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의 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EDC89> 백병 | <colbgcolor=#FEDC89> 도검 | 장검, 장도, 철검, 환도, 환두대도 | ||
창 | 과, 모, 장창, 창, 기창 | ||||
둔기 | 도끼(부월), 철퇴 | ||||
발사 무기 | 궁(弓)・시(矢) | 국궁, 각궁, 목궁, 죽궁, 쇠뇌 | 편전(애기살) | ||
화기 | <colbgcolor=#FEDC89> 화포/폭•포탄 | 주화, 구포 | |||
화전/로켓 | 다발화전, 화차 | ||||
방어구 | 갑(甲)/군복 | 철찰갑, 피찰갑, 쇄자갑, 경번갑 | 철릭 | ||
주(胄) | 원주형 투구, 첨주형 투구, 간주형 투구 | ||||
방패 | 수패 | ||||
군장 | 동개, 활집 | ||||
전차/육상병기 | 검차, 포차, 화차, 다발화전 | 마름쇠 | |||
전선(戰船) | 초마선, 과선, 누전선 | }}}}}}}}} |
조선의 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ff> 백병 |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ff> 도검 | 사인검, 월도, 왜검, 장검, 창포검, 환도, 협도, 쌍수도 | ||
창 | 당파, 장창, 낭선, 기창, 죽장창, 요구창, 겸창, 이두표, 표창 | ||||
둔기 | 도끼(부월), 쇠좆매, 육모방망이, 철퇴, 철편, 편곤 | ||||
발사 무기 | 궁(弓)・시(矢) | 국궁, 각궁, 목궁(교자궁), 죽궁, 쇠뇌 | 장전, 편전(애기살) | ||
화기 |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ff> 화포 탄약・지뢰 | 천자총통, 지자총통, 현자총통, 황자총통 별대완구,대완구,중완구,소완구,소소완구, 총통기, 호준포, 불랑기포, 홍이포, 운현궁 화포(소포, 중포, 대포), 목모포, 파진포, 지뢰포, 수뢰포 쇄마탄, 목통 | 진천뢰, 질려포통, 비격진천뢰, 죽장군, 대장군전 | ||
개인화기 | 조총, 천보총, 대조총, 승자총통, 삼안총, 세총통, 수포, 쌍자총통, Gew71, 스나이더-엔필드 | ||||
화전・로켓 | 신기전, 화차 | ||||
방어구 | 갑(甲)・군복 | 두정갑, 철찰갑, 피찰갑, 쇄자갑, 경번갑, 면제배갑, 엄심갑, 지갑, 어린갑(두석린갑) | 납의, 철릭, 구군복, 포졸복 | ||
주(冑)・군모 | 간주형 투구, 첨주형 투구, 원주형 투구 | 전립, 주립 | |||
방패 | 원방패, 장방패, 등패, 장태 | ||||
군장 | 띠돈, 동개, 활집, 광다회, 전대 | ||||
전차・육상병기 | 화차, 비거 | 마름쇠 | |||
전선(戰船) | 판옥선, 방패선, 거북선, 해골선, 맹선, 과선, 협선, 사후선, 누전선 | }}}}}}}}} |
[clearfix]
1. 개요
고려 시대 왜구를 막기 위해 만들어진 군함으로, 원정을 떠날수 있을정도로 빠르고 견고한 전함이었다. 판옥선의 전신이다.2. 상세
과선은 기본적으로 해적들을 쫓아내기 위해서 만들어진 선박으로서, 한국선박의 전통에서 검선 → 거북선 같은 돌격선이 등장하는 발전 과정을 보여주는 것으로 어느정도 추정하고 있다. 단, 고려 후기에는 일반적인 전함에 가까운 이러한 '누전선'들이 주력으로 쓰였다. 이는 해적을 구축하는 목적이 아니라, 일반적인 전투 함선이 필요해진 시대상 때문으로 추정된다.누선, 누전선, 평전선은 중국과 고려 기록에서 등장하는 선박이다. 태조 왕건도 누선이라고 불린 초기 형태에 탑승했다는 기록이 있다. 고려의 누선 시리즈도 대륙의 누선이랑 명칭이 같지만, 정크선보다는 전통적인 한선에 가까워서 매우 견고했다. 특히 누전선은 조선시대의 판옥선이랑 비슷해졌는데, 중앙에 누옥이라는 구조물이 있다는 점에서도 판박이였다. 단, 평전선은 누옥이 없는 평평한 형태를 의미한다. 자세히 보면, 조선시대의 조운선이랑 상당히 흡사하다.
고려의 누선 시리즈는 한선답게 어찌나 튼튼했는지, 원나라에서도 "중국(남송)의 배는 크기에 비하면 약해서 부딪치면 깨지지만, 고려인들의 배는 굉장히 튼튼하니 걔들의 배를 빌리면 이길 수 있음!" 하고 추가적인 침략을 제의했을 정도였다. [1] 덤으로, 누전선은 이물바우와 뱃전의 형태 덕분에, 조선시대의 판옥선과는 다르게 항해기능에 대한 평가도 좋았다.[2] 위에서 설명하였듯, 이러한 누선은 이후에 평선, 맹선, 그리고 판옥선에도 영향을 주게 되었다.
[1] 누전선은 여몽연합군의 일본원정에도 동원되었다. 여기서 보여준 튼튼한 내구성과 전투력 때문에 원나라와 일본에게도 깊은 인상을 주었다. 하지만, 고려 입장에서는 가뜩이나 40여년 동안의 몽골 전쟁으로 피폐해진 국력과 인구를 무익하게 갖다바친 꼴이어서 좋은 일이 아니었다. (...) 원정의 결과로서 가마쿠라 막부가 조기에 붕괴하면서 왜구들이 더욱 날뛰었으며, 일부 학자들은 고려 말기의 해상전력이 쇠퇴하여 고려 말 왜구의 침입에 당한 것도, 당시의 원 제국에게 휘둘려서 수군을 탕진해버린 영향으로 보고 있다.[2] 다만 판옥선은 연안 방어용으로 만들어진 배라서 항해기능은 별로 단점이 되지 않았으며 따라서 판옥선이 누전선보다 성능이 떨어진다는 의미는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