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7 19:07:43

추바시인

추바시인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중부유럽인·동유럽인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체코인 슬로바키아인 헝가리인 폴란드인 독일인
러시아인 우크라이나인 벨라루스인 코미인 우드무르트인
셀쿠프인 카렐인 사미족 마리인 모르드바인
칼미크인 카라임 세케이인 집시 가가우즈인
타타르인 루신인 소르브인 몰도바인 카슈브인
오스트리아인 바시키르인 추바시인 크림 타타르인 러시아계 우크라이나인
러시아계 폴란드인 고려인
※ 현존 민족만을 표기
※ 다른 지역·국가의 민족 둘러보기 }}}}}}}}}

{{{#!wiki style="color: #FFF;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러시아인 타타르
크림 타타르
우크라이나계 러시아인 바시키르인 추바시인
체첸인
인구시인
아르메니아계 러시아인 아바르인 모르드바인 카자흐
아제르바이잔계 러시아인 다르긴인 우드무르트인 마리인 오세트인
벨라루스계 러시아인 체르케스인
카바르다인
쿠미크인 야쿠트인 레즈긴인
벱스인 독일계 러시아인 우즈벡 투바인 코미인
카라차이인
발카르인
로마니 타지키스탄계 러시아인 부랴트인
칼미크인
,몽골계 러시아인,
라크인
조지아계 러시아인 아슈케나짐 몰도바인
,루마니아계 러시아인,
한국계 러시아인
,고려인,
,사할린 한인,
타바사란인
튀르키예계 러시아인
,메스케티 튀르크,
노가이인 키르기스 코미인 알타이인
흑해 그리스인
,그리스계 러시아인,
하카스인 스페인계 러시아인
,바스크계 러시아인,
폴란드계 러시아인 사모예드족
쿠르드계 러시아인
,야지디,
에벤키, 에벤족 투르크멘 사미족 루툴인
아굴인 리투아니아계 러시아인 한티인
만시인
중국계 러시아인
둥간족
우데게족
카렐인
잉그리아 핀인
,핀란드계 러시아인,
라트비아계 러시아인 세투인
,에스토니아계 러시아인,
축치인 베사라비아 불가리아인
불가리아계 러시아인
가가우즈인 쇼르인 케레크 압하스인 나나이족
아시리아인 아랍계 러시아인 나가이바크 돌간인 러시아 흑인
아프가니스탄계 러시아인 니브흐 우디인 인도계 러시아인 샵수그인
위구르인 케트인 재러 베트남인 이텔멘족 쿠만딘인
헝가리계 러시아인 울치족 텔레우트인 타트인
탈리시인,
,이란계 러시아인
체코계 러시아인
유카기르 부하라 유대인
산악 유대인
카라임
슬로바키아인 카라칼파크인 차후르인
프랑스계 러시아인 소요트 일본계 러시아인 이탈리아계 러시아인 덴마크계 러시아인
오스트리아계 러시아인 영국계 러시아인 스웨덴계 러시아인 아일랜드계 러시아인 노르웨이계 러시아인
네덜란드계 러시아인 스위스계 러시아인 크로아티아계 러시아인 미국계 러시아인 세르비아계 러시아인
아이누
}}}}}}}}} ||

파일:튀르크 깃발.svg
튀르크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민족
<colbgcolor=#f3feff,#649298> 보편 튀르크 <colbgcolor=#f3feff,#649298> 시베리아 돌간인 | 쇼르인 | 알타이인 | 사하인 | 유고족 | 차탕족 | 소요트 | 출름 | 토파 | 투바인 | 하카스인
킵차크 노가이인 | 바시키르인 | 발카르인 | 우룸인 | 카라임 | 카라차이인 | 카라칼파크인 | 카자흐 | 쿠만 † | 쿠미크인 | 키르기스 | 타타르 (립카 타타르 | 크림 타타르)
카를루크 우즈베크 | 위구르
오구즈 가가우즈인 | 살라르족 | 시리아·이라크 튀르크멘 | 아제르바이잔인 | 카슈카이족 | 튀르키예인 | 투르크멘 | 페체네그 † | 호라산 튀르크
아르구 할라지인
오구르 불가르 † | 아바르 † | 추바시인 | 하자르
국가 및 지역
독립국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 (미승인) |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자치 지역 파일:가가우지아 기.svg 가가우지아 |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나흐츠반 | 파일:바시코르토스탄 공화국 국기.svg 바시코르토스탄 공화국 | 파일:사하 공화국 국기.svg 사하 공화국 | 파일:중국 국기.svg 신장 위구르 자치구 | 파일:중국 국기.svg 키질수 키르기스 자치주 | 파일:중국 국기.svg 일리 카자흐 자치주 | 파일:알타이 공화국 국기.svg 알타이 공화국 | 파일:2000px-Flag_of_Chuvashia.svg.png 추바시야 공화국 | 파일:카라차예보-체르케시야 공화국 국기.svg 카라차예보-체르케시야 공화국 | 파일:카라칼팍스탄 국기.svg 카라칼팍스탄 | 파일:카바르디노-발카리야 공화국 국기.svg 카바르디노-발카리야 공화국 | 파일:타타르스탄 공화국 국기.svg 타타르스탄 공화국 | 파일:투바 공화국 국기.svg 투바 공화국 | 파일:하카시야 공화국 국기.svg 하카시야 공화국
다수 거주지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령 아제르바이잔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Flag_of_the_Bayan-%C3%96lgii.png 바잉울기
사회문화
언어 튀르크어족
신화 쾨로을루 신화 | 텡그리 신앙
외교 및 사상 범튀르크주의 (튀르크어권 국가 기구) | 범투란주의 | 파일:동튀르키스탄 깃발.svg 동튀르키스탄 독립운동 | 파일:남아제르바이잔 기.svg 남아제르바이잔 분리독립 }}}}}}}}}


