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28 06:23:51

물계자

삼국사기(三國史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word-break: keep-all; min-height:(25/18*1em +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4a2d5b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1권 「신라 1권 (新羅 一)」 2권 「신라 2권 (新羅 二)」
혁거세 · 남해 · 유리 · 석탈해 · 파사 · 지마 · 일성 아달라 · 벌휴 · 내해 · 조분 · 첨해 · 미추 · 유례 · 기림 · 흘해
3권 「신라 3권 (新羅 三)」 4권 「신라 4권 (新羅 四)」 5권 「신라 5권 (新羅 五)」
내물 · 실성 · 눌지 · 자비 · 소지 지대로 · 원종 · 김삼맥종 · 김사륜 · 김백정 김덕만 · 김승만 · 김춘추
6-7권 「신라 6-7권 (新羅 六-七)」 8권 「신라 8권 (新羅 八)」 9권 「신라 9권 (新羅 九)」
김법민 김정명 · 김이홍 · 김융기 김승경 · 김헌영 · 김건영 · 김양상
10권 「신라 10권 (新羅 十)」 11권 「신라 11권 (新羅 十一)」
김경신 · 김준옹 · 김청명 · 김언승 · 김수종 · 김제융 · 김명 · 김우징 김경응 · 김의정 · 김응렴 · 김정 · 김황 · 김만
12권 「신라 12권 (新羅 十二)」 13권 「고구려 1권 (高句麗 一)」 14권 「고구려 2권 (高句麗 二)」
김요 · 박경휘 · 박승영 · 박위응 · 김부 고주몽 · 고유리 고무휼 · 고색주 · 고해우
15권 「고구려 3권 (高句麗 三)」 16권 「고구려 4권 (高句麗 四)」 17권 「고구려 5권 (高句麗 五)」
고궁 · 고수성 고백고 · 고남무 · 고연우 고우위거 · 고연불 · 고약로 · 고상부 · 고을불
18권 「고구려 6권 (高句麗 六)」 19권 「고구려 7권 (高句麗 七)」 20권 「고구려 8권 (高句麗 八)」
고사유 · 고구부 · 고이련 · 고담덕 · 고거련 고나운 · 고흥안 · 고보연 · 고평성 · 고양성 고원 · 고건무
21-22권 「고구려 9-10권 (高句麗 九-十)」 23권 「백제 1권 (百濟 一)」
고장 부여온조 · 부여다루 · 부여기루 · 부여개루 · 부여초고
24권 「백제 2권 (百濟 二)」
부여구수 · 부여사반 · 부여고이 · 부여책계 · 부여분서 · 부여비류 · 부여계 · 부여구 · 부여수 · 부여침류
25권 「백제 3권 (百濟 三)」
부여진사 · 부여아신 · 부여전지 · 부여구이신 · 부여비유 · 부여경사
26권 「백제 4권 (百濟 四)」 27권 「백제 5권 (百濟 五)」 28권 「백제 6권 (百濟 六)」
부여문주 · 부여삼근 · 부여모대 · 부여사마 · 부여명농 부여창 · 부여계 · 부여선 · 부여장 부여의자
금석문 및 문헌기록상 신라 최초로 성씨를 사용한 왕은 진흥왕임
* 29~31권까지 연표
* 32~40권까지 잡지
}}}}}}}}}}}}
{{{#!folding [ 열전(列傳) ]
}}} ||


1. 개요2. 상세

1. 개요

勿稽子
(? - ?)

신라 초기 내해 이사금 시대의 장수.

2. 상세

삼국사기에 열전이 있는데, 집안은 평범하고 작았지만 어릴 때부터 기개가 있었다고 한다.

한반도 남부의 여덟 나라가 연합을 결성해 안라국을 공격하자(포상팔국 전쟁), 안라의 사신이 힘이 부족해 신라에 구원군을 요청했다. 석우로를 대장으로 출진했는데 이 전쟁에서 물계자는 큰 공을 세웠지만 왕손에게 미움을 사서 그 공이 기록되지 않았다고 한다. 어떤 사람이 공을 인정받지 못해 원망스럽다고 왕에게 말하지 않냐고 묻자 공을 자랑하는 것은 지사(志士)가 할 일이 아니라고 대답했다.

이후 3년 뒤 패배했던 포상팔국 중 골포국, 칠포국, 고사포국 세 나라가 3년 뒤 신라 수도 경주시의 동남쪽인 갈화성, 즉 지금의 울산으로 보복하러 쳐들어왔지만 내해 이사금이 직접 물계자 등을 부장으로 거느리고 친정에 나서 세 나라의 군사를 패배시켰다. 여기서도 물계자는 수십여 명을 잡아 목베는 공을 세웠지만 이번에도 그 사이가 안 좋았던 왕족의 모함을 받았는지 공을 인정받지 못해, 결국 긴생머리를 풀고 거문고를 가지고 사체산(師彘山)으로 들어가 평생 나오지 않았다고 한다.

위와 같은 간략하고 안타까운 인생을 살았던 인물이지만.. 공을 기록받지 못하고 인정받지 못했다는데 어째서 천년쯤 지난 고려시대 김부식삼국사기를 편찬할 시점까지 물계자의 저런 억울한 일화가 멀쩡히 전해졌는지 의문. 포상팔국 전쟁 이후 어느 시점에 물계자의 군공에 대해 재평가가 있었던 듯 하다.

현대 학계에서 물계자 열전에서 주목하는 것은 물계자라는 사람 자체보다는 고대 한반도의 국제전쟁이었던 포상팔국 전쟁의 전황이 꽤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는 게 훨씬 더 큰 상황이다. 거의 아오안인 다른 열전의 수많은 인물들보다야 낫기는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