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12-30 00:34:04

민애왕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be673>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남해 차차웅 유리 이사금 탈해 이사금
<rowcolor=#fbe673>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파사 이사금 지마 이사금 일성 이사금
<rowcolor=#fbe673>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벌휴 이사금 내해 이사금 조분 이사금 첨해 이사금
<rowcolor=#fbe673>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미추 이사금 유례 이사금 기림 이사금 흘해 이사금
<rowcolor=#fbe673>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내물 마립간 실성 마립간 눌지 마립간 자비 마립간
<rowcolor=#fbe673>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소지 마립간 지증왕 법흥왕 진흥왕
<rowcolor=#fbe673>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진지왕 진평왕 선덕여왕 진덕여왕
<rowcolor=#fbe673>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2대
태종 무열왕 문무왕 신문왕 효소왕
<rowcolor=#fbe673> 제33대 제34대 제35대 제36대
성덕왕 효성왕 경덕왕 혜공왕
<rowcolor=#fbe673>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선덕왕 열조 원성왕 소성왕 애장왕
<rowcolor=#fbe673> 제41대 제42대 제43대 제44대
헌덕왕 흥덕왕 희강왕 민애왕
<rowcolor=#fbe673> 제45대 제46대 제47대 제48대
신무왕 문성왕 헌안왕 경문왕
<rowcolor=#fbe673> 제49대 제50대 제51대 제52대
헌강왕 정강왕 진성여왕 효공왕
<rowcolor=#fbe673> 제53대 제54대 제55대 제56대
신덕왕 경명왕 경애왕 경순왕
}}}}}}}}}

민애왕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신라의 왕자
[[틀:신라의 왕자/태종 무열왕 ~ 경순왕|{{{#!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fbe673;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21970, #7C2A8D 20%, #7C2A8D 80%, #621970);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문무왕 · 김인문 · 김문왕 · 김노차 ·
김인태 · 김지경 · 김개원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김삼광 · 김원술 · 김원정 · 김장이 · 김원망 · 김군승
효소왕 · 성덕왕 · 김근질 · 김사종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영왕(김의관)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흥평왕(김위문)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혜충왕(김인겸) · 헌평태자 · 혜강왕(김예영)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애장왕 · 김체명
정교부인의 남편 · 심지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양자
신덕왕
밀성대군 · 고양대군 · 속함대군 · 죽성대군 · 사벌대군 · 완산대군 · 강남대군 · 월성대군
금성대군 · 계림대군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국왕 · 추존 국왕 · 왕후 · 추존 왕비 · 태자
왕자 : 혁거세 거서간 ~ 문흥왕 · 태종 무열왕 ~ 경순왕
왕녀 : 혁거세 거서간 ~ 진안 갈문왕 · 태종 무열왕 ~ 경순왕
※ 이름이 있거나 성년까지 생존한 인물만 기재
※ 『화랑세기』 에만 등장하는 경우는 제외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537B, #006494 20%, #006494 80%, #01537B);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진덕왕조 중시 죽지
무열왕조 중시 문충 | 김문왕
문무왕조 중시 문훈 | 진복 | 지경 | 예원 | 천광 | 춘장 | 천존
신문왕조 중시 순지 | 대장 | 원사 | 선원
효소왕조 중시 원선 | 당원 | 순원
성덕왕조 중시 원훈 | 원문 | 신정 | 문량 | 위문 | 효정 | 사공 | 문림 | 선종 | 윤충
효성왕조 중시 의충 | 신충
경덕왕조 중시 유정 | 대정
시중 대정* | 조량 | 김기 | 염상 | 김옹 | 양상
혜공왕조 시중 김은거 | 정문 | 김순 | 주원
원성왕조 시중 제공 | 종기 | 준옹 | 숭빈 | 언승 | 지원 | 김삼조
소성왕조 시중 충분
애장왕조 시중 수승 | 김헌창
현덕왕조 시중 양종 | 원흥 | 장여 | 김충공 | 영공
흥덕왕조 시중 김우징 | 윤분 | 김명
희강왕조 시중 이홍
민애왕조 시중 헌숭
문성왕조 시중 의종 | 양순 | 김여 | 위흔 | 김계명
경문왕조 시중 위진 | 인흥
헌강왕조 시중 예겸 | 민공
정강왕조 시중 준흥
효공왕조 시중 계강 | 효종
경명왕조 시중 유렴 | 언옹
* 경덕왕 6년 중시를 시중으로 고쳐 부름.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537B, #006494 20%, #006494 80%, #01537B);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철부 김구해 김거칠부 김세종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수을부 을제 수품 비담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알천 금강 김유신 김군관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진복 김문영 김개원 인품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배부 김사공 김정종 김사인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신충 만종 신유 김양상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김경신 충렴 세강 김언승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2대
김숭빈 김수종 김충공 김균정
제33대 제34대 제35대 제36대
김명 김귀 장보고 김예징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김의정 김안 김정 위진
제41대 제42대 제43대 제44대
김위홍 준흥 김성 계강
제45대 제46대
박위응 김성
문헌상 기록이 확인된 인물
김춘추, 김순정, 김옹, 김주원
}}}}}}}}}


