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1 18:06:26

케니 달글리시

킹 케니에서 넘어옴
영국 기사 서임자 (남성)
British Knights
{{{#!wiki style="margin:0 -10px -5px"
{{{#black,#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같이 보기: 기사 서임자 (여성)
GBE 파일:Grand Cross of the Order of the British Empire_.jpg
찰스
스콧 셰링턴

(1922)
에드워드
빅터 애플턴

(1946)
KBE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7b160a24b08857219efc111189b9773d.jpg
프레더릭 벤팅
(1934)
에드먼드 힐러리
(1953)
게오르그 솔티
(1971)
시드니 푸아티에이
(1974)
찰리 채플린
(1975)
앨프리드 히치콕
(1980)
밥 호프
(1998)
앤드루 와일스
(2000)
로저 무어
(2003)
팀 버너스리
(2004)
조너선 아이브
(2012)
Knight Bachelor 파일:knightbachelor.jpg
아이작 뉴턴
(1705)
찰스 라이엘
(1848)
찰스 휘트스톤
(1868)
조지프 리스터
(1883)
아서 코난 도일
(1902)
W. S. 길버트
(1907)
프랜시스 골턴
(1909)
프레더릭
G. 홉킨스

(1925)
무하마드
자파룰라 칸

(1935)
오언 리처드슨
(1939)
알렉산더 플레밍
(1944)
랠프 리처드슨
(1947)
로런스 올리비에
(1947)
존 길구드
(1953)
칼 포퍼
(1965)
알프 램지
(1967)
쉬리다스 람팔
(1970)
제임스 블랙
(1981)
마이클 아티야
(1983)
클라이브
싱클레어

(1983)
렉스 해리슨
(1989)
V. S. 나이폴
(1990)
더크 보가드
(1992)
로저 펜로즈
(1994)
팀 라이스
(1994)
캐머런 매킨토시
(1996)
마이클 스타우트
(1998)
폴 너스
(1999)
리처드 브랜슨
(2000)
숀 코너리
(2000)
톰 커트니
(2001)
믹 재거
(2002)
벤 킹슬리
(2002)
리들리 스콧
(2003)
조너선 색스
(2005)
헨리 세실
(2011)
케네스 브래너
(2012)
안드레 가임
(2012)
다니엘
데이 루이스

(2014)
패트릭 헤드
(2015)
마크 라일랜스
(2017)
제임스
래트클리프

(2018)
톰 무어
(2020)
마이클 호턴
(2021)
마틴 에이미스
(2023)
CBE + Knight Bachelor 파일:knightbachelor.jpg
데이비드 린
(1953)
마이클
레드그레이브

(1959)
알렉 기네스
(1959)
스탠리 매튜스
(1965)
맷 버스비
(1968)
알렉 이시고니스
(1969)
에른스트
곰브리치

(1972)
리처드 애튼버러
(1976)
존 밀스
(1976)
월터 윈터보텀
(1978)
데이비드
애튼버러

(1985)
윌리엄 골딩
(1988)
피터 유스티노프
(1990)
이안 맥켈런
(1991)
안소니 홉킨스
(1993)
데릭 제이코비
(1994)
바비 찰튼
(1994)
사이먼 래틀
(1994)
조지 마틴
(1996)
마이클 갬본
(1998)
아서 C. 클라크
(1998)
엘튼 존
(1998)
이안 홈
(1998)
존 엘리엇
가디너

(1998)
톰 피니
(1998)
나이젤 호손
(1999)
알렉스 퍼거슨
(1999)
프랭크 윌리엄스
(1999)
마이클 케인
(2000)
폴 스미스
(2000)
바비 롭슨
(2002)
앨런 파커
(2002)
앨런 베이츠
(2003)
그레고리 윈터
(2004)
트레버 브루킹
(2004)
제임스 다이슨
(2007)
크리스토퍼 리
(2009)
브래들리 위긴스
(2013)
존 허트
(2015)
칼 젠킨스
(2015)
로드 스튜어트
(2016)
레이 데이비스
(2017)
빌리 코놀리
(2017)
배리 깁
(2018)
마이클 페일린
(2019)
데이비드 수셰이
(2020)
샘 멘데스
(2020)
스티브 맥퀸
(2020)
로저 디킨스
(2021)
조너선 프라이스
(2021)
존 부어만
(2022)
브라이언 메이
(2023)
OBE + Knight Bachelor 파일:knightbachelor.jpg
어니스트 섀클턴
(1909)
윌리엄 브래그
(1941)
리처드 돌
(1971)
잭 브라밤
(1978)
지미 새빌
(1990)
클리프 리처드
(1995)
트레버 맥도날드
(1999)
스털링 모스
(2000)
재키 스튜어트
(2001)
톰 존스
(2006)
테리 프래쳇
(2009)
패트릭 스튜어트
(2010)
밴 모리슨
(2015)
앤디 머리
(2017)
가즈오 이시구로
(2018)
마이클 모퍼고
(2018)
MBE + Knight Bachelor 파일:knightbachelor.jpg
폴 매카트니
(1997)
제프 허스트
(1998)
니콜라스 윈턴
(2003)
닉 팔도
(2009)
링고 스타
(2018)
케니 달글리시
(2018)
루이스 해밀턴
(2021)
}}}}}}}}}}}} ||
케니 달글리시의 감독직 및 기타 직책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대표팀
클럽
파일:리버풀 FC 로고.svg

12대, 19대
파일:블랙번 로버스 FC 로고.svg

30대
파일:뉴캐슬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23대
파일:셀틱 FC 로고.svg

대행

블랙번 로버스 FC 역대 감독
돈 맥케이
(1987~1991)
케니 달글리시
(1991~1995)
레이 하포드
(1995~1996)

셀틱 FC 역대 주장
빌리 맥닐
(1963~1975)
케니 달글리시
(1975~1977)
대니 맥그레인
(1977~1987)
}}} ||
케니 달글리시의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개인 수상
파일:FWAlogo.png
1978-79 · 1982-83
파일:pfa_new_logo.png
파일:프리미어 리그 심볼.svg
베스트팀
파일:pfa_new_logo.png
1978-79 · 1979-80 · 1980-81 · 1982-83 · 1983-84

