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4 22:17:45

훈장(상훈)/일본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훈장(상훈)
파일:훈장 아이콘.svg 각국의 훈장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C39A60><colcolor=#fff> 현존하는 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해체된 국가 파일:대한제국 국기.svg
대한제국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국
개별 문서로 분리된 '국가별 훈장' 이외 국가의 훈장은 훈장(상훈) 문서를 참조. }}}}}}}}}


1. 개요2. 종류
2.1. 국화장2.2. 동화장2.3. 욱일장2.4. 서보장2.5. 보관장2.6. 문화훈장2.7. 금치훈장(1947년 폐지)
3. 포장4. 종군기장
4.1. 메이지 7년 종군기장4.2. 메이지 28년 종군기장4.3. 메이지 33년 종군기장4.4. 메이지 38년 종군기장4.5. 다이쇼 3년 종군기장4.6. 쇼와 6년 종군기장4.7. 지나사변 종군기장4.8. 대동아전쟁 종군기장(미수여)
5. 기념장
5.1. 대일본제국 헌법 발표 기념장5.2. 대혼 25주년 축전 기념장5.3. 황태자 도한 기념장5.4. 한국 병합 기념장5.5. 다이쇼 대례(즉위) 기념장5.6. 전장 휘장5.7. 제1차 국세조사 기념장5.8. 쇼와 대례(즉위) 기념장5.9. 제도 부흥 기념장5.10. 조선 쇼와 5년 국세조사기념장5.11. 황기 2600년 기념장5.12. 지나 사변 기념장5.13. 일본국 헌법 공포 기념장(미제정)
6. 과거7. 관련 문서

1. 개요

일본의 훈장은 메이지 유신 시기인 1871년, 1867년 파리 엑스포에서 일본인 사절단이 받은 프랑스 훈장을 본받아 상훈제도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시작으로 1875년 본격적인 수여가 시작되었다.

이후 1937년 문화훈장이 추가되었고, 일본 제국이 멸망한 후에는 대대적인 개혁이 이루어져 일본군의 해산을 이유로 군인과 군무원에게 주어지던 무공훈장인 금치훈장은 폐지되고, 황족과 외국인에 대한 서훈 및 문화 훈장을 제외하고는 생존자 서훈을 중지하였으며, 과거 "은사금"이라는 이름으로 연금 또는 일시불 형식으로 포상금이 지급되었던 것과 달리 새롭게 제정된 일본국 헌법 제14조 '영예, 훈장, 기타 영전의 수여는 어떠한 특권도 따르지 아니한다.'라는 조항에 따라 어떠한 특혜도 주어지지 않게 되었다.

제도를 정비하던 중 1953년(쇼와 28년) 9월 18일 각의 결정에 의해 "생존자로서 긴요한 경우"에 한하여 근거 규정이 만들어졌고, 패전 후 몇번 상훈과 관련된 안건이 국회에 제출되어 논의되었으나 입법까지는 성사되지 못하다가 1963년(쇼와 38년) 이케다 하야토 내각의 각의에 의해 본격적으로 상훈이 재개되었다.

근래에는 2003년(헤이세이 15년) 각의 결정으로 '새로운 훈장의 수여 기준'이 결정되어 남자만 수여되던 욱일장이 남녀 불문하고 수여하게 되어 여성에게도 욱일장을 수여했다. 이로써 여성 전용 훈장이었던 보관장은 황족 여성 또는 외국인 여성(왕족 또는 고위직)에 대한 의례적인 경우만 수여되는 특별한 경우로 남게 되었다.

현재에도 일본은 서훈 제도를 포함한 영전 제도에 관한 법률이 제정돼 있지 않다. 즉 헌법에 천황의 국사행위(제7조)로서 헌법적 근거는 존재하나 그에 수반하는 법률 없이 정령 또는 내각부령, 고시로써 상훈이 이루어진다. 즉 명목상으로는 천황의 권한을 인정하나 실질적으로는 내각의 소관이며, 주무부처는 내각부에 속한 상훈국이다.

