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121942><colcolor=#ffffff> 포뮬러 레전드 Formula Legends | |
| |
개발 | 3DClouds |
유통 | 3DClouds |
플랫폼 | Microsoft Windows | PlayStation 4 | PlayStation 5 | Xbox One | Xbox Series X|S | Nintendo Switch |
ESD | Steam | 에픽게임즈 스토어 | PlayStation Store | Microsoft Store | 닌텐도 e숍 |
장르 | 레이싱 게임 |
출시 | 데모 2025년 8월 6일 정식 2025년 9월 18일 |
엔진 | 언리얼 |
한국어 지원 | 지원 |
등급 | |
관련 사이트 | |
상점 페이지 |
1. 개요
황금 시대부터 현대까지, Formula Legends에서 시간 속을 질주하세요. 재구성된 서킷을 마스터하고, 전설적인 자동차를 조종하며, 모터스포츠 역사 속에서 영광을 쫓으세요. 속도, 기술, 전략이 챔피언을 정의하는 포뮬러 레이싱에 대한 사랑의 편지.
1960년대부터 2020년대까지의 다양한 포뮬러 1 레이스카로 레이스를 펼치는 레이싱 게임이다.
2. 시스템 요구 사항
시스템 요구 사항 | ||
구분 | 최소 사양 | 권장 사양 |
OS | Windows 10 | Windows 11 |
CPU | 인텔 코어 i5-6600K AMD 라이젠 3 3100 | 인텔 코어 i7 13th gen AMD 라이젠 7 7800 |
메모리 | 8GB | 16GB |
그래픽 카드 | NVIDIA Geforce GTX 780 AMD Radeon RX 480 | NVIDIA Geforce RTX 2060[1] AMD Radeon RX 5700 |
저장 공간 | 6GB | 6GB |
API | DirectX 12 |
3. 게임 정보
3.1. 게임 모드
3.1.1. 스토리 모드
포뮬러 레이싱의 초창기부터 현대까지 역사를 다시 체험하고 새로운 보상을 잠금 해제하세요.
이 모드에서 예선 랩은 2랩으로 고정되고 길이는 중간으로 고정된다. 난이도는 쉬움 - 보통 - 어려움 중 자유롭게 선택 가능하고 페널티는 필수적으로 활성화된다. 연료는 정확한 규칙으로 소모되고[2] 타이어 마모, 충돌이 활성화되며 손상 정도가 보통으로 고정된다.
컵 최종순위가 1, 2, 3위일 경우 각 순위에 맞는 트로피를 받을 수 있고 컵을 시작할 때 한 번 난이도를 설정하면 종료할때까지 변경할 수 없으며 난이도에 따라 트로피의 디자인이 달라진다.
196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중반까지는 빈티지 테마에서, 198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는 클래식 테마에서, 2000년대 중반부터 2020년대 중반까지는 현대 테마에서 플레이하게 된다.
- 개척자 세대 '60
- 1960년대 후반:
(4 레이스)
- 속도의 세대 '70
- 1970년대 초반:
(4 레이스)
- 1970년대 중반:
(4 레이스)
- 1970년대 후반:
(4 레이스)
- 터보차저 세대 '80
- 1980년대 초반:
(5 레이스)
- 1980년대 중반:
(5 레이스)
- 1980년대 후반:
(6 레이스)
- 슈퍼팀 세대 '90
- 1990년대 초반:
(6 레이스)
- 1990년대 중반:
(6 레이스)
- 1990년대 후반:
(6 레이스)
- 이탈리아의 세대 '00
- 2000년대 초반:
(7 레이스)
- 2000년대 중반:
(7 레이스)
- 2000년대 후반:
(7 레이스)
- 하이브리드 세대 '10
- 2010년대 중반:
(7 레이스)
- 미래 세대 '20
- 2020년대 초반:
(8 레이스)
- 2020년대 중반:
(8 레이스)
3.1.2. 커스텀 모드
나만의 레이싱 경험을 만들고 색다른 방식으로 실력을 시험해 보세요.
3.1.2.1. 레이스
직접 만든 규칙으로 단일 레이스를 플레이합니다.
이 모드에서는 자유롭게 레이스 규칙을 설정할 수 있다. 예선에서 주행할 랩 수를 1랩부터 3랩까지 선택할 수 있고 레이스 길이를 매우 짧음 - 짧음 - 중간 - 긺 - 매우 긺 중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난이도 또한 쉬움 - 보통 - 어려움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난이도에 따라 다른 차량의 AI 수준이 향상된다.