1983 Ballond'or
수상
미셸 플라티니
2위
케니 달글리시
3위
알란 시몬센
}}} ||
케니 달글리시의 기타 정보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0003E, #00003E)"<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003E> 파일:스코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스코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1D2C5A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순서 선수 이름 출전 횟수 첫 경기 마지막 경기
1 케니 달글리시 102회 1971.11.10 1986.11.12
}}}}}}}}}}}}}}} ||

{{{#373A3C,#DDD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eltic FC Greatest ever team
(3-3-2-2)
ST
달글리시
파일:UEFA EURO SCO.png
(1969~1977)
ST
라르손
파일:UEFA EURO SWE.png
(1997~2004)
LM
레녹스
파일:UEFA EURO SCO.png
(1961~1978)
(1978~1981)
RM
존스톤
파일:UEFA EURO SCO.png
(1962~1975)
LCM
올드
파일:UEFA EURO SCO.png
(1955~1961)
(1965~1971)
CM
맥스테이
파일:UEFA EURO SCO.png
(1981~1997)
RCM
머독
파일:UEFA EURO SCO.png
(1959~1973)
LB
게멜
파일:UEFA EURO SCO.png
(1961~1971)
CB
맥닐
파일:UEFA EURO SCO.png
(1957~1975)
RB
맥그레인
파일:UEFA EURO SCO.png
(1970~1987)
GK
심슨
파일:UEFA EURO SCO.png
(1964~1970)
}}}}}}}}}}}} ||

{{{#373A3C,#DDD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포지션 국적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소속 기간 출장 득점
<colbgcolor=#fff> GK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패키 보너 Packie Bonner 1978~1998 641 0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로니 심슨 Ronnie Simpson 1964~1970 188 0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존 팔론 John Fallon 1958~1972 195 0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존 톰슨 John Thomson 1926~1931 188 0
DF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짐 크레이그 Jim Craig 1965~1972 231 6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대니 맥그레인 Danny McGrain 1967~1987 663 8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타미 게멜 Tommy Gemmel 1961~1971 418 63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로이 에이킨 Roy Aitken 1975~1990 672 52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빌리 맥닐 Billy McNeill 1957~1975 790 35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존 클락 John Clark 1958~1971 316 3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바비 에반스 Bobby Evans 1944~1960 537 11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알렉 맥네어 Alec McNair 1904~1925 641 9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조크 스타인 Jock Stein 1951~1957 148 2
MF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바비 머독 Bobby Murdoch 1959~1973 485 102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폴 맥스테이 Paul McStay 1981~1997 677 72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버티 올드 Bertie Auld 1955~1961
1965~1971
275 79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타미 번스 Tommy Burns 1973~1989 503 82
FW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지미 존스톤 Jimmy Johnstone 1961~1975 515 130
파일:스웨덴 국기.svg 헨리크 라르손 Henrik Larsson 1997~2004 315 242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티비 찰머스 Stevie Chalmers 1959~1971 406 231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케니 달글리시 Kenny Dalglish 1969~1977 320 167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바비 레녹스 Bobby Lennox 1961~1978
1978~1981
586 277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지미 맥메너미 Jimmy McMenemy 1902~1920 516 164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패트시 갤러처 Patsy Gallacher 1911~1925 464 192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존 휴즈 John Hughes 1959~1971 383 188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지미 맥그로리 Jimmy McGrory 1922~1937 448 469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샌디 맥마혼 Sandy McMahon 1890~1903 217 177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지미 퀸 Jimmy Quinn 1900~1915 331 217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윌리 월러스 Willie Wallace 1966~1971 232 134
출처: 셀틱 FC 공식 홈페이지#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d00027><tablebgcolor=#d00027> 파일:리버풀 FC 로고.svg리버풀 FC
명예의 전당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55555,#aaaaaa
구분 헌액자
1890 맷 맥퀸
Matt McQueen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해리 브래드쇼
Harry Bradshaw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900 잭 콕스
Jack Cox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알렉스 레이스백
Alex Raisbeck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1910 아서 고다드
Arthur Goddard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에프라임 롱워스
Ephraim Longworth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920 도날드 맥킨리
Donald MacKinlay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엘리샤 스콧
Elisha Scott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1930 고든 호지슨
Gordon Hodgson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지미 맥도걸
Jimmy McDougall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1940 잭 발머
Jack Balmer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빌리 리델
Billy Liddell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1950 알버트 스터빈스
Albert Stubbins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앨런 에이코트
Alan A'Court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960 로저 헌트
Roger Hunt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론 예이츠
Ron Yeats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1970 이안 캘러한
Ian Callaghan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레이 클레멘스
Ray Clemence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980 케니 달글리시
Kenny Dalglish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앨런 한센
Alan Hansen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1990 이안 러쉬
Ian Rush
파일:웨일스 국기.svg
존 반스
John Barnes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2000 제이미 캐러거
Jamie Carragher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스티븐 제라드
Steven Gerrard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참고 사항
* 각 년대별로 2명을 헌액한다.
출처: 리버풀 FC 공식 홈페이지
}}}}}}}}}}}}}}} ||
리버풀 FC 비상임 이사
Liverpool Football Club Non-Executive Director
파일:Dalglish-19995637-1-1275x720.jpg
케니 달글리시
Sir Kenny Dalglish
본명 케네스 매시슨 달글리시
Sir[1] Kenneth Mathieson Dalglish, MBE[2]
출생 1951년 3월 4일 ([age(1951-03-04)]세)
스코틀랜드 글래스고
국적
[[영국|]][[틀:국기|]][[틀:국기|]] (
[[스코틀랜드|]][[틀:국기|]][[틀:국기|]])
신체 173cm / 체중 73kg
주발 오른발
직업 축구 선수 (중앙 공격수[3] / 은퇴)
축구 감독
축구 경영인
소속 <colbgcolor=#d00027> 선수 셀틱 FC (1968~1969 / 유스)
셀틱 FC (1969~1977)
리버풀 FC (1977~1990)
감독 리버풀 FC (1985~1991 / 선수 겸 감독)
블랙번 로버스 FC (1991~1995)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1997~1998)
셀틱 FC (2000 / 감독대행)
리버풀 FC (2011~2012)
경영 블랙번 로버스 FC (1995~1997 / 풋볼 디렉터)
셀틱 FC (1999~2000 / 풋볼 디렉터)
리버풀 FC (2013~ / 비상임 이사)
국가대표 102경기 30골[4] (스코틀랜드 / 1971~1986)
SNS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정보 더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d00027> 역대 등번호 스코틀랜드 대표팀 - 7, 8, 9
셀틱 FC - 8, 9
리버풀 FC - 7[5]
별명 킹 케니 (King Kenny)
가족 아들 폴 달글리시
}}}}}}}}} ||

