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
1. 개요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의 국가별 전적 및 관계를 다룬 문서.영원한 축구의 나라 브라질을 상대로 맞대결 상대 전적 우위에 있는 국가는 단 4개국에 불과하다. 기복은 심하지만 최강의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는 유럽의 전통 강호 네덜란드[1], 20세기에 유럽 축구 최강국이었던 헝가리, 북유럽의 노르웨이, 그리고 아프리카의 다크호스 세네갈이다. 이들 중 노르웨이와 세네갈을 상대로만 유일하게 맞대결 1승도 거두지 못했다.
2. 대한민국과 관계
브라질이 한국에 7승 1패로 압도적 우위에 있다. 8경기 중 6경기가 대한민국에서 열린 A매치 평가전이었으며, 8경기중에서 4경기가 1점 차 승부였다.- 1990년대 이전: 올림픽 대회와 산투스의 내한
| |
▲ 산투스FC와 펠레의 내한경기 |
* 1990년대 이후: 대한민국과 브라질의 본격적인 A매치 시작
그리고 약 6년 뒤인 2019년 11월 19일에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에서 대한민국과 평가전을 가졌는데 필리페 쿠티뉴의 프리킥 골 등을 앞세워 3:0으로 승리했다. 처음으로 한국에게 3골 차 이상으로 승리한 경기다.[9]
다시 2년 6개월 뒤인 2022년 6월 2일에 대한민국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대한민국과 친선 경기를 진행했는데 황의조에게 동점 골을 헌납하긴 했지만 강력한 화력 쇼로 5:1로 승리했다. 처음으로 브라질에게 5실점 대패를 당한 경기로 4골 차 패배를 당한 경기이면서 대한민국이 20년 만에 브라질과 A매치에서 골을 기록한 경기 결과다. 이후 카타르 월드컵에서 16강전에 다시 만나 월드컵에서 최초로 대한민국과 격돌하게 되어 4:1로 승리했다. 이로써 브라질은 월드컵 본선에서 동아시아 4개국 (대한민국, 북한, 일본, 중국)을 모두 한번씩 만난 최초의 유일무이한 팀이 되었다.[10]
- 연령별 매치에서 한국과 브라질
올림픽 대표팀도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다. U-23 2012 런던 올림픽 4강전에서 1964 올림픽 이후 48년 만에 재회했으나 이번에도 0:3으로 대패했다.[14] 결과는 결국 2전 2패.
그러나 U-17 청소년 대표팀은 2015 FIFA 칠레 U-17월드컵 24강 조별리그에서 U-17월드컵 통산 승점 랭킹 1위 & 4번 우승국 브라질과 만나 1:0으로 승리했다.[15],
2.1. 대한민국과 전적
| <colcolor=#fff> 역대 전적 | |
| A매치 | |
<nopad> 8 전[🏟️] | ||
<colbgcolor=#000><colcolor=#fff> 7 승 | <nopad> 0 무 | <colbgcolor=#000><colcolor=#fff> 1 승 |
20 득점 (+14) | <nopad> | 6 득점 (-14) |
네이마르(4) | 최다득점자 | 황의조, 백승호[현역] 등 6명(1) |
| 선수 기록 | |
<nopad> 최근경기: 브라질 승 (2022) |
2.2. 대한민국과 역대 경기결과
| <nopad> 2022-12-05 | ||||
<nopad> 1:4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022 월드컵 본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일시: 2022년 12월 5일 22:00[UTC+3] | 👁️🗨️ [21] 👣 [22] | 장소: [[카타르|{{{#fff | |||
주심: | 경기장: 스타디움 974 | ||||
<colbgcolor=#fff><colcolor=#997000> 정우영 | 1:4 (0:4) | <colbgcolor=#fff><colcolor=#997000> 비니시우스 주니오르 네이마르 주니오르 히샬리송 루카스 파케타 | |||
백승호 | - | ||||
감독: | 패 | 감독: | |||
|
<rowcolor=#fff> 대회마감 | R | <colcolor=#14f> P |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 | - | ± |
<rowcolor=#fff> 16강 | 16 | 4 | 4 | 1 | 1 | 2 | 5 | 8 | -3 |
<nopad> 2022-06-02 | |||||
<nopad> 1:5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친선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친선경기 | ||||
일시: 2022년 6월 2일 20:00[UTC+9] | 장소: | ||||
주심: | 경기장: 서울월드컵경기장 | ||||
<colbgcolor=#fff><colcolor=#666> 황의조 | 1:5 (1:2) | <colbgcolor=#fff><colcolor=#666> 히샬리송 네이마르 주니오르 | |||
정우영 | 네이마르 주니오르 필리페 쿠티뉴 가브리엘 제수스 | ||||
감독: | 패 | 감독: | |||
|
| <nopad> 2019-11-19 | ||||
<nopad> 0:3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친선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친선경기 | ||||
일시: 2019년 11월 19일 17:30[UTC+4] | 장소: | ||||
주심: | 경기장: 알 자지라 모하메드 빈 자예드 스타디움 | ||||
<colbgcolor=#fff><colcolor=#666> 황희찬 | 0:3 (0:2) | <colbgcolor=#fff><colcolor=#666> 루카스 파케타 필리페 쿠티뉴 | |||
- | 다닐루 | ||||
감독: | 패 | 감독: | |||
|