만약 예선에서 주행할 랩 수를 0랩으로 설정할 경우 예선을 생략하고 바로 레이스를 시작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최후미인 14그리드에서 출발한다.
3.1.2.2. 챔피언십
나만의 챔피언십을 만들고 플레이해 보세요.
최소 3개에서 최대 14개의 트랙을 골라 챔피언십을 만들 수 있다. 같은 트랙의 중복 선택은 안되지만 서로 다른 테마일 경우 중복 선택할 수 있다.
이 모드에서는 자유롭게 레이스 규칙을 설정할 수 있다. 예선에서 주행할 랩 수를 1랩부터 3랩까지 선택할 수 있고 레이스 길이를 매우 짧음 - 짧음 - 중간 - 긺 - 매우 긺 중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난이도 또한 쉬움 - 보통 - 어려움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난이도에 따라 다른 차량의 AI 수준이 향상된다. 그리고 챔피언십에 포함할 레이스 수를 3개에서 14개까지 선택할 수 있다.
만약 예선에서 주행할 랩 수를 0랩으로 설정할 경우 예선을 생략하고 바로 레이스를 시작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최후미인 14그리드에서 출발한다.
한 번 챔피언십을 시작하면 모든 경기를 종료할때까지 레이스 규칙을 변경할 수 없다.
3.1.2.3. 튜토리얼
튜토리얼을 플레이하고 게임의 기본을 배웁니다.
Charlie Lacreme이 탑승한 Ferenzo 220M[3]으로 진행된다.
가속 및 감속 방법, 피트스탑 방법, BRS 및 WRS 사용 방법, 빠른 트랙 복귀 등을 익힐 수 있다.
가속 및 감속 방법, 피트스탑 방법, BRS 및 WRS 사용 방법, 빠른 트랙 복귀 등을 익힐 수 있다.
3.1.3. 타임 어택
한계를 넘어 최고 랩타임에 도전해 보세요.
이 모드에서 타이어 종류는 스탠다드 타이어[4] 혹은 소프트 타이어[5]로 고정된다. 피트 레인 입구가 막혀있어 들어갈 수 없으며 대신 타이어가 전혀 마모되지 않는다. 현대 차량[6]의 경우 스타트 라인을 지날 때 마다 BRS[7]가 100%로 완전히 충전되며 WRS[8]는 정해진 구간에서 자유롭게 사용 가능하다.
단 한 번이라도 트랙 바깥으로 나간 경우 랩 타임이 기록되지 않으며 기록한 랩 타임은 서버에 남아 전세계 유저 순위를 확인할 수 있다.
드라이버의 고유 능력은 모두 비활성화되며 기록은 사용된 차량과 상관 없이 트랙의 테마별로 기록된다.[9]
또한 트랙의 테마별로 선택할 수 있는 차량의 시대가 제한된다.
- 빈티지: 1960년대 후반 - 1980년대 중반 차량
- 클래식: 1980년대 후반 - 2000년대 초반 차량
- 현대: 2000년대 중반 - 2020년대 중반 차량
차량 선택 기준은 위와 같다.[10]
3.1.4. 쇼룸
컬렉션을 뽐내고 최고의 사진을 남긴 다음, 잠금 해제 가능한 콘텐츠를 확인해 보세요!