신라 제33대 상대등
<colbgcolor=#4A2D5B><colcolor=#fbe673>
신라 제44대 국왕
민애왕 | 閔哀王
파일:민애왕릉.jpg
민애왕릉 전경.
출생
(음력)
817년
신라 금성
사망
(음력)
839년 1월 23일 (향년 22세)[1]
신라 금성
능묘 민애왕릉(閔哀王陵)
재임기간
(음력)
신라 제33대 상대등
837년 1월 ~ 838년 1월 (1년)
재위기간
(음력)
신라 제44대 국왕
838년 1월 ~ 839년 1월 23일 (1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4a2d5b><colcolor=#fbe673> 본관 경주 김씨
명(明) / 기(肌)[2]
부모 부왕 선강왕
모후 귀보부인 박씨[3]
형제자매 문목왕후[4], 정교부인[5], 조명부인[6]
왕후 윤용왕후 김씨
종교 불교
시호 민애대왕(閔哀大王)
별호 민애대왕(敏哀大王)[7]
골품 진골(真骨)
직위 상대등(上大等) }}}}}}}}}

1. 개요2. 생애3. 기타4. 대중매체에서5. 《삼국사기》 기록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신라의 제44대 군주.

아버지는 열조 원성왕(제38대)의 장남인 혜충태자 김인겸의 4남 대아찬 김충공(金忠恭)으로 훗날 '선강대왕'(宣康大王)으로 추봉되었다. 어머니는 귀보부인(貴寶夫人) 박씨이다.《삼국유사》에서는 귀보부인이 혜충태자의 딸로 나와 있는데, 《삼국사기》에서 김헌정의 아들인 희강왕(제43대, 김제륭)이 헌덕왕(제41대, 김언승)의 동생으로 나오는 기록도 있어서, 귀보부인을 김헌정의 딸로 보고 김충공과 귀보부인의 5촌혼이 이뤄졌다고 보는 것이 합당하다는 설도 있다.

누이 중 하나는 희강왕의 왕후인 문목왕후였으며, 나머지는 김균정의 부인들이자 각각 신무왕(제45대, 김우징)과 헌안왕(제47대, 김의정)의 생모인 정교부인조명부인이다.

왕후는 각간 영공의 딸인 윤용왕후 김씨(允容王后 金氏)이다.

2. 생애

민애왕 김명이 태어난 해는 817년으로 경문왕(제48대)때 팔공산 동화사에 세운 3층 석탑에 들어가 있던 사리합에서 나온 <민애왕석탑사리합기>에 적혀 있는 것을 토대로 역산한 것이다. 흥덕왕(제42대, 김수종)과 함께 생몰이 알려진 몇 안되는 신라 후기의 임금이다. 민애왕의 생년은 《삼국사기》 등 문헌 기록에는 일절 나오지 않고, 석탑 사리합이 알려진 것이 비교적 최근이었기 때문이다. <민애왕석탑사리합기>에 따르면 흥덕왕 10년(835년) 17세의 나이로 시중이 되었다. 신무왕이 되는 김우징의 아버지 김균정이 상대등이 됨과 동시에 자연스레 물러나면서 대아찬이었던 그가 후임이 된 것인데 후에 왕위 쟁탈전을 벌이는 두 파벌을 적절히 견제하려는 흥덕왕의 의도로 풀이된다.