| <nopad> 2013-10-12 | ||||
<nopad> 0:2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친선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친선경기 | ||||
일시: 2013년 10월 12일 20:00[UTC+9] | 장소: | ||||
주심: | 경기장: 서울월드컵경기장 | ||||
<colbgcolor=#fff><colcolor=#666> 기성용 이용 | 0:2 (0:1) | <colbgcolor=#fff><colcolor=#666> 네이마르 주니오르 | |||
이청용 | 오스카르 | ||||
감독: | 패 | 감독: | |||
|
<nopad> 2002-11-20 | |||||
<nopad> 2:3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친선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친선경기 | ||||
일시: 2002년 11월 20일 19:00[UTC+9] | 장소: | ||||
주심: | 경기장: 서울월드컵경기장 | ||||
<colbgcolor=#fff><colcolor=#666> 설기현 | 2:3 (1:1) | <colbgcolor=#fff><colcolor=#666> 호나우두 루시우 | |||
김남일 안정환 | 호나우두 호나우지뉴 | ||||
감독: | 패 | 감독: | |||
|
<nopad> 1999-03-28 | |||||
<nopad> 1:0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친선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친선경기 | ||||
일시: 1997년 3월 28일 19:00[UTC+9] | 장소: | ||||
주심: | 경기장: 서울올림픽주경기장 | ||||
<colbgcolor=#fff><colcolor=#666> 홍명보 | 1:0 (0:0) | <colbgcolor=#fff><colcolor=#666> - | |||
신홍기 김도훈 | - | ||||
감독: | 승 | 감독: | |||
|
<nopad> 1997-08-10 | |||||
<nopad> 1:2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친선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친선경기 | ||||
일시: 1997년 8월 10일 19:00[UTC+9] | 장소: | ||||
주심: | 경기장: 서울올림픽주경기장 | ||||
<colbgcolor=#fff><colcolor=#666> 김도근 | 1:2 (1:0) | <colbgcolor=#fff><colcolor=#666> - | |||
- | 호나우두 소니 안데르손 | ||||
감독: | 패 | 감독: | |||
|
<nopad> 1995-08-12 | |||||
<nopad> 0:1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친선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친선경기 | ||||
일시: 1995년 8월 12일 19:00[UTC+9] | 장소: | ||||
주심: | 경기장: 수원종합운동장 | ||||
<colbgcolor=#fff><colcolor=#666> - | 0:1 (0:1) | <colbgcolor=#fff><colcolor=#666> 카를로스 둥가 | |||
김병지[GK] | 3명[56] | ||||
감독: | 패 | 감독: | |||
|
| <nopad> 1964-10-14 | | |||
<nopad> 0:4 [NA]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964 올림픽 본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일시: 1964년 10월 14일 15:00[LC] | 장소: | ||||
주심: | 경기장: 미츠자와 축구 경기장 | ||||
<colbgcolor=#222><colcolor=#666> - | 0:4 (0:2) | <colbgcolor=#222><colcolor=#666> 제 호베르투[62] 엘리제우[63] | |||
김홍복 이우봉 박승옥 | 엘리제우[67] 로베르토 미란다[69] 마타르[70] | ||||
감독: | 패 | 감독: |
C조 타팀 결과 | | ||||||||
조별리그 2차전 종료 후 C조 순위[74] | |||||||||
<rowcolor=#fff> 국가 | R | <colcolor=#14f> P |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 | - | ± |
<rowcolor=#fff> | • 1 | 4 | 2 | 2 | 0 | 0 | 11 | 2 | +9 |
<rowcolor=#fff> | • 2 | 3 | 2 | 1 | 1 | 0 | 5 | 1 | +4 |
<rowcolor=#fff> | | 1 | 2 | 0 | 1 | 1 | 2 | 6 | -4 |
<rowcolor=#fff> | • 4 | 0 | 2 | 0 | 0 | 2 | 1 | 10 | -9 |
3. 국가별 관계 및 전적
2025.03.26. 기준 (최근경기: vs 아르헨티나 1:4 패)
3.1. 남미(CONMEBOL 소속)
◘ 라이벌팀- [ 브라질 · 아르헨티나 라이벌 관계 ]
- 남미의 영원한 두 라이벌의 경기는 탱고와 삼바의 대전 또는 외국에서는 축구 라이벌의 근본, 아메리카 대전이라 불린다. 이들의 경쟁은 비단 스포츠에서 유래된 것은 아니다. 역사적으로도 각각 스페인, 포르투갈의 식민지배를 받았고 19세가 독립 이후 영토 및 우루과이 독립 문제 등으로 아르헨티나-브라질 전쟁을 치르기도 한다. 지리적인 이유로 많은 교류가 있는 건 사실이지만 이러한 역사적, 정치적 사실들로 인해 두 나라 사이는 상당히 감정적으로 얼어붙어있다. 현재도 남미의 패권을 둔 팽팽한 기싸움이 이어지고 있다.
