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6 20:37:50

흑태자(창세기전 모바일: 아수라 프로젝트)

1. 개요2. 성능
2.1. 고유 패시브2.2. 클래스2.3. 전용기와 초필살기2.4. 아우터 원 발현 관련 성능
2.4.1. 발현 1단계2.4.2. 발현 2단계2.4.3. 발현 3단계2.4.4. 발현 4단계2.4.5. 발현 5단계2.4.6. 발현 6단계
3. 전용 무기와 추천 장비4. 평가5. 여담6. 둘러보기

1. 개요


''이제부터 암흑성을 탈환하고 반역자 베라딘을 처단한다.
전군, 진군하라!"

▶ 창세기전 2 - 「풍운재기」 피리어드
[clearfix]
창세기전 모바일: 아수라 프로젝트흑태자. 서비스 1주년을 맞는 2025년 1월 아수라와 함께 신규 전설 캐릭터로 출시되었다.

등급 자체는 전설 등급이지만, 새롭게 설정된 '아우터 원'으로 분류되어 별개의 재화를 사용하는 별개의 가챠를 이용해야 하며 가챠 확률도 0.8%[1]로 낮다.

2. 성능

파일:흑태자 일러.png 파일:흑태자 모델링.jpg
<rowcolor=#ffffff> ▲ 기본 포트레이트 ▲ 기본 코스튬 모델링
기본 직업은 파이터. 티어 3 클래스는 검황/다크나이트/데스로드. 초필살기는 당연히 아수라파천무다.
티어2 전용 클래스는 없다.제국 검법의 기준이니 당연하다

2.1. 고유 패시브

고유 패시브는 '극한의 무'. 아수라파천무를 제외한 공격으로 적을 처치할 경우, 해제 불가 버프 '영자 축적'을 턴당 1번 얻는다. 이 버프는 최대 4중첩되며, 효과는 다음과 같다.
또한, 턴 시작시 1회성 해제 불가 버프인 '극한의 무'를 얻는다. 효과는 다음과 같다.
초필살기의 강화와 반격을 포함한 유지력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고유 패시브. 극한의 무 버프가 1회 발동 후 해제되어 버리는 점은 아쉬운 부분이지만, 어차피 흑태자는 클래스 패시브 덕에 기본적으로 단단하기 때문에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후술할 사기적 특성들을 보면 그나마 자제한 부분이라는 느낌이 들 정도의 사양이다.

2.2. 클래스

티어 3 클래스의 경우 전투 공격 특화의 검황, 범위 데미지와 디버프 특화의 다크나이트, 범위 데미지 증가와 방어력을 겸비하면서도 막강한 디버프를 부여하는데다 기동성까지 부여하는 사기급 클래스 데스로드의 셋이 있다. 1순위로 검황을 찍어서 암명연살검을 가져온 다음 데스로드를 찍으면 기본 육성 완료.

2.3. 전용기와 초필살기

기본 전용기는 검황에서 배우는 암명연살검과 데스로드에서 배우는 아토믹 블래스트가 있다.파일:흑태자 암명연살검.gif
초필살기인 아수라파천무는 별다른 부가 효과 없이 심플하게 흑태자의 주변 3바퀴 내의 적들에게 공격력의 175%~190% 데미지를 주는 기술로 나왔다.샤른은 140%였는데 고유 패시브로 강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니 아수라파천무로 무쌍을 찍던 구작 감성이 살아났다는 평. 창2 시절의 화면을 가르는 연출도 재현되었다.

2.4. 아우터 원 발현 관련 성능

실질 7각~12각에 해당하는 추가 성장 요소. 캐릭터 추가 소환으로 획득하는 '기억의 파편'을 160개 소모하여 1단계씩 개방할 수 있다.
개방시 캐릭터 모델 뒤쪽에서 붉은 오라가 휘날리는 이펙트[3]가 추가되며, 캐릭터 메뉴에서도 모델링 뒤쪽에 수묵화를 연상시키는 O 문양 이펙트가 그려진다. 추가 전에는 심할 정도의 과금 유도 정책이라는 평을 받기도 했지만, 실장 후에는 그만큼의 메리트는 확실히 있다는 평도 받고 있는 상태.흑태자라 용서받고 있는 것 같다

2.4.1. 발현 1단계

2.4.2. 발현 2단계

2.4.3. 발현 3단계

3단계를 개방할 경우 창2 원작의 김진 디자인의 흑태자 클래식 코스튬을 획득한다. 돈이 털리기도 했지만 재현도가 뛰어나 원작 팬들로서는 눈물나는 부분.

