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공덕초등학교 | 구서초등학교 | 금빛초등학교 | 금사초등학교 |
금샘초등학교 | 금성초등학교 | 금양초등학교 | 금정초등학교 | |
남산초등학교 | 동래초등학교 | 동상초등학교 | 동현초등학교 | |
두실초등학교 | 부곡초등학교 | 부산삼육초등학교 | 서동초등학교 | |
서명초등학교 | 장서초등학교 | 장전초등학교 | 청룡초등학교 | |
현곡초등학교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 ||||
학교 틀 둘러보기 |
<colbgcolor=#2e3192><colcolor=#fff> 장전초등학교 長箭初等學校 Jangjeon Elementary School | |
| |
개교 | 1977년 9월 1일[1] |
성별 | 남녀공학 |
형태 | 공립 |
교장 | 윤언중 |
교훈 | 배움으로 역량을 기르고 꿈을 가꾸는 어린이 |
교화 | 장미 |
교목 | 소나무 |
교조 | 까치 |
학생 수 | 505명[기준] |
교직원 수 | 38명[기준] |
관할 교육청 | 부산광역시동래교육지원청 |
주소 | 부산광역시 금정구 수림로 90 (장전동 87-1) |
홈페이지 | |
<nopad> |
[clearfix]
1. 개요
장전초등학교는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에 위치한 공립학교이다.2. 학교 연혁
- 2024년 3월 1일: 2024학년도 24(1)학급 편성
- 2024년 2월 8일: 제47회 졸업 남-55명, 여-58명 계 113명 총 졸업생 13,724명
- 2023년 9월 1일: 제 19대 윤언중 교장 부임
- 2023년 3월 1일: 26학급 편성(총 576명, 특수 1학급 포함)
- 2023년 2월 10일: 제 46회 졸업식(114명 졸업, 총 14609명)
- 2022년 3월 1일: 28(1)학급 편성(총 622명)
- 2022년 3월 1일: 부산광역시교육청 탄소중립 연구학교 운영(2022.3.1.~2023.2.28.)
- 2021년 3월 1일: 교생실습 협력학교 2년차 운영(2020.3.1.~2022.2.28.)
- 2021년 3월 1일: 28학급 편성(634명, 특수 1학급 포함)
- 2021년 2월 19일: 제 44회 졸업식 (112명 졸업, 총 13,397명)
- 2021년 2월 10일: 무한상상실 구축
- 2020년 9월 1일: 제 18대 마동환 교장 부임
- 2020년 3월 1일: 30학급 편성(674명, 특수 1학급 포함)
- 2020년 2월 21일: 제 43회 졸업식(118명 졸업. 총 13285명)
- 2019년 3월 1일: 30학급 편성(696명, 특수 1학급 포함)
- 2019년 2월 21일: 제 42회 졸업식
- 2018년 11월 1일: 후문 완공
- 2018년 10월 1일: 운동장 정비 공사
- 2018년 9월 1일: 제 17대 김장식 교장 부임
- 2018년 8월 31일: 중창공사
- 2018년 3월 1일: 30 학급(통합반 1개반 포함) 편성
- 2018년 2월 20일: 제41회 졸업 (86명)
- 2018년 1월 25일: 석면 텍스 철거 및 노후 전등 교체
- 2017년 3월 1일: 31 학급(통합반 1개반 포함) 편성
- 2017년 2월 17일: 제40회 졸업
- 2016년 3월 2일: 보건실, 과학실 현대화
- 2016년 3월 1일: 교육부 정책 연구학교 지정(교육과정, 2년간)
- 2016년 3월 1일: 30학급(특수1 포함) 편성
- 2015년 12월 1일: 서편 계단 및 배수로 조성
- 2015년 8월 3일: 교사 외벽 도색
- 2015년 3월 2일: 동편 교문 및 담장 조성
- 2015년 3월 1일: 29 학급(특수 1 포함) 편성
- 2015년 3월 1일: 제 16대 권해성 교장선생님 취임
- 2015년 2월 17일: 제 38회 졸업식(86명 졸업, 총 12796명)
- 2014년 3월 3일: 25(1) 학급 편성
- 2014년 2월 28일: 화장실 개보수 공사(뒷동)
- 2014년 2월 17일: 제 37회 졸업식(93명 졸업, 총 12710명)
- 2013년 11월 4일: 어린이 놀이시설 확충
- 2013년 10월 1일: 급식실 현대화 준공 및 기구 확충
- 2013년 9월 9일: 솔빛관(체육관) 준공 및 교구 확충