<rowcolor=#fff> 국가 | 경기 | <colcolor=#0f0> 승 | <colcolor=#ff0> 무 | <colcolor=#f00>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비고 |
<rowcolor=#fff> | 112 | 43 | 26 | 43 | 167 | 168 | -1 | [75] |
- [ 브라질 · 우루과이 라이벌 관계 ]
- 두 팀의 라이벌전은 네그로 더비[76]라 불린다. 정치적, 역사적으로 브라질이 우루과이를 합병한 적이 있고 이에 아르헨티나가 우루과이 독립을 지원하며 전쟁을 했기 때문에 매우 앙숙으로 유명하다. 축구에 있어 이는 예외가 아니다. 브라질에게는 아르헨티나가 자신들의 주적이자 남미의 양대산맥이라 인식하지만, 오히려 원한이 서린 국가는 우루과이다. 그 이유는 바로 마라카낭의 비극으로 불리는 1950 브라질 월드컵 당시 4강 결승리그 3차전 경기 때문이다. 자국에서 사상 첫 월드컵 우승이란 원대한 꿈은 1-2로 패하며 우루과이에 무너지고 말았다.[77] 1970 멕시코 월드컵 4강전에서 재회하는데, 이때는 펠레를 앞세운 브라질이 3-1로 우루과이를 물리치고 복수에 성공하며 결승에 올라 이탈리아 마저 승리해 통산 3회 우승을 이룬다.
<rowcolor=#fff> 국가 | 경기 | <colcolor=#0f0> 승 | <colcolor=#ff0> 무 | <colcolor=#f00>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비고 |
<rowcolor=#fff> | 81 | 38 | 22 | 21 | 143 | 101 | +42 |
◘ 그 외 남미팀(지역)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owcolor=#fff> 국가 | 경기 | <colcolor=#0f0> 승 | <colcolor=#ff0> 무 | <colcolor=#f00>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비고 | ||||||||
<rowcolor=#fff> | 33 | 24 | 4 | 5 | 113 | 26 | +87 | ||||||||||
<rowcolor=#fff> | 76 | 54 | 14 | 8 | 172 | 62 | +110 | ||||||||||
<rowcolor=#fff> | 38 | 22 | 12 | 4 | 71 | 22 | +49 | ||||||||||
<rowcolor=#fff> | 36 | 28 | 6 | 2 | 99 | 24 | +75 | ||||||||||
<rowcolor=#fff> | 84 | 50 | 22 | 12 | 183 | 68 | +115 | ||||||||||
<rowcolor=#fff> | 52 | 38 | 9 | 5 | 114 | 33 | +81 | ||||||||||
<rowcolor=#fff> | 30 | 24 | 5 | 1 | 98 | 11 | +87 | ||||||||||
■: 우세 | ■: 백중세 | ■: 열세 |
3.2. 아시아(AFC 소속)
◘ 아시아 강호<rowcolor=#fff> 국가 | 경기 | <colcolor=#0f0> 승 | <colcolor=#ff0> 무 | <colcolor=#f00>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비고 |
<rowcolor=#ffffff> | 8 | 6 | 1 | 1 | 21 | 1 | +20 |
<rowcolor=#fff> 국가 | 경기 | <colcolor=#0f0> 승 | <colcolor=#ff0> 무 | <colcolor=#f00>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비고 |
<rowcolor=#ffffff> | 2 | 1 | 0 | 1 | 3 | 1 | +2 |
<rowcolor=#fff> 국가 | 경기 | <colcolor=#0f0> 승 | <colcolor=#ff0> 무 | <colcolor=#f00>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비고 |
<rowcolor=#ffffff> | 13 | 11 | 2 | 0 | 35 | 5 | +30 |
<rowcolor=#fff> 국가 | 경기 | <colcolor=#0f0> 승 | <colcolor=#ff0> 무 | <colcolor=#f00>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비고 |
<rowcolor=#ffffff> | 5 | 5 | 0 | 0 | 18 | 3 | +15 |
◘ 그 외 아시아팀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owcolor=#fff> 국가 | 경기 | <colcolor=#0f0> 승 | <colcolor=#ff0> 무 | <colcolor=#f00>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비고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3 | 2 | 1 | 0 | 12 | 0 | +12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1 | 1 | 0 | 0 | 2 | 1 | +1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1 | 1 | 0 | 0 | 7 | 1 | +6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1 | 1 | 0 | 0 | 6 | 0 | +6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1 | 1 | 0 | 0 | 4 | 0 | +4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1 | 1 | 0 | 0 | 4 | 0 | +4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1 | 1 | 0 | 0 | 2 | 0 | +2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1 | 1 | 0 | 0 | 2 | 0 | +2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1 | 1 | 0 | 0 | 7 | 0 | +7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1 | 1 | 0 | 0 | 8 | 0 | +8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666666>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666666>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666666>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666666> | A매치 전적없음 | ||||||||||||||||
■: 우세 | ■: 백중세 | ■: 열세 |
3.3. 아프리카(CAF 소속)
◘ 아프리카 강호<rowcolor=#fff> 국가 | 경기 | <colcolor=#0f0> 승 | <colcolor=#ff0> 무 | <colcolor=#f00>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비고 |
