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1 02:43:55

쿠미크인

쿠미크인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color: #FFF;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러시아인 타타르
크림 타타르
우크라이나계 러시아인 바시키르인 추바시인
체첸인
인구시인
아르메니아계 러시아인 아바르인 모르드바인 카자흐
아제르바이잔계 러시아인 다르긴인 우드무르트인 마리인 오세트인
벨라루스계 러시아인 체르케스인
카바르다인
쿠미크인 야쿠트인 레즈긴인
벱스인 독일계 러시아인 우즈벡 투바인 코미인
카라차이인
발카르인
로마니 타지키스탄계 러시아인 부랴트인
칼미크인
,몽골계 러시아인,
라크인
조지아계 러시아인 아슈케나짐 몰도바인
,루마니아계 러시아인,
한국계 러시아인
,고려인,
,사할린 한인,
타바사란인
튀르키예계 러시아인
,메스케티 튀르크,
노가이인 키르기스 코미인 알타이인
흑해 그리스인
,그리스계 러시아인,
하카스인 스페인계 러시아인
,바스크계 러시아인,
폴란드계 러시아인 사모예드족
쿠르드계 러시아인
,야지디,
에벤키, 에벤족 투르크멘 사미족 루툴인
아굴인 리투아니아계 러시아인 한티인
만시인
중국계 러시아인
둥간족
우데게족
카렐인
잉그리아 핀인
,핀란드계 러시아인,
라트비아계 러시아인 세투인
,에스토니아계 러시아인,
축치인 베사라비아 불가리아인
불가리아계 러시아인
가가우즈인 쇼르인 케레크 압하스인 나나이족
아시리아인 아랍계 러시아인 나가이바크 돌간인 러시아 흑인
아프가니스탄계 러시아인 니브흐 우디인 인도계 러시아인 샵수그인
위구르인 케트인 재러 베트남인 이텔멘족 쿠만딘인
헝가리계 러시아인 울치족 텔레우트인 타트인
탈리시인,
,이란계 러시아인
체코계 러시아인
유카기르 부하라 유대인
산악 유대인
카라임
슬로바키아인 카라칼파크인 차후르인
프랑스계 러시아인 소요트 일본계 러시아인 이탈리아계 러시아인 덴마크계 러시아인
오스트리아계 러시아인 영국계 러시아인 스웨덴계 러시아인 아일랜드계 러시아인 노르웨이계 러시아인
네덜란드계 러시아인 스위스계 러시아인 크로아티아계 러시아인 미국계 러시아인 세르비아계 러시아인
아이누
}}}}}}}}} ||

파일:튀르크 깃발.svg
튀르크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민족
<colbgcolor=#f3feff,#649298> 보편 튀르크 <colbgcolor=#f3feff,#649298> 시베리아 돌간인 | 쇼르인 | 알타이인 | 사하인 | 유고족 | 차탕족 | 소요트 | 출름 | 토파 | 투바인 | 하카스인
킵차크 노가이인 | 바시키르인 | 발카르인 | 우룸인 | 카라임 | 카라차이인 | 카라칼파크인 | 카자흐 | 쿠만 † | 쿠미크인 | 키르기스 | 타타르 (립카 타타르 | 크림 타타르)
카를루크 우즈베크 | 위구르
오구즈 가가우즈인 | 살라르족 | 투르코만 (시리아 투르크멘) | 아제르바이잔인 | 카슈카이족 | 튀르키예인 | 투르크멘 | 페체네그 † | 호라산 튀르크
아르구 할라지인
오구르 불가르 † | 아바르 † | 추바시인 | 하자르
국가 및 지역
독립국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 (미승인) |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자치 지역 파일:가가우지아 기.svg 가가우지아 |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나흐츠반 | 파일:바시코르토스탄 공화국 국기.svg 바시코르토스탄 공화국 | 파일:사하 공화국 국기.svg 사하 공화국 | 파일:중국 국기.svg 신장 위구르 자치구 | 파일:중국 국기.svg 키질수 키르기스 자치주 | 파일:중국 국기.svg 일리 카자흐 자치주 | 파일:알타이 공화국 국기.svg 알타이 공화국 | 파일:2000px-Flag_of_Chuvashia.svg.png 추바시야 공화국 | 파일:카라차예보-체르케시야 공화국 국기.svg 카라차예보-체르케시야 공화국 | 파일:카라칼팍스탄 국기.svg 카라칼팍스탄 | 파일:카바르디노-발카리야 공화국 국기.svg 카바르디노-발카리야 공화국 | 파일:타타르스탄 공화국 국기.svg 타타르스탄 공화국 | 파일:투바 공화국 국기.svg 투바 공화국 | 파일:하카시야 공화국 국기.svg 하카시야 공화국
다수 거주지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령 아제르바이잔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Flag_of_the_Bayan-%C3%96lgii.png 바잉울기
사회문화
언어 튀르크어족
신화 쾨로을루 신화 | 텡그리 신앙
외교 및 사상 범튀르크주의 (튀르크어권 국가 기구) | 범투란주의 | 파일:동튀르키스탄 깃발.svg 동튀르키스탄 독립운동 | 파일:남아제르바이잔 기.svg 남아제르바이잔 분리독립 }}}}}}}}}