흥덕왕의 태자였던 김충공의 적자인 김명이 왕위 쟁탈전에 참여하지 않고, 후에 희강왕이 되는 김제륭을 지지한 이유는 아무래도 나이도 비슷한데다가 권력이 강한 5촌 당숙이자 처남인 김균정을 지지하는 것보다 김제륭을 지지함으로써 힘의 균형을 맞추려고 한 것으로 추정된다. 혹은 김제륭이 김인겸계(열조 원성왕의 장남)의 양자로 들어가서 김충공 다음의 위치에 올랐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해볼 수 있다. 이는 김예영계(열조 원성왕의 3남)에 대한 김인겸계의 배려 정책일 가능성도 있다. 물론 그의 아버지 김충공이 흥덕왕 치세때 살아있었다면 태자로 있었던 것으로 보이지만 결국 형제 계승을 지속적으로 해오던 신라의 모습을 살펴보면 그보다 족보상으로 위에 있는 김제륭이 당연히 우위에 있게 된다.

그래서 김명은 흥덕왕의 친조카임에도 불구하고 왕위 쟁탈전의 직접 대상이 아니라 후원자가 되어 나타나게 된다. 이는 희강왕이 즉위한 이후 김명이 상대등이 된 것을 보면 그러하다. 또한 김균정의 경우, 김인겸계 계통이 전혀 아닌 철저하게 김예영계의 입장에 서 있었을 것이고, 그의 장성한 아들 김우징의 입장에서는 자신의 아버지가 왕위에 오르면 자연스럽게 그에게 왕위 계승이 이어지는 것이었기 때문에 이를 보다 활용하고자 싶은 마음이 컸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김충공 사후 김균정이 상대등 지위를 이어받은 것을 기점으로 그 왕위에 대한 욕심이 커졌을 것이다.

결국 김명은 흥덕왕 사후 벌어진 왕위 쟁탈전에서 아찬 김이홍(利弘)(제32대 효소왕과 다른 사람)과 함께 김제륭을 차기 신라 국왕으로 밀었다. 이 과정에서 또 다른 유력한 왕위 계승권자였던 김균정은 적판궁에서 살해당했고, 김균정의 아들인 김우징과 태종 무열왕의 후손인 김양은 도망갔는데 김양은 이때 배훤백으로부터 화살까지 맞았다고 한다. 이에 김제륭이 즉위해 희강왕이 되었고, 다음해에 김명을 상대등, 김이홍은 시중으로 높였다.

문제는 김우징이 청해진장보고에게 도망가고, 그쪽으로 왕족들이 합류함으로서 위기가 고조되고 있었다는 것이다. 추측이기는 하지만 희강왕은 종형제인 김우징이 청해진에서 세력을 다시 일으키려고 한다는 것을 듣고 그를 회유하기 위해 자녀들간의 혼례를 추진하였을 가능성도 있다. 실제로도 희강왕의 아들인 김계명은 신무왕 김우징의 딸 광화부인과 혼인해 경문왕(제48대, 김응렴)을 낳기도 했다. 이렇게 희강왕의 아들 김계명이 김우징의 딸 광화부인과 이 시점에 혼인을 했다면 김우징은 사돈이자 미래의 국구로서 이전보다 더한 권세를 누릴 수 있었을 것이었다.

그런데 이렇게 되면 희강왕의 처남이던 김명으로서는 본인 스스로 왕위계승권이 있음에도 희강왕 즉위를 도왔는데 오히려 권력에서 밀려나는 어찌보면 토사구팽을 당하는 신세로 전락할 수 있었다. 희강왕과 김우징은 원성왕의 차남 김예영의 후계였고, 김명은 흥덕왕과 같이 원성왕의 장남 김인겸의 후계였기에 더욱 배신감이 들었을 수도 있다. 이에 838년 김명이 쿠데타를 다시 일으켜 희강왕은 자살하고, 김명이 민애왕으로 즉위했다.

즉위 후 이미 고인이던 아버지 김충공을 '선강대왕'으로 추증하고 상대등에는 이찬 김귀(金貴), 시중에는 아찬 김헌숭(金憲崇)을 임명했다. 민애왕의 재위 기간은 약 1년인데 김우징파와 싸운 것 이외에 왕으로써 뭘 했는지는 기록이 적어서 알 수가 없다. 기껏 찾아봐야 이찬 김귀(金貴)를 상대등, 아찬 김헌숭(憲崇)을 시중으로 삼았다는 것들 정도이다. 사실 김우징파와 싸우는 기간을 감안하면 전국통치해보지도 못했을 듯하다.

