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23:50:01

코미인

코미인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중부유럽인·동유럽인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체코인 슬로바키아인 헝가리인 폴란드인 독일인
러시아인 우크라이나인 벨라루스인 코미인 우드무르트인
셀쿠프인 카렐인 사미족 마리인 모르드바인
칼미크인 카라임 세케이인 집시 가가우즈인
타타르인 루신인 소르브인 몰도바인 카슈브인
오스트리아인 바시키르인 추바시인 크림 타타르인 러시아계 우크라이나인
러시아계 폴란드인 고려인
※ 현존 민족만을 표기
※ 다른 지역·국가의 민족 둘러보기 }}}}}}}}}

{{{#!wiki style="color: #FFF;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러시아인 타타르
크림 타타르
우크라이나계 러시아인 바시키르인 추바시인
체첸인
인구시인
아르메니아계 러시아인 아바르인 모르드바인 카자흐
아제르바이잔계 러시아인 다르긴인 우드무르트인 마리인 오세트인
벨라루스계 러시아인 체르케스인
카바르다인
쿠미크인 야쿠트인 레즈긴인
벱스인 독일계 러시아인 우즈벡 투바인 코미인
카라차이인
발카르인
로마니 타지키스탄계 러시아인 부랴트인
칼미크인
,몽골계 러시아인,
라크인
조지아계 러시아인 아슈케나짐 몰도바인
,루마니아계 러시아인,
한국계 러시아인
,고려인,
,사할린 한인,
타바사란인
튀르키예계 러시아인
,메스케티 튀르크,
노가이인 키르기스 코미인 알타이인
흑해 그리스인
,그리스계 러시아인,
하카스인 스페인계 러시아인
,바스크계 러시아인,
폴란드계 러시아인 사모예드족
쿠르드계 러시아인
,야지디,
에벤키, 에벤족 투르크멘 사미족 루툴인
아굴인 리투아니아계 러시아인 한티인
만시인
중국계 러시아인
둥간족
우데게족
카렐인
잉그리아 핀인
,핀란드계 러시아인,
라트비아계 러시아인 세투인
,에스토니아계 러시아인,
축치인 베사라비아 불가리아인
불가리아계 러시아인
가가우즈인 쇼르인 케레크 압하스인 나나이족
아시리아인 아랍계 러시아인 나가이바크 돌간인 러시아 흑인
아프가니스탄계 러시아인 니브흐 우디인 인도계 러시아인 샵수그인
위구르인 케트인 재러 베트남인 이텔멘족 쿠만딘인
헝가리계 러시아인 울치족 텔레우트인 타트인
탈리시인,
,이란계 러시아인
체코계 러시아인
유카기르 부하라 유대인
산악 유대인
카라임
슬로바키아인 카라칼파크인 차후르인
프랑스계 러시아인 소요트 일본계 러시아인 이탈리아계 러시아인 덴마크계 러시아인
오스트리아계 러시아인 영국계 러시아인 스웨덴계 러시아인 아일랜드계 러시아인 노르웨이계 러시아인
네덜란드계 러시아인 스위스계 러시아인 크로아티아계 러시아인 미국계 러시아인 세르비아계 러시아인
아이누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민족
<colbgcolor=#fafafa,#1a1a1a> 핀우그
리아족
<colbgcolor=#fafafa,#1a1a1a> 핀페
름족
발트핀족 핀란드인 | 카렐인 | 잉그리아인 | 벱스인 | 크벤인 | 이조라인 | 에스토니아인(버로인) | 세투인 | 리보니아인 | 보디인
사미족 사미인
볼가핀족 모르드바인 | 마리인
페름족 우드무르트인 | 코미인
우고
르족
마자르족 헝가리인 | 세케이인
오브우
고르족
한티인 | 만시인
사모예드족 에네츠인 | 네네츠인 | 응가나산인 | 셀쿠프인
국가 및 지역
독립국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자치 지역 파일:카렐리야 공화국 국기.svg 카렐리야 공화국 | 파일:모르도비야 공화국 국기.svg 모르도비야 공화국 | 파일:네네츠 자치구 기.svg 네네츠 자치구 | 파일:코미 공화국 국기.svg 코미 공화국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Flag_of_Mari_El.svg.png 마리 엘 공화국 | 파일:한티-만시 자치구 기.svg 한티-만시 자치구 | 파일:1280px-Flag_of_Udmurtia.svg.png 우드무르티야 공화국 | 파일:야말로-네네츠 자치구 기.svg 야말로-네네츠 자치구
다수 거주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Sami_flag.svg.png 라플란드 | 파일:Flag_of_Szekely_Land.svg 세케이푈드
언어 및 문화
언어 우랄어족
사상 범우랄주의 | 범투란주의
신화 핀란드 신화 | 에스토니아 신화 | 헝가리 신화 }}}}}}}}}