1. 개요
1.1. 상세
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지도자 경력6. 기록
6.1. 선수
6.1.1. 대회 기록6.1.2. 개인 수상6.1.3. 개인 기록
6.2. 감독
6.2.1. 대회 기록6.2.2. 개인 수상
6.3. 서훈
7. 여담8. 같이 보기

[clearfix]

1. 개요

"케니 달글리시는 모든 면에서 케빈 키건보다 뛰어난 선수였다."[6][7]
- 알렉스 퍼거슨
스코틀랜드의 前 축구 선수, 축구 감독. 현재는 리버풀 FC의 비상임 이사직을 맡고 있다.

1.1. 상세

이견이 없는 스코틀랜드 역사상 최고의 축구 선수로 평가 받는 인물로 20년간의 선수 생활을 하는 동안 셀틱리버풀 두 팀에서만 뛰었으며, 리버풀 팬들에게 리버풀 역사상 최고의 선수라는 평가를 받는다. 참고로 두 팀 모두에서 우승한 경력이 있다. 셀틱 팬들로부터는 '킹 케니'라는 별명을 얻었다.

1969년에 셀틱에서 선수 경력을 시작했으며, 1977년에 리버풀로 이적한 뒤 1985년부터 리버풀의 선수 겸 감독으로 있었으며, 1990년에야 선수 생활을 은퇴하게 된다.[8] 힐스버러 참사의 여파로 리버풀 감독직에서 사임했으며, 1991년 당시 2부리그에 있던 블랙번 로버스의 감독으로 취임한 뒤 1995년에 블랙번 로버스로 리그 우승을 달성하는 위업을 이룬다. 1997년에 뉴캐슬 유나이티드 감독으로 취임하였으며, 1998년에 사임. 이후 2000년 셀틱의 임시 감독을 맡았으며 2011년 로이 호지슨의 뒤를 이어 리버풀의 임시 감독으로 팀을 이끌었다. 2011년 5월 12일, 정식 감독이 되었지만, 한 시즌만에 성적 부진으로 경질되었다. 이후 리버풀의 비상임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2. 클럽 경력

케니 달글리시의 선수시절 모습을 담은 다큐멘터리 (1986, ITV)

2.1. 셀틱 FC

파일:b25lY21zOjdiMTAyNmU1LWVmNTAtNGFhYy1iMDc3LTQyMTI1YzRiNzcyMDo5YmIxNTkxZC03MzZlLTQyYjctODAwNi0xYzIyMmMyOGU3Y2U=.jpg

스코틀랜드 글래스고에서 엔지니어의 아들로 태어나 레인저스의 서포터로서 자랐다. 밀튼 뱅크 초등학교에서 골키퍼로 축구를 시작했으며, 이후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리버풀 FC에서 트라이얼을 받았으나 입단까지는 이르지 않았고 본인이 응원하던 레인저스에 입단하기 위해 몇번이나 입단을 신청했으나 번번이 떨어지고 말았다.

그러나 이후 1967년에 다름아닌 레인저스의 최대 라이벌 셀틱 FC와 임시 계약을 체결하며 본격적인 축구 커리어를 시작하게 된다. 그는 첫 시즌을 컴버널드 유나이티드에서 임대생활로 보내게 되었으며, 그곳에서 한 시즌동안 37골을 넣으며 눈에 띄는 활약을 보여주었다. 당시 셀틱의 감독 조크 스타인은 달글리시에게 한 시즌 더 임대를 떠나 실력을 갈고 닦을 것을 제안했으나, 달글리시가 프로 계약을 정식으로 맺기를 원했고 결국 다음해 셀틱과 정식 계약을 맺어 프로 선수가 된 달글리시는 1968년 스코티시 리그컵 8강전 해밀튼 아카데미컬과의 경기에서 교체 선수로 1군 데뷔전을 치룬다. 하지만 1968-69 시즌, 그는 아직 무르익지 못한 실력에 의해 리저브에서 주로 출장하면서 17경기 4골을 기록하는데 그쳤고, 그 다음 시즌에는 약간 더 처진 위치로 포지션을 변경해 31경기에서 19골을 기록, 리저브 팀의 리그와 컵 더블을 견인할 수 있었다. 이 당시 셀틱의 리저브 팀은 달글리시 외에도 대니 맥그레인, 조지 코넬리, 루 마카리, 데이비드 헤이 등 대단한 잠재력을 일찍이 평가받은 걸출한 유망주들이 즐비해 '퀄리티 스트리트 갱'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리저브 팀에서의 활약에 의해 1969-70 시즌 1군 경기에 종종 얼굴을 비췄으며, 1971-72 시즌에는 리저브 팀에서 시즌 23골을 넣으며 라이벌 레인저스와의 리저브 컵 결승전에서 해트트릭을 기록하는 등 대단한 활약을 이어갔다.

