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fff> 구분 | 명칭 | |
프로 | 1군 | KBO 리그 | |
2군 | KBO 퓨처스리그 | ||
윈터 리그 | KBO 퓨처스 교육리그 | ||
국제 |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U-24 대표팀)|아시아 윈터 베이스볼 리그 (2군 대표팀) | ||
독립 | |||
실업 | 한국실업야구 | ||
아마추어 | KBO 챌린저스|KBSA 리그|권역별 지역 대회 | ||
여자 | 한국여자야구대회 (챔프리그 | 퓨처리그) | ||
학생 · 유소년 | 대학 | KUSF 대학야구 U-리그 및 왕중왕전|대학야구선수권|대통령기|전국체전 | |
고교 | 고교야구 주말리그 대통령배|봉황대기|청룡기|황금사자기| 신세계 이마트배|명문고 야구열전|전국체전 | ||
중학 | 전국소년체육대회|대통령기 중학야구대회|전국중학야구선수권대회| 백호기전국중학야구대회|U-15 전국유소년야구대회 | ||
초교 | 박찬호기 전국초등학교야구대회 외 3개 대회 | ||
리틀야구 주니어부|리틀야구 리틀부 | |||
<colbgcolor=#444444><colcolor=#ffffff> 폐지 | <colbgcolor=#444444><colcolor=#ffffff> 프로 윈터 | 낙동강 교육 리그 | |
독립 | KIBA 드림 리그 | ||
실업 | 전국종합야구선수권대회 | ||
대학 | 회장기 춘계리그|회장기 하계리그 | ||
고교 | 야구대제전|대붕기|무등기|화랑대기|미추홀기 | ||
국제 | 한일 슈퍼게임|아시아 시리즈|한일 클럽 챔피언십|한대 클럽 챔피언십 |
고교야구 토너먼트 대회 | |||
황금사자기 | 청룡기 | 대통령배 | 봉황대기 |
전국 명문고 야구열전 | 신세계 이마트배 | 전국체전 | |
{{{#!folding [ 폐지한 대회 ] |
<colbgcolor=#0065af><colcolor=#ffffff> 전국 명문고 야구열전™ | |
정식 명칭 | 롯데자이언츠·파이낸셜뉴스배 명문고야구열전 |
창설 | 2014년 |
주관 단체 | 롯데 자이언츠, 파이낸셜뉴스 |
참가 자격 | 참가 희망 구단 |
최근 우승 구단 | 덕수고 (2024) |
최다 우승 구단 | 경남고 (3회) |
최다 MVP | - |
[clearfix]
1. 개요
파이낸셜뉴스가 주최하는[1] 야구 대회로 고교야구 부활을 도모하기 위해 창설했다. 매년 3월 초중순에 열리기 때문에 고교야구 시즌을 시작하는 대회 중 하나로 꼽힌다.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 공식 주관 대회가 아니어서 협회 사이트에 공식 일정은 물론 기록이 전혀 표시되지 않는다.1회 대회때는 경기고등학교, 서울고등학교, 경남고등학교, 부산고등학교 단 4개팀이 참가했으나 2회 대회에는 1회대회 출전팀이었던 경기고등학교, 서울고등학교, 경남고등학교, 부산고등학교뿐만 아니라 광주제일고등학교, 경북고등학교, 상원고등학교, 북일고등학교가 추가로 참가해 총 8개팀으로 확장되었다.[2]
초봄에 열리는 대회라서 서울에서 대회를 치르기에는 다소 기후가 적절치 않다는 문제도 있고 애초에 이 대회가 부산지역 경제지에서 만든 대회라서 창설 이후 줄곧 부산광역시에서 대회가 열리고 있다. 4년 연속 구덕 야구장에서 개최되었으며 최동원기념사업회와 손을 잡고 최우수선수에게는 "최동원선수상"이 수여된다. 수상자에게는 50만원 상당의 야구용품이 지급되며 파이낸셜뉴스에서 최동원 동상을 축소한 트로피를 지급한다.
2018년 제5회 부터는 구덕 야구장이 철거 되어 기장-현대차 드림 볼파크로 무대를 옮겨 진행한다.
2025년 대회부터 롯데 자이언츠가 후원에 참여한다. 역대 최초 프로야구단과 언론사가 손잡고 야구대회를 주최하는 사례로, 파이낸셜뉴스 측은 이를 통해 프로와 아마의 경계를 허무는 '신선한 변혁'을 이룰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롯데 자이언츠의 후원에 따라 결승전은 사직 야구장에서 진행된다.