민애왕이 즉위하던 시점에 이미 청해진에 의탁한 김우징의 세력은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커져 있었는데 아무래도 김우징은 희강왕 때부터 자신의 세력을 모았던 듯하다. 그러다가 민애왕이 쿠데타를 다시 일으켜 희강왕을 죽이자 희강왕 시해를 명분으로 삼고, 반란을 일으킨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보면 민애왕은 즉위식이나 당나라와의 외교도 제대로 못하고 운명이 걸린 달벌대전에 뛰어들었을 가능성이 높다.

838년 2월, 김우징이 드디어 청해진(지금의 전라남도 완도군)에서 장보고의 군사 5,000명을 빌렸고, 838년 12월, 평동장군 김양을 필두로 염장(閻長)·장변(張弁)·정연(鄭年)·낙금(駱金)·장건영(張建榮)·이순행(李順行) 등을 거느린채 왕위를 되찾기 위한 반란을 일으켰다. 무주(지금의 광주광역시)로 진격한 반란군은 파죽지세경주 월성을 향해 진격해 들어갔다. 민애왕은 김민주(金敏周) 등을 파견하여 무주 철야현(鐵冶縣 : 지금의 나주시 부근)에서 반란군을 맞아 싸우게 했으나 패배했고, 그대로 달벌(達伐 : 지금의 대구광역시)까지 밀려버렸다.

839년 1월 23일, 김우징의 군대를 상대하기 위해 달벌에 무려 100,000명의 대군을 파견하여 수적으로 우세했다. 장보고가 합세한 김우징 군대의 규모는 몇 천명에 불과했다고 전한다. 하지만 기록에 따르면 이 달벌 전투에서 100,000명 중 반 이상이 괴멸당했다고 한다. 엄청난 수적 우세에도 불구하고 신라 중앙군은 역대급 패전을 기록한 것이다. 당시 신라의 인구를 볼 때 100,000명이면 실로 어마어마한 수의 병력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만큼 거대한 규모의 전투였던 것이다. 이런 위기 속에서 민애왕은 별궁인 월유택(月遊宅)으로 도망갔으나 끝내 김양을 따르는 병사들에 의해 시해당하고 말았다.

민애왕 시해후 비록 정권이 바뀌고, 김우징 세력의 입장에서 민애왕이 부당한 방식으로 임금이 된 것이었지만 그래도 한때 임금이었던 사실은 인정해 여러 신하들이 예를 갖추어 대왕의 예로 장사를 지냈고, 시호시법에서 동정하는 의미의 글자들을 써서 '민애'(閔哀)라 했다. 그리고 훗날 863년 동화사 비로암에 경문왕이 옛 민애왕의 추모를 위해 3층 석탑을 조성하고 발원 내용을 적은 사리합을 안치했는데 해당 사리합에서 민애왕을 '민애대왕'(敏哀大王)으로 높여 부르고 있다.

때문에 훗날의 우왕, 연산군, 광해군 등이 폐위당한 뒤 왕이었던 사실조차 부정당한 것과 달리 민애왕은 사후에는 크게 책임을 묻지 않고 역대 임금 중 1명으로 인정되었던 것이 문헌상의 기록과 교차검증되고 있다. 《삼국사기》에 장지에 관한 기록이 없어 알 수 없지만 현재 경상북도 경주에는 민애왕릉이라고 전해오는 왕릉이 있기는 하나 신라왕릉 문서에서 볼 수 있듯 후대에 후손들이 비정한 것으로 정확하다고 단언할 수 없는 상태이다. 혹은 이근직 교수 등의 학계에서는 주인을 알 수 없는 특이한 모양의 구정동 방형분이 민애왕릉이라고 추정하는 주장도 있다.