리저브 팀에서 엄청난 활약을 펼친 후 1971-72 시즌에는 마침내 셀틱의 1군 팀에 자리잡게 되었다. 1971년 8월 4일 아이브록스 스타디움에서 열린 올드펌 더비에서 패널티킥으로 득점을 올리며 화려한 데뷔골을 기록한 후, 해당 시즌 53경기에 출장하여 29골을 기록하며 팀의 중심으로 올라섰다. 셀틱은 달글리시의 등장에 힘입어 리그 7연패를 달성했으며 스코틀랜드컵도 들어올렸다. 그 다음 시즌에는 모든 대회에서 39골을 기록하며 셀틱 최다 득점자에 올랐고, 셀틱은 리그 8연패를 달성했다. 1973-74 시즌에는 팀과 함께 리그 9연패와 컵 더블, 유러피언컵에서는 4강까지 올라서며 절륜한 활약을 이어갔다. 1974-75 시즌에는 리그 연패에 실패했으나 컵 대회에서 우승을 챙길 수 있었다. 이후 1975-76 시즌에는 팀의 주장으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해당 시즌 셀틱은 감독 조크 스타인이 자동차 사고로 팀에서 이탈하여 12년 만에 무관의 시즌을 보냈다. 1976-77 시즌에는 리그와 컵 더블을 다시 이뤄냈는데 이 시즌에도 날카로운 공격력을 과시해 모든 대회에서 27골을 집어넣었다.

셀틱에서 통산 320경기 출장에 167골이라는 뚜렷한 활약을 올린 달글리시는 당대 유럽 강호들의 구애를 받기 시작했고, 1977년 당시 리버풀 감독인 밥 페이즐리에 의해 440,000파운드의 금액에 영국 내 이적료 기록을 갱신하며 리버풀 FC로 이적하게 되었다.[9][10]

2.2. 리버풀 FC

1977년, 리버풀의 첫 번째 전성기를 이끌던 리그 최고의 공격수 케빈 키건함부르크 SV로 떠나보낸 밥 페이즐리와 리버풀은 팀의 새로운 간판이 되어줄 선수를 찾아나섰다. 이때 선수를 보는 안목이 뛰어나기로 유명했던 밥 페이즐리 감독의 눈에 띈 선수가 바로 당시 셀틱에서 에이스로 거듭나고 있던 케니 달글리시였다.
파일:달글리시 리버풀.jpg

밥 페이즐리 감독은 당시 잉글랜드 축구계 최고의 이적료였던 44만 파운드를 투자해 달글리시를 안필드로 데려왔고, 천문학적인 이적료와 더불어 팀의 간판선수였던 키건의 대체자라는 꼬리표 덕에 달글리시는 수 많은 관심과 기대의 대상이 되었다. 하지만 달글리시는 곧 그 기대 이상의 활약을 보여주게 된다.

1977년 8월 13일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와의 채리티 실드에서 데뷔한 달글리시는, 일주일 후 8월 20일 미들즈브러 FC와의 리그 데뷔전에서 데뷔골을 기록했고, 데뷔시즌부터 리그 20골을 포함, 시즌 31골을 기록하며 리그 최고의 선수로 단번에 거듭나게 되었다. 키건이 떠오르지 않을 정도의 대단한 활약을 펼친 그는 팬들과 구단의 기대에 정확하게 부응하는 선수였고, 결정적으로 해당시즌 유러피언 컵[11] 결승전에서 그레이엄 수네스의 패스를 받아 결승골을 집어넣으며 팀의 유러피언 컵 2연패를 이루는데 혁혁한 공을 세운다.
파일:달글리시 챔스 1.jpg
파일:달글리시 챔스 2.webp

두 번째 시즌에도 달글리시의 활약은 이어졌다. 1978-79 시즌에는 리그 21골을 포함 모든 대회에서 25골을 집어넣으며 팀 내 최다 득점자로 활약하여 팀의 리그 우승에 크게 기여 했고, 해당 시즌 FWA 올해의 선수상을 수상하며 잉글랜드 풋볼 리그를 폭격했다. 1982-83 시즌까지 달글리시는 1980-81 시즌을 제외하고 리그 전 경기에 출장했으며, 전 시즌 20골 이상을 기록하는 등 엄청난 경기력과 득점력을 보여주었다. 1980-81 시즌에는 약간 주춤하며 리그에서 두 자릿수 득점에 실패했지만 해당 시즌 팀을 유러피언 컵 결승으로 이끌어 결국 본인의 통산 두 번째 빅이어를 들어올렸고, 리그 컵까지 우승해 더블을 달성했다. 1981-82 시즌부터는 다시금 득점포를 가동하여 이안 러쉬와 함께 공격진을 이끌었는데, 이 시기 최전방에서 팀의 득점을 책임지는 러쉬와 한 칸 아래에서 공간을 파고들어 수비진을 농락하는 달글리시의 투톱조합은 잉글랜드와 유럽 최고의 공격진으로 이름을 날렸고, 구단 역사상 최고의 공격진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파일:리시러시.jpg

이후 유럽 축구 역사에 있어 최강의 언더독으로 불리는 노팅엄 포레스트가 유러피언 컵 2연패 등 대기록들을 세우며 리버풀을 압박했지만, 케니 달글리시-그레이엄 수네스-앨런 한센으로 이어지는 스코티시 코어 라인에 더해 신예 이안 러쉬의 활약, 구단 역사상 최고의 풀백 필 닐과 역사상 최고의 골키퍼 레이 클레멘스 등이 만든 강건한 수비라인을 보유하고 있던 리버풀은 1980년에서 1984년까지 유러피언 컵 2회, 리그 3연패, 리그컵 우승 3회 등을 기록하며 유럽 축구를 지배했다. 이 시기 달글리시는 1982-83 시즌 PFA 올해의 선수와 더불어 1983년 발롱도르 2위에 오르며 명실상부 붉은 제국의 왕으로 군림했고 1983-84 유러피언컵에서는 팀을 이끌어 AS 로마를 상대로 승부차기 끝에 승리하며 본인의 세 번째 빅 이어이자 구단의 통산 네 번째 유러피언 컵 우승을 들어올렸다.
파일:달글리시 챔스 3.jpg
파일:킹 케니.jpg