3.2. 트랙
레이스를 시작하기 전 트랙의 테마를 결정할 수 있는데 단순히 화면 필터가 바뀌는 효과 외에도[11] 테마에 따라 트랙의 레이아웃이 조금씩 변한다.[12] 커스텀 모드에서는 트랙의 테마와 상관 없이 모든 시대의 차량 선택이 가능하고, 타임 어택 모드에서는 트랙의 테마에 따라 특정 시대의 차량만 선택할 수 있다.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벨기에|{{{#!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벨기에}}}{{{#!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아르덴 GP (삼림)[13]
<nopad> | <nopad> | <nopad> |
빈티지 | 클래식 | 현대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프랑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프랑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리비에라 스트리트 GP (도시)[14]
<nopad> | <nopad> | <nopad> |
빈티지 | 클래식 | 현대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영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올드 프레스티지 GP (전원 지역)[15]
<nopad> | <nopad> | <nopad> |
빈티지[16] | 클래식 | 현대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독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독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독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다크 포레스트 GP (삼림)[17]
<nopad> | <nopad> | <nopad> |
빈티지[1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독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독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독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그린 포레스트 GP (삼림)[19]
<nopad> | <nopad> | <nopad> |
클래식 | 현대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탈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탈리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nopad> | <nopad> | <nopad> |
빈티지 | 클래식 | 현대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헝가리|{{{#!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헝가리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헝가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마자르 GP (전원 지역)[22]
<nopad> | <nopad> | <nopad> |
클래식 | 현대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캐나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캐나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몬트 로얄 GP (공원 부지)[23]
<nopad> | <nopad> | <nopad> |
빈티지 | 클래식 | 현대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룰렛 스트리트 GP (도시)[24]
<nopad> | <nopad> | <nopad> |
현대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멕시코|{{{#!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멕시코}}}{{{#!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선스톤 스타디움 GP (전원 지역)[25]
<nopad> | <nopad> | <nopad> |
클래식 | 현대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브라질|{{{#!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브라질}}}{{{#!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카니발 시티 GP (공원 부지)[26]
<nopad> | <nopad> | <nopad> |
빈티지 | 클래식 | 현대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아랍에미리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아랍에미리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골든 듄 GP (공원 부지)[27]
<nopad> | <nopad> | <nopad> |
현대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체리 블라썸 GP (전원 지역)[28]
<nopad> | <nopad> | <nopad> |
클래식 | 현대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싱가포르|{{{#!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싱가포르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싱가포르}}}{{{#!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라이온 시티 스트리트 GP (도시)[29]
<nopad> | <nopad> | <nopad> |
현대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오스트레일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오스트레일리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오스트레일리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호주 거리 GP (도시)[30]
<nopad> | <nopad> | <nopad> |
클래식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오스트레일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오스트레일리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오스트레일리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오지 파크 GP (공원 부지)[31]
<nopad> | <nopad> | <nopad> |
현대 |
3.3. 드라이버 고유 능력
기본적으로 동시대의 차량은 어느 팀이든간에 성능이 동일하지만 드라이버가 가진 고유의 능력[32]에 따라 성능이 업그레이드될 수 있다. 참고로 모든 드라이버가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 나 잡아봐라: 1위로 달릴 때 속도와 가속력이 향상됩니다.
- 타이어의 마법사: 타이어의 마모가 감소합니다.
- 제동력 강화: 제동력이 증가합니다.
- 에이스 크루: 피트 스톱이 향상됩니다.
- 풀 스로틀: 최고 속도가 증가합니다.
- 민첩한 방향 전환: 조향 성능이 향상됩니다.
- 추월 본능: 슬립스트리밍이 향상됩니다.
- 질주: 가속력이 향상됩니다.
- 스타트의 달인: 퍼펙트 스타트 성공률이 향상됩니다.
- 빗길 레이서: 빗길 주행 능력이 향상됩니다.
3.4. 차량 및 드라이버
실존했거나 실존하는 포뮬러 1의 팀과 차량, 드라이버를 모티브로 하였지만 라이센스 문제로 모든 팀과 드라이버의 이름을 조금씩 변형했다.
- 1960년대 후반
1968년 레이싱 시즌에서 영감을 받았습니다.
험난한 트랙 위에서 위험한 차를 몰던 개척자들의 시대입니다. 당시 최고의 스타였던 '플라잉 스코츠맨'이 비극적인 사고를 당하며 처음으로 레이싱의 안전성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습니다.
- [ 차량 및 드라이버 목록 펼치기 · 접기 ]
- * Ferenzo 60L
- Jake Eggs: 풀 스로틀
- Christian Moon
- Mc Lauden 60L
- Bryce Mclauden: 질주
- Dan Holm: 민첩한 방향 전환
- Bruum 60L
- Charles Odwood
- Pier Carnage
- Smartr 60L
- Jack Stewie: 제동력 강화
- John Sarvoz Vanzin
- Shona 60L
- Jonny Skeert
- Jon Bonn
- Cupper 60L
- Vincre Elfrond
- Lumien Biaschi
- Flower 60L
- Jimmy Clerks: 빗길 레이서, 에이스 크루
- Gareth Hall: 제동력 강화, 에이스 크루
- 1970년대 초반
1970년 레이싱 시즌에서 영감을 받았습니다.