<rowcolor=#ffffff> | 7 | 5 | 0 | 2 | 12 | 3 | +9 |
<rowcolor=#fff> 국가 | 경기 | <colcolor=#0f0> 승 | <colcolor=#ff0> 무 | <colcolor=#f00>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비고 |
<rowcolor=#ffffff> | 5 | 5 | 0 | 0 | 16 | 2 | +14 |
<rowcolor=#fff> 국가 | 경기 | <colcolor=#0f0> 승 | <colcolor=#ff0> 무 | <colcolor=#f00>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비고 |
<rowcolor=#ffffff> | 3 | 2 | 0 | 1 | 6 | 2 | +4 |
<rowcolor=#fff> 국가 | 경기 | <colcolor=#0f0> 승 | <colcolor=#ff0> 무 | <colcolor=#f00>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비고 |
<rowcolor=#ffffff> | 2 | 1 | 1 | 0 | 4 | 1 | +3 |
◘ 그 외 아프리카팀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owcolor=#fff> 국가 | 경기 | <colcolor=#0f0> 승 | <colcolor=#ff0> 무 | <colcolor=#f00>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비고 | ||||||||
<rowcolor=#ffffff> | 4 | 4 | 0 | 0 | 8 | 0 | +8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1 | 1 | 0 | 0 | 3 | 0 | +3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6 | 6 | 0 | 0 | 18 | 4 | +14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1 | 1 | 0 | 0 | 2 | 0 | +2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1 | 1 | 0 | 0 | 4 | 1 | +3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1 | 1 | 0 | 0 | 3 | 1 | +2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2 | 0 | 1 | 1 | 3 | 5 | -2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5 | 5 | 0 | 0 | 12 | 3 | +9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1 | 1 | 0 | 0 | 5 | 1 | +4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2 | 2 | 0 | 0 | 9 | 2 | +7 | ||||||||||
<rowcolor=#ffffff> | 1 | 1 | 0 | 0 | 2 | 0 | +2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1 | 1 | 0 | 0 | 3 | 0 | +3 | ||||||||||
■: 우세 | ■: 백중세 | ■: 열세 |
3.4. 북중미카리브(CONCACAF 소속)
◘ 북중미카리브 강호<rowcolor=#fff> 국가 | 경기 | <colcolor=#0f0> 승 | <colcolor=#ff0> 무 | <colcolor=#f00>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비고 |
<rowcolor=#ffffff> | 42 | 25 | 7 | 10 | 78 | 38 | +40 |
<rowcolor=#fff> 국가 | 경기 | <colcolor=#0f0> 승 | <colcolor=#ff0> 무 | <colcolor=#f00>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비고 |
<rowcolor=#ffffff> | 20 | 18 | 1 | 1 | 42 | 13 | +29 |
◘ 그 외 북중미카리브팀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owcolor=#fff> 국가 | 경기 | <colcolor=#0f0> 승 | <colcolor=#ff0> 무 | <colcolor=#f00>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비고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4 | 2 | 2 | 0 | 8 | 4 | +4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12 | 10 | 1 | 1 | 34 | 9 | +25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3 | 3 | 0 | 0 | 13 | 0 | +13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2 | 1 | 1 | 0 | 4 | 1 | +3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3 | 3 | 0 | 0 | 17 | 1 | +16 | ||||||||||
<rowcolor=#ffffff> | 8 | 6 | 1 | 1 | 29 | 6 | +23 | ||||||||||
<rowcolor=#ffffff> | 3 | 2 | 1 | 0 | 2 | 0 | +2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5 | 4 | 1 | 0 | 17 | 1 | +16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 우세 | ■: 백중세 | ■: 열세 |
3.5. 오세아니아(OFC 소속)
◘ 오세아니아 강호<rowcolor=#fff> 국가 | 경기 | <colcolor=#0f0> 승 | <colcolor=#ff0> 무 | <colcolor=#f00>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비고 |
<rowcolor=#ffffff> | 3 | 3 | 0 | 0 | 10 | 0 | +10 |
◘ 그 외 오세아니아팀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rowcolor=#fff> 국가 | 경기 | <colcolor=#0f0> 승 | <colcolor=#ff0> 무 | <colcolor=#f00>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비고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 우세 | ■: 백중세 | ■: 열세 |
3.6. 유럽(UEFA 소속)
◘ 라이벌팀- [ 브라질 · 독일 라이벌 관계 ]
- 월드컵 최다 우승 1, 2위를 다투는 두 나라의 라이벌 관계는 어찌보면 당연할 듯 싶으나, 의외로 월드컵에서 단 2번 밖에 만나지 않았고, 두 팀의 구도는 21세기에 만들어진 라이벌이다. 별칭은 미네이랑 더비.