그러나 1984-85 시즌에는 득점력의 감소와 함께 팀도 에버튼 FC에게 리그 우승을 내주었고, 약간의 하락세를 그리기 시작했다. 해당 시즌 리버풀은 유럽에서 여전히 강력한 퍼포먼스를 선보이며 유러피언 컵 결승에 진출했으나, 1985년 유로피언 컵 결승전에서 터진 헤이젤 참사[12]로 인해 구단의 운명이 뒤바뀌기 시작했다. 이후 조 페이건 감독이 고령의 나이로 인해 사임했고, 참사로 인해 어수선해진 팀의 분위기를 잡아줄 적임자를 찾고 있던 구단에게 팬들의 절대적인 사랑을 독차지하고 있던 달글리시는 적임자일 수 밖에 없었다. 결국 1985-86 시즌부터 달글리시는 선수 겸 감독의 신분으로 리버풀을 이끌게 되었다.

1985-86 시즌 달글리시는 리그 21경기에 선발로 나섰고, 첼시 FC와의 리그 마지막 라운드에서 결승골을 터트리며 팀의 통산 16번째 우승을 자축했다. 이후 에버튼 FC과의 FA컵 결승에도 선발로 출전하여 더블을 달성했다.그 다음 시즌에는 리그에 18경기 출전, 6골을 득점해 여전히 선수로서 경쟁력있는 모습을 보였으나 점차 젊은 선수들을 위해 출전을 양보했고, 감독직에 더 전념하게 되었다. 1987-88 시즌과 1988-89 시즌에는 리그에서만 2경기씩 출전하는데에 그쳤으며, 1989-90 시즌에는 1990년 5월 5일에 더비 카운티 FC와의 리그 경기에서 교체로 출전하며 본인의 선수 커리어 마지막 경기에 출전하였다. 마지막 득점은 1987년 4월 18일 노팅엄 포레스트를 상대로 터트린 안필드에서의 리그 득점이었다. 1990-91 시즌부터는 선수 생활을 은퇴하고 감독직만을 맡게 되었다. 리버풀에서는 총 515경기에 출전하여 172골을 기록했다.

3. 국가대표 경력

파일:5AjG2QYPZegW2ZqEENSDyE.jpg

1971년 11월 10일, UEFA 유로 1972 예선전에서 벨기에를 상대로 교체 출전하여 스코틀랜드 국가대표팀에 데뷔했다. 1년 뒤인 1972년 11월 15일, 덴마크와의 월드컵 예선전에서는 데뷔골을 기록했다. 이후 1974 FIFA 월드컵 서독에 승선하여 에선 3경기에 모두 출장하였고 팀을 이끌어 1승 2무로 선전했으나 골득실에서 밀려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 1975년 이후로는 스코틀랜드 대표팀의 주포로 자리잡아 팬들에게 기억될만한 플레이를 남겼다. 1976년 잉글랜드를 상대로 결승골을 득점한 햄든 파크에서의 경기와, 1977년 잉글랜드웸블리에서 만나 득점하여 2-1 승리를 견인한 경기가 손에 꼽힌다.[13]

이후 70년대에서 80년대에 이르기까지 스코틀랜드 국가대표팀의 전성기를 선봉에서 이끌었다. 1978 FIFA 월드컵 아르헨티나에서는 네덜란드를 상대로 동점골을 기록하여 3-2 역전승을 이끌기도 하였다. 이후 1982 FIFA 월드컵 스페인에도 참가했다. 하지만 월드컵에서는 모두 본선 진출에 실패하여 아쉬움을 남겼고, 1986 FIFA 월드컵 멕시코에서는 22인 최종 명단에 합류하였으나 부상으로 인해 대회에 출전하지 못했다. 이후 1986년에 국가대표에서 은퇴했다.

스코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최다 출장 기록인 102경기를 소화했으며, 30골을 기록하여 데니스 로와 함께 국가대표팀 최다 득점자에 올랐다. 15년간 국가대표로 활약했으며 1986년 11월 12일 햄든 파크에서 열린 룩셈부르크와의 UEFA 유로 1988 예선전에서 3-0으로 승리를 이끌며 마지막 경기를 치렀다. 마지막 득점은 1984년 11월 14일, 스페인을 상대로 월드컵 예선전에서 3-1로 승리한 경기에서 나왔다.

4. 플레이 스타일

최전방에서부터 측면과 2선 전역을 소화할 수 있는 전천후의 포워드였으나, 리버풀에서 활약할 당시 스트라이커인 이안 러쉬의 아래 처진 위치에서 세컨드 스트라이커 롤을 맡았을 때 최고의 전성기를 누렸다. 최전방 공격수가 수비진을 끌고 들어갔을 때 생기는 박스 근처의 공간에서 당대 가장 위협적인 공격수로 명성이 높았다.

가장 눈에 띄는 장점은 첨예한 슈팅력에서 나오는 결정력. 감아차는 기술적인 슈팅에서 발등에 얹혀서 때리는 슈팅에 이르기까지 왼발과 오른발을 가리지 않고 상당한 완성도를 보였다. 이에 선수 커리어 초창기 셀틱에서부터 리버풀 커리어 초반부에 이르기까지는 팀 내 주 득점원으로 활약했다. 특히 리버풀에서 러쉬가 등장하여 투톱으로 가동되기 이전에는 포워드진 중앙과 측면에서 모두 활약하며 위치를 가리지 않고 박스를 타격하여 훌륭한 생산력을 선보였다. 특히 측면에서 공을 몰고 들어가 상대 수비를 무너뜨리고 감아차기로 골을 기록하는 모습은 그의 트레이드 마크이기도 했다.