모든 일본의 훈장은 일본 정부 산하 독립기관인 일본 조폐국에서 제작한다.

그리고 만찬복을 입는 행사에 필요한 축소훈장은 훈장 수여증을 제시하고 일본 조폐국에 사비로 제작비를 내야한다. 훈장을 분실할 때도 마찬가지다.

파일:축소훈장 일본.jpg

축소훈장 사진

2. 종류

도고 헤이하치로 패용 훈장으로 보는 대일본제국 훈장

총 35개 종류로 패전이후 금치훈장을 제외한 28개 종류 2003년(헤이세이 15년)이후 22개 종류로 상위 종목을 따져 크게 분류하면 국화장, 동화장, 욱일장, 서보장, 문화훈장, 보관장, 지금은 폐지된 무공훈장인 금치훈장으로 구별된다.

서열이 존재하는데 최상위 훈장인 대훈위국화장경식이 있고 그 다음에 대훈위국화대수장, 훈일등욱일동화대수장이 있고 그 다음인 욱일장, 서보장, 보관장은 각 8등급으로 나뉜다. 단 금치훈장은 7등급까지만 있었고 2003년(헤이세이 15년)이후 모든 7,8등급은 폐지되었고 그리고 문화훈장은 별도의 등급으로 나뉘지 않고 단일 등급만 존재한다.

즉 국화장의 경식과 대수장이 각각 서열 1, 2위이고 훈일등욱일동화대수장(동화장)이 3위, 욱일장, 서보장, 보관장의 최상등급과 문화훈장이 4위, 욱일장, 서보장, 보관장의 차상위 등급이 5위이다. 이런 식으로 서열이 11개가 존재했고 2003년(헤이세이 15년)이후 9등급으로 나눠진다.

2.1. 국화장

菊花章(きっかしょう Supreme Orders of the Chrysanthemum)

이 훈장을 수여받은 인물은 공식적으로는 의전서열이 무려 일본 총리보다 위이며, 황족 바로 아래이다. 물론 당연하게도 실권은 없다.
정장 파일:대훈위국화장경식(大勲位菊花章頸飾).png
약장파일:대훈위 국화.png
정장 파일:대훈위국화대수장(大勲位菊花大綬章).png
약장파일:대훈위 국화.png

2.2. 동화장

桐花章(とうかしょう Order of the Paulownia Flowers)

일본의 고위 훈장의 하나로 단일 등급이다. 2003년(헤이세이 15년)까지 훈일등욱일동화대수장(勲一等旭日桐花大綬章)이란 이름으로 욱일장 가운데 최상등급 훈장이었으나 별도의 훈장으로 격상돼 국화장 다음 가는 훈장이 되었다.
정장 파일:동화대수장_桐花大綬章.png
약장파일:동화장 약장2.png

2.3. 욱일장

旭日章(きょくじつしょう Orders of the Rising Sun)

국가 혹은 공공에 대한 공로가 있는 자 중에 공적 내용에 주목하여 현저한 공적을 올린 자에게 수여한다. 정치, 경제, 사회, 교육, 문화, 스포츠, 환경 등 광범위한 분야에 걸쳐 수여가 이루어진다. 일본 주재 각국 대사나 일본과 관계가 깊은 해외 고위급 정치인, 일본 내에서 활발한 경제활동을 한 해외 기업가들과 문화예술인, 주일미군 사령관, 미국 인도 태평양 통합 사령부 사령관 등 일본의 안보와 관련된 미군 고위급 장성들도 수여받는다. 참고로 1875년(메이지 8년)에 제정된 일본 최초의 훈장이다. 또 그동안 남성만 수여가 가능하던 것이 2003년(헤이세이 15년)에 제도가 개정되어 남녀 모두 수여할 수 있게 됐다.

2003년(헤이세이 15년)까지는 욱일장, 서보장, 보관장은 8등급까지 나뉘어져 있었고 일본제국에서는 군인군무원, 조선인에게도 수여가 되었으나, 현재는 6등급을 제외한 나머지 등급은 폐지되었다.