<rowcolor=#fff> 국가 | 경기 | <colcolor=#0f0> 승 | <colcolor=#ff0> 무 | <colcolor=#f00>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비고 |
<rowcolor=#ffffff> | 23 | 13 | 5 | 5 | 41 | 31 | +10 | |
<rowcolor=#ffffff> | 11 | 6 | 2 | 3 | 23 | 20 | +3 | |
<rowcolor=#666666> | 12 | 7 | 3 | 2 | 18 | 11 | +7 | |
<rowcolor=#666666> | 4 | 3 | 1 | 0 | 10 | 4 | +6 |
- [ 브라질 · 이탈리아 라이벌 관계 ]
- 세계 축구에서 가장 성공적인 두 팀의 경기는 클라시코 문디알 포르투갈어로 ‘세계적인 더비’라는 뜻으로 불린다. 이탈리아와 브라질의 첫 만남은 그 시작부터 1938 프랑스 월드컵이다. 당시 디펜딩 챔피언 이탈리아는 브라질을 2-1로 누르고 결승에 올랐고 헝가리를 제압하고 연속 우승을 이룩한다. 이후 1970 멕시코 월드컵 결승전에서 펠레의 브라질이 이탈리아를 4-1로 꺾으며 통산 3회 우승의 업적을 쌓는다. 라이벌 분위기가 최고조에 오른 것은 1994 미국 월드컵 결승이었는데 당시 두 팀 모두 세계 최초로 4회 우승이라는 금자탑을 쌓을 수 있는 상황이었다. 120분 혈투는 0대 0으로 마무리되었고 사상 첫 월드컵 결승전 승부차기가 진행돠었다. 여기서 팀을 결승까지 멱살잡고 끌어올린 로베르토 바조가 이탈리아의 5번째 키커로 반드시 성공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는데 그 슛이 크로스바를 넘기며 사상 첫 4회 우승은 브라질의 타이틀로 남게 된다. 실축하고 멍하니 그라운드를 쳐다보는 바조의 사진은 월드컵 역사의 가장 유명한 순간 중 하나로 회자된다. 이후 21세기에 이르러서는 아직 월드컵에서 두 팀의 만남은 성사되지 않고 있다.[124]
<rowcolor=#fff> 국가 | 경기 | <colcolor=#0f0> 승 | <colcolor=#ff0> 무 | <colcolor=#f00>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비고 |
<rowcolor=#ffffff> | 16 | 8 | 3 | 5 | 30 | 23 | +7 |
◘ 월드컵 우승팀
<rowcolor=#fff> 국가 | 경기 | <colcolor=#0f0> 승 | <colcolor=#ff0> 무 | <colcolor=#f00>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비고 |
<rowcolor=#ffffff> | 27 | 12 | 11 | 4 | 35 | 23 | +12 |
<rowcolor=#fff> 국가 | 경기 | <colcolor=#0f0> 승 | <colcolor=#ff0> 무 | <colcolor=#f00>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비고 |
<rowcolor=#ffffff> | 16 | 7 | 4 | 5 | 27 | 20 | +7 |
<rowcolor=#fff> 국가 | 경기 | <colcolor=#0f0> 승 | <colcolor=#ff0> 무 | <colcolor=#f00>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비고 |
<rowcolor=#ffffff> | 10 | 5 | 3 | 2 | 17 | 11 | +6 |
◘ 그 외 유럽팀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owcolor=#fff> 국가 | 경기 | <colcolor=#0f0> 승 | <colcolor=#ff0> 무 | <colcolor=#f00>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비고 | ||||||||
| A매치 전적없음 | ||||||||||||||||
| 1 | 1 | 0 | 0 | 3 | 0 | +3 | ||||||||||
| A매치 전적없음 | ||||||||||||||||
| 10 | 7 | 3 | 0 | 17 | 5 | +12 | ||||||||||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5 | 3 | 0 | 2 | 11 | 8 | +3 | ||||||||||
<rowcolor=#ffffff> | 2 | 2 | 0 | 0 | 3 | 1 | +2 | ||||||||||
<rowcolor=#ffffff> | 9 | 8 | 1 | 0 | 19 | 2 | +17 | ||||||||||
<rowcolor=#ffffff> | 6 | 3 | 3 | 0 | 9 | 4 | +5 | ||||||||||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19 | 11 | 6 | 2 | 32 | 15 | +17 | ||||||||||