- 2013년 5월 13일: 운동장 트랙 조성
- 2013년 5월 6일: 방과후 컴퓨터실 정비
- 2013년 3월 11일: 돌봄교실 조성(까치반)
- 2013년 3월 1일: 24(1) 학급 편성
- 2013년 2월 28일: 건물 중앙 놀이장 조성
- 2013년 2월 15일: 제 36회 졸업식(105명 졸업, 총 12,617명)
- 2012년 9월 1일: 교사 내부 도색
- 2012년 3월 1일: 전교실 사물함 및 수납장 교체
- 2012년 3월 1일: 20(1) 학급 편성
- 2012년 2월 29일: 복도중창 공사 및 화장실 개축
- 2012년 2월 15일: 제35회 졸업식(118명 졸업, 총 12512명)
- 2011년 12월 7일: 사교육절감형 창의경영학교 합동보고회
- 2011년 8월 10일: 아동용 책걸상 교체
- 2011년 7월 13일: 구강보건실 개소
- 2011년 3월 10일: 장애인 엘리베이터 설치
- 2011년 3월 1일: 제15대 남기수 교장선생님 취임
- 2011년 3월 1일: 21(1)학급 편성
- 2011년 2월 18일: 제 34회 졸업식(120명 졸업, 총 12394명)
- 2011년 2월 17일: 상담실 설치
- 2010년 3월 1일: 25학급 편성(특수학급 1포함)
- 2010년 2월 20일: 제 33회 졸업식 (총12,274명)
- 2009년 3월 1일: 26학급 편성(특수학급 1 포함)
- 2009년 2월 21일: 제32회 졸업(졸업생 누계 12,155명)
- 2009년 2월 20일: 방송실 현대화 작업 완료
- 2008년 12월 15일: 교내 수목 전정 작업 완료
- 2008년 9월 25일: 교실 롤 스크린 교체 및 설치 작업 완료
- 2008년 9월 2일: 교실 수납장 현대화 사업 완료
- 2008년 9월 1일: 제14대 박양욱 교장 취임
- 2008년 8월 31일: 제13대 신경룡 교장 명예퇴임
- 2008년 7월 2일: 주차장 및 후관 측구 공사 완료
- 2008년 3월 1일: 29학급 편성(특수학급 1 포함)
- 2008년 2월 21일: 제 31회 졸업식(174명 졸업, 총12001명)
- 2008년 2월 11일: 보건실 현대화 사업 완료
- 2008년 2월 11일: 물탱크 철거 및 주변부 바닥공사
- 2008년 2월 11일: 숙직실 및 행정실 보수공사 완료
- 2008년 1월 18일: 보육실 설치공사
- 2007년 9월 30일: 과학실 현대화(2차)
- 2007년 3월 1일: 제13대 신경룡교장 취임
- 2007년 2월 28일: 운동장 시계탑 건립
- 2007년 2월 28일: 방송실 및 현관 인테리어 공사
- 2007년 2월 21일: 제 30회 졸업식(총11,827명)
- 2006년 12월 29일: 학교평가 경영부문 최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 2006년 9월 30일: 체육실 및 교실 방수공사
- 2006년 3월 14일: 교무실 및 행정실 현대화
- 2006년 3월 1일: 38학급(특수포함) 편성
- 2006년 2월 28일: 운동장 스탠드 차양막, 조례대 캐노피 설치
- 2006년 2월 20일: 제 29회 졸업식(총11,627명)
- 2005년 11월 29일: 중앙현관 캐노피 사인 설치
- 2005년 10월 24일: 과학실 현대화 (부분) 완료
- 2005년 8월 12일: 모둠학습실 1실 설치
- 2005년 5월 7일: 도서실 리모델링 및 도서 확충
- 2005년 3월 14일: 어학실 2실 설치
- 2004년 9월 1일: 제 12대 정수원 교장선생님 부임
- 2003년 8월 1일: 최우수 체험학교 선정, 교육감상 수상
- 2002년 12월 31일: 학교경영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 2002년 3월 1일: 시교육청 지정 학교간 협력교육 시범학교(장전, 금성)
- 2000년 10월 1일: 멀티미디어실 (컴퓨터 37대, 민간참여) 증설
- 2000년 9월 1일: 제 11대 문기웅교장 부임
- 2000년 7월 11일: 시교육청지정 성교육 시범학교 운영보고
- 2000년 6월 4일: 교내인터넷망 설치
- 1999년 12월 1일: 어학실 1실(교실2공간) 신설
- 1999년 6월 11일: 인성교육실, 멀티미디어실, 정보도서실 신설
- 1999년 3월 1일: 38학급편성. 금양초등학교 분리
- 1999년 3월 1일: 시교육청 지정 성교육 시범학교 지정