YTN이 2018년에 한국인중 욱일장을 받은 사람들이 많다며 비판한 바 있으나#, YTN이 주장하는 것처럼 받은 사람이 친일파라고 보는 것은 옳지 않으며[6] 여러 군데 팩트가 틀렸다.뉴스톱 팩트체크기사 심지어 신오쿠보역 승객 추락사고로 숨진 아들의 뒤를 이어 한일 우호관계에 힘썼던 이수현의 아버지 이성대 씨, 구한말의 충신으로 유명한 민영환도 해당 훈장을 받았다.
정장 파일:욱일대수장_旭日大綬章.png파일:욱일중광장_旭日重光章.png파일:욱일중수장_旭日中綬章.png파일:욱일소수장_旭日小綬章.png파일:욱일쌍광장_旭日双光章.png파일:욱일단광장_旭日単光章.png파일:칠등 동엽장.jpg파일:팔등 동엽장.jpg
약장 파일:욱약 1.png파일:욱약 2.png파일:욱약 3.png파일:욱약 4.png파일:욱약 5.png파일:욱약 6.png파일:욱약 7.png파일:욱약 8.png

2.4. 서보장

瑞宝章(ずいほうしょう Orders of the Sacred Treasure)

훈장의 유래는 삼종신기이세 신궁야타노카가미이다. 국가 또는 공공에 대해 공로가 있고 공무 등에 장기간 재직하여 성적을 올렸던 자를 수여 대상으로 한다. 특히 '위험업무 종사자 서훈'이란 제도가 있어 경찰관, 자위관, 소방관, 교도관, 해상보안관과 같은 위험도 높은 공무원의 직군 중 55세가 넘는 자에게 수여한다. 수여 시기는 매년 4월과 11월 두 차례로 대다수가 서보쌍광장 또는 서보단광장을 받고 인원이 3600명 정도 수준으로 전체 훈장 수상자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17]

2003년(헤이세이 15년)까지는 욱일장, 보관장과 마찬가지로 8등급까지 나뉘었다. 일본제국에서는 군인군무원, 조선인에게도 수여가 되었으나, 현재는 6등급을 제외한 나머지 등급은 폐지한 뒤, 하얀색 오동나무 장식을 더하고 하얀 천에 노란 외곽선에서 파란 천에 노란 외곽선으로 리본 디자인을 바꾸었다.
정장파일:서보대수장_瑞宝大綬章.png파일:서보중광장_瑞宝重光章.png파일:서보중수장_瑞宝中綬章.png파일:서보소수장_瑞宝小綬章.png파일:서보쌍광장_瑞宝双光章.png파일:서보단광장_瑞宝単光章.png파일:칠등 서보장.jpg파일:팔등 서보장.jpg
약장파일:서약 1.png파일:서약 2.png파일:서약 3.png파일:서약 4.png파일:서약 5.png파일:서약 6.png파일:서약 7.png파일:서약 8.png

2.5. 보관장

宝冠章(ほうかんしょう Orders of the Precious Crown)

훈장의 유래는 고대 여제의 보관이다.
원래는 여성전용 훈장이지만 현재 규정이 고쳐져서 욱일장과 서보장도 여성에게 수여가 가능한 지금은 황실 여성에게 수여하는 특수한 훈장이다. 또 외국 국가원수의 부인이나 외국 왕실의 여성에게 수여하기도 한다.[26]
그리고 보관대수장을 제외하고는 메달 리본이 다른 훈장과 달리 다 똑같은데 이 훈장은 여성용이기 때문이며 2003년 이전 서보장도 여성이 수여 받으면 리본 모양이 보관장과 동일했었다.
정장파일:보관대수장_宝冠大綬章.png파일:보관모란장_宝冠牡丹章.png파일:보관백접장_宝冠白蝶章.png파일:보관등화장_宝冠藤花章.png파일:보관행엽장_宝冠杏葉章.png파일:보관파광장_宝冠波光章.png파일:칠등 보관장.jpg파일:팔등 보관장.jpg
약장파일:보약 1.png파일:보약 2.png파일:보약 3.png파일:보약 4.png파일:보약 5.png파일:보약 6.png파일:보약 7.png파일:보약 8.png