혁신적인 차량 기술이 등장하며 미래 차량 설계의 방향을 바꿨지만 레이싱은 여전히 목숨을 건 도전이었습니다. 그 위험성을 여실히 증명하듯 이번 시즌의 챔피언십 타이틀은 사망한 드라이버에게 수여됐으며, 이는 포뮬러 레이싱 역사상 단 한 번뿐인 일이었습니다.
- [ 차량 및 드라이버 목록 펼치기 · 접기 ]
- * Ferenzo 70E
- Jake Eggs: 풀 스로틀, 추월 본능
- Kyle Amazzoni: 질주
- Mc Lauden 70E
- Bryce Mclauden: 민첩한 방향 전환
- Dan Holm: 제동력 강화
- Flower 70E
- Joachim Drin
- Nelson Piedicaldi: 질주, 에이스 크루
- Smartr 70E
- Jean Claude Brunoise: 제동력 강화
- Marin Pescatore
- Tram Tram 70E
- Mark Tramtram: 민첩한 방향 전환
- Ralf Smolletton
- Mark 70E
- Christian Moon: 풀 스로틀
- Jean Soffert
- Bruum 70E
- Carlos Dominguez: 질주
- Jack Holyver
- 1970년대 중반
1975년 레이싱 시즌에서 영감을 받았습니다.
위대한 운명을 타고난 듯한 오스트리아 드라이버가 부상하며 레이싱계의 이목을 사로잡습니다. 맞춤형으로 제작된 차량을 몰며 역사상 가장 위대한 라이벌전의 서막을 열었으며, 독일에서 일어난 끔찍한 사고에도 굴하지 않고 커리어를 이어 나갔습니다.
- [ 차량 및 드라이버 목록 펼치기 · 접기 ]
- * Ferenzo 70M
- Miki Laura: 나 잡아봐라, 타이어의 마법사
- Kyle Amazzoni: 제동력 강화, 에이스 크루
- Will Win 70M
- Jean Laffette
- Alterio Marziano
- Phantom 70M
- Tommy Pryde
- Jean-Claude Madrer
- Huski 70M
- Jim Hunter: 풀 스로틀
- Bob Lungerton
- Tram Tram 70M
- Carl Ruttman: 민첩한 방향 전환
- Juse Luis Pece: 제동력 강화
- Flower 70M
- Jake Eggs
- Peter Ronson
- Mark 70M
- Vincenzo Bambrilla
- Lolla Lambruschi
- 1970년대 후반
1979년 레이싱 시즌에서 영감을 받았습니다.
한 이탈리아 제조사가 마지막 챔피언십 우승 이후 긴 침묵을 깨고 마침내 정상에 복귀하며 80년대까지 이어질 지배의 서막을 엽니다. 한편, 터보차저 엔진의 도입과 그라운드 이펙트 기술의 발전은 포뮬러 카의 기준을 완전히 뒤바꿔 놓습니다.
- [ 차량 및 드라이버 목록 펼치기 · 접기 ]
- * Ferenzo 70L
- Jordy Scretcher: 민첩한 방향 전환, 빗길 레이서
- Jill Veuvelle: 질주, 에이스 크루
- Mc Lauden 70L
- Johnny Sherlock
- Pat Tambury
- Will Win 70L
- Al John: 제동력 강화
- Kyle Amazzoni: 민첩한 방향 전환
- Lawger 70L
- Jaen Laffette: 제동력 강화
- Patrice Duepallier: 질주
- Flower 70L
- Carl Ruttman: 풀 스로틀
- Marco Andati: 질주
- Fyrrex 70L
- Didi Pierrot
- Jean-Claude Madrer
- Pentault 70L
- Remi Arnaut: 민첩한 방향 전환
- Jean Jacques Jamon
- 1980년대 초반
1981년 레이싱 시즌에서 영감을 받았습니다.
마지막 레이스까지도 승부를 예측할 수 없었던 치열한 챔피언십이었으나, 결국 라스베이거스에서 한 브라질인 드라이버가 타이틀을 차지합니다. 한편 프랑스에서는 두 라이벌이 역사에 남을 박빙의 대결을 펼칩니다.