그러나 처진 위치에서 최고의 퍼포먼스를 보였던만큼 선수로서의 최대 장점은 기술적인 온 더 볼 능력에 있었다. 기본적으로 굉장히 빠른 스피드를 보유하는 동시에 정교한 드리블 능력까지 보유하고 있었기에 상대 수비진 사이로 직접 볼을 운반하며 박스 안으로 돌파하는 플레이를 즐겼다. 당대 최고의 드리블러였던 맨유의 레전드 조지 베스트는 달글리시의 능력이 레알 마드리드 최고 레전드인 디 스테파노와 비슷하다고 평했을 정도. 이에 이안 러쉬라는 걸출한 주포가 팀에 가담하자 포워드 전역에서 자유도를 부여받고 많은 영향력을 끼칠 수 있는 세컨드 스트라이커 롤을 소화할 수 있었다. 1선의 플레이 메이커로서 달글리시는 팀의 결정적인 찬스를 만드는 찬스 메이커였으며, 달글리시가 직접 공을 가지고 박스 근처에서 보여주는 재기넘치는 퍼포먼스는 리버풀이 공격 과정에서 위협적인 장면을 만들 수 있는 이유였다. 특히 당대 이안 러쉬와 더불어 순간적으로 공격진에 가담하는 그레이엄 수네스와 펼치는 연계플레이는 엄청난 파괴력을 자랑했는데, 그 중심에 있던 달글리시의 활약으로 리버풀은 '붉은 제국'이라고 불리우는 잉글랜드 클럽 역대 최고의 황금기를 누릴 수 있었다.

여기에 더하여 활동량이 많고 근면성실한 멘탈을 가지고 있어 수비 가담 또한 훌륭한 편이었으며, 175cm의 작은 키에도 불구하고 점프력이 상당해 헤더가 위협적이었고, 꽤 많은 헤더 득점을 만들어내기도 했다. 리버풀로 이적하여 33세까지 한 시즌을 제외하면 리그 전 경기에 출장해 지속적으로 시즌 두 자릿수 득점을 유지하는 등, 경기 소화력과 내구성, 꾸준함까지 갖추고 있었다. 이러한 다재다능함과 날카로운 득점력, 절륜한 기술력으로 인해 당대 잉글랜드를 넘어 유럽 최고의 공격수로 평가받을 수 있었다. 플레이 스타일로 따지자면 리버풀에서의 전임자인 케빈 키건과 상당히 유사하나, 리버풀에서 퍼포먼스의 완성도는 더 뛰어났던 것으로 평가된다.

5. 지도자 경력

5.1. 리버풀 FC 1기

파일:thumb_22079_default_news_size_5.jpg
역사상 최고의 선수, 감독으로도 전설이 되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리버풀 FC/달글리시 체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2. 블랙번 로버스 FC

파일:external/i2.liverpoolecho.co.uk/kenny-dalglish-tim-sherwood-image-2-857853738.jpg
팀 셔우드와 함께

이후 셰필드 웬즈데이 FC에서 감독직 제의가 오지만 이를 거절한 케니 달글리시는 축구팬들을 놀라게 하며 2부 리그의 블랙번 로버스 감독으로 취임한다. 취임한 바로 그 해 블랙번 로버스를 프리미어리그로 승격시킨 후 달글리시는 잭 워커 회장이 다져놓은 탄탄한 자금을 바탕으로 1992년, 사우스햄프턴 소속의 앨런 시어러를 영입했고 승격 첫 해를 리그 4위라는 놀라운 성적으로 마치게 된다.

바로 다음해를 맨유에 이어 2위라는 성적으로 마쳤으며, 1995년에는 극적인 프리미어 리그 우승을 차지하기에 이른다. 이는 블랙번의 81년만의 리그 우승이었다. 이후 케니 달글리시는 블랙번의 고문위원장에 임명되었으나 1996년 상호 합의하에 블랙번을 떠나게 된다.

5.3.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파일:external/i.dailymail.co.uk/article-1325195-0005955D00000258-345_634x385.jpg
1997년 취임 기자회견장에서 회장인 존 홀 경과 함께
파일:external/i4.chroniclelive.co.uk/JS48575197.jpg
리버풀 시절 동료인 테리 맥더모트 코치와 함께

그리고 1997년 1월에 갑자기 물러난 케빈 키건의 뒤를 이어 케니 달글리시는 뉴캐슬 유나이티드 FC의 감독으로 취임하였다. 케니 달글리시 취임 당시 4위였던 뉴캐슬은 시즌을 2위로 마감하여 챔피언스 리그 진출에 성공하였지만, 챔피언스 리그에서의 바르셀로나전 3-2승리를 포함한 활약에도 불구하고 13위라는 리그 성적에 책임을 지고 사임하기에 이른다.

5.4. 셀틱 FC

파일:external/news.bbc.co.uk/_50731754_2000celticrangers.jpg

이후 휴식을 취하던 케니 달글리시는 1999년부터 친정팀인 셀틱의 단장으로 일하다가 2000년 2월, 자신의 리버풀 시절 제자인 존 반스가 감독직에서 해임되자 자신이 임시 감독으로 나서게 되었다. 그 해 스코티쉬 리그컵에서 에버딘을 2-0으로 물리치며 우승을 달성하고, 셀틱이 2위로 그 해 시즌을 마감하면서 케니 달글리시의 임시 감독 생활은 끝나게 된다.

5.5. 리버풀 FC 2기

파일:Kenny2_3014126.jpg
2011년 다시 리버풀로 돌아온 케니 달글리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리버풀 FC/달글리시 2기 체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기록

6.1. 선수

6.1.1. 대회 기록

6.1.2. 개인 수상

6.1.3. 개인 기록

6.2. 감독

6.2.1. 대회 기록

6.2.2. 개인 수상

6.3. 서훈

7. 여담

"리버풀 팬들의 행동을 용납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상대편이 계속 자신들을 향해 돌을 던지고 있을때 이에 대해 반응하지 않고 참는 것은 어려운 일입니다.( I can't condone the action of some Liverpool fans but it is difficult not to react when the opposing supporters are throwing missiles at you.)"