2.6. 문화훈장

文化勲章(Order of Culture)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문화계의 영예
문화훈장 문화공로자 자수포장
정장 파일:문화훈장_文化勲章.png
약장파일:일본 문화훈장 약장.png
文化勲章 (ぶんかくんしょう). 단일 등급만 있으며, 문화·예술뿐 아니라 과학기술, 경제,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이 있다면 수상자가 되며 매년마다 5명 안팎에게 수여된다. 외국인 수상자도 있지만 극소수이고 그마저도 전부 미국 국적자(7명)다.[35]

노벨상을 받은 수상자에게는 관례적으로 문화훈장이 수여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오에 겐자부로처럼 본인이 직접 수여를 거부한 케이스도 존재하며, 가즈오 이시구로처럼 노벨상을 수상했음에도 문화훈장을 수여받지 못 한 케이스도 존재한다.[36]#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분류:일본 문화훈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7. 금치훈장(1947년 폐지)

金鵄勳章(구자체)
金鵄勲章(신자체)
Order of the Golden Kite

1890년 제정되어 1947년까지 수여되던 무공훈장으로 일본군 장병과 군무원이 대상이었다. 일본서기에는 진무 덴노가 숙적 나가스네히코와 결전을 앞두었을 때 느닷없이 하늘에서 금빛 솔개(金鵄/きんし)[37]가 날아들어 진무 덴노의 활 위에 앉았다가, 나가스네히코 측 병력의 앞을 안 보이게 만들어 전의를 잃고 패주하게 만들었다는 일화가 있다. 금치훈장은 이 전설을 모티브로 제작되었기에 황금빛 솔개 장식이 있다.

파일:1280px-Order_of_the_Golden_Kite_1st_and_2nd_class_plaque.jpg

청일전쟁이 한창이던 1894년부터는 급수에 따른 종신연금 규정을 제정하고 모든 훈장 중 상위에 해당하는 수준으로 대우하는 것이 원칙이었다. 그만큼 중요한 훈장이었기 때문에 수여기준 역시 엄격해서 언론이나 홍보로 대서특필할 사안이 아니면 서보장이나 욱일장 수여 기준 중 '국가 또는 공공에 대해 공로가 있다.'는 규정을 확대 해석해 서보장이나 욱일장으로 대신하여 서훈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38]

일제가 전쟁에 뛰어들며 공훈자가 넘쳐나게 된 1940년대 이후부터는 규정대로 마구잡이로 퍼줬다가는 국고가 남아나질 않으니, 일시불 형식으로 변경하고 연금도 채권의 이자로 줬다.

일본 제국이 패망한 1945년 이후 몰락의 길을 걸어 1946년에는 전사자에 대한 추서 외에는 서훈이 중지되었다. 이후 약 1년간 전사자 추서용 행정상으로만 남아있다가 1947년 GHQ의 지시를 받고 일본 정부가 관련규정을 폐지하여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39]

오늘날에는 일본군이 해산되었고 금치훈장 역시 훈장으로서 가치를 상실했기 때문에 패용할 수 없다. 현대의 일본 자위대에서는 공로자에게 방위기념장으로 치하하고, 전역이나 명예퇴임시에는 다른 직렬의 공무원들과 마찬가지로 서보장을 받는다.
정장파일:금치 1.jpg파일:금치2.jpg파일:금치3.gif파일:금치4.gif파일:금치5.gif파일:금치6.gif파일:금치7.gif
약장파일:금약 1.png파일:금약 2.png파일:금약 3.png파일:금약 4.png파일:금약 5.png파일:금약 6.png파일:금약 7.png

3. 포장

파일:일본 포장 중복수여 메달바.jpg파일:일본 포장 중복수여 메달바2.jpg
파일:홍수포장.jpg파일:녹수포장.jpg파일:황수포장.jpg파일:자수포장.jpg파일:감수포장.jpg파일:곤수포장.jpg
훈장의 하위등급, 중복수여가 가능하며 중복수여시 은색 장식판이 리본에 부착되며 5회이상 중복수여시 5개의 은색장식판을 1개의 금색 장식판으로 바꿀수있다.