- [ 차량 및 드라이버 목록 펼치기 · 접기 ]
- * Ferenzo 80E
- Jill Veuvellie: 민첩한 방향 전환
- Didi Pierrot
- Mc Lauden 80E
- Johnny Sherlock: 제동력 강화
- Andrea Cesarini
- Will Win 80E
- Carl Ruttman: 풀 스로틀, 에이스 크루
- Al John: 질주, 에이스 크루
- Tram Tram 80E
- Gelson Pisquer: 질주, 추월 본능
- Henrique Barbecue
- Pentault 80E
- Alan Proust: 풀 스로틀
- Femi Arnaut
- Lawger 80E
- Jean Laffette: 민첩한 방향 전환
- Pat tambury
- Superbows 80E
- Renato Pratoso
- Sigurd Strohl
- 1980년대 중반
1985년 레이싱 시즌에서 영감을 받았습니다.
한 프랑스 드라이버가 사상 처음으로 챔피언십에서 우승했으며, 그의 팀은 압도적인 성능을 겸비한 차량으로 매뉴팩처러스 챔피언십 우승까지 거머쥐었습니다. 이러한 새로운 전설이 떠오르는 한편, 한 시대를 풍미한 거장이 레이싱계를 은퇴합니다.
- [ 차량 및 드라이버 목록 펼치기 · 접기 ]
- *
- 1980년대 후반
1988년 레이싱 시즌에서 영감을 받았습니다.
같은 팀의 두 드라이버가 챔피언십 타이틀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벌입니다. 결국 '매직 맨'이 '프로페서'를 간발의 차이로 제치고 타이틀을 차지하며 전설적인 라이벌전의 서막을 열었습니다. 이번 시즌을 끝으로 터보차저 엔진을 장착한 영국 차량의 지배가 막을 내렸습니다.
- [ 차량 및 드라이버 목록 펼치기 · 접기 ]
- *
- 1990년대 초반
1991년 레이싱 시즌에서 영감을 받았습니다.
'매직 맨'이 강력한 라이벌 '일 레오네'를 제치고 세 번째 타이틀을 차지했습니다. 비록 두 사람은 라이벌이었으나, 영국에서 개최된 경기 중 매직 맨의 차가 고장으로 멈추자 일 레오네가 그를 자신의 차에 태워 피트로 돌아왔습니다.[33] 한편 벨기에에서는 한 독일인 드라이버가 데뷔하며 새로운 전설의 시작을 알립니다.
- [ 차량 및 드라이버 목록 펼치기 · 접기 ]
- * Ferenzo 90E
- Alan Proust: 민첩한 방향 전환
- Jacques Altresi: 제동력 강화
- Mc Lauden 90E
- Byron Renna: 풀 스로틀, 추월 본능
- Gerd Berg: 질주, 에이스 크루
- Will Win 90E
- Nick Mandels: 민첩한 방향 전환, 스타트의 달인
- Renato Pratoso: 제동력 강화
- Bonton 90E
- Gelson Pisquer: 풀 스로틀
- Berto Morelio
- Fyrrex 90E
- Silvio Modenese
- Sasuke Jinkazama
- Flower 90E
- Nik Makkinen
- Jules Bally
- Marioni 90E
- Martino Pierluigioni
- Giovanni Morbidosi
- 1990년대 중반
1994년 레이싱 시즌에서 영감을 받았습니다.
논란과 실격 판정 속에서도 독일인 에이스는 자신의 첫 번째 챔피언십 타이틀을 획득했습니다. 하지만 이번 시즌은 비극적인 사고들로 얼룩졌고, 레이싱계는 몇몇 위대한 전설을 잃었습니다. 따라서 새로운 규정들이 도입되었으며 안전을 개선한 새로운 시대가 열리게 되었습니다.
- [ 차량 및 드라이버 목록 펼치기 · 접기 ]
- *
- 1990년대 후반
1998 레이싱 시즌에서 영감을 받았습니다.
플라잉 핀은 당시 이탈리아 팀 소속이었던 '레드 바론'과 시즌 내내 치열한 경쟁을 펼친 끝에 첫 챔피언 타이틀을 거머쥐었습니다. 드라이버 못지않게 뜨거웠던 제조사 간 경쟁 속에서, 결국 영국 팀이 기술 혁신으로 '프랜싱 호스'를 제치고 컨스트럭터 챔피언십을 차지했습니다.
- [ 차량 및 드라이버 목록 펼치기 · 접기 ]
- *
- 2000년대 초반
2002년 레이싱 시즌에서 영감을 받았습니다.