"만약 그들이 어떤 끔찍한 결과가 일어날 지 알았다면, 이탈리아 사람들은 영국 사람들에게 돌을 던지지 않았을 것이고, 영국 사람들도 그런 식으로 보복하려 하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그곳에 있었던 이탈리아 사람들과 영국 사람들 모두 반드시 후회해야 합니다.(If they had foreseen the dreadful consequences, or thought what terrible things might unfold, I'm sure the stones would never have been thrown by the Italians and that the English retaliation would never have occurred. Every single one of them, both Italian and English, must have regretted it.)"
회고록 전문
한 마디로 자기들도 피해자란 소리. 이외에도 뜬금없이 헤이젤 참사와 1년 전 AS 로마와의 유러피언 컵 결승전을 연결지으며 이탈리아인들은 먼저 리버풀 팬들을 폭행한다고 하지를 않나 유벤투스 서포터들이 먼저 돌을 던지고 도발했다고 하지를 않나 경기장을 제공한 벨기에 측과 UEFA까지 걸고 넘어지는 등 축구팬들에겐 적반하장으로 밖에 안 보일 내용으로 가득하다.

8. 같이 보기

파일:리버풀 FC 로고.svg
리버풀 FC 보드진 및 스태프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55555,#aaaaaa
보드진
FSG 오너진
직책 국적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구단주 파일:미국 국기.svg 존 헨리 John William Henry ll
회장[1] 파일:미국 국기.svg 톰 워너 Tom Werner
사장[2] 파일:미국 국기.svg 마이클 고든 Michael Gordon
구단 이사진
CEO[3][4] 파일:미국 국기.svg 빌리 호건 Billy Hogan
전무이사[5]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앤디 휴즈 Andy Hughes
CCO[6]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벤 라티 Ben Latty
CFO[7]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제니 비컴 Jenny Beacham
CLO[8]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조나단 밤버 Jonathan Bamber
이사 파일:미국 국기.svg 마이클 이건 Michael Egan
비상임이사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케니 달글리시 Sir Kenny Dalglish
FSG 축구 경영진
CEO[9]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마이클 에드워즈 Michael Edwards
테크니컬 디렉터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줄리언 워드 Julian Ward
축구 개발 디렉터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페드로 마르케스 Pedro Marques
글로벌 골키퍼 총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한스 라이테르트 Hans Leitert
실무진
디렉터진
직책 국적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스포팅 디렉터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리처드 휴즈 Richard Hughes
보조 스포팅 디렉터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데이비드 우드파인 David Woodfine
리서치 디렉터 파일:미국 국기.svg 윌리엄 스피어맨 William Spearman
임대관리 디렉터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맷 뉴베리 Matt Newberry
아카데미 디렉터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알렉스 잉글소프 Alex Inglethorpe
리서치 부서
데이터 과학 총괄 파일:웨일스 국기.svg 다피드 스틸 Dafydd Steele
리서치 개발 및 통계 연구원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팀 와스켓 Tim Waskett
리서치 엔지니어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마크 하울렛 Mark Howlett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마크 스티븐슨 Mark Stevenson
영입 및 스카우팅 부서
영입 및 스카우팅 총괄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데이브 팔로우즈 Dave Fallows
수석 스카우트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배리 헌터 Barry Hunter
스카우팅 코디네이터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카일 월뱅크스 Kyle Wallbanks
스카우트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크레이그 맥키 Craig McKee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마크 버칠 Mark Burchill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시에나 오브라이언 Sienna O'Brien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존 도슨 John Dawson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마이크 크롬튼 Mike Crompton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마크 고워 Mark Gower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스콧 러셀 Scott Russel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크리스 윌킨슨 Chris Wilkins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앤디 세이어 Andy Sayer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앤드루 오브라이언 Andrew O'Brien
파일:덴마크 국기.svg 마즈 예르겐센 Mads Jørgensen
파일:스페인 국기.svg 키코 에스피나르 Kiko Espinar
파일:독일 국기.svg 스벤 도라제크 Sven Dworaczek
파일:프랑스 국기.svg 라시드 클리피 Rachid Khlifi
파일:브라질 국기.svg 다슬러 마르케스 Dassler Marques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페르난도 트로이아니 Fernando Troiani
파일:미국 국기.svg 라파엘 실렌토 Raphael Cilento
파일:세네갈 국기.svg 실뱅 은디아예 Sylvain N'Diaye
코칭 스태프
코치진
직책 국적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감독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아르네 슬롯 Arne Slot
수석 코치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시프케 헐쇼프 Sipke Hulshoff
수석 골키퍼 코치 파일:독일 국기.svg 파비안 오테 Fabian Otte
골키퍼 코치 파일:브라질 국기.svg 클라우지우 타파레우 Claudio Taffarel
퍼포먼스 및 피트니스 부서
피지컬 퍼포먼스 총괄 파일:벨기에 민간기.svg 루벤 피터스 Ruben Peeters
피트니스 코치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코널 머터 Conall Murtagh
재활 피트니스 코치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데이비드 라이딩스 David Rydings
보조 피트니스 코치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조던 페어클러프 Jordan Fairclough
아카데미 코치진
U-21 감독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배리 루터스 Barry Lewtas
U-18 감독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마크 브릿지윌킨슨 Marc Bridge-Wilkinson
메디컬 스태프
의료진
직책 국적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팀닥터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조나단 파워 Jonathan Power
보조 팀닥터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사라 린제이 Sarah Lindsay
정골의학 총괄 파일:벨기에 민간기.svg 프리제스 반덴 오웰레 Frigyes Vanden Auweele
물리치료 부서
물리치료 총괄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리 노브스 Lee Nobes
재활 물리치료사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조 루이스 Joe Lewis
퍼포먼스 물리치료사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크리스 모건 Chris Morgan
물리치료사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스티브 릴리 Steve Lilley
마사지 부서
마사지 치료 총괄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폴 스몰 Paul Small
마사지사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미셸 허드슨 Michelle Hudson
마사지 및 스포츠 치료사 파일:일본 국기.svg 와타나베 모토노리 Watanabe Motonori
지원 스태프
분석 부서
직책 국적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상대 분석관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그렉 매티슨 Greg Mathieson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제임스 프렌치 James French
파일:지브롤터 기.svg 얀센 모레노 Jansen Moreno
경기 및 선수 분석관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대니얼 스피어릿 Daniel Spearritt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조엘 보너 Joel Bonner
기타 스태프
1군 운영 총괄 공석
장비 관리 코디네이터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브렌던 매킬더프 Brendan McIlduf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리 래드클리프 Lee Radcliffe
그라운드 관리관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데이브 맥컬록 Dave McCulloch
수석 영양사 파일:독일 국기.svg 모나 네머 Mona Nemmer
보조 영양사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로나 버틀러 Lorna Butler
스포츠 심리학 고문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리 리차드슨 Lee Richardson
출처: 리버풀 FC 공식 홈페이지 / 마지막 수정 일자: 2024년 5월 21일