4. 종군기장

일본제국시절 존재한 일본군의 기념장들이다.

4.1. 메이지 7년 종군기장

파일:일본군 종군기장1.jpg
대만출병에 종군한 군인들에게 수여한 기념장이다.

4.2. 메이지 28년 종군기장

파일:일본군 종군기장2.jpg
청일전쟁에 종군한 군인들에게 수여한 기념장이다.

4.3. 메이지 33년 종군기장

파일:일본군 종군기장3.jpg
의화단전쟁에 종군한 군인들에게 수여한 기념장이다.

4.4. 메이지 38년 종군기장

파일:일본군 종군기장4.jpg
러일전쟁에 종군한 군인들에게 수여한 기념장이다.

4.5. 다이쇼 3년 종군기장

메달 리본
파일:일본군 종군기장6.jpg파일:일본군 종군기장5.png
청도 및 시베리아 출병에 종군한 군인들에게 수여한 기념장이다.

4.6. 쇼와 6년 종군기장

파일:일본군 종군기장7.jpg
만주사변제1차 상해사변에 종군한 군인들에게 수여한 기념장이다.

4.7. 지나사변 종군기장

파일:일본군 종군기장8.jpg
중일전쟁에 종군한 군인들에게 수여한 기념장이다.
제일 많이 수여된 기장이기도 하다.

4.8. 대동아전쟁 종군기장(미수여)

메달 리본
파일:일본군 종군기장9.jpg파일:일본군 종군기장10.jpg
태평양 전쟁에 종군한 군인들에게 수여할 예정이었으나 전쟁 후반으로 갈수록 금속이 부족해지고 그 상태에서 패전을 맞이해서 수여되지않고 보관중이던 1만개의 기장은 폐기처분당했다.

5. 기념장

일본제국시절 존재한 각종 기념장들이다.

5.1. 대일본제국 헌법 발표 기념장

파일:일본 기장1.jpg파일:일본 기장2.jpg
1889년(메이지 22년) 최초로 지정된 기념장이며 금,은 2등급으로 제정되었다.

5.2. 대혼 25주년 축전 기념장

분류 남성용 여성용
금장 파일:일본 기장3.jpg파일:일본 기장4.jpg
은장 파일:일본 기장5.jpg파일:일본 기장6.jpg
1894년(메이지 27년) 메이지 덴노쇼켄 황후의 결혼 25주년(은혼식)을 기념해 제정된 기념장, 황족에게 수여되는 금장과 그외의 사람에게 수여되는 은장으로 나뉜다.

5.3. 황태자 도한 기념장

메달 리본
파일:일본 기장9.jpg파일:일본 기장10.png
1907년(메이지 40년) 당시 황태자인 다이쇼 덴노대한제국 방문을 기념하기 위해 만든 기념장

5.4. 한국 병합 기념장

메달 리본
파일:일본 기장11.jpg파일:일본 기장12.png
1910년(메이지 43년) 한일병합에 기여한 이 한 마디로 친일반민족행위자 에게 수여한 기념장.
여담으로, 윾갤콘으로 박제도 되어 있는 '건국유공자이셨던 걸까요?' 밈의 주인공도 '만주국 건국공로장'과 더불어 이 훈장까지 받은 친일반민족행위자이다. #

