:무적용사사자왕_애니.jpg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장르 거대로봇
총감독 이우치 슈지
시리즈 구성
감독 모리타 후타(森田風太)
캐릭터 디자인 키시다 타카히로
메카 디자인 오오하타 코이치
미술 디자인 이토 카즈에(伊藤主計)
미술 감독 마츠미야 마사즈미(松宮正純)
아베 타이자부로(阿部泰三郎)
디자인 웍스 제로G룸(ゼロGルーム)
스튜디오 레스본스(スタジオレスポンス)
색채 설계 미야시타 마리(宮下眞理)
음악 데즈카 오사무(手塚 理)
Vink
음향 감독 다테 와타루(伊達 渉)
애니메이션 제작 닛폰 애니메이션
제작 TBS
ASATSU
닛폰 애니메이션
방영 기간 1994. 04. 09. ~ 1994. 12. 24.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TBS / (토) 17:3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투니버스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37화
국내 심의 등급 미정
}}}}}}}}}}}} ||

1. 개요2. 제작 관련3. 현지화 관련4. 시놉시스5. 작품의 특징6. 마공전신7. 등장 캐릭터
7.1. 주인공 일행7.2. 마공전사 (등장순서 순)7.3. 흑막7.4. 조연 캐릭터
8. 등장 메카
8.1. 마공전신 (등장순서 순)8.2. 그외의 메카
9. 회차 목록10. 에피소드 가이드11. OVA
11.1.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1994년 제작, 방영된 전 3쿨 37화의 사이언스 픽션 판타지 로봇 애니메이션. 37화는 총집편 겸 서비스적인 화에 가깝기 때문에 실제 스토리상에서의 최종화는 36화라 봐도 무방하다. 원제는 야마토타케루(ヤマトタケル)지만, 투니버스에서 방영된 한국판은 '무적용사 사자왕'으로 변경됐다.

총감독은 이우치 슈지, 감독은 모리타 후타. 캐릭터 디자인은 키시다 타카히로.

일본 현지에서는 TBS 테레비를 통해 1994년 12월까지 방영되었고, 국내에서는 영프로덕션[1]에서 우리말 제작, 투니버스를 통해 개국 초기인 1996년 웨딩 피치에 연달은 황금 시간대인 저녁 6시 30분부터 방영되었다. 때문에 당시 투니버스를 관심있게 시청한 이들에겐 크게 기억에 남을 것이다. 이후 투니버스에서 아침 시간대에 몇 차례 편성되었으며, 2003년 퀴니가 개국하면서부터는 퀴니를 통해 자주 재방영되었다.

방영 이후 긴 시간이 지나 현재는 찾아보기가 정말 힘든 애니 중 하나. 2000년대 초반 일간스포츠 '조이넷' 코너에서 유료 VOD 서비스를 했고, 이후 하나TV에 업로드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사라졌다. 해외 동영상 사이트인 Nosub.tv 에서 모두 감상할 수 있다. # OVA # 당연하게도 일본어판이다. 과거 우리말 더빙이 수록된 DVD가 정발된 적이 있어서 조금 오래된 음반매장이나 알라딘 매장에 가면 악성재고로 안 팔린 제품들을 구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2. 제작 관련

마법진 구루구루, 빨강머리 앤, 플랜더스의 개, 닐스의 모험 등 서정적 분위기의 작품으로 잘 알려진 닛폰 애니메이션사가 제작을 담당했으며, 당시까지의 행보가 로봇물과는 꽤 거리가 있었기에 과연 어느 정도의 결과를 보여줄 것인지 반신반의하는 반응이 많았다. 그러나 결과물은 그런 기우를 단번에 불식시킬 정도로 성공적인 평가. 오히려 아동층보다는 성인층에 크게 소구할 정도로 심오하고 플롯이 깊은 작품이 되었다.

