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ff> 백병 |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ff> 도검 | 사인검, 월도, 왜검, 장검, 창포검, 환도, 협도, 쌍수도 | ||
창 | 당파, 장창, 낭선, 기창, 죽장창, 요구창, 겸창, 이두표, 표창 | ||||
둔기 | 도끼(부월), 쇠좆매, 육모방망이, 철퇴, 철편, 편곤 | ||||
발사 무기 | 궁(弓)・시(矢) | 국궁, 각궁, 목궁(교자궁), 죽궁, 쇠뇌 | 편전(애기살) | ||
화기 |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ff> 화포 탄약・지뢰 | 천자총통, 지자총통, 현자총통, 황자총통 별대완구,대완구,중완구,소완구,소소완구, 총통기, 호준포, 불랑기포, 홍이포, 운현궁 화포(소포, 중포, 대포), 파진포, 지뢰포, 수뢰포 쇄마탄, 목통 | 진천뢰, 질려포통, 비격진천뢰, 죽장군, 대장군전 | ||
개인화기 | 조총, 천보총, 대조총, 승자총통, 삼안총, 세총통, 쌍자총통, Gew71, 스나이더-엔필드 | ||||
화전・로켓 | 신기전, 화차 | ||||
방어구 | 갑(甲)・군복 | 두정갑, 철찰갑, 피찰갑, 쇄자갑, 경번갑, 면제배갑, 엄심갑, 지갑, 어린갑(두석린갑) | 납의, 철릭, 구군복, 포졸복 | ||
주(冑)・군모 | 간주형 투구, 첨주형 투구, 원주형 투구 | 전립, 주립 | |||
방패 | 원방패, 장방패, 등패, 장태 | ||||
군장 | 띠돈, 동개, 활집, 광다회, 전대 | ||||
전차・육상병기 | 화차, 비거 | 마름쇠 | |||
전선(戰船) | 판옥선, 방패선, 거북선, 해골선, 맹선, 과선, 협선, 사후선, 누전선 | }}}}}}}}} |
1. 개요
운현궁 화포들은 1874년 흥선대원군 주도로 운현궁에서 제작된 근대적 화포들이다.기존 총통에 비해 여러 장점이 있는 대포들로, 새로운 주조 기법을 적용해 죽절을 세 개 빼고는 전부 없앴으며, 나폴레옹 전쟁 시기 대포처럼 포구에서 포미로 갈수록 점차 굵어지는 형태를 띄고 있어 파열 위험이 적었다. 고각 조절이 가능하고 움직임이 편한 서양식 포가를 가지고 있던 것도 장점. 다만 포탄만은 여전히 철환과 조란환을 사용했다는 한계가 있다. [1] 현재 국립고궁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등에서 실물을 보유중이다.
2. 종류
2.1. 소포
소포(小砲) |
2.2. 중포
중포(中砲) |
2.3. 대포
용산 전쟁기념관의 대포(大砲) |
홍이포와 유사하며, 중포에 비해 구경은 작지만 길이는 길며, 무게도 더 무거웠다.
[1] 이미 1823년 프랑스의 앙리 조세프 펙상에 의해 최초의 고폭탄이 등장하였으며 1850년대 프랑스는 라 히테 시스템(La Hitte system)# 혹은 라이플 시스템으로 불리는 강선이 적용된 유탄포가 등장하였다. 그리고 일본은 보신전쟁시기 4근 산포라는 이름으로 이것을 수입하여 내전에 사용하였는데 이것을 쇄국정책중인 조선이 입수했다는 기록이 있다. 즉, 이미 알건 다 알고 있지만 기술적 한계로 인해 물건이 나올수 밖에 없었던것. 이러한 한계 때문에 결국 얼마안가 강화도 조약으로 개항을 하게 된다. 문제는 무기의 발전속도가 전근대시대와 비교할수도 없을만큼 빨라져 1870년대에는 후미장전식이었던 암스트롱포마저 도태되고 크루프 포가 등장한 시점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