파일:c11ed137bdcf5c78da68d4924a3600b2.jpg

파일:external/mkrf.ru/80041a0ad1ca3ce618dab66894ed30f6.jpg

1. 개요2. 역사3. 문화

1. 개요


추바시인은 추바시야 공화국의 원주민으로 다른 튀르크계 민족들과 다르게 정교회 기독교를 믿고 있다.[2] 추바시인의 오래된 관습과 가정 의례에서는 토속 신앙과 수피즘의 잔재를 찾을 수 있다. 러시아에 100만명 이상이 있으며, 대부분은 추바시야 공화국에 거주한다. 이외에도 카자흐스탄에 2만여명, 우크라이나에 1만여명, 우즈베키스탄에 1만여명이 거주한다. 러시아에서 여섯번째로 인구가 많은 민족이다.

있다. ‘추바시’라는 이름은 고대 불가르 종족 중 하나인 ‘수바르’(Сувары), 이후에는 ‘수바즈’(Сувары-сувазы)라는 명칭에서 나와 변형된 것이다.

2. 역사

고대 불가르 종족의 일파이던 수바르 족이 이들의 조상이다. 수바르 족은 수바즈 족이라고도 불렸으며 추바시 라는 민족명은 수바즈라는 이름에서 기원하여 변형된 것이다. 중세 불가르어와 오늘날 추바시어 사이에 많은 공통점이 있다 한다. 불가르어를 쓰는 불가르족들은 오늘날 불가리아 일대에 정착한 후 슬라브화되었고, 추바시어는 오구르어파 언어 중 유일하게 남은 언어가 되었다.

러시아인들은 종종 추바시인들을 타타르인이나 마리인들과 혼동하였다. 추바시 민족과 추바시어의 기원에 대해 연구한 학자들 중에는 우랄어족에 속하는 마리인들이 튀르크어를 구사하는 볼가 불가르족에 동화하면서 추바시인의 기원이 되었다고 주장하는 경우도 있다. 이들은 주로 자급자족적 농업을 했기 때문에, 다른 볼가 불가르인들이 교역과 유목 생활을 하면서 문화와 언어가 변화하는 동안 고유 언어를 보존했다는 것이 논지이다.

1236년 볼가 불가르가 킵차크 칸국에 의해 정복당하는 와중에 이슬람 대신 전통적인 샤머니즘을 믿던 이들은 타타르인에 동화되지 않고 분리되었다. 이후 킵차크 칸국이 붕괴되면서 카잔 칸국의 지배를 받던 이들은 이반 4세 시절 루스 차르국의 군대가 카잔 칸국을 병합하면서 러시아의 속민이 되었다.

러시아 제국의 볼가강 유역 정복 이후 농노가 된 추바시인들은 농노제의 압제를 참지 못하고 1670~1671년 스테판 라진카자크 봉기에 합류했다가 진압되었다. 추바시인들이 처음부터 농노였던 것은 아니었지만 러시아에는 귀족들에게 봉지로 만만한 추바시인들이 거주하는 마을을 하사할 때가 많았고, 자신들이 거주하는 마을이 귀족의 땅으로 증여되는 순간 해당 지역의 추바시인들에게는 엄청난 양의 공납과 노역이 추가로 부과되었다.

이후 러시아 제국은 이들을 불순분자로 보고 선교사들을 보내 정교회로 개종시키기 시작한다. 1774년에는 푸가초프의 난에 합류했다가 진압당했다. 이들은 볼가 타타르인이나 바시키르인들과 다르게 중앙아시아의 무슬림들과 적극 교역한 것도 아니고 러시아 제국에서 경기병으로 활약한 것이 아니라 그저 농노로 착취당했기 때문에 반란도 많이 일으키고 결국에는 정교회로 개종하게 된 것.

알렉산드르 2세가 농노 해방을 선포한 이후 농노가 대부분이었던 추바시인도 해방되고, 이후 시베리아 각지로 이주 정착하였다. 스톨리핀이 시베리아 동부로 이주하는 사람들에게 여러가지 파격적인 혜택을 주며 개척을 장려하자 많은 추바시인들의 이주가 가속화되었다.

추바시야를 떠난 추바시인 후손들은 추바시어를 잊어버리고 러시아인들과 대부분 혼혈되어 현재는 러시아인과 거의 동화되었으며 오늘날의 추바시인들은 추바시야에 남은 추바시족들의 직계 후손이다. 2010년 인구조사에서 1,435,872명이던 것이 불과 11년이 지난 2021년 인구조사에서는 1,067,139명으로 거의 30%가 줄어들었기에 타 민족으로의 동화 추세가 심각한 편이라고 판단된다.

3. 문화

대부분의 추바시인들이 러시아 정교회를 믿고 있지만, 이들의 풍습과 전통신앙에는 조로아스터교 문화나 마니교 문화의 영향이 많이 남아있다고 한다.

추바시인의 세계관에는 양분법이 깊게 자리잡고 있었다. 예를 들면 하늘 위에 사는 선한 신 투라와 지하 세계에 사는 악한 신 슈이탄이 있다고 믿었다.


[1] 복수형은 чăвашсе́м.[2] 추바시인외에도 가가우즈인, 돌간인, 사하인, 크랴셴인들도 정교회를 믿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