'레드 바론'은 압도적인 활약으로 다섯 번째 챔피언십 타이틀을 거머쥐며 포뮬러 레이싱 초창기의 전설들과 어깨를 나란히 합니다. 그의 곁에는 완벽한 팀과 이탈리아 기술진이 설계한 무적의 차량이 함께했기에 거의 모든 경기에서 우승을 차지할 수 있었습니다.
- [ 차량 및 드라이버 목록 펼치기 · 접기 ]
- * Ferenzo 200E
- Mike Shoemaker: 나 잡아봐라, 추월 본능
- Boris Rubichello: 풀 스로틀, 에이스 크루
- Mc Lauden 200E
- Dave Coulthsoft: 제동력 강화
- Miki Kankkunen: 풀 스로틀
- Will Win 200E
- Paulo Tiomtoya: 민첩한 방향 전환
- Malf Shoemaker: 질주
- Pentault 200E
- Jason Blunton
- Carlo Grulli
- Sobber 200E
- Mick Hardfeld
- Felise Masso
- Jorsey 200E
- Gianmarco Fisicato
- Satuma Kato
- Cougar 200E
- Freddie Irpine
- Fedro De La Viola
- 2000년대 중반
2006년 레이싱 시즌에서 영감을 받았습니다.
'바론'은 마지막 시즌, 여덟 번째 챔피언 타이틀을 노렸으나 젊은 스페인 드라이버가 1년 연속 월드 챔피언에 오르며 바론의 꿈을 무너뜨립니다. 왕좌가 바뀌고 이탈리아 팀의 전성시대가 막을 내리는 한편, 다음 세대를 이끌 새로운 스타들이 부상하기 시작합니다.
- [ 차량 및 드라이버 목록 펼치기 · 접기 ]
- * Ferenzo 200M
- Mike Shoemaker: 나 잡아봐라, 빗길 레이서
- ??
- Mc Lauden 200M
- Miki Kankkunen: 제동력 강화
- ??
- Will Win 200M
- Max Wuber
- ??
- 2000년대 후반
수많은 제조사가 난관을 겪고 논란에 휘말린 가운데, 새롭게 창단한 팀과 소속 드라이버가 드라이버 및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타이틀을 모두 석권하여 영국 국민들에게 자부심을 안겨줍니다. 한편 젊은 세대의 드라이버들이 연달아 시상대에 오르며 곧 다가올 세대교체를 암시합니다.
- [ 차량 및 드라이버 목록 펼치기 · 접기 ]
- *
- 2010년대 중반[A]
2017년 레이싱 시즌에서 영감을 받았습니다.
한 영국인 스타 드라이버가 독일인 드라이버의 거센 도전을 이겨내고 네 번째 챔피언 타이틀을 거머쥐었습니다. 두 챔피언의 본격적인 첫 대결은 아제르바이잔에서 벌어진 논란의 사건으로 얼룩졌지만, 결국 차량의 내구성과 성능으로 승패가 결정됐습니다.
- [ 차량 및 드라이버 목록 펼치기 · 접기 ]
- * Ferenzo 210M
- Bastien Kettel: 풀 스로틀, 스타트의 달인
- Miki Kankkunen: 타이어의 마법사
- Mc Lauden 210M
- Ferdinando Alfonso: 풀 스로틀
- Steffan Pandoorn
- Will Win 210M
- Felise Masso
- Hans Troll
- Merkseds 210M
- Luis Hammerton: 제동력 강화, 타이어의 마법사
- Batteri Voltas: 민첩한 방향 전환, 에이스 크루
- Whitehorn 210M
- Danny Ricchiordi: 제동력 강화
- Mark Peerstallen: 나 잡아봐라
- Fort Island 210M
- Sergi Jerez: 민첩한 방향 전환
- Etienne Acon
- Pentault 210M
- Marlos Saez
- Nick Hulkendorf
- 2020년대 초반[A]
2021년 레이싱 시즌에서 영감을 받았습니다.
'플라잉 더치'가 역사상 가장 치열하고 격렬했던 챔피언십에서 마침내 첫 월드 타이틀을 차지했습니다. 시즌 내내 이어진 접전 끝에 최종 레이스의 마지막 랩에서 승부가 갈렸으며, 이때 벌어진 논란은 수많은 규칙을 변경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한편 '스노우맨'[36]은 전설적인 커리어를 마무리하고 레이싱계를 은퇴합니다.
