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05 22:59:20

절대의 프라이오스(창세기전 모바일: 아수라 프로젝트)


파일:창모 로고 임시.png
창세기전 모바일: 아수라 프로젝트의 플레이어블 캐릭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ablewidth=100%> 활력의 나무
전설 한조 아리아나 위버 랜담 켈빈스 슈리 스탐가르드
낭천 카림 니디아 라시드 팬드래건(청년) 크리스
클라우제비츠 에밀리오 실버 이자벨 리피네
정의의 디에네 회색기사단 G.S
영웅 라시드 팬드래건 루벤스 하이젠버그 클라리스 아이올로스 카메오 보포트
카자 아미고 데니스 알렌
희귀 아르시아 란디노
자유의 불꽃
전설-아우터 원 하이델룬
전설 칼스 브란트 쿤 그리어 알시온 블랙소드 사라 란드그리드
듀나미스 램브란트 엘리자베스 팬드래건 에스메랄다 크리스티앙 데 메디치
전쟁의 샤크바리 오메가 마녀 카메오 보포트
영웅 반 다이크 생기르 하야 벨 세실리 나레쥬노
달리아 이그리트 슈안 노르
희귀 로벨 필즈 로카르노 스탠리 엔데 마버트
지성의 결정체
전설 베라딘 기쉬네 드리포드 모르가이나 쉴렌 크로우
메이 노틸런 코델리아 오스틴 캐서린 스펜서 메리 팬드래건
로베르토 데 메디치 아이스 팬드래건 괴도 샤른호스트 크리스티나 여제
바다의 이스킨데룬 성왕 라시드 팬드래건
영웅 로빈 보니르 에리히 슐츠 세실 루미너스 신디 로즐리
일지매 니나 필로테스
희귀 캐빈 헤이스팅스 아리아나 위버 Jr.
신념의 빛
전설 이올린 팬드래건 아이린 사르데스 듀란 램브란트 에리카 마이어스
리나 맥로레인 죠안 카트라이트 카나 밀라노비치 에스테 도데
알바티니 데 메디치 절대의 프라이오스
영웅 사이렌 우드빌 리오나 윌라드 엔닐 디아 백옥당
희귀 스트라이더 녹스
욕망의 그림자
전설-아우터 원 흑태자
전설 이루스 빈센트 번스타인 카슈타르 귄터 디아블로
오필리어 버킹엄 샤른호스트 제인 쇼어 혼돈의 데이모스
아가시
영웅 G.S 카심 비쉬누 만
희귀 사키스키
}}}}}}}}} ||
절대의 프라이오스
Prios Of Absolute
파일:창모 프라이오스 얼굴.png
<colbgcolor=#ffbc00><colcolor=white> 등급 전설
속성 신념의 빛
진영 무소속
고유 패시브 절대 서약
전용 무기 절대자의 심판
초필살기 더 저지먼트
성우 박호용
1. 개요2. 성능
2.1. 클래스2.2. 핵심 스킬과 초필살기
3. 전용 무기와 추천 장비4. 평가5. 여담

1. 개요

캐릭터 소개
"안타리아가 없어지는 걸 원치는 않지만... 나는 아르케를 포기할 수 없어."
창세기전 모바일: 아수라 프로젝트게르히만 폰 프라이오스. 2025년 10월 1일에 빛속성 전설 등급 마법사 캐릭터로서 추가되었다.

프라이오스는 창2와 회잔 리메이크에서는 적으로만 나왔고 창3P2에서는 스토리에서만 등장했으므로 플레이어블은 본작이 처음. 성우는 최한에서 박호용[1]으로 교체되었다. 회잔 리메이크에서는 신의 모습으로서든 마장기 탑승 형태로서든 주신 모델링 재활용이 심했기 때문에 기념할만한 전용 모델링 획득으로, 얼굴 디자인은 창3P2 시기 디자인을 거의 그대로 살려냈다. 다만 이전 프라이오스를 맡았던 성우들인 이종구, 최한이 모두 베테랑 성우들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성우 선정은 다소 놀라움이 있는 편.

13암흑신의 수장이었던 혼돈의 데이모스가 출시된 만큼 프라이오스도 언젠가 출시될 것이라는 추측이 이미 파다했는데 결국 참전했다.