[1] Chairman[2] President[3] Chief Executive Officer, 최고 경영자[4] FSG international(FSG 해외법인) CEO와 겸직[5] Managing Director[6] Chief Commercial Officer, 최고 상업 관리자[7] Chief Financial Officer, 최고 재무 관리자[8] Chief Legal Officer, 최고 법무 관리자[9] CEO of Football, 축구 부문 CEO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d00027><tablebgcolor=#d00027> 파일:리버풀 FC 로고.svg리버풀 FC
감독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55555,#aaaaaa
1888년 ~ 현재
초대
바클레이&맥케나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2대
왓슨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3대
애시워스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4대
맥퀸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5대
패터슨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6대
케이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7대
웰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8대
테일러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9대
샹클리
(샹클리 체제)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
★★
10대
페이즐리
(페이즐리 체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
11대
페이건
(페이건 체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2대
달글리시
(달글리시 체제)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
★★
13대(대행)
모란
(모란 체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4대
수네스
(수네스 체제)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15대
에반스
(에반스 체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5&16대
에반스&울리에
(에반스&울리에 체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16대
울리에
(울리에 체제)
파일:프랑스 국기.svg
★★
17대
베니테스
(베니테스 체제)
파일:스페인 국기.svg
18대
호지슨
(호지슨 체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9대
달글리시
(달글리시 2기 체제)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20대
로저스
(로저스 체제)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21대
클롭
(클롭 체제)
파일:독일 국기.svg

22대
슬롯
(슬롯 체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프리미어 리그 / FA컵 / EFL컵 / EFL 챔피언십
UEFA 챔피언스 리그 / UEFA 유로파 리그 / UEFA 슈퍼컵 / FIFA 클럽 월드컵
}}}}}}}}}}}}}}} ||



[1] 1985년, 대영제국 훈장 5등급(MBE)을 수훈 받았고 2018년에 Knight Bachelor에 서임되며 ‘Sir(경)’ 칭호를 받게 되었다.[2] Member, 대영제국 훈장 5등급[3] 오늘날로 따지면 전통적 스트라이커 바로 밑에 뛰는 세컨드 스트라이커에 가까웠다.[4] 스코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최다 출장, 최다 득점자.[5] 7번 외에 6, 12, 14번을 사용하기도 했다.[6] 달글리시는 그가 영입되기 이전, 리버풀의 간판스타이자 유럽 최고의 선수였던 케빈 키건의 대체자였다. 발롱도르를 2회 수상한 선수보다 뛰어난 선수라는 평을 라이벌 팀의 역대 최고의 감독에게 듣게 된 셈.[7] 다만 달글리시는 키건과 달리 발롱도르를 수상(최고 순위 2위)하지 못했는데, 하필이면 본인의 최전성기가 미셸 플라티니와 겹친 것이 까닭이었다.[8] 헤이젤 참사의 여파로 잉글랜드 클럽의 유럽대회 진출이 좌절된 후라 감독으로서의 유럽 무대 데뷔는 2011년에 와서야 이루어졌다.[9] 당시 페이즐리는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자기들이 무슨 짓을 저질렀는지 깨닫기전에 빨리 이 글래스고를 떠나는게 낫겠다."[10] 당시 셀틱 팬들은 팀의 간판이자 에이스가 잉글랜드로 떠나는 것에 분개했고, 달글리시가 1978년 8월 셀틱 파크로 돌아와 조크 스타인 헌정 경기에 출전했을 때 관중들의 야유를 받기도 했다.[11]UEFA 챔피언스 리그[12] 이것때문에 UEFA는 모든 잉글랜드 클럽들의 유럽 대항전 출전을 5년간 금지시켰고, 리버풀은 7년이나 출전 금지시켰다. 그것때문에 리그 우승한 에버튼은 유러피언컵에 못 나가게 되었고, 머지사이드 더비는 더더욱 치열해졌다.[13] 이 두 경기에서 득점한 상대 골키퍼가 리버풀 팀 동료 레이 클레멘스였다.[14] 당시 명칭은 스코티시 풋볼 리그 디비전 원, 스코티시 프리미어 디비전.[15] Manager of the Year Award[16] 1985년 신년 서훈명단(1985 New Year Honours)에서 선정됐다.[17] 2018년 6월 서훈명단(2018 Birthday Honours)에서 선정됐다.[18] 하지만 이 부분은 후에 인터뷰에서 수아레즈 지지 티셔츠를 입은 것은 선수단의 결정이었으며, 보드진에서 허가가 떨어진 것이라고 한다. 자신에게 결정권이 있었다면 더 적게 말했을 것이며, 다른 판단을 했을 것이라는 말도 덧붙였다.[19] 알렉스 퍼거슨, 알프 램지, 스탠리 매튜스, 보비 찰튼, 바비 롭슨 등 '경'으로 불리는 축구인들은 바로 이 Knight Bachelor를 받음으로써 기사가 된 것이다. Knight Bachelor는 대영제국 훈장 등의 '훈장'과는 다른 별개의 특전이며, 서열은 훈장으로 치면 2등급에는 살짝 못미치고 3등급보다는 높게 취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