- 1998년 12월 31일: 지역모델 중점 육성학교 지정
- 1997년 11월 30일: 시교육청 사회교육시범학교 운영보고
- 1994년 10월 25일: 동래교육청지정 교과(산수과)중심학교 운영공개
- 1993년 12월 28일: 체육 활동 우수 교육감 표창
- 1991년 7월 20일: 계단식 학습원 조성
- 1990년 6월 9일: 스탠드 차양대(2개) 설치
- 1987년 3월 1일: 60학급 편성
- 1985년 4월 15일: 컴퓨터실 개소
- 1984년 3월 1일: 59학급 편성, 장서국민학교 분리
- 1983년 2월 21일: 시교육청 지정 과학교육시범학교
- 1981년 9월 1일: 구서국민학교 분리
- 1980년 9월 1일: 18개교 교실 증축, 63학급 편성
- 1980년 3월 1일: 59학급 편성
- 1979년 8월 21일: 3학급 증설(41학급 편성)
- 1979년 3월 1일: 38학급 편성(증축 7개 교실)
- 1978년 3월 1일: 30학급 편성
- 1977년 12월 5일: 신교사 입교(교실24, 관리실2)
- 1977년 9월 1일: 장전국민학교 개교 초대 박한수 교장 부임
- 1977년 8월 10일: 장전국민학교 설립
3. 교훈 및 상징
- 출처: 장전초등학교(부산) 홈페이지
3.1. 교표
교명의 첫 글자 자음인 ㅈ으로 어린이로 형상화, 단순화시켜 장전초등학교 어린이들이 밝게 자라가는 모습을 상징합니다.
3.2. 교화
장미-아름다운 꽃이 피고 향기가 있어 사람들의 사랑을 받는 장미는 장전 어린이를 상징하며, 고운 마음과 사랑을 베풀 줄 아는 어린이로 자라라는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3.3. 교목
소나무-소나무는 우리나라 전국에 분포하는 대표적인 나무로서, 사철 푸른빛과 하늘을 향한 꿋꿋한 기상은 장전 어린이의 창창한 앞날을 기워하는 의미가 담겨있습니다.3.4. 교조
까치3.5. 캐릭터
까미와 까비-학교의 교조인 까치에서 캐릭터 명칭을 땄으며 교목, 교화를 기본으로 하여 장미꽃핀과 소나무로 만든 활과 화살을 표현하였습니다. 까미는 착하고 영리하며, 까비는 사랑의 화살로 화해를 도모하는 정의로운 장전 어린이를 상징합니다.3.6. 교훈
배움으로 역량을 기르고 꿈을 가꾸는 어린이
3.7. 교가
4. 학교 특징
5. 학교 시설
체육집회공간 :1실6. 학교 생활
6.1. 주요 행사
추가하시려면 "행사명: 개최시기"로 추가해주시고 부가적인 설명을 적어주세요. |
6.2. 학교 일과
나머지 일과, 방과후 프로그램 등은 이곳에 작성합니다. |
교시 | 시간 | 시량 |
등교시간 | ~ 08:40 | |
1교시 | 08:50 ~ 09:30 | 40 |
2교시 | 09:40 ~ 10:20 | 40 |
중간놀이 | 10:20 ~ 10:40 | 20 |
3교시 | 10:40 ~ 11:20 | 40 |
4교시 | 11:40 ~ 12:10 | 40 |
점심시간 | 12:10 ~ 13:00 | 50 |
5교시 | 13:00 ~ 13:40 | 40 |
6교시 | 13:50 ~ 14:30 | 40 |
7. 출신 인물
- 태항호 - 배우
- 박인영 - 제5-7대 금정구의회 의원, 제8대 부산광역시의회 전반기 의장
- 이준호 - 제8대 금정구의회 의원, 제9대 부산광역시의회 의원
- 하은미 - 제7-9대 금정구의회 의원
8.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8.1. 버스
장전초등학교(11072·11073·11282·11283) |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 |
급행 | |
일반 | |
양산시 시내버스 | |
일반 |
8.2. 도시철도
9. 사건·사고
언론에서 보도한 경우에만 서술합니다. |
- 1995년 대순진리회의 대진전자공업고등학교[5]가 착공을 하게 되어서 본교 학부모들의 반발이 극심하여 장전초등학교 등교 거부 사태가 일어났다.# 대순진리회 측에서는 대진전자공업고등학교에서 어떠한 종교행사도 하지 않고 교장은 종교와 무관한 순수한 교육자로 하겠다고 주민들과 합의하면서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대진전자공업고등학교 개교 반대 사건은 종결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