3. 기타

4. 대중매체에서

5.삼국사기》 기록

삼국사기(三國史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word-break: keep-all; min-height:(25/18*1em +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4a2d5b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1권 「신라 1권 (新羅 一)」 2권 「신라 2권 (新羅 二)」
혁거세 · 남해 · 유리 · 석탈해 · 파사 · 지마 · 일성 아달라 · 벌휴 · 내해 · 조분 · 첨해 · 미추 · 유례 · 기림 · 흘해
3권 「신라 3권 (新羅 三)」 4권 「신라 4권 (新羅 四)」 5권 「신라 5권 (新羅 五)」
내물 · 실성 · 눌지 · 자비 · 소지 지대로 · 원종 · 김삼맥종 · 김사륜 · 김백정 김덕만 · 김승만 · 김춘추
6-7권 「신라 6-7권 (新羅 六-七)」 8권 「신라 8권 (新羅 八)」 9권 「신라 9권 (新羅 九)」
김법민 김정명 · 김이홍 · 김융기 김승경 · 김헌영 · 김건영 · 김양상
10권 「신라 10권 (新羅 十)」 11권 「신라 11권 (新羅 十一)」
김경신 · 김준옹 · 김청명 · 김언승 · 김수종 · 김제융 · 김명 · 김우징 김경응 · 김의정 · 김응렴 · 김정 · 김황 · 김만
12권 「신라 12권 (新羅 十二)」 13권 「고구려 1권 (高句麗 一)」 14권 「고구려 2권 (高句麗 二)」
김요 · 박경휘 · 박승영 · 박위응 · 김부 고주몽 · 고유리 고무휼 · 고색주 · 고해우
15권 「고구려 3권 (高句麗 三)」 16권 「고구려 4권 (高句麗 四)」 17권 「고구려 5권 (高句麗 五)」
고궁 · 고수성 고백고 · 고남무 · 고연우 고우위거 · 고연불 · 고약로 · 고상부 · 고을불
18권 「고구려 6권 (高句麗 六)」 19권 「고구려 7권 (高句麗 七)」 20권 「고구려 8권 (高句麗 八)」
고사유 · 고구부 · 고이련 · 고담덕 · 고거련 고나운 · 고흥안 · 고보연 · 고평성 · 고양성 고원 · 고건무
21-22권 「고구려 9-10권 (高句麗 九-十)」 23권 「백제 1권 (百濟 一)」
고장 부여온조 · 부여다루 · 부여기루 · 부여개루 · 부여초고
24권 「백제 2권 (百濟 二)」
부여구수 · 부여사반 · 부여고이 · 부여책계 · 부여분서 · 부여비류 · 부여계 · 부여구 · 부여수 · 부여침류
25권 「백제 3권 (百濟 三)」
부여진사 · 부여아신 · 부여전지 · 부여구이신 · 부여비유 · 부여경사
26권 「백제 4권 (百濟 四)」 27권 「백제 5권 (百濟 五)」 28권 「백제 6권 (百濟 六)」
부여문주 · 부여삼근 · 부여모대 · 부여사마 · 부여명농 부여창 · 부여계 · 부여선 · 부여장 부여의자
금석문 및 문헌기록상 신라 최초로 성씨를 사용한 왕은 진흥왕임
* 29~31권까지 연표
* 32~40권까지 잡지
}}}}}}}}}}}}
{{{#!folding [ 열전(列傳) ]
}}} ||

一年春一月 민애왕이 즉위하다
一年春一月 아버지를 추증하고 어머니를 선의태후로 삼았으며, 부인을 윤용왕후로 삼다
一年春一月 김귀를 상대등으로, 헌숭을 시중으로 삼다
一年春二月 우징청해진 대사 궁복의 도움으로 군사를 일으키다
一年冬十二月 김양이 평동장군이 되어 김민주의 군대를 철야현에서 대파하다
二年春閏一月十九日 김양군대가 달벌 언덕에 이르다
二年春閏一月 왕군이 패하고, 김양의 군사가 왕을 시해하다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0.85em; letter-spacing: -1.5px"
선도성모 은열왕 문열왕 감문왕 문의왕 장무왕 장렬왕
 
朴1
시조 혁거세왕
알영
 
 
 
朴2
남해왕
운제 청평군 박민 세조 알지왕 사요왕
 
 
 
 
 
朴3
유리왕
아효
昔4
시조 탈해왕
지소례왕 일지왕 태조 성한왕 사요왕의 딸
 
 
 
 
 
朴7
일성왕
朴5
파사왕
석구추 김아도 허루왕
 
 
 
 
朴8
아달라왕
朴6
지마왕
昔9
벌휴왕
김수류 마제왕
 
 
 
 
 
 
아도왕 세신왕 이칠왕 김욱보
 
 
 
 
 
 
 