파일:057F1108-8E60-4CAF-87E5-BEB845D589F6.jpg
파일:19F9DDDD-1E5F-4817-889A-59D611D6CED6.jpg

1. 개요2. 기원과 분화3. 종교4. 요리5. 음악6. 외부 링크

1. 개요

중세 페름의 원주민이었던 코미인은 우랄어족 페름어파에 속하는 코미어를 사용하는 러시아의 소수민족으로 현재 러시아인에 동화되며 인구가 가파르게 감소하고 있는 민족이기도 하다. 2002년 당시 293,406명이던 코미인 인구는 2021년 인구 조사 당시 143,516명으로 감소했다.

한때는 코미어로 된 신문과 잡지도 활발하게 나왔지만, 코미인 인구가 2020년대에 들어 급격히 감소하면서 코미어 매체의 존립도 위협받고 있다.

2. 기원과 분화

러시아 유럽영토 북부 삼림 지대에 거주하던 이들은 서기 10~11세기 즈음 남쪽의 우드무르트인과 분화된 것으로 추정되며, 16~17세기에는 보다 세금을 피하고 모피를 더 많이 채집하기 위해 북부로 이동한 코미-지랸인과 카마강에 잔류한 코미-페르먀크인으로 분화되었다.

코미인들의 역사에 관한 내용은 코미 공화국 문서 참조

3. 종교

코미인들은 전통적으로 곰과 나무를 숭배해왔다. 그러나 러시아인들과 교류가 늘어나며 1379년부터 모계가 코미인이었던 수사 '페름의 스테파누스'[2]에 의해 이 지역에 정교회 선교가 시작되었고 1383년 페름교구가 생겼다. 선교사들의 영향으로 14세기 말부터 키릴 문자를 바탕으로 페름어 문자가 개발되고 페름어로 성경도 번역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코미인들 상당수는 교회도 다니면서 마을 전통의 곰 숭배 의식을 그대로 근행하며 이중 신앙을 유지했다.

17세기 중엽 당시 니콘의 정교회 개혁을 따르기를 거부한 러시아 정교 고의식파 상당수가 탄압을 피해 러시아 정부의 관리들이 추워서 오기 싫어하는 이 지역으로 많이 탈주하였는데, 이 와중에 고의식파 러시아인들과 코미인들 사이에 통혼이 일상적으로 일어났다. 그러나 이 와중에도 코미인들 사이에서는 이중 신앙이 그대로 유지되었다. 코미인 사회에서는 전나무와 자작나무를 베는 것이 계속 터부시되었다.
칸딘스키는 곧 러시아적인 것 아래 숨겨져 있는 오래된 이교 문화의 흔적을 발견했다. 코미 사람들은 누구나 자신들을 (적어도 모스크바 사람들 앞에서는) 정교도라고 말하며 공적인 의식은 기독교 성직자가 주재한다. 하지만 칸딘스키의 주장처럼 그들은 사생활에선 여전히 오랜 늙은 무당들을 찾고 있었다. 코미 사람들은 볼사(Volsa)라는 숲의 괴물을 믿고 있었다. 숲의 괴물은 오르트(Ort)라는 '살아 있는 영혼'을 갖고 있으며 평생 사람들을 쫓아다니다 죽을 때 사람들 앞에 나타난다. 코미 사람들은 물과 바람의 정령에게 기도하고 살아 있는 것에 말하듯이 불에게 말하며 민속 예술은 여전히 태양 숭배의 징후를 보이고 있다.[3]
나탸샤 댄스 : 러시아 문화사 / 올랜도 파이지스 저