2. 대회 일람
2.1. 2020년도 대회 관련
2020년 제7회 대회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하여 당초 3월 4일부터 예정되었던 대회를 11월 4일부터 8일까지 5일간 진행하는 것으로 연기했다. 그런데 대진표가 올라오지 않았다.대회는 종전 대회처럼 12팀 초청에 조별예선을 치러 각 1위팀이 4강에 오르고 그 이후는 토너먼트제로 진행되었다. 조별예선 결과에 따른 4강대진은 다음과 같다.
<rowcolor=#ffffff> 조별 1위 | A조 | B조 | C조 | D조 |
<colbgcolor=#0065af><colcolor=#ffffff> 준결승 | 덕수고 | | 경남고 | |
결승 (TV중계) | 덕수고[3] | 경남고[4] | ||
우승팀 | 경남고등학교 (12vs5, 對 덕수고등학교) |
2.2. 2023년도 대회
조 구분 | 팀목록 | ||
A조 | 경북고 | 덕수고 | 광주제일고 |
B조 | 대구고 | 경남고 | 마산고 |
C조 | 대구상원고 | 서울고 | 부산고 |
D조 | 북일고 | 충암고 | 전주고 |
경기구분[5] | 대진 | 경기장명 | ||
3월 8일 오전 | 대구상원고 | 12-5 | 서울고 | 인조A구장 |
북일고 | 0-5 | 충암고 | 인조B구장 | |
3월 8일 오후 | 대구고 | 5-4 | 경남고 | 인조A구장 |
3월 8일 오후(개막전) | 경북고 | 6-5 | 덕수고 | 인조B구장 |
3월 9일 오전 | 북일고 | 8-12 | 전주고 | 인조A구장 |
경북고 | 9-8 | 광주제일고 | 인조B구장 | |
3월 9일 오후 | 대구상원고 | 3-13 | 부산고 | 인조A구장 |
대구고 | 5-1 | 마산고 | 인조B구장 | |
3월 10일 오전 | 서울고 | 0-3 | 부산고 | 인조A구장 |
덕수고 | 1-3 | 광주제일고 | 인조B구장 | |
3월 10일 오후 | 충암고 | 2-5 | 전주고 | 인조A구장 |
경남고 | 2-6 | 마산고 | 인조B구장 | |
3월 11일 오전(준결승) | 대구고 | 1-7 | 경북고 | - |
3월 11일 오후(준결승) | 부산고 | 5-6 | 전주고 | - |
3월 12일 정오(결승) | 경북고 | 10-6 | 전주고 | - |
2.3. 2024년도 대회
조 구분 | 팀목록 | ||
A조 | 덕수고 | 경북고 | 북일고 |
B조 | 부산고 | 대구고 | 광주제일고 |
C조 | 서울고 | 강릉고 | 전주고 |
D조 | 경남고 | 충암고 | 인천고 |
경기구분[6] | 대진 | 경기장명[7] | ||
3월 6일 오전 | 전주고 | - | 강릉고 | 기장A |
대구고 | - | 부산고 | 기장천연 | |
3월 6일 오후 | 충암고 | - | 인천고 | 기장A |
덕수고 | 6-2 | 경북고 | 기장천연 | |
3월 7일 오전 | 서울고 | 1-3 | 전주고 | 기장A |
경북고 | - | 북일고 | 기장B | |
3월 7일 오후 | 경남고 | 9-10 | 충암고 | 기장A |
부산고 | - | 광주제일고 | 기장B | |
3월 8일 오전 | 북일고 | 1-7 | 덕수고 | 기장A |
광주제일고 | - | 대구고 | 기장B | |
3월 8일 오후 | 강릉고 | 9-0 | 서울고 | 기장A |
인천고 | - | 경남고 | 기장B | |
3월 9일 오전(준결승) | 전주고 | 4-3 | 인천고 | 기장A |
3월 9일 오후(준결승) | 덕수고 | 6-2 | 대구고 | |
3월 10일 정오(결승) | 전주고 | 4-5 | 덕수고 | 기장천연 |
2.4. 2025년도 대회
주말리그 전반기가 예년에 비해 약 1주일 앞당긴 2025년 3월 8일 개막함에 따라 명문고 야구열전 역시 예년에 비해 빠른 2월 25일부터 3월 1일까지 열린다. 올해 대회는 롯데 자이언츠 구단으로부터 후원을 받아 결승전을 사직 야구장에서 치룬다.조 구분 | 팀목록 | ||
A조 | 덕수고등학교 | 대구고등학교 | 마산용마고등학교 |
B조 | 광주제일고등학교 | 북일고등학교 | 인천고등학교 |
C조 | 전주고등학교 | 휘문고등학교 | 경남고등학교 |
D조 | 부산고등학교 | 서울고등학교 | 대구상원고등학교 |