5.5. 다이쇼 대례(즉위) 기념장

파일:일본 기장13.jpg
1916년(다이쇼 4년)에 제정된 다이쇼 덴노의 즉위행사에 기여한 이들에게 수여한 기념장

5.6. 전장 휘장

파일:일본 기장14.jpg
1920년(다이쇼 9년)에 제정된 제1차 세계 대전 종전을 기념하는 기념장

5.7. 제1차 국세조사 기념장

파일:일본 기장16.jpg
1921년(다이쇼 10년)에 제정된 제1회 국세조사에 기여한 이들에게 수여한 기념장

5.8. 쇼와 대례(즉위) 기념장

남성용 여성용
파일:일본 기장 17.jpg파일:일본 기장 18.jpg
1928년(쇼와 3년)에 제정된 쇼와 덴노의 즉위행사에 기여한 이들에게 수여한 기념장

5.9. 제도 부흥 기념장

파일:일본 기장 19.jpg
1930년(쇼와 5년)에 제정된 관동대지진을 극복한 제도부흥사업에 기여한 이들에게 수여한 기념장

5.10. 조선 쇼와 5년 국세조사기념장

파일:일본 기장15.jpg
1930년(쇼와 5년)에 제정된 기념장 뒷면을 제외하면 모앙과 수여기준 역시 제1회 국세조사 기념장과 같다.

5.11. 황기 2600년 기념장

파일:일본 기장20.jpg
진무 덴노의 즉위 26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기념장, 황기 2600년 기념행사의 초청된자 또는 행사진행에 기여한 이에게 수여했다.
사실상 마지막으로 수여한 기념장이다.

5.12. 지나 사변 기념장

메달 리본
파일:일본 기장21.jpg파일:일본 기장22.png
1942년(쇼와 17년)제정된 기념장 그러나 전쟁이 태평양으로 확대되면서 수여기준이 모호해지고 그 상태로 패전하면서 폐지된다.

5.13. 일본국 헌법 공포 기념장(미제정)

파일:일본 기장 23.jpg
1946년(쇼와 21년)에 새로 일본국 헌법 공포를 기념해서 수여될 예정이었으나 전후 제정상황과 기념장 수여기준이 너무 한정적이여서 미제정 상태로 폐지된다. 리본의 색상은 백-홍-백으로 할 예정이었다.

6. 과거

양로령(養老令)을 제정해 아래와 같이 서훈했다.
정3위 훈일등(勳一等)
종3위 훈이등(勳二等)
정4위 훈삼등(勳三等)
종4위 훈사등(勳四等)
정5위 훈오등(勳五等)
종5위 훈육등(勳六等)
정6위 훈칠등(勳七等)
종6위 훈팔등(勳八等)
정7위 훈구등(勳九等)
종7위 훈십등(勳十等)
정8위 훈십일등(勳十一等)
종8위 훈십이등(勳十二等)