昔11
조분왕
昔12
첨해왕
昔10
내해왕
술례부인
구도왕
 
 
 
 
 
 
 
 
 
 
 
 
 
 
 
昔14
유례왕
석걸숙 내음왕 석우로 광명부인
金13
미추왕
김말구
 
 
 
 
 
 
昔15
기림왕
昔16
흘해왕
金17
내물왕
김대서지
 
 
 
 
 
 
金19
눌지왕
파호왕
 
 
김미사흔 金18
실성왕
 
 
 
 
金20
자비왕
습보왕
 
 
김내숙
 
 
 
 
 
 
 
 
金21
소지왕
金22
지증왕
 
 
선혜부인 김물력
 
 
 
 
 
 
 
聖23
법흥왕
입종왕
 
 
김거칠부
 
 
 
 
聖24
진흥왕
김숙흘종
 
 
 
 
 
 
 
 
복승왕 동륜왕 만천왕 聖25
진지왕
 
 
김만명
 
 장인
 
 
 
 
 
 
 
 
 
마야부인
김행의
聖26
진평왕
진정왕 진안왕
문흥왕 김마차
 
 
 
 
 
 
 
 
 
 
 
 
 
 
 
聖27
선덕왕
김천명 비담 聖28
진덕왕
김알천 眞29
태종 무열왕
현성왕 흥무왕
 
 
 
 
 
眞30
문무왕
김인문 무열왕의 딸
신영왕
 
 
 
眞31
신문왕
 
흥평왕
 
 
 
 
 
 
眞32
효소왕
眞33
성덕왕
 
명덕왕
 
 
 
 
 
 
 
 
개성왕
김사소 효상태자 眞34
효성왕
眞35
경덕왕
김주원 眞38
열조 원성왕
 
 
 
 
 
 
 
 
 
眞37
선덕왕
眞36
혜공왕
김헌창 혜충왕 헌평태자 혜강왕
 
 
 
 
 
 
眞39
소성왕
眞41
헌덕왕
眞42
흥덕왕
선강왕 익성왕 성덕왕
 
 
 
 
 
 
 
 
 
 
 
 
眞40
애장왕
헌덕왕태자 ? 眞44
민애왕
眞43
희강왕
眞45
신무왕
眞47
헌안왕
 
 
 
 
 
의공왕 眞46
문성왕
궁예(?)
 
 
 
 
 
 
 
성무왕 ? 眞48
경문왕
혜성왕 문성왕태자 문성왕의 딸
 
 
 
 
 
 
 
선성왕 흥렴왕
박정화 眞49
헌강왕
眞50
정강왕
眞51
진성왕
의흥왕
 
양부 
 
 
 
 
 
 
 
朴53
신덕왕
김의성 김계아 眞52
효공왕
김억렴 신흥왕
 
 
 
 
朴54
경명왕
朴55
경애왕
眞56
경순왕
 
 
 
 
박언창 박언침 마의태자
{{{#!wiki style="margin:-5px -10px"[왕조 보기]
[朴] 밀양 박씨 왕조 [聖] 경주 김씨 성골왕조
[昔] 경주 석씨 왕조 [眞] 경주 김씨 진골왕조
[金] 경주 김씨 마립간조 추존 국왕 및 왕족
[범례]
세로선(│) : 부자, 사위관계 / 가로선(─): 형제, 자매관계 / 혼인관계: 붉은 두줄#= }}} }}}}}}}}}}}}



[1]삼국사기》 <신라본기>에는 19일로 나와 있으나 《삼국유사》 <왕력>에서는 1월 22일에 사망했다고 하고 있으며 <민애왕석탑사리합기>에서는 1월 23일에 사망했다고 나와 있다.[2] <민애대왕석탑사리합기> 기록. 그러나 실제 '기'(肌)와는 달리 마지막 획이 파임(乀)보다는 삐침(丿)에 가깝기 때문에 '명'(明)의 오기로 보인다. 직접 확인해 보자.[3] 선의태후(宣懿太后)로 추봉됨[4] 희강왕의 왕비.[5] 김균정의 부인, 신무왕의 어머니/장모(?)[6] 김균정의 부인, 헌안왕의 어머니.[7] <민애대왕석탑사리합기> 기록.[8] 보덕국이 해체된 계기인 684년(신문왕 4년) 대문의 난 주동자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