<rowcolor=#ffffff> | 2 | 2 | 0 | 0 | 5 | 1 | +4 | ||||||||||
<rowcolor=#666666> | 17 | 9 | 6 | 2 | 27 | 14 | +13 | ||||||||||
<rowcolor=#666666>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3 | 2 | 0 | 1 | 6 | 7 | -1 | ||||||||||
| 1 | 1 | 0 | 0 | 1 | 0 | +1 | ||||||||||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3 | 3 | 0 | 0 | 9 | 3 | +6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2 | 1 | 1 | 0 | 3 | 0 | +3 | ||||||||||
<rowcolor=#ffffff> | 6 | 2 | 1 | 3 | 12 | 14 | -2 | ||||||||||
<rowcolor=#ffffff> | 2 | 2 | 0 | 0 | 9 | 1 | +8 | ||||||||||
<rowcolor=#ffffff> | 3 | 3 | 0 | 0 | 11 | 1 | +10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1 | 1 | 0 | 0 | 3 | 0 | +3 | ||||||||||
| A매치 전적없음 | ||||||||||||||||
| 1 | 1 | 0 | 0 | 3 | 1 | +2 | ||||||||||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12 | 3 | 5 | 4 | 15 | 18 | -3 | ||||||||||
<rowcolor=#ffffff>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1 | 1 | 0 | 0 | 3 | 0 | +3 | ||||||||||
<rowcolor=#ffffff> | 1 | 1 | 0 | 0 | 3 | 0 | +3 | ||||||||||
<rowcolor=#666666>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4 | 0 | 2 | 2 | 5 | 8 | -3 | ||||||||||
<rowcolor=#ffffff> | 13 | 10 | 2 | 1 | 40 | 20 | +20 | ||||||||||
<rowcolor=#ffffff> | 20 | 13 | 3 | 4 | 39 | 16 | +23 | ||||||||||
| 7 | 5 | 1 | 1 | 18 | 2 | +16 | ||||||||||
<rowcolor=#ffffff> | 5 | 4 | 1 | 0 | 9 | 4 | +5 | ||||||||||
<rowcolor=#ffffff> | 13 | 9 | 3 | 1 | 27 | 9 | +18 | ||||||||||
<rowcolor=#ffffff> | 6 | 4 | 2 | 0 | 14 | 4 | +10 | ||||||||||
<rowcolor=#666666>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666666> | 7 | 5 | 1 | 1 | 13 | 5 | +8 | ||||||||||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10 | 8 | 2 | 0 | 16 | 3 | +13 | ||||||||||
<rowcolor=#ffffff> | 21 | 12 | 7 | 2 | 41 | 23 | +18 | ||||||||||
<rowcolor=#ffffff> | 3 | 3 | 0 | 0 | 5 | 0 | +5 | ||||||||||
<rowcolor=#666666>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666666> | 18 | 9 | 7 | 2 | 36 | 23 | +13 | ||||||||||
<rowcolor=#ffffff> | 18 | 10 | 6 | 2 | 5 | 0 | +5 | ||||||||||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fff> | 16 | 10 | 4 | 2 | 36 | 18 | +18 | ||||||||||
<rowcolor=#ffffff> | 10 | 4 | 4 | 2 | 12 | 9 | +3 | ||||||||||
<rowcolor=#ffffff> | 6 | 4 | 2 | 0 | 10 | 3 | +7 | ||||||||||
<rowcolor=#ffffff> | 1 | 1 | 0 | 0 | 2 | 0 | +2 | ||||||||||
<rowcolor=#ffffff> | 10 | 8 | 1 | 1 | 20 | 5 | +15 | ||||||||||
■: 우세 | ■: 백중세 | ■: 열세 |