파일:Caucasus.png 캅카스의 민족 목록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조지아인 아르메니아인 아제르바이잔인 오세트인 체첸인
체르케스인
카바르다인
쿠미크인 발카르인 아바르인 레즈긴인
다르긴인 카라차이인 산악 유대인 인구시인 탈리시인
압하스인 루툴인 라크인 타바사란인 아굴인
차후르인 타트인 노가이인 캅카스 독일인 우비흐인
라즈인 아자르인 우디인 체즈인 히날루그인
바츠인 안디인 부두흐인 크리츠인 아르치인
제크인 훈지브인 히누흐인 베즈타인 흐와르시인
메그렐인 스반인 인길로이인 투르크멘인 흑해 그리스인
러시아인 우크라이나인 카자크 아바자인 샵수그인
※ 현존 민족만을 표기
※ 다른 지역·국가의 민족 둘러보기 }}}}}}}}}


1. 개요2. 기원3. 역사4. 문화5. 출신 인물
파일:DE5270C7-07EA-42C0-9CF9-B89BF21DAB5E.jpg
쿠미크 민족기

1. 개요

파일:6F0E682D-1AEA-498A-849E-878F6F87E6FB.jpg
러시아다게스탄 공화국카바르디노-발카리야 공화국에 거주하는 튀르크어족 계통의 쿠미크어를 구사하는 민족. 인구는 2002년 기준 42만 명, 2010년 기준 50만여 명 정도이다. 19세기 초 러시아 제국의 다게스탄 점령 이전 이 지역의 실세로 심지어 1930년대까지도 쿠미크어가 카프카스 북부 일대의 공용어였다 한다. 오늘날 쿠미크인은 인구가 그렇게 많지 않은 대신[2] 러시아 공화국 내에서 인구가 제일 출산율이 높은 민족으로 추정된다.

러시아 제국이 다게스탄을 정복할 때 쿠미크인 상당수가 오스만 제국으로 망명을 갔는데 현재도 튀르키예에서 쿠미크어 구사가 가능한 쿠미크인이 1만여 명 정도 거주한다. 실제로 쿠미크인 조상을 둔 경우는 이보다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2. 기원

이들의 민족명 쿠미크는 쿠만에서 파생된 것으로 추정된다. 쿠미크인들은 자신들의 기원을 쿠만족이나 하자르 칸국에서 찾기를 좋아하며, 헝가리 출신 역사학자 아르민 밤베리의 경우도 이들이 하자르 왕국이 번성하던 시점인 서기 8세기 무렵 현 거주지에 정착한 것으로 추정했다. 그러나 상당수의 러시아 역사학자들은 이들의 기원을 중세 말에 튀르크화한 다르기인 혹은 레즈기인으로 보고 있다.

다게스탄 일대 토착민과 튀르크인 사이의 혼혈은 서기 7세기부터 서기 17세기에 걸쳐 이루어진 반면 쿠미크인에 대한 구체적인 역사 사료는 매우 부족한 관계로 이들의 정확한 기원은 밝혀지지 않고 있다.

3. 역사

서기 14세기부터 19세기까지 쿠미키야라는 봉건 국가 연합체가 존재했다. 16세기에는 크림 칸국의 약탈을 피할 목적으로 순니파 이슬람으로 개종했으며 그 이전에는 무슬림은 소수였고 주로 텡그리 신앙을 믿고 있었다. 쿠미키야 왕국은 카바르다인과 라이벌 관계였으나 1867년 러시아 제국에 정복되면서 쿠미키야 왕국 대부분은 다게스탄 주에 속하게 되었다.

4. 문화

수니파 무슬림으로써의 이웃 튀르크 민족인 아제리인들이 시아파 이슬람을 믿는 것과 대비된다. 다만 이들도 시아파 무슬림들처럼 노루즈[3]를 지내며 조상 숭배 관습이 많이 남아있다고 한다.

튀르크계 민족이지만 매우 비옥한 땅에 거주하는 관계로 전통적으로 포도와 보리, 밀 농사를 지어왔으며, 다른 튀르크계 민족과 다르게 전통 중에 농업과 관련된 부분이 많다. 비옥한 지방에서 거주했던 관계로 쿠미크인의 전통 가옥은 규모가 크고 마당이 넓다. 쿠미크인은 과수원 경영도 열심이었기 때문에 이들의 식생활도 다른 카프카스 민족들에 비해 풍요로운 편이었다.

5. 출신 인물


[1] 출처는 러시아어 위키백과[2] 다게스탄 내에서 인구 수로 3위[3] 조로아스터교 풍습에서 유래된 축제로 이란, 타지키스탄의 시아파들이 현재도 명절로 지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