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32:34

무당파(무협)

송문고검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dcdcdc 0%, #ffffff 20%, #ffffff 80%, #dcdcdc); color: #0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10101,#010101> 정파
(무림맹)
무림세가 남궁세가 · 모용세가 · 사천당가 · 제갈세가 · 하북팽가 / 황보세가 · 산동악가 · 진주언가
구파일방 개방 · 소림사 · 무당파 · 아미파 · 화산파 · 곤륜파 · 종남파 · 공동파 · 점창파 · 청성파 · 해남파
정교 전진교
기타 모산파 · 형산파
사파
(사도련)
흑도 녹림 · 장강수로채 · 하오문 · 살막
사교 마교 (천마신교 · 천마) · 혈교 (혈마) · 배교 · 밀교 · 명교 · 일월신교
기타 세력 황실 동창 · 금군 (금의위)
새외무림 남만 · 광풍사 · 북해빙궁 · 동영 · 해동 · 포달랍궁 · 뢰음사 · 장백파
기타 표국 · 신비세력 (암중세력)
문파 · 틀:무협 용어 · 틀:무공의 경지 · 분류:무협 용어 · 무공/목록 }}}}}}}}}}}}
무당파
武當派
파일:중국 우당산.jpg
무당파가 위치한 후베이성 무당산
<colbgcolor=#000000> 소속 정파
중심지 후베이성 무당산

1. 개요2. 상세3. 여담4. 창작물에서의 등장

[clearfix]

1. 개요

무협물에서 자주 언급되는, 중국 호북성 균현(均縣) 무당산[1]을 근거로 삼는 문파. 대개 개파조사는 장삼봉으로, 문인은 전부 도사로 묘사되는 도가 문파다.

2. 상세

중국 호북성 무당산에 실제로 자리잡고 있는 도교 일파 무당파모델로 만들어졌다. 따라서 원래는 일개의 집단을 가리키는 호칭이 아니었다.[2]

고전 중국 무협소설은 물론이고, 한국의 무협소설이나 중국의 선협소설에서 소림사와 함께 정파의 태산북두(泰山北斗)라 부를 정도로 위상이 높게 나온다. 북숭소림, 남존무당(北崇少林,南尊武当)이란 말이 중국에도 있을 정도. 실제 한국 무협의 도가 계열 문파 중에선 화산파 등과 함께 자주 등장한다.[3] 구파일방의 하나로서 무협소설에선 주조연 혹은 잠깐 언급되거나 스쳐가는 단역이라도 거의 개근에 가까운 출석율을 보이고 있다.

검법이 특히 유명하며 21세기 한국 무협소설에선 무당파를 대표하는 무공으로 태극검과 태극권이 높은 빈도로 등장하는데[4], 이는 김용의 인기소설 《의천도룡기》의 영향이다. 그리고 높은 확률로 필살기태극혜검.

물론 김용 외에도 많은 작가들이 무당파를 비중있게 다루었는데, 김용 이전의 대표적인 작가였던 왕도려의 학철5부작에서 중심이 되는 문파로 나오고, 이중 하나가 영화로도 유명한 와호장룡. 양우생도 백발마녀전에서 무당파를 가장 중심적인 문파로 다루었다.

무학에 관해서 간단하게 요약하자면 내공 수련을 강조하고(强调内功修炼), 이정제동, 이유극강, 이단승장, 이만격쾌, 이의운기, 이기운신, 편어음유, 주호흡, 용단수라는 개념을 중히 여기며(讲究以静制动,以柔克刚,以短胜长,以慢击快、以意运气,以气运身,偏于阴柔,主呼吸,用短手),무당무공부주진공, 연이역불가경이침범(武当功法不主进攻,然而亦不可轻易侵犯。무당의 무공은 공격적이지 않으나 감히 침범할 수 없다.)라는 개념을 중요시 한다.

3. 여담

진무대제(眞武大帝), 즉 현천상제(玄天上帝)[5]를 모시기 때문에 무량수불을 안 쓰면 도호는 주로 현천상제를 자주 쓴다.

문파의 트레이드 마크로 소나무 문양이 언급되기도 한다. 무당파 문인들이 쓰는 검은 송문(松紋)이나 태극문(太極紋)으로 장식되어 있다는 설정도 있는데, '소나무 무늬 검 = 송문고검(松紋古劍)'도 그런 범주이다. 이는 도가 라이벌격인 화산파매화와 비교되는 구도를 보인다. 다만 매화보다는 인지도가 떨어지는 편이다.

소림사의 신물로 녹옥불장이 꽤 언급되는 것과 달리 무당파의 신물은 자주 등장하진 않는다. 그나마 장문령부(掌門令符)로 자반죽간(紫斑竹簡)이나 송문고검(松紋古劍)이 가끔 나온다.

