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의 장검에 대한 내용은 롱소드 문서 참고하십시오.
고려의 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EDC89> 백병 | <colbgcolor=#FEDC89> 도검 | 장검, 장도, 철검, 환도, 환두대도 | ||
창 | 과, 모, 장창, 창, 기창 | ||||
둔기 | 도끼(부월), 철퇴 | ||||
발사 무기 | 궁(弓)・시(矢) | 국궁, 각궁, 목궁, 죽궁, 쇠뇌 | 편전(애기살) | ||
화기 | <colbgcolor=#FEDC89> 화포/폭•포탄 | 주화, 구포 | |||
화전/로켓 | 다발화전, 화차 | ||||
방어구 | 갑(甲)/군복 | 철찰갑, 피찰갑, 쇄자갑, 경번갑 | 철릭 | ||
주(胄) | 원주형 투구, 첨주형 투구, 간주형 투구 | ||||
방패 | 수패 | ||||
군장 | 동개, 활집 | ||||
전차/육상병기 | 검차, 포차, 화차, 다발화전 | 마름쇠 | |||
전선(戰船) | 초마선, 과선, 누전선 | }}}}}}}}} |
조선의 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ff> 백병 |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ff> 도검 | 사인검, 월도, 왜검, 장검, 창포검, 환도, 협도, 쌍수도 | ||
창 | 당파, 장창, 낭선, 기창, 죽장창, 요구창, 겸창, 이두표, 표창 | ||||
둔기 | 도끼(부월), 쇠좆매, 육모방망이, 철퇴, 철편, 편곤 | ||||
발사 무기 | 궁(弓)・시(矢) | 국궁, 각궁, 목궁(교자궁), 죽궁, 쇠뇌 | 장전, 편전(애기살) | ||
화기 |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ff> 화포 탄약・지뢰 | 천자총통, 지자총통, 현자총통, 황자총통 별대완구,대완구,중완구,소완구,소소완구, 총통기, 호준포, 불랑기포, 홍이포, 운현궁 화포(소포, 중포, 대포), 목모포, 파진포, 지뢰포, 수뢰포 쇄마탄, 목통 | 진천뢰, 질려포통, 비격진천뢰, 죽장군, 대장군전 | ||
개인화기 | 조총, 천보총, 대조총, 승자총통, 삼안총, 세총통, 수포, 쌍자총통, Gew71, 스나이더-엔필드 | ||||
화전・로켓 | 신기전, 화차 | ||||
방어구 | 갑(甲)・군복 | 두정갑, 철찰갑, 피찰갑, 쇄자갑, 경번갑, 면제배갑, 엄심갑, 지갑, 어린갑(두석린갑) | 납의, 철릭, 구군복, 포졸복 | ||
주(冑)・군모 | 간주형 투구, 첨주형 투구, 원주형 투구 | 전립, 주립 | |||
방패 | 원방패, 장방패, 등패, 장태 | ||||
군장 | 띠돈, 동개, 활집, 광다회, 전대 | ||||
전차・육상병기 | 화차, 비거 | 마름쇠 | |||
전선(戰船) | 판옥선, 방패선, 거북선, 해골선, 맹선, 과선, 협선, 사후선, 누전선 | }}}}}}}}} |
세종실록 오례 장검(長劍) | 경복궁 수문장 교대식 장검 재현 |
1. 개요
조선 초기부터 임진왜란 때까지 쓰인 폴암류 병기. 장대에 긴 환도를 부착한것처럼 생겼다. 세종실록 133권 오례에 따르면, 날은 길이가 2척 5촌이고, 자루는 나무를 사용하는데 길이가 5척 9촌이므로 총 길이는 9척4촌, 주척(周尺)으로 환산시 174.72cm다. 장대는 붉은 색으로 칠하거나 혹은 검은 색으로 칠하고, 자루 아래에 덮어씌운 쇠(冒鐵, 모철)가 있어 둥글고 뾰족하다.긴 장대 때문에 흔히 창의 일종으로 여겨지지만(폴암도 자주 받는 오해다) 이름에서 보이듯이 실제로는 검의 손잡이를 길게 늘린 것에 가까우며 운용 방식도 창과는 꽤 다르다.
외형은 실전형 월도나 글레이브, 협도 등과 흡사하지만 월도는 주로 기마용으로 쓰이고 육중한 무게를 이용하여 적 보병의 진형을 붕괴시키는데 쓰였으며, 협도 또한 보병용으로 육중한 무게를 이용하여 적 보병의 진형을 붕괴시키는 데 사용되었다. 반면에 장검은 월도보다 가볍기에 도검처럼 빠르고 경쾌하게 베어내되 긴 장대를 이용해 좀 더 멀리서 베는 것에 중점을 둔 무기다. 월도보다는 일본의 나기나타와 같은 계열에 가깝다.
정도전의 진법에 포함된 보병의 다섯 개 병종 중에 '검(劍)'이 바로 이 장검으로 무장한 병종 보병용으로 쓰였다.
후나후포(後捕後獲)라고 적의 뒤에서 적을 생포할 때 쓰는 무기로도 쓰였으며, 체력을 단련하는 부가기능도 있었다.
경복궁 수문장 교대식이나 기타 유적지 예식에서 볼 수 있다.
2. 역사
폴암의 역사가 고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듯이 한반도에서도 장대에 긴 철제무기를 붙여 사용한 역사는 길다. 원삼국시대부터 장대에 긴 철제형 검날형을 붙인 검신형(劍身) 투겁창이 사용되어 현재에도 발굴되고 있으며[1], 3~5세기 가야시대에는 장대에 휘어진 칼날을 묶은 곡도 또한 발굴되었다. 이러한 장병기는 남북국시대를 거치며 고려시대에 이르러 장검으로 발전한 것으로 추정된다.3~5세기 대성동 고분군 출토품 | 출토된 가야의 곡도와 장창 복원체 |
고려시대에는 대규모 외침이 있을 시에는 인구수의 1/10이 병력으로 운영되었을 정도로 전 국민이 전쟁과 맞닿은 삶을 지내고 있었다. 또한 지방호족들이 난립하던 시기였으며, 소규모 외침 또한 매우 잦았고, 중앙 군사력이 약하여 지방호족들에 기댈 수밖에 없었다. 지방호족들은 별초를 운영하여 사병집단을 정예화 하였고, 잦은 외침과 이러한 사병 정예화는 집단전에 기초된 전술에서 소규모 백병전의 필요성 또한 요구되었다. 이러한 집단전 위주의 장창병에서 백병전에서 보조 할 수 있는 장병기 수단으로 장검(長劍)이 발달 된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중앙집권화를 이루고 세종 때 오례에 장검(長劍)이 편성되어 있으나 엘리트 정예병인 갑사의 폐지와 궁기병 및 화포 위주의 교리, 오랜 평화기로 제대로 사용할 줄 아는 인원이 점점 줄어들었다. 그러다 임진왜란 때 백병전에 능숙한 왜군에게 제대로 깨지고 난 후 기효신서 체제를 받아들이면서 명나라로부터 들여온 월도와 협도로 교체되었다. 장검으로도 왜군의 나기나타에 충분히 맞설 수 있음에도 굳이 월도로 바꾼 이유는 기효신서 체제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조선식 월도는 명나라식 월도에 비해 날이 얇고 길며 가벼워 장검의 흔적이 어느 정도 남아 있음을 알 수 있다. 무예도보통지의 여느 무기들이 다 그렇듯이 조선식과 중국식이 절충된 셈.
[1] 장검(長劍)과 흡사하게 생긴 월도(月刀) 또한 원 삼국시대부터 사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