한국판 성우진은 꽤 호화로운 편이다. 주인공 타케루(리키) 역에 박영남, 레귤러 캐릭터들에 이선호, 손정아, 설영범, 김민석, 손원일, 손종환, 김나연, 이계윤, 이재용, 전인배, 이지영, 이종혁 등 당시(1996년)로서는 투입 가능한 최상의 성우진을 캐스팅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이런 명성에 걸맞게 목소리 연기도 호연, 캐릭터들과 어마어마한 싱크로를 보여 가히 초월더빙이라고 해도 좋을 정도.
1기 오프닝 真夏の扉 1기 엔딩 RAIN
1기 오프닝과 엔딩 주제가를 GLAY가 불러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지금도 그렇지만 데뷔 초기인 당시에도 이들의 가창력은 크게 인정받던 터라, 말하자면 영혼기병 라젠카의 주제가를 넥스트가 담당했던 것 이상으로 파장을 모았다. 다만 워낙 몸값이 급하게 상승하던 중이라 후반부 및 비디오 등 2차 시장에서는 다른 가수를 기용할 수밖에 없었고, 그것이 그대로 한국판에 반영되었다.
2기 오프닝 2기 엔딩
하마자키 나오코가 부른 2기 오프닝 Flower of Desert와 엔딩 Twilight songs.


한국판에서도 곡과 가사를 거의 그대로 옮겼기 때문에, 방영 당시의 투니버스판을 본 이들은 매우 낯이 익을 것이다.

3. 현지화 관련

야마토타케루라는 제목에서 엿보이다시피, 이 작품은 고사기를 원전으로 한다.[2] 1994년 당시 일본에서 시도되었던 야마토타케루노미코토 관련 미디어믹스의 애니메이션 파트로 제작된 셈인데, 결과적으로는 영화 등 다른 미디어믹스에 비해 압도적인 인상을 남겼다. 다만 고전 그대로의 해석에 안주하지 않고, 원전을 새로운 시대에 맞게 재해석해 원전 속 인물들과 공간을 25세기라는 미래 시점의 별세계로 옮겨 오마쥬시켰다. 한마디로 이 애니메이션은 25세기판 고사기를 표방하는 작품인 것. 작품이 메카물이 된 것도 이런 연유.

한국판은 현지화 과정에서 각종 개명과 가지치기를 통해 이런 요소를 최대한 배제시켰기 때문에 설정이 비교적 단순해져 버렸다. 바꿔 말해, 원전과 이 작품간의 관계를 이해한다면 훨씬 심도있고 재미있게 볼 수 있다. 이 현지화 과정에서 캐릭터를 비롯한 작중 설정들을 무리하게 무국적화시켜 물을 빼느라 개명된 것들이 많다. 당장 제목부터가(!) 그렇고, 악역인 마공전사들의 경우는 아예 머리색 등으로 이름을 지정해버렸다. 예컨대 머리가 파란색이면 캐릭터 이름도 블루라든가(…).[3] 그나마 메카닉인 마공전신(魔空戰神)들은 그런대로 원래 명칭과 호응이 되게끔 개명한 편. 가령 가이오우→해왕(海王), 슈라노오→수라왕(修羅王) 등.[4]

고사기를 오마쥬한 작품답게 당연히 삼종신기도 나오는데, 이들 중 야타의 거울은 어째서인지 그대로 번역되었지만 아마노무라쿠모노츠루기()와 야사카니노마가타마(곡옥)는 각각 '용사의 검'과 '희망의 피리'로 개명당해버렸다. 그래도 현지화를 생각한다면 무난하게 번역된 셈이다. 주요 기체인 사자왕도 사실은 스사노오를 적당히 바꾼 이름이고, 작품의 흑막츠쿠요미[5]검은 마왕으로 난도질 개명당했다. 당시 현지화의 경향상 악역은 악역 티가 그대로 묻어나는 이름을 갖는 경우가 많긴 했지만 이렇게나 티를 내서야…. 그나마 최종 보스야마타노 오로치의 경우는 무난하게 '여덟 머리의 뱀'으로 개명되었다.