7. 관련 문서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2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공화국 국가원수들에겐 대훈위국화대수장을 수여하지만 간혹 대훈위국화장경식을 수여하기도 한다.[2] 당시 대한제국 황실은 모두 왕공족으로 격하되어 이왕가로 불린 것을 생각하면 이는 놀라운 일이다. 일본 조선총독부 이왕직에서는 의외로 고종과 순종 승하후 그들이 대한제국 황제위에 있었음을 인정하고 황제로서의 묘호시호를 올렸다.[3] 단 황태자는 만 18세 기타 친왕,왕등은 만 20세를 기준으로 한다.[4] 과거에는 이 훈장을 수여받을시 훈일등 욱일동화대수장,훈일등 서보장도 같이 주었으나 1959년(쇼와 34년)아키히토 황태자의 결혼 이후로 폐지되었다.[5] 요시다 시게루, 사토 에이사쿠, 나카소네 야스히로[6] 물론 받은 사람중 친일파도 존재하지만 일본제국이 없어진 현재 관련성이 없다. 또, 기사에서 이토 히로부미도 달았다며 훈장을 보여주는데 이는 대한제국의 최고 훈장이지 일본의 훈장이 아니다.[7] 2003년 이전 명칭은 훈일등욱일대수장(勲一等旭日大綬章)[8] 명단[9] 2003년 이전 명칭은 훈이등욱일중광장(勲二等旭日重光章)[10] 2003년 이전 명칭은 훈삼등욱일중수장(勲三等旭日中綬章)[11] 2003년 이전 명칭은 훈사등욱일소수장(勲四等旭日小綬章)[12] 명단[13] 2003년 이전 명칭은 훈오등욱일쌍광장(勲五等旭日双光章)[14] 2003년 이전 명칭은 훈육등욱일단광장(勲六等旭日単光章)[폐지] 2003년 11월 3일 영전 제도의 개정으로 폐지됨[폐지] [17] 물론 순직한 사람에겐 즉시 추서된다.[18] 2003년 이전 명칭은 훈일등서보장(勲一等瑞宝章)[19] 2003년 이전 명칭은 훈이등서보장(勲二等瑞宝章)[20] 2003년 이전 명칭은 훈삼등서보장(勲三等瑞宝章)[21] 2003년 이전 명칭은 훈사등서보장(勲四等瑞宝章)[22] 2003년 이전 명칭은 훈오등서보장(勲五等瑞宝章)[23] 2003년 이전 명칭은 훈육등서보장(勲六等瑞宝章)[폐지] [폐지] [26] 여성 국가원수에게는 대훈위국화장경식,대수장을 수여하고 남성 배우자도 대훈위국화대수장을 수여한다.[27] 2003년 이전 명칭은 훈일등보관장(勲一等宝冠章)[28] 2003년 이전 명칭은 훈이등보관장(勲二等宝冠章)[29] 2003년 이전 명칭은 훈삼등보관장(勲三等宝冠章)[30] 2003년 이전 명칭은 훈사등보관장(勲四等宝冠章)[31] 2003년 이전 명칭은 훈오등보관장(勲五等宝冠章)[32] 2003년 이전 명칭은 훈육등보관장(勲六等宝冠章)[폐지] [폐지] [35] 인류 최초의 달 탐사에 성공한 닐 암스트롱, 마이클 콜린스, 버즈 올드린은 일본과의 관련성이 전혀 없음에도 이례적으로 수상했는데, 최초의 달 탐사라는 업적을 생각하면 당연한 일이다.[36] 사실 가즈오 이시구로는 노벨상이 순수하게 출생지를 기준으로 국적을 분류해서 일본인 판정이지[41] 영국 국적에 소설도 영어로 쓰는 사람이라 일본에서 훈장을 주기에는 영 애매하긴 하다.[37] 올빼미 치() 자를 일본에서는 솔개란 뜻으로 사용한다.[38] 예로부터 무(武)를 중요시하던 잔재가 메이지 유신 이후에도 남아있어서 같은 훈등일 경우 민간인이 받는 욱일장, 서보장, 보관장보다 금치훈장의 서열이 높았다. 이 때문에 문관인 이토 히로부미는 무관인 야마가타 아리토모와 영전에서 차이가 난다는 게 괘씸해서 욱일장의 일등급을 둘로 나누어 공일급금치훈장보다 상위훈장인 훈일등욱일동화대수장을 제정했다는 일화가 있다.[39] 공로자게 주는 은사금은 1967년에 일시불 형식으로 정산되었다. #[40] 1938년 지원병 제도가 생긴 후 입대한 조선인 지원병으로, 이후 중국 전선으로 자대배치를 받아 중국에서 근무하다가 1939년 산시 성에서 국민혁명군과 교전중 전사했다. 이은석의 입대와 전사는 조선인들의 일본군 입대를 홍보하기 위해 대대적으로 선전되었는데, 당시 일본군 병 계급 중에서는 고참인 상등병까지 추서하며 대대적으로 칭송되었기에 충북 옥천군의 유족들이 일제강점기 동안 전국에서 온 부의금 등으로 생활할 정도였다. 이후 가족은 반민특위의 조사를 받았는데, 본인이나 유족이나 등재 기준에 미달되었기에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되지는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