2.4.4. 발현 4단계

2.4.5. 발현 5단계

2.4.6. 발현 6단계

3. 전용 무기와 추천 장비

전용 무기는 창세기전 시리즈의 상징과도 같은 마검 아수라. 추가 능력치로 공격력 10%, 치확 10%를 제공한다. 무기 스킬은 다음과 같다.고증을 살려 시작 시 체력을 상당히 갉아먹는 대신 처치시 회복을 제공하고 치명타 발생 수 만큼 평타에 광역 공격 능력을 부여하는 무기. 적 처치시 체력 회복 옵션은 흑태자 전용 옵션이라, 타 캐릭터도 아수라를 쓸 수는 있지만 턴 시작 시 체력 -15%가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하게된다. 반면 흑태자는 처치시 회복하는데다 고유 패시브에도 체력 회복이 있기 때문에 시작 시 체력 감소가 큰 페널티가 아닌 것이 실로 원작 고증.
다행인지 불행인지 무기 각성 시에 증가하는 것은 스킬 수치 뿐이라 고각 달성의 필요성은 덜한 편이다. 또한 평타가 광역기가 된다는 것이 강점이긴 하지만 주력기인 암명연살검이나 아수라파천무에 뭔가 강화가 들어가는 건 아니기 때문에, 범위 공격 시의 피해량 상승이 달려있는 듀렌달이나 치확 1%당 공격력이 0.1% 증가해 고점이 높고 공격당할 때 마다 디버프를 하나씩 풀어줘서 디버프 대항이 가능한 월광검을 들려주는 경우도 있다. 월광검은 아수라보다 낫다는 소리가 있을 정도.

방어구의 경우 일단 자신을 모티브로 한 검황 세트가 있는데, 유료 구매로만 얻을 수 있어서 부담이 있다. 2세트 효과는 체력 상승과 받는 치명타 확률 감소 제공, 4세트 효과는 체력이 80% 이상인 적 공격시 치명타 확률 20% 상승과 무려 전투 시 속성 상성 무시. 상성 무시가 좋긴 하지만 공증이나 치명타 피해, 피해량 관련 옵션은 없고 상성 무시는 광역기에는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딜량 고점을 노리는데에는 아쉬움이 있다.

범위 딜량의 고점을 노린다면 치확과 치피를 제공하는 크로우 복장 모티브인 까마귀 세트가 추천되는 편이다. 크로우 죽이고 뺏었다고 하면 고증 공증과 생존을 모두 챙길 수 있는 기억을 잃었을 때의 복장 모티브인 풍운 세트도 쓸만.흑교 때 복장 고증이다 공증이 광역기에 적용되지 않는 것은 아쉬운 부분이다.

악세사리는 전용 아티팩트인 용아 외에는 언제나 무난한 고대 영웅의 반지가 추천되는 편이며, 쿨감을 노리고 초시계를 들려주는 경우도 있다. 영웅급에선 공증과 관통을 제공하는 늑대 송곳니가 적절.

4. 평가

세계관 최강자. 그 칭호와 위엄에 부끄럽지 않은 강력함을 자랑한다.

일반적인 SRPG의 스타일과는 달리 초필살기로 잡졸들을 쓸어담는 무쌍식 스타일이 매력이었던 옛 창세기전 시리즈의 맛이 드디어 살아났다는 평. 궁극 그리마를 개방하고 에스메랄다와 조합해 날리는 1턴 아수라파천무는 귀찮은 기믹이 있는 전투도 불도저처럼 밀어버릴 수 있게 해준다. 각종 버프를 중첩하고서 부활기를 들고 날뛰던 캐릭터들을 단번에 제압하고 PVP의 패왕으로 군림하게 된 것은 물론이다.
아우터 원 제한 PVP가 필요하다던가 따로 안 만들더라도 아우터 원은 PVP에서는 무조건 픽을 한 번으로 제한해야 하지 않겠느냐는 의견이 나올 정도이며, 리워크와 이너브레이크 추가를 통해 완전한 흑태자 카운터로 거듭난 이올린이 PVP의 흑태자 카운터픽으로 주목받게 되는 현상을 낳기도 했다.