4. 시놉시스

서기 25세기, 전쟁으로 황폐화된 지구를 떠나 외계의 신천지 탐사를 나선 300명의 과학자들은 불의의 사고로 블랙홀에 말려들어가 화이트홀로 탈출, 외딴 행성이즈모[6]에 도착한다. 놀랍게도 이 별의 주민들은 귓바퀴 모양이 뾰족한 정도를 제외하면 외모부터 생활 양식까지 인류와 거의 다를 바 없는 종족이었고, 과학자들이 불시착한 야쿠모(야크) 마을은 목가적인 시골 마을로서 평화로운 곳이었다. 그렇게 인류의 개척자들은 외딴 행성에서 야크 마을의 주민들과 융화되어 새로이 정착을 시작했다. 주인공 타케루(리키)가 태어난 날짜는 탐사선이 이즈모에 불시착한 바로 그 날이었다.

그로부터 12년 후, 타케루는 100만년 전 이 별을 침공했다가 불의의 사고로 잠들어버린 마공전신 스사노오(사자왕)를 깨우게 되었고, 그로부터 모든 일은 시작된다. 우주공간에서 야마타노오로치의 부활을 위해 동분서주하던 츠쿠요미가 이 사실을 눈치채고 목적에 필요한 스사노오를 회수하기 위해 수하들을 파견하기 시작한 것이다. 그리하여 스사노오를 회수하고자 나타난 마공전사 미카즈치(블루)와 싸우던 타케루는 스사노오를 미처 통제하지 못한 채 폭주, 마을을 잿더미로 만들어버리고, 결국은 이즈모 주민 출신의 친구인 로카와 함께 야쿠모 마을에서 도망쳐나오기에 이른다. 그렇게 마을을 벗어나 여행을 떠나게 된 타케루와 로카는, 츠쿠요미의 야망을 저지해나가는 한편 마치 스사노오에 의해 이끌리듯이 수많은 사람들을 만나며 온갖 어려움을 극복해나가는 모험을 시작한다.

5. 작품의 특징

우선 특기할 것은, 로봇물의 외피를 쓰긴 했지만 기존 닛폰 애니메이션 작품들(닐스의 모험 등)과 마찬가지로 로드 무비, 버디 무비적 성격이 강하다는 것이다. 주인공 타케루(리키)와 스사노오(사자왕) 간의 관계는 주종관계나 건조한 파일럿-메카닉 관계라기보단 서로가 서로를 알아가며 의지해나가는 우정의 관계라고 볼 수 있으며, 전개 역시 메카닉간의 대결보다는 주인공 일행이 매 에피소드마다 거치는 장소에서 마주치는 주민들과의 화학 작용이 주가 된다고 볼수 있다.

적들의 설정 또한 그 각각에 충분한 개성을 부여하여, 소수 간부의 주도로 늘 다른 메카닉을 앞세워 도전해오는 여타 용자 시리즈와는 달리 적측 마공전사들이 순차적으로 주인공의 앞을 막아서며 그 역할을 다해 리타이어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고정 등장하는 것을 얼개로 한다. 그래서 이 작품을 보면 묘하게 악역들에게 정이 많이 가게 된다. 기본적으로 고사기를 오마쥬했다고는 하지만 연관성이 있는 것은 이름이나 아이템 등 매우 단편적인 요소고, 딱히 고사기 내용을 모르더라도 감상에 지장은 없다. 하지만 조금이라도 고사기 지식이 있으면 새롭게 재해석된 부분을 감지하여 탄성을 내뱉을 수 있을 정도로 이 작품의 스토리텔링은 뛰어난 편이다.