2. 성능

기본 직업은 메이지. 티어 2에 전용 클래스인 '라이트메이지'가 있으며 티어 3 클래스는 서먼로드/라디아크/오스키퍼. 초필살기는 '더 저지먼트'.

고유 패시브는 '절대 서약'. 적 공격시 자신의 소환수 숫자에 비례해 2~5%만큼 증가하며, 행동 종료 시마다 1~3칸 내 1칸을 지정해 빛속성 소환수 '빛나는 코어'를 '절대 서약'을 걸고 소환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패시브이다.빛나는 코어는 일반 공격은 참격 계통이고 스킬로 직선 4칸에 광휘계 피해를 입히는 광자포를 가진 소환수이다. 파이널 버딕트나 초필살기로 파괴 코드가 전달되면 자폭해 주변에 피해를 입히고, TP를 1씩 회복한다. 프라이오스가 사망할 경우에도 자폭한다.
절대 서약 버프로 프라이오스의 스탯에 따라 빛나는 코어의 스탯도 상승하지만 뭔가 버프를 걸어서 능력치가 상승되었을 때 그게 바로 적용되지는 않고, 이미 소환되어있는 코어에는 빛나는 코어를 새로 소환할 때 동기화된다. 출시 직후에는 조작 불가능하고 AI가 자동으로 움직였지만, 관련 버그 때문인지 패치를 통해 그냥 수동 조작 가능한 사양이 되었다.의문의 업그레이드
프라이오스의 스탯에 기반한 소환수를 행동 종료 시마다 소환하고 소환한 숫자만큼 강해지는 패시브. 빛나는 코어 강화를 위해 기본 능력치를 강화해서 코어의 능력치를 끌어올리는 것이 추천되는 편이다. 프라이오스는 코어들을 파이널 버딕트나 초필살기로 폭파시킬 수 있는데 그러면 자폭 데미지도 데미지지만 TP 페이백도 얻을 수 있다. 고각이나 발현을 해도 수치만 증가하기 때문에 고각의 필요성이 필수까지는 아닌 편.
참고로 조건이 행동 종료이기 때문에 세컨드 윈드로 재행동을 하면 해당 턴에는 코어를 2개 불러낼 수 있다. 활기 버프 등으로 추가 행동을 얻는 것은 행동 종료로 취급되지 않으니 주의.

2.1. 클래스

티어 3 클래스의 경우 소환수에 특화된 서먼로드, 주변에 아무도 없어야 포텐셜이 발휘되는 라디아크, 보호막 보유 시 공방이 모두 강해지고 공격한 적의 TP이 프라이오스보다 많다면 프라이오스와 동일하게 깎아버리는 오스키퍼가 있다.

2.2. 핵심 스킬과 초필살기

전용기는 선랜스, 파이널 버딕트, 프리즘 실드의 3가지를 보유했다.
초필살기인 더 저지먼트는 1~3칸 내의 1칸을 지정해 해당 칸을 중심으로 3바퀴 범위에 주문력 기반 100~115% 만큼의 광휘 피해를 주고 해당 범위 내 '빛나는 코어'를 자폭시키는 광역기.
범위도 넓고 장소 지정형이기 때문에 쓰기 편하다. 코어 폭파를 생각해도 파이널 버딕트는 지정할 아군이 필요한데 이쪽은 장소 지정형이니 아군이 없어도 된다. 발현까지 찍어도 뭔가 유틸성이 붙는 부분은 없고 수치만 올라가는 등 딜링에 몰빵한 기술. 코어 자폭까지 포함하면 강력한 딜링을 보여줄 것이다. 자폭시킨 코어의 숫자 만큼 TP 페이백도 되니 타이밍을 잘 잡아보자.