이곳 출신들을 비꼴 때 종종 "말코도사"라고 하는데, 도사들이 을 쓰기 위해서 머리를 뒤로 당기면 눈이 치켜올라가고 이마가 드러나서 말머리 같아 보이기 때문이다. 작중에선 주로 사파 쪽 인물이 저런 비하 표현을 쓰지만 고승들이 스스로를 땡중이라고 비하하는 것처럼 득도도사가 스스로 말코도사라고 자조하기도 한다. 다른 문파 사람이 무당파 사람 앞에서 그런 말을 한다면 그 사람과 죽고 못 사는 사이거나 못 잡아먹어 안달인 사이거나 둘 중 하나다.

소림의 장문인이 방장(方丈)[6]이라 불리듯 무당 장문인도 장교(掌敎/長敎) 혹은 장교진인(掌敎眞人)이란 존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장교라는 존칭은 장문보다 종교적인 용어로 한 종교의 교주라는 뜻이다. 일례로 전진교에서 발원한 전진파의 장문인은 대체로 장교라 부른다. 다만 현대 무협에선 잘 쓰이지 않는 용어로, 그냥 장문인이란 표현이 주류긴 하다.

무당파의 산문을 넘기 위해서는 소지한 병장기를 내려놓아야 하는 '해검지(解劍池)'란 설정도 있다.[7] 즉 무공만이 전부인 무림인들에게 신분과 실력을 막론하고 일종의 무장해제를 요구하는 것으로, 이를 거부하면 무당파에 대한 능멸 또는 도전으로 받아들여 무당칠자나 무당칠검 등으로 불리는 무당고수들에게 호되게 당할 수 있다. 다만 신무협물에서는 클리셰를 약간 비틀어 소림의 나한진과 더불어 무기를 내려놓지 않은 주인공에게 덤볐다가 역으로 털리거나 무구 소지를 용인하는 특혜를 주며 주인공을 띄워주는 에피소드로 쓰이기도 한다. 이러한 설정 자체가 없는 작품들도 있다. 결국 작가가 쓰기 나름이다.

무당을 대표하는 영약으론 자소단(紫霄丹)이 있으며, 소림사의 대환단에 버금가거나 동급의 취급을 받는다. 이밖에도 태청신단(太淸神丹)과 그보단 효력이 덜한 소청단(小淸丹)이 존재한다.

가끔식 무당파라는 이름 때문에 한국의 무속 신앙과 관계있는 문파인 줄 아는 사람도 있다. 보다시피 한자로 武當이라 巫堂과는 다르다!관련 개그

4. 창작물에서의 등장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55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5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무당산은 대표적인 도가의 성지로 현악(玄嶽)이라 불리며, 제운산, 청성산, 용호산과 함께 도가 사대명산으로 꼽힌다. 무당산의 이름인 무당(武當)은 '비진무 부족이당(非眞武 不足以當)'이란 문구에서 만들어졌다.[2] 이는 무협소설에서 등장하는 다른 구파도 마찬가지이다. 현실의 화산파도 사실 화산을 거점으로 하는 수많은 도교서원의 집단체로 구성되어있으며, 종남파나 청성파같은 경우도 사실 각 산을 거점으로 하는 도교 서원들로 구성되어있는데 무당파니 화산파니 청성파니 하는건 이들을 편의상 통칭하여 부르는 것뿐이다. 소림사의 경우에도 소림사라는 하나의 맹주중심본부를 기점으로 숭산에 독립적으로 설치된 암자와 절이 제각각 수행에 몰두하는 구조였다.[3] 다만 2020년대에는 이미 이전에 많이 써먹어서 혹은 로맨스 무협의 영향으로 도사라서 연애하기 힘들단 특징 때문인지 화산파에 비해선 홀대받고 있다. 화산파도 도가긴 하지만 좀 더 속세적인 분위기가 있어서 그런듯. 아니면 아예 무림세가 쪽으로 빠지거나..[4] 다만 이는 무협상 설정일 뿐 실제 태극권태극검은 진가구의 가전 무예이던 진식 태극권에서 유래했다. 진가구는 김용한테 저작권 받아도 된다?[5] 다른 말로 북극성제군(北極星帝君)·자미북극대제(紫微北極大帝).[6] 방장이란 용어가 한 총림의 최고 책임자라는 뜻이다 보니 아미파보타암 등도 쓸 수는 있지만 대체로 소림 장문인을 가리킬 때 사용한다. 이 용어가 섞이면서 나온 용어가 장문방장.[7] 간혹 해검각(解劍閣)이 동시에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