유일한 약점은 스턴기에 약하다는 부분. 궁극 그리마를 개방하면 침묵도 씹어먹고 디버프를 전부 풀어버릴 수 있지만, 그 전에 때려박히는 스턴은 혼자서는 어찌할 도리가 없다. 물론 스턴기를 넣는 것 자체가 어렵고, 용케 스턴을 넣었어도 힐러가 가만 있을리가 없으므로 어디까지나 이론상의 이야기다. 만약 아수라 대신 월광검을 채용했을 경우 이마저도 알아서 풀어버릴 수 있기 때문에 정말로 약점이 없다.

5. 여담

파일:흑태자 클래식 일러.png 파일:흑태자 클래식.jpg
<rowcolor=#ffffff> ▲ 발현 3단계 개방 시 획득되는 클래식 코스튬의 포트레이트와 모델링

6. 둘러보기


창세기전 모바일: 아수라 프로젝트의 캐릭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ablewidth=100%> 활력의 나무
전설 아리아나 위버 낭천 한조 슈리 스탐가르드
랜담 켈빈스 카림 니디아 라시드 팬드래건(청년) 크리스
클라우제비츠 팬드래건 에밀리오 실버
영웅 라시드 팬드래건 데니스 알렌 카메오 보포트 카자 아미고
클라리스 아이올로스 루벤스 하이젠버그
희귀 아르시아 란디노
자유의 불꽃
전설 칼스 브란트 쿤 그리어 사라 란드그리드 알시온 블랙소드
듀나미스 램브란트 엘리자베스 팬드래건 에스메랄다 크리스티앙 데 메디치
영웅 달리아 이그리트 하야 벨 반 다이크 세실리 나레쥬노
슈안 노르 생기르
희귀 로카르노 스탠리 엔데 마버트 로벨 필즈
지성의 결정체
전설 크로우 베라딘 기쉬네 드리포드 모르가이나 쉴렌
메이 노틸런 코델리아 오스틴 캐서린 스펜서 메리 팬드래건
로베르토 데 메디치 아이스 팬드래건
영웅 니나 필로테스 일지매 로빈 보니르 에리히 슐츠
세실 루미너스 신디 로즐리
희귀 캐빈 헤이스팅스 아리아나 위버 Jr.
신념의 빛
전설 이올린 팬드래건 아이린 사르데스 듀란 램브란트 에리카 마이어스
리나 맥로레인 죠안 카트라이트
영웅 엔닐 디아 리오나 윌라드 백옥당 사이렌 우드빌
희귀 스트라이더 녹스
욕망의 그림자
전설-아우터 원 흑태자
전설 디아블로 빈센트 번스타인 카슈타르 귄터 이루스
오필리어 버킹엄 샤른호스트 제인 쇼어
영웅 G.S 비쉬누 만 카심
희귀 사키스키
}}}}}}}}} ||




[1] Fate/Grand Order 등 에서의 5성 확률과 같다.[2] 창2에서 암흑마법 7레벨 마법으로 등장했던 기술. 상위 마법으로 아마겟돈이 있었지만 이쪽은 피아구분이 안되어서, 피아구분이 되는 마법으로서는 아토믹 블래스트가 암흑마법 중에서는 최강이었다.[3] 회색의 잔영 리메이크에서 궁극 그리마를 발현시킨 흑태자에게 적용된 이펙트를 가져온 것이다.[4] 원작 창세기전 2에서 G.S의 기본 장비. 다만 아무 효과도 없다. 1.0 버전에서는 장착하고 있을 경우 레벨업 시의 상승 능력치가 더 높아진다는 루머가 있다. 최연규 디렉터의 개발자 노트에 의하면 게임 개발 당시 뭔가 기능을 넣으려다 말았던 것 같다고.[5] 창2에서 아수라를 들고 크리티컬이 터지면 발동하던 '파이어 스톰'의 오마주로 추정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14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1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