- [ 차량 및 드라이버 목록 펼치기 · 접기 ]
- * Ferenzo 220E
- Charlie Lacreme: 질주
- Marlos Saez: 민첩한 방향 전환
- Mc Lauden 220E
- Chuck Morris: 풀 스로틀
- Danny Ricchiordi
- Will Win 220E
- Jeremy Vassel
- Nicholas Goatifi
- Whitehorn 220E
- Mark Peerstallen: 나 잡아봐라, 스타트의 달인
- Sergi Jerez: 질주
- Merkseds 220E
- Luis Hammerton: 제동력 강화, 타이어의 마법사
- Batteri Voltas: 민첩한 방향 전환, 에이스 크루
- Alps Racing 220E
- Ferdinando Alfonso: 풀 스로틀
- Etienne Acon
- Custom Motors 220E
- Bastien Kettel: 제동력 강화
- Hans Troll
- 2020년대 중반[A]
2024년 레이싱 시즌에서 영감을 받았습니다.
4년 연속 챔피언에 오르며 4회 이상 챔피언 타이틀을 보유한 '플라잉 더치'가 전설적인 드라이버 반열에 합류합니다. 이번 시즌에서는 치열하면서도 균형 잡힌 경쟁이 펼쳐졌으며, 여러 드라이버가 자국 그랑프리에서 빛나는 활약을 선보였습니다. 이들은 앞으로 포뮬러 레이싱의 유산을 이어갈 주인공입니다.
- [ 차량 및 드라이버 목록 펼치기 · 접기 ]
- * Ferenzo 220M
- Charlie Lacreme: 질주
- Marlos Saez: 민첩한 방향 전환
- Mc Lauden 220M
- Chuck Morris: 풀 스로틀, 에이스 크루
- Osvald Pastry: 제동력 강화, 에이스 크루
- Whitehorn 220M
- Mark Peerstallen: 나 잡아봐라, 스타트의 달인
- Sergi Jerez
- Merkseds 220M
- Luis Hammerton: 제동력 강화, 타이어의 마법사
- Jeremy Vassel: 민첩한 방향 전환
- Custom Motors 220M
- Ferdinando Alfonso: 풀 스로틀
- Hans Troll
- Alps Racing 220M
- Petrul Tassly
- Etienne Acon
- FB Racing 220M[B]
- Francesco Bruschetta[B][40]
- Claudio Treddi[B][42]
3.5. 타이어
|
1960년대 후반 - 2000년대 중반 차량 |
|
2000년대 후반 - 2020년대 중반 차량 |
스탠다드, 소프트, 미디엄, 하드, 웨트 타이어가 존재한다. 웨트 타이어는 모든 시대의 차량이 사용할 수 있지만 드라이 타이어 중에서 소프트, 미디엄, 하드 타이어는 2000년대 후반 이후 차량부터 사용할 수 있고 그 이전 시대의 차량은 스탠다드 타이어[43]만 사용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2000년대 후반 이후 차량은 퀄리파잉에서 소프트 타이어 사용이 강제되고 그보다 과거 시대의 차량은 퀄리파잉에서 스탠다드 타이어 사용이 강제된다. 어떤 시대의 차량이든 퀄리파잉 중 비가 올 경우에는 웻 타이어가 장착된다.
레이스를 시작하기 전에 레이스에서 사용할 타이어를 선택하게 된다. 피트인할 경우에도 위와 같은 선택창이 표시되어 타이어를 변경할 수 있다.
3.6. 피트 스톱
레이스 중 피트 레인에 진입하면 자동으로 피트 스톱이 시작된다. 타이어를 교체하거나 차량 수리, 재급유를 할 수 있으며 타이어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무작위 순서로 표시되는 ABXY 커맨드를 수행해야한다. 잘못된 버튼을 누를 시 시간이 지연된다.
일반적으로 2초에서 3초 안에 끝나는 실제 F1의 피트스탑과 달리 5초 안에 끝낼 경우 매우 빠른 편에 속한다. 대부분의 AI는 피트스탑에서 5초보다 더 긴 시간이 소모되기 때문에 빠르게 마무리하면 레이스에서 확실한 이득을 얻을 수 있다.
4. 평가
기준일: 2025-09-26 | ||
'''[[https://www.metacritic.com/game/formula-legends/critic-reviews/| 메타스코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https://www.metacritic.com/game/formula-legends/user-reviews/| 유저 평점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상세 내용 |
Formula Legends: could this jolly F1 racer be a breakout gaming hit of 2025?