[1] 아르헨티나와 상대전적도 우세하다.[2] 이탈리아와 북한이 기권 실격되고 14개팀이 본선에 진출한 대회였다.[3] 단 이 때는 A매치였다.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부터 U-23매치로 바뀌었다.[4] 그 전 1972년 5월 26일에 일본에서 산투스는 일본을 상대로 3:0 승리를 기록했다.[5] 피파랭킹 1위 브라질이 A매치에서 아시아 팀에게 처음으로 패배한 경기다.[6] 당시 브라질은 94월드컵 우승, 97코파아메리카 전승 우승, 97사우디컨페드컵 우승, 98월드컵 준우승, 99코파아메리카 전승 우승, 99멕시코컨페드컵 준우승, 2002월드컵 7전승 우승으로 최전성기 시절이었다.[7] 브라질은 선수로 2회, 감독으로 1회 월드컵 우승을 이룬 명장 마리우 자갈루의 국대 감독 100승을 챙겨 주기 위해 임시로 그를 세웠다. 그래서 결승골이 된 PK도 약간 브라질 편 들어준 게 아닌가 싶은 느낌이 있었다. 한국은 몇 달 전 월드컵 우승을 한 팀에게 1점 차 패라면 즐거운 친선 경기로 끝낼 수 있는 분위기. 이 경기에서 한국 축구계의 전설인 홍명보와 황선홍이 국가대표 은퇴식을 가졌다.[8] 이길 뻔한 경기였고 페널티킥만 내주지 않았더라면 무승부로 마무리될 수 있었다.[9] 사실 런던 올림픽 축구 준결승에서 3 대 0으로 이겼기에 처음은 아니지만 올림픽은 A매치가 아니다[10] 너무너무 당연하지만 4팀 모두 브라질에게 패배하였고 결과가 어떻게 되었냐에 상관없이 월드컵 본선에서 동아시아 4개국과 모두 딱 한번이라도 맞붙었던 나라는 월드컵 100년 역사상 현재 브라질 밖에 없다.[11] 다만 이 대회에서 이탈리아는 3전 전패(16등) 했다. 그러나 상대팀이었던 브라질과 루마니아에도 각각 0:1로 패한 걸 보면 한국전에서 대패한 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했기 때문으로 보인다.[12] 바로 아래 19위가 북한이었다.[13] 당시 정성룡이 후보에 있었다.[14] 호물루에게 선제골을 내주고 레안드로 다미앙에게 멀티골로 패배[15] 당시 라인업 자료 1, 당시 라인업 자료 2[🏟️] 중립 경기: 2
BRA 홈 경기: 0
KOR 홈 경기: 6[현역] [18]
4골, 네이마르 주니오르
3골, 호나우두
2골, 필리페 쿠티뉴, 히샬리송, 루카스 파케타[19]
1골, 김도근, 김도훈, 설기현, 안정환, 황의조, 백승호[UTC+3] [21] 두 팀의 상대전적: 총 7전
KOR | 1승 | 0무 | 6승 | BRA ![파일:브라질 국기.svg]()
최근 경기: 브라질 승리(2022/대한민국, 서울)
KOR 1:5 BRA(친선경기)[22] 두 팀의 대회 여정
대한민국
H조 2위(0:0
URU | 2:3
GHA | 2:1
POR)
브라질
G조 1위(2:0
SRB | 1:0
SUI | 0:1
CMR)[네이마르] 네이마르 주니오르 도움[히샬리송P] 히샬리송 도움(페널티킥 유도)[T.실바] 티아고 실바 도움[비니시우스] 비니시우스 주니오르 도움[H] [SBS] [UTC+9] [2G] [H] [cou] [UTC+4] [H] [SBS] [UTC+9] [H] [Kof] [UTC+9] [2G] [H1] [H2] [MBC] [UTC+9] [H] [Kof] [H] [MBC] [UTC+9] [F] [KBS] [H] [KBS] [UTC+9] [GK] [56] 안드레 알베스 다 크루스, 세자르 삼파이우, 호드리구 차가스[F] [AXI] 브라질 축구협회는 도쿄 올림픽 대회에 아마추어 선발팀을 파견하여 공식경기로 인정 받지 못하였다.[NA] [LC] [61] Salih Mohamed Boukkili[62] Zé Roberto 제 호베르투와는 동명이인[63] Elizeu[None] [None] [None] [67] Elizeu[2G] [69] Roberto Miranda[70] Mattar[None] [72] FIFA 기록에는 민병대 감독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KFA 기록에는 정국진 감독으로 기록되어 있다.[73] Vicente Feola[74] 체코슬로바키아는 3차전 경기와 상관없이 8강 진출을 확정지었다. 반면 대한민국은 탈락이 확정되었다.[75] 치열한 경기는 기록에서도 나온다. 서로 협회간 A매치로 인정하는 경기가 달라지면서 집계가 달라진다. 다만 여기는 FIFA 집계를 따른다. 110경기 기준, 아르헨티나 41승, 브라질 43승이다. #[76] 이는 영어식이고 네그로 강을 국경으로 하고 있어 붙여진 이름으로 당사국 언어로는 스페인어로 엘 클라시코 델 리오 네그로(El Clásico del Río Negro), 포르투갈어로 클라시코 두 리오 네그로(Clássico do Rio Negro)이다.[77] 이 때문에 50년의 망령이라는 이야기가 맴돌며 64년 뒤 브라질에서 그 망령에 의해 다시 대참사를 맞이한다.