경기구분[8] | 대진 | 경기장명 | ||
2월 25일 오전 | 북일고 | 광주제일고 | 천연구장 | |
휘문고 | 경남고 | 보조B구장 | ||
2월 25일 오후 | 대구고 | 덕수고 | 천연구장 | |
대구상원고 | 부산고 | 보조B구장 | ||
2월 26일 오전 | 부산고 | 서울고 | 보조B구장 | |
덕수고 | 마산용마고 | 보조A구장 | ||
2월 26일 오후 | 경남고 | 전주고 | 보조B구장 | |
광주제일고 | 인천고 | 보조A구장 | ||
2월 27일 오전 | 마산용마고 | 대구고 | 보조B구장 | |
서울고 | 대구상원고 | 보조A구장 | ||
2월 27일 오후 | 전주고 | 휘문고 | 보조B구장 | |
인천고 | 북일고 | 보조A구장 | ||
2월 28일 오전(준결승) | A조 1위 | B조 1위 | 보조B구장 | |
2월 28일 오후(준결승) | C조 1위 | D조 1위 | 보조B구장 | |
3월 1일 오후(결승) | A, B조 승리팀 | C, D조 승리팀 | 사직 야구장 |
3. 역대 대회 결과
<rowcolor=#ffffff> 개최년도 | 1위 | 2위 | 최우수선수 | 최동원선수상[9] | 스코어 |
2014년 | 경기고 | 부산고 | 김해수(경기고) | 8-6 | |
2015년 | 상원고 | 경북고 | 이석훈(상원고) | 13-11 | |
2016년 | 경남고 | 경북고 | 최원영(경남고) | 6-2 | |
2017년 | 서울고 | 경남고 | 이재원(서울고) | 10-7 | |
2018년 | 경남고 | 부산고 | 윤준호(경남고) | 서준원(경남고) | 8-2 |
2019년 | 덕수고, 대구고 공동 우승 | 류현우(대구고) 이지원(덕수고) | 장재영(덕수고) | 우천취소[10] | |
2020년[11] | 경남고 | 덕수고 | 허성철(경남고) | 어용(경남고) | 12-5 |
2021년 | 경북고 | 전주고 | 차재은(경북고) | 진승현(경북고) | 5-0 |
2022년 | 덕수고 | 경남고 | 김승준(덕수고) | 5-0 | |
2023년 | 경북고 | 전주고 | 전미르(경북고) | 10-6 (강우콜드) | |
2024년 | 덕수고 | 전주고 | 정현우(덕수고) | 5-4 |
4. 학교별 우승 횟수
학교 | 횟수 | 연도 |
경남고등학교 | 3회 | 16, 18, 20 |
덕수고등학교 | 3회 | 19, 22, 24 |
경북고등학교 | 2회 | 21, 23 |
경기고등학교 | 1회 | 14 |
대구상원고등학교 | 1회 | 15 |
서울고등학교 | 1회 | 17 |
대구고등학교 | 1회 | 19 |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fff><tablebgcolor=#ffffff> | 전국 명문고 야구열전™ 역대 우승 고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순서 | 우승 구단 | 우승 연도 | 우승 횟수 | |
1 | | <colbgcolor=#034295,#fff> 경기고등학교 | 2014년 | ★ 1회 | |
2 | | 대구상원고등학교 | 2015년 | ★ 1회 | |
3 | <colbgcolor=#034295,#191919> | 경남고등학교 | 2016년, 2018년, 2020년 | ★★★ 3회 | |
4 | | 서울고등학교 | 2017년 | ★ 1회 | |
5 | | 덕수고등학교 | 2019년[공동우승], 2022년, 2024년 | ★★★ 3회 | |
| 대구고등학교 | 2019년[공동우승] | ★ 1회 | ||
6 | | 경북고등학교 | 2021년, 2023년 | ★★ 2회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41e42> | 롯데 자이언츠 관련 문서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041e42><colcolor=#fff> 구단 기본 정보 | <colbgcolor=#041e42><colcolor=#fff> 모기업 | ||
구단 | 롯데 자이언츠 롯데 자이언트(실업시절) | |||
롯데 자이언츠 2군 | ||||
프런트 | 선수단 | ||||
경기장 | 1군 메인 사직 야구장(재건축) 과거 | |||