이 유쾌한 F1 레이서가 2025년 게임계의 대히트작이 될 수 있을까?
Top Gear
이 유쾌한 F1 레이서가 2025년 게임계의 대히트작이 될 수 있을까?
Top Gear
The level of commitment to recreating a variety of eras of F1 is already very impressive.
다양한 F1 시대를 재현하려는 노력의 수준은 이미 인상적이다.
IGN
다양한 F1 시대를 재현하려는 노력의 수준은 이미 인상적이다.
IGN
It's not the first royalty-free take on F1 to hit the market, but looks like it could be the most interesting.
이것이 첫번째로 출시된 로열티 프리 F1 게임은 아니지만, 가장 흥미로워 보인다.
VG247
이것이 첫번째로 출시된 로열티 프리 F1 게임은 아니지만, 가장 흥미로워 보인다.
VG247
5. 여담
[1] 2025년 8월 16일 기준, STEAM에서는 GTX 2060으로 표기가 잘못되어 있다.[2] 실제 F1에서 1984년부터 1993년, 2010년부터 현재까지 재급유를 금지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80년대 초반 - 90년대 초반 차량, 10년대 중반 - 20년대 중반 차량은 재급유가 불가능하다.[3] 2020년대 중반 차량[4] 1960년대 후반 - 2000년대 중반 차량[5] 2000년대 후반 - 2020년대 중반 차량[6] 2010년대 중반 - 2020년대 중반 차량[7] 현실의 ERS[8] 현실의 DRS[9] 어떤 드라이버와 차량을 사용했는지는 기록에 남지만 동일한 순위표에서 서로 다른 시대의 차량이 경쟁하기 때문에 해당 트랙 테마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장 빠른 시대의 차량, 보통 가장 최근 시대의 차량이 유저 순위 상위권을 차지하게된다.[10] 이는 스토리 모드에서의 기준과 동일하다.[11] 설정에서 필터 효과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12] 레이아웃 차이 외에도 현대 테마의 트랙에는 WRS 디텍션 존과 WRS 존이 추가된다.[13] 스파-프랑코샹 서킷에서 영감을 받음.[14] 모나코 서킷에서 영감을 받음.[15] 실버스톤 서킷에서 영감을 받음[16] 게임에서 가장 길이가 짧은 서킷이다.[17] 뉘르부르크링 노르트슐라이페에서 영감을 받음.[18] 게임에서 가장 길이가 긴 서킷이다.[19] 뉘르부르크링 GP-슈트레케에서 영감을 받음.[20] 몬차 서킷에서 영감을 받음.[21] 템플 오브 스피드(속도의 전당)는 몬차 서킷의 실제 별명이다.[22] 헝가로링에서 영감을 받음.[23] 질 빌뇌브 서킷에서 영감을 받음.[24] 라스베이거스 스트립 서킷에서 영감을 받음.[25] 에르마노스 로드리게스 서킷에서 영감을 받음.[26] 인터라고스 서킷에서 영감을 받음.[27] 야스 마리나 서킷에서 영감을 받음.[28] 스즈카 서킷에서 영감을 받음.[29] 마리나 베이 시가지 서킷에서 영감을 받음.[30] 애들레이드 시가지 서킷에서 영감을 받음.[31] 앨버트 파크 서킷에서 영감을 받음.[32] 1인당 0개에서 최대 2개 보유[33] #[A] 이 시대의 차량은 WRS(현실의 DRS)와 BRS(현실의 ERS)가 장착되어 있으며 사용할 수 있다. WRS는 현실의 DRS와 마찬가지로 WRS 디텍션 존 기준 앞 차와의 간격이 1초 이내일 경우 WRS 존에서 사용 가능하며, 브레이크를 밟거나 WRS 버튼을 다시 누를 경우 작동을 중지할 수 있고 주행 보조 설정을 통해 수동 또는 자동 사용으로 전환 가능하다.[A] [36] 키미 라이코넨의 실제 별명은 아이스맨(the iceman)이다.[A] [B] 모딩을 위해 만들어놓은 팀과 차량, 드라이버이기 때문에 모티브가 된 현실 요소가 없다.[B] [40] 이탈리아 음식 브루스케타에서 유래한 언어유희다.[B] [42] 개발사 3DClouds를 이탈리아식 이름으로 바꾼 언어유희다.[43] 아이콘은 하드 타이어와 똑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