캐릭터 디자인은 닛폰 애니메이션의 전통대로 상당히 데포르메된, 심플한 모습을 취한다. 주인공 일행의 경우 전반적으로 4등신 정도이며, 성인이라 해도 5등신 정도. 그러나 여러가지 심적 상태를 표현하는 데 전혀 무리가 없던데다, 로봇 메카닉들의 경우 그다지 데포르메되지 않은 정석적인 디자인이었으므로 작화는 충분히 수준급이라 칭할 수 있다. 동시기 같은 제작사에서 만들어진 마법진 구루구루를 생각하면 되겠다. 장르는 판타지와 SF가 혼재되어, 원시적인 냉병기를 사용하는 왕국이 등장하는가 하면 우주선으로 행성을 여행하는 우주인까지 등장한다. 문명의 발달 정도는 지구로 치면 전체적으로 19세기 수준이라 칭할 수 있겠으나, 간혹 21세기 현재의 지구보다 더 발달된 문명이 등장하기도 한다. 일례로 본작에 등장하는 회색도시 인더스트리에는 이미 거대 2족 보행 로봇이 실용화되어 로봇을 이용한 격투기 시합이 엔터테인먼트로 정착되었을 정도였다.

심플한 캐릭터 디자인 때문에 저연령 타겟으로 오해할 수 있지만, 이들이 온전히 이해하기엔 작품 분위기가 전반적으로 심오하며 철학적이다. 개중엔 죄수의 딜레마를 상기시키는 에피소드도 있고, 최선을 위해 차선을 포기해야만 하는 선택지가 수시로 등장하며, 이 작품을 관통하는 주제 또한 그 스스로 별을 파괴하고자 탄생했으나 별을 구해야 할 사명을 짊어져버린 스사노오(사자왕)라는 모순적 존재의 패러독스, 순간의 만족을 얻고자 먼 장래를 내다보지 못하고 파멸을 자초하는 인간의 어리석음에 대한 질타 등이기 때문이다.[7] 작품 후반으로 갈수록 이러한 주제의식은 크게 고조되어 분위기는 더욱 어두워진다. 참고로 캐릭터 디자인 담당은 키시다 타카히로. 이 양반이 캐릭터 디자인을 맡은 첫 작품이기도 하다.[8]

6. 마공전신

파일:attachment/yama2.jpg

마공전신(魔空戰神)은 이 작품에 등장하는 주요 메카닉들을 일컫는 용어로 한국판에서는 마공로봇으로 개명당했다. 보다 엄밀히 정의하자면 작품의 흑막츠쿠요미(검은 마왕)가 오오키 은하 각지에 흩어진 8개의 드래곤볼 '오로치의 구슬'을 회수하기 위해 개발해낸, 가공할 능력을 지닌 생체 기계 거인이다. 츠쿠요미가 이들을 창조해낸 궁극적인 목적은 8개의 구슬을 한데 모아 우주의 카오스 에너지 응집체인 신룡 야마타노 오로치를 현신시키기 위한 것.

전신(戰神)이라는 명칭에 걸맞게 이들 기체는 그들 저마다 일반 로봇의 기능을 한참 뛰어넘는 출력을 발휘하며, 총 전력을 전개할 경우 심지어 행성을 붕괴시킬 정도의 위력을 갖고 있다. 또한 이들 머신의 몸을 이루는 금속은 이른바 생체 금속으로서 파괴나 절단을 당해도 머리만 건재하다면 얼마든 재생과 수복이 가능하며, 3단계의 탈피 과정을 거치면서 더욱 크게 변한다. 완전히 탈피하여 성장한 상태의 크기는 전장 30m 정도. 광물을 주 에너지원으로 삼으며 스사노오의 경우는 지면에 분출한 마그마를 식량으로 섭취하기도 했다. 엄마 얘 흙먹어

디자인적인 모티브는 종래의 다른 메카닉들과 달리 신상(神像), 불상(佛像) 등에서 차용한 것이 많다. 심지어 양산형 야라레메카들은 아예 차광기 토우를 모델로 삼았다. 주인공 타케루(리키)의 기체인 스사노오(사자왕)도 9대 마공전신 중 하나이며, 기본적으로는 마공전사로 철저하게 훈련받은 자만이 다룰 수 있다. 힘을 컨트롤하지 못하면 폭주하거나 최악의 경우 파일럿까지 죽이기 때문.발브레이브?