[78] 월드컵: 6회 진출(AFC소속 역대 3위), 최고성적 11위(16강)[79] AFC 아시안컵: 1회 우승[80] 월드컵: 6회 진출(AFC소속 역대 3위), 최고성적 14위(16강 조별리그(1978))[81] AFC 아시안컵: 3회 우승(2위)[82] 월드컵: 7회 진출(AFC소속 역대 2위), 최고성적 9위 3회(16강)[83] AFC 아시안컵: 4회 우승(1위)[84] 월드컵: 6회 진출(AFC소속 역대 3위), 최고성적 12위(16강)[85] AFC 아시안컵: 3회 우승(2위)[nFIFA] FIFA미가입(Non-FIFA)[87] 남베트남(1949-1975) 기록 계승(특이하게 통일은 북베트남이 성공시켰지만 FIFA 미가입국이었던 북베트남 대신 FIFA 가입국이던 남베트남의 기록을 계승했다.)[베트남] [단독] [베트남] [nFIFA] FIFA미가입(Non-FIFA)[92] 기록은 계승하지 않았다.[베트남] [해체] [95] 북예멘(1966-1990) 기록 계승[예멘] [단독] [예멘] [해체] [100] 월드컵: 8회 진출(CAF소속 역대 1위), 최고성적 7위(8강, 1990)[101]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5회 우승(2위)[102] 월드컵: 4회 진출(CAF소속 역대 4위), 최고성적 7위(8강, 2010)[103]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4회 우승(3위)[104] 월드컵: 6회 진출(CAF소속 역대 2위), 최고성적 4위(2022)[105]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1회 우승[106] 월드컵: 6회 진출(CAF소속 역대 2위), 최고성적 9위(16강, 1994)[107]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3회 우승(4위)[nFIFA] FIFA미가입(Non-FIFA)[nFIFA] FIFA미가입(Non-FIFA)[110] 월드컵: 18회 진출(CONCACAF소속 역대 1위), 최고성적 6위(8강, 1970·1986)[111] CONCACAF 골드컵: 11회 우승(1위)[112] 월드컵: 12회 진출(CONCACAF소속 역대 2위), 최고성적 3위(1930)[113] CONCACAF 골드컵: 7회 우승(2위)[114] 월드컵: 2회 진출(OFC소속 역대 1위),
최고성적 22위(32강 조별리그(2010)
23위(24강 조별리그(1982))[115] OFC 네이션스컵: 6회 우승(1위)[nFIFA] FIFA미가입(Non-FIFA)[nFIFA] FIFA미가입(Non-FIFA)[118] 서독(1945-1990) 기록 계승[독일] [단독] [독일] [해체] [] [124] 각각 2002년, 2006년에 월드컵 우승을 이룬 뒤부터는 둘 다 암흑기를 보내고 있기 때문이다...이탈리아는 월드컵 자체를 많이 못나왔다.[125] 보헤미아(1903-1919), 체코슬로바키아(1919-1993) 기록 계승[체코] [단독] [체코] [체코] [130] 아일랜드(1882-1950) 기록 계승[북아일랜드] [단독] [북아일랜드] [134] 소련(1924-1991), 독립국가연합(1992) 기록 계승[러시아] [단독] [러시아] [러시아] [139] 유고슬라비아(1930-2003), 세르비아 몬테네그로(2003-2006) 기록 계승[세르비아] [단독] [세르비아] [세르비아]
BRA 홈 경기: 0
KOR 홈 경기: 6[현역] [18]
4골, 네이마르 주니오르
3골, 호나우두
2골, 필리페 쿠티뉴, 히샬리송, 루카스 파케타[19]
1골, 김도근, 김도훈, 설기현, 안정환, 황의조, 백승호[UTC+3] [21] 두 팀의 상대전적: 총 7전
최근 경기: 브라질 승리(2022/대한민국, 서울)
KOR 1:5 BRA(친선경기)[22] 두 팀의 대회 여정
H조 2위(0:0
G조 1위(2:0
최고성적 22위(32강 조별리그(2010)
23위(24강 조별리그(1982))[115] OFC 네이션스컵: 6회 우승(1위)[nFIFA] FIFA미가입(Non-FIFA)[nFIFA] FIFA미가입(Non-FIFA)[118] 서독(1945-1990) 기록 계승[독일] [단독] [독일] [해체] [] [124] 각각 2002년, 2006년에 월드컵 우승을 이룬 뒤부터는 둘 다 암흑기를 보내고 있기 때문이다...이탈리아는 월드컵 자체를 많이 못나왔다.[125] 보헤미아(1903-1919), 체코슬로바키아(1919-1993) 기록 계승[체코] [단독] [체코] [체코] [130] 아일랜드(1882-1950) 기록 계승[북아일랜드] [단독] [북아일랜드] [134] 소련(1924-1991), 독립국가연합(1992) 기록 계승[러시아] [단독] [러시아] [러시아] [139] 유고슬라비아(1930-2003), 세르비아 몬테네그로(2003-2006) 기록 계승[세르비아] [단독] [세르비아] [세르비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