1군 보조 울산 문수 야구장 과거 마산 야구장 | ||||
2군 상동 야구장 | ||||
현재 시즌 | 2025 시즌(스프링캠프) | |||
구단 역사 정보 | ||||
통합 역사 | 역사 | |||
우승 | ||||
암흑기 | 암흑기(8888577, 5788, 7A78877) | |||
선수단 | 역대 선수 | 프랜차이즈 스타 | 역대 등번호 | 역대 필승조 | |||
영구 결번 | 11 최동원 | 10 이대호 | |||
기타 | 역대 기록 | 역대 신인드래프트 | |||
구단 세부 정보 | 특징 | 팀 컬러 | 유니폼(얼터너티브) | ||
라이벌리 | 상대 전적 | |||
vs vs vs vs vs vs | ||||
지역 연고 학교 | 개성고 | 경남고 | 부경고 | 부산고 | 부산공고 | 부산정보고 | | |||
팬덤 관련 정보 | 유튜브 | Giants TV(자티비) | ||
응원 | 응원단장 | 응원단 | 마스코트 | |||
선수 응원가 | 팀 응원가 | 마! | 부산 갈매기 | 돌아와요 부산항에 | ||||
팬덤 | 유명 자이언츠 팬 | 롯데 자이언츠 갤러리 | 갈매기 마당 | 샤다라빠 | 오롯이 | 꼴리건 | | |||
기담 | 팀 관련 | 엘롯기 | 엘롯한 | 두엘롯 | 한롯기 | 헬로키티 | 기롯삼한 | 조류동맹 | ||
선수 관련 | 로나쌩 클럽 | 비갈 | 금테안경 | 턱거돼 | 마무리 브레이커 | |||
응원 관련 | 기세 | 8치올 | 봄데 | |||
라인업 관련 | 이왕기름넣을거 최대성능으로 가득염 | 족까고마 | 롯데시네마 | 남두오성 | 홍대갈 | 2010년 롯데 전설의 라인업 | 구최김 | 유돈노 | 윤나고황 | |||
매직 | 로이스터 매직 | 아로요 매직 | |||
기타 | 여담 | 이야깃거리 | ||
사건 사고 | 논란 및 사건사고 (경기 관련 | 팬 관련 | 선수 관련 | 구단 관련) | |||
작품 | 죽어도 자이언츠 | 나는 갈매기 | 1984 최동원 | 꼴데툰 | |||
주관 대회 | 롯데기 야구대회 | 전국 명문고 야구열전 | |||
틀 문서 | ||||
역대 구단주 | 역대 대표이사 | 역대 단장 | 역대 감독 | 역대 2군 감독 | 역대 주장 | 영구 결번 | 역대 외국인 선수 | 역대 응원단장 | 역대 시즌 | 역대 1차 지명 선수 | 역대 1라운드 지명 선수 | 역대 지명 선수 | 역대 은퇴식 | 개막전 선발 투수 | 프런트 | 코칭 스태프 | 선수단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군 입대 선수 | 등록 선수 | 육성선수 | 유니폼 | 응원단 | 마스코트 | 선수 통산 기록 일지 | 선수 플레이 스타일 | ||||
| }}}}}}}}} |
[1] 정확히는 파이낸셜뉴스의 부산지역 자회사인 '부산파이낸셜뉴스'가 부산광역시야구협회와 부산광역시의 후원을 받아 이 대회를 창설했다.[2] 이후 점차 초청대상이 늘었는데, 다만 중요한 점은 대회로 초청되는 기준이 변칙적이긴 하지만 기본적으로는 "5년간 주요 고교야구대회들 중 최소 1~2개 대회 4강 안착"을 기준으로 한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학교 측에서 참가를 고사하거나 하는 등으로 인해 이전 대회에서는 초청대상 학교였으나 어느 때는 초청제외로 바뀌기도 한다.[3] 조별에서 개성고, 대전고를 상대하였다.[4] 조별에서 대구고, 경기고를 상대하였다.[5] 오전은 9시반 경기, 오후경기는 13시반 경기다.[6] 오전은 9시반 경기, 오후경기는 13시반 경기다.[7] 기장A-기장B 순으로 기재했다. 조별 첫째날에 한해 기장B가 아닌 기장천연에서 진행된다.[8] 오전은 10시 경기, 오후는 13시 30분 경기다.[9] 최고의 투수에게 주어지는 상[10] 경기전에 내렸던 비로 인해 선수보호 차원에서 우천취소 결정이 내려지면서 대회가 만들어진 후 처음으로 공동우승팀이 탄생하게 되었다.[11]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11월로 대회 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