3. 전용 무기와 추천 장비

전용 무기는 '절대자의 심판'을 들고 나왔다. 추가 능력치는 주문력.
적이 암흑 계열 스킬 또는 금단의 기술 계열 스킬을 사용하거나 절대자의 심판을 장착한 캐릭터가 적을 공격할 경우 '심판의 낙인'을 부여한다. 프라이오스가 사용할 경우 심판의 낙인 부여 시에 프라이오스는 '절대자의 의지'를 얻는다.딜링과 디버프 저항에 초점이 맞춰진 전무. 프라이오스는 딜러로서도 강력하기 때문에 선랜스 죽창딜 강화에 좋고, 프리즘 실드로 부여하는 모든 보호막은 전부 주문력 비례가 되기 때문에 보호막도 단단해진다. 다만 심판의 낙인은 공격 후 부여기 때문에 선랜스 공격력을 최대로 뽑아내려면 일단 일반 공격을 날린 후에 선랜스를 날리는 것이 좋을 것이다. 소환사로서는 주문력 증가 외에는 메리트가 없는 부분은 아쉽다.
뜬금없이 '금단의 기술' 사용 시에 디버프가 자동으로 부여되는 기능이 붙어있는데, 25년 10월 현재 금단의 기술을 사용하는 캐릭터는 오메가 밖에 없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오메가 카운터용 무기라는 기묘한 특성을 갖게 되었다. 추후로 금단의 기술이 추가될지 주목되는 부분.

방어구의 경우 전반적인 주력기들의 소모 TP가 3 이상이고 쿨타임이 길기 때문에 TP 페이백이 달려있는 추기경 4세트, 쿨타임 감소 효과가 있는 교황 세트를 유용하게 쓸 수 있다. 체력을 올리면 코어의 맷집도 증가하니 소환수를 중시한다면 추기경, 본인의 전투력을 중시한다면 교황이 적절할 것이며 소환수에 몰빵하기 위해 깡스탯에 집중하겠다면 교황2+추기경2 조합도 추천된다. 화력에 집중한다면 재상 4셋도 가능. 재상 4세트 효과인 '철수' 효과가 이동력과 생존력 확보에 도움이 될 것이고, 주문력 상승은 코어의 광자포 데미지 상승에 기여할 것이다. 대현자 세트의 경우 파이널 버딕트와 더 저지먼트가 쓸만한 광역기긴 하지만 쿨타임이 4, 5로 길기 때문에 활용도가 높지 않은 인상.

악세사리의 경우 소환사로서의 특성이 강하다보니 네크로노미콘이 1순위로 꼽힌다. 특히 PVE에서는 웬만한 적들을 레벨 보정으로 다 찍어누르는 공포의 소환수 군단을 보게 될 것이다.
전설급에서는 쿨타임이 길고 주문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초시계가 좋다. 선랜스 죽창딜러로서 굴릴 경우 적절할 것이다.

4. 평가

소환수의 활용이 중요하고 강력한 단일기를 가진 빛속성 소환사. 소환수에 몰빵해도 좋고 선랜스 죽창딜러로 굴려도 강하며, 유사 힐러로 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PVP에서도 소환수가 매턴 튀어나와서 어그로를 끌어주다보니 하이델룬 같은 강력한 딜러의 스킬을 빼는 용도로도 유용.

5. 여담



[1] 광고계 이외에는 이전 출연 이력을 찾을 수 없어서 신인 성우로 추정된다.[2] 아군 1체에게 주문력의 120%만큼 피해를 막아주는 보호막을 2턴 동안 부여하고 TP 1 증가.[3] 아군 1체를 지정해 주문력과 방어력의 100%만큼 피해를 막아주고 이동력 +2를 부여하는 '헤이스트 배리어'를 2턴 동안 부여.[4] 공격력의 100%만큼 피해를 막아주고, 주위 2칸 내 다른 아군이 전투 시 총 체력의 20% 만큼의 피해를 막아주는 보호막을 부여하는 '리퓨즈 배리어'를 2턴 동안 획득. 스킬 사용 직후 추가 공격/스킬 사용 기회 획득.[5] 아군 1체를 지정해 주문력과 저항력의 100%만큼 피해를 막아주고 이동력 +1과 적 공격 시 대상이 받는 마법 피해량 +30%를 부여하는 '타이드 배리어'를 2턴 동안 부여.[6] 시전자 주위 3칸 내 아군들의 모든 디버프를 제거하고 2턴간 주문력의 80% 만큼 피해를 막아주고 행동 제어 효과 면역을 제공하는 보호막을 부여. TP 4 소모, 쿨타임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