유럽에서 토속신앙을 연구하는 비교종교학자들과 인류학자들에게 이들은 가까이서 찾아낼 수 있는 만만한 표본이었고, 코미인 중에는 교육 수준이 높은 사람이 많았기 때문에 이런 연구가 수월하게 이루어진 편이었다. 코미어의 문자화가 비교적 일찍 이루어진 데다가 모피 무역으로 돈도 많이 모으고 세금도 비교적 적게 냈기 때문에 부유하고 인심이 좋은 편이었다. 코미인들은 이중신앙 형태의 토속신앙뿐만 아니라 중세 정교회 고의식파 생활풍습과 전례를 유지하고 있는 사람들이 많았고, 거기에 이들은 말도 잘 통하고 외부인의 대한 경계도 덜했기 때문에 인류학자들 입장에서 코미인들의 마을은 여러가지 자료가 풍부한 보물창고나 다름없었다.

코미 신화 관련 내용이 궁금하신 분들은 링크 등등 참조. 참고로 여기 나오는 코미 신화를 묘사한 그림들은 현대에 그려진 작품들인데 꽤 재밌게 그려졌다.

4. 요리

파일:8B1B946E-7A38-4796-A897-895874C9B284.jpg

이들이 살던 지역은 무지막지하게 추웠기 때문에 닭을 키우기 힘들었고 코미인들에게 닭고기나 계란은 다른 지방에 가서나 먹을 수 있는 극히 희귀한 음식이었다. 코미인들은 주로 순록고기나 생선을 끓인 국을 많이 먹었다.

또한 밀농사도 잘 되지 않았기 이들은 빵을 만들 때 다른 지방에서 사온 밀가루 약간에 강아지풀 같은 야생 곡물 가루와 여기에 생선살을 넣어 빵을 만들어먹었다.

5. 음악


Зиль-Зёль

가사 (코미어)
Мусук локтiс рытъядорö,
Öшинь улын кыйкъялö,
Ывла вылö бара корö,
Менам бандзиб ыпъялö.
Пельöй чошö, мый нö тайö,
Мелi шыысь пöсьöдö.
Кодкö ворсöворсö рытöвойö,
Кодкö сьöлöм вöрзьöдö.


Мыйла эськö

가사 (코미어)
1. Мыйла эськö гöтырыд Абу куим-нёль?
Сэки эськö некодöс Öткöн эн и коль.
Эн и дöзмы некодысь, Сöмын ваш да ваш,
Сы вöсна мый быдöнысь Бырлiс эськö гаж.

2. Мыйла эськö верöсыд Абу нёль-ö-вит?
Сэки эськö некодöс Некор он и вид.
Мый тэн колö вöчасны, Сöмын налы шу.
Сё майбырöй, нинöмысь Шогыд оз и су.

3. Петалас мед ставныдлы Кыв йыланыд мыльк.
Ми öд сöмын шмонитам, Огö шуöй збыль.
Ассьыд понтö вöравны Некодлы он сет.
Ок öд öти гöтырыд Витлöн вöлi мед?!

О-го-го-го-го…

4. Аттö найö кутшöмöсь, Гачаöсь, дай сiдз!
Миянлы на сетлöма Енмыс тадзи мич.
Верöс саяд петам да, Юрным оз на усь.
Кöнкö гусьöн тiян моз Некод на оз узь.


5. Вайö дугдам вензьыны. Дугдамöй и эм!
Сы вылö и муслуныс, Мед оз куслы нэм.
Гöтрасям да гозъяыд, Быттьö топыд йöр:
Некод оз лысьт сюйсьыны, Некод оз и тöр!

6. 외부 링크



[1] 출처는 러시아어 위키백과[2] Стефан Пермский[3] 바실리 칸딘스키는 1889년 여름 3개월 동안 코미인들의 마을에 체류하였는데 당시 그가 코미인 마을에서 받은 영감은 그의 추상미술에 상당히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