7. 등장 캐릭터

파일:attachment/yama1.jpg

고사기를 원전으로 하는 작품의 컨셉트를 존중하여, 명칭은 일본판을 기준으로 하고 한국판을 옆에 괄호로 병기한다.

7.1. 주인공 일행

7.2. 마공전사 (등장순서 순)

7.3. 흑막

7.4. 조연 캐릭터

8. 등장 메카

8.1. 마공전신 (등장순서 순)

8.2. 그외의 메카


파일:attachment/무적용사 사자왕/Togu.jpg

9. 회차 목록

<rowcolor=#373a3c,#dddddd> 회차 제목 시나리오 콘티 연출 작화감독 방영일
제1화 復活の巨人
부활하는 거인
이우치 슈지 야마모토 유스케
(山本裕介)
山田武流 日: 1994.04.09.
韓:
제2화 大いなる災い
크나큰 재난
후지모토 노부유키
(藤本信行)
이우치 슈지
콘도 노부히로 호소이 노부히로
(細井信宏)
日: 1994.04.16.
韓:
제3화 未知なる世界への旅立ち
미지의 세계로의 여행길
이우치 슈지 사이토 히로시
(斉藤 博)
사이토 지로
(斎藤次郎)
타니구치 모리야스 日: 1994.04.23.
韓:
제4화 オアシスの少女
오아시스의 소녀
사가 료
(沙賀 諒)
사카이 신지
(酒井伸次)
나나미 오사무
(七海 修)
日: 1994.04.30.
韓:
제5화 伝説の人マ・ホロバ
전설의 사람 마 호로바
키시마 노부아키
(岸間信明)
마사키 신이치
(政木伸一)
시마즈 이쿠오
(嶋津郁雄)
日: 1994.05.07.
韓:
제6화 沈黙のスサノオ
침묵의 스사노오
아미야 마사하루
(あみやまさはる)
요코타 카즈요시
(横田和善)
요코타 카즈요시
사이토 지로
호소이 노부히로 日: 1994.05.14.
韓:
제7화 砂漠のライオン
사막의 라이온
키시마 노부아키 니시무라 준지 후지모토 요시타카
(藤本義孝)
카사하라 아키라
(笠原 彰)
日: 1994.05.21.
韓:
제8화 宇宙船アメノウキフネ
우주선 아메노우키후네
아라키 켄이치
(荒木憲一)
콘도 노부히로 오카다 유키코
(岡田幸子)
日: 1994.05.28.
韓:
제9화 奇妙なライバル
기묘한 라이벌
카마타 히데미
(鎌田秀美)
야마모토 유스케
(山本裕介)
타니구치 모리야스 日: 1994.06.04.
韓:
제10화 奪われたスサノオ
빼앗긴 스사노오
키시마 노부아키 사가 사토시
(嵯峨 敏)
하가 히토시 日: 1994.06.11.
韓:
제11화 スサノオをとりもどせ
스사노오를 되찾아라
스즈키 이쿠 요시모토 타케시
(吉本 毅)
카사하라 아키라 日: 1994.06.18.
韓:
제12화 伝説の剣クサナギ
전설의 검 쿠사나기
아라키 켄이치 사이토 히로시 이시도 히로유키
(石堂宏之)
호소이 노부히로 日: 1994.06.25.
韓:
제13화 戦慄の魔神アラノオ
전율의 마신 아라노오
아미야 마사하루 사카이 신지 나나미 오사무 日: 1994.07.02.
韓:
제14화 謎の戦士オウカ
의문의 전사 오우카
세키지마 마요리 콘도 노부히로 시마즈 이쿠오 日: 1994.07.09.
韓:
제15화 海を渡るスサノオ
바다를 건너는 스사노오
카마타 히데미 마사키 신이치 타니구치 모리야스
요시다 토오루
日: 1994.07.16.
韓:
제16화 哀しみのオト
슬픔의 오토
이우치 슈지 칸바라 토시아키
(神原敏昭)
카사하라 아키라 日: 1994.07.23.
韓:
제17화 新たなるスサノオの誕生
새로운 스사노오의 탄생
사이토 지로 이가 타케시
(井賀 武)
日: 1994.07.30.
韓:
제18화 オウカ愛に死す
오우카 사랑에 죽다
야마모토 유스케
(山本裕介)
호소이 노부히로 日: 1994.08.06.
韓:
제19화 格闘機デスリング
격투기 데스링
아라키 켄이치 사가 사토시 마츠야마 코지
(松山光治)
日: 1994.08.13.
韓:
제20화 ミズホの掟
미즈호의 규정
카마타 히데미 사카이 신지 나나미 오사무 日: 1994.08.20.
韓:
제21화 名誉と栄光のためでなく
명예와 영광을 위해서가 아니라
야마구치 미히로
(山口美浩)
카사하라 아키라 日: 1994.08.27.
韓:
제22화 アマツミの罠
아마츠미의 함정
키시마 노부아키 사이토 히로시 이시도 히로유키 요시다 토오루 日: 1994.09.03.
韓:
제23화 ミズホ最後の日
미즈호 최후의 날
아라키 켄이치 克森和葉々 的場敦 七条武丸 日: 1994.09.10.
韓:
제24화 月に眠る人々
달에 잠든 사람들
카마타 히데미 사이토 지로 시마즈 이쿠오 日: 1994.09.17.
韓:
제25화 龍の揺り籠
용의 요람
야마모토 유스케
(山本裕介)
太井信窄 日: 1994.09.24.
韓:
제26화 月世界の地球人
달세계의 지구인
아라키 켄이치 마츠오 코우 하가 히토시 日: 1994.10.01.
韓:
제27화 キリオミの執念
키리오미의 집념
우시구사 타케시
(牛草 健)
나나미 오사무 日: 1994.10.08.
韓:
제28화 オトの秘密
오토의 비밀
이우치 슈지 요코타 카즈요시 요시다 토오루 日: 1994.10.22.
韓:
제29화 謎の少年カオン
의문의 소년 카온
카마타 히데미 사이토 지로 시마즈 이쿠오 日: 1994.10.29.
韓:
제30화 神の鳥アマノシラトリ
신의 새 아마노시라토리
아라키 켄이치 이시도 히로유키 호소이 노부히로 日: 1994.11.05.
韓:
제31화 オロチの脱け殻
오로치의 허물
우시구사 타케시 나나미 오사무 日: 1994.11.12.
韓:
제32화 黄泉の国のスサノオ
황천의 나라 스사노오
야마모토 유스케
(山本裕介)
코바야시 카츠토시
(小林勝利)
日: 1994.11.19.
韓:
제33화 最後の試練
최후의 시련
카마타 히데미 요코타 카즈요시 요시다 토오루 日: 1994.11.26.
韓:
제34화 ヤクモの戦い
야쿠모의 싸움
사가 사토시 마츠오 코우 마츠야마 코지 日: 1994.12.03.
韓:
제35화 突入! 魔空要塞
돌입! 마공요새
야타베 카츠요시 우시구사 타케시 나나미 오사무 日: 1994.12.10.
韓:
제36화 光る風ヤマトタケル
빛나는 바람 무적용사 사자왕
이우치 슈지 이시도 히로유키 호소이 노부히로 日: 1994.12.17.
韓:
제37화 みんな元気
모두 잘지내
사이토 지로 요시다 토오루 日: 1994.12.24.
韓:

10. 에피소드 가이드

11. OVA



파일:attachment/yomi.jpg

야마토 타케루 ~After War~.

본편의 결전으로부터 3년 후를 무대로, 텔레비전판에서 미처 다루지 못했던 내용을 총 47분 2화의 내용으로 편집한 OVA. 본편에서 끝까지 드러나지 않은 주요 복선인 츠쿠요미(검은 마왕)와 오토의 비밀을 파해하는 과정을 담고 있다. 이 OVA에서는 본편에서 요새와 함께 잠들었던 마공전신인 슈라노오(수라왕)가 스사노오(사자왕)의 새로운 적수로 등장한다.

이 작품에서 스사노오는 3단계로 탈피하여 리타이어당했던 마공전신들, 마공전사들의 원념이 합체한 괴물과 싸우다가 검으로 태양빛을 비춰서 원념들을 성불시키고, 최종적으로는 오토와 함께 밤의 별로 떠나는 츠쿠요미를 추격해 타케루와 오토를 탈출시킨 후[15] 개심한 미카즈치의 혼과 함께 츠쿠요미를 붙잡고 태양에 뛰어들어 동귀어진한다. 그야말로 쫑을 내버린 셈이다.

11.1. 관련 문서



[1] 계몽사 계열 외주 제작사[2] 야마토타케루노미코토는 고사기에 등장하는 영웅이다.[3] 이 작품 등장 인물들의 이름은 대부분 일본의 신화나 설화에서 차용한 것들이다.[4] 원판에서 마공전신의 명칭들은 한자가 아닌 가타카나로 표기되지만, 일단 한자를 음독한 것으로 이해하면 무리가 없다.[5] 일본 신화에서 달의 신이 갖는 이름.[6] 고사기에 등장하는 지명. 야마타노오로치가 난동을 부린 그 땅이다.[7] 이미 프롤로그에서부터 인간이 핵전쟁으로 지구를 황폐화시킨 사실을 짚고 들어간다.[8] 지금이야 20년 넘게 이 바닥에서 경륜을 쌓은 캐릭터 디자이너였지만 이 때만 하더라도 TVA 신비한 바다의 나디아NG기사 라무네&40 일부 원화를 맡은 것이 경력의 전부 다시피 했다. 2012년 8월 기준으로 그가 캐릭터 디자인을 맡은 최신작이 바로 2011년을 뜨겁게 달구었던 그 마법소녀물. 물론 어디까지나 애니메이션 작화에 쓰이는 캐릭터 디자인을 말하며, 캐릭터의 원안 담당은 아오키 우메.[9] 신화에서 폭풍신 스사노오가 오로치로부터 뽑아낸 천총운검을 직접 휘둘렀던 영웅이다.[10] 원판에서는 요미노(황천의) 타케루.[11] OVA에서 슈라노오가 낙하하여 이즈모 마을을 습격하여 오랜만에 가동한 스사노오와 잠시 붙어보지만, 2형태 스사노오의 공격은 전혀 통하지 않는 방어력과 몇 합만에 스사노오의 팔을 절단하고 호수에 쓰레기 치우듯이 치워버리는 무시무시한 전투력을 보여준다.[12] 물론 아몬이 조종하는 건 아니고, 츠쿠요미, 혹은 츠쿠요미에게 세뇌당한 미카즈치의 영혼이 조종하는 상태였다.[13] 원래 의미대로면 시간왕 내지는 시왕이 맞는데 수리왕으로 개명되었다.[14] 다른 마공전신들은 가슴 중앙부에 구형의 조종석 외벽이 노출되어 있다.[15] 타케루가 탈출 캡슐로 탈출할 때 마지막으로 혼잣말로 스사노오를 부를때 스사노오가 타케루를 쳐다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