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1 22:41:09

IBM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음이의어 문서에 대한 내용은 IBM(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IBM
파일:IBM 로고.svg
<colcolor=#fff>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colbgcolor=#1F70C1> 설립 <colbgcolor=#fff,#1c1d1f>1911년 6월 16일

[[미국|]][[틀:국기|]][[틀:국기|]] 뉴욕주 앤디콧
공동창업자 찰스 랜릿 플린트
조지 윈스롭 페어차일드
허먼 홀러리스
전신 CTR[1] (1911~1924년)
최대주주 뱅가드그룹 (9.05% / 2023년)
경영진
CEO
아르빈드 크리슈나[2] (2020년 4월~ )
이사회
의장
아르빈드 크리슈나 (2020년 12월~ )
부의장
게리 콘
업종 IT
ISIN US4592001014
편입지수 S&P 500,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거래소 뉴욕증권거래소 (NYSE: IBM)
시가총액 2,060억 달러(2024년 12월)
부채 1,126억 2,800만 달러 (2023년
자본 225억 3,300만 달러[3] (2023년 12월)
매출 618억 6,000만 달러 (2023년)
영업이익 75억 1,400만 달러 (2023년)
잉여현금 112억 1,000만 달러 (2023년)
임직원 약 282,200명 (2023년 12월)
자회사 Red Hat, IBM India Private Limited, 아스페라, 트러스티어 등
법인 소재지 뉴욕주
본사 소재지 뉴욕주 아몽크 원뉴오차드로드
1. 개요2. 역사
2.1. IBM PC 시절2.2. 사업 전환 이후
3. IBM의 기술 개발4. 지배구조5. 사업 분야6. 대한민국 사업7. 논란
7.1. 나치 협조7.2. 반도체 생산공정의 유해성 논란
8. 관련 문서9. 기타

[clearfix]

1. 개요

THINK[4]
생각하라

미국정보기술 기업.

PC 사업 등으로 20세기 IT 기술 산업 분야를 선도했으며, 하이브리드 클라우드경영 컨설팅, 메인프레임 등을 주력 기술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애플이 차례로 급부상하면서 과거 전성기에 비해 사세와 영향력이 많이 줄어들었지만, 메인프레임슈퍼컴퓨터 등 대규모 컴퓨팅 장치 산업에서는 꾸준히 우위를 점하고 있다. 21세기 들어서는 게이트형 양자컴퓨터를 개발하며 양자컴퓨팅 산업의 선두 주자 중 한 곳으로 손꼽히는 중. 보유하고 있는 각종 특허로 장벽을 구축해 타 기업들이 쉽게 진입하지 못하게 하는 회사이기도 하다.

예나 지금이나 회사 규모가 거대하고, 직원들이 파란색 정장을 입어왔기에 빅 블루(Big Blue)라는 별칭으로도 불리고 있다.

2. 역사

All of the problems of the world could be settled easily if men were only willing to THINK.
세상의 모든 문제는 사람들이 생각할 의지만 있다면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토머스 J. 왓슨, 제2대 CEO[5][6]

1911년 6월 16일 CTR[7]라는 업체로 시작하여 1924년 현재의 IBM[8]으로 변경되었다.

원래는 상점용 금전출납기를 제조하는 회사로 출발하였으며, 제2차 세계 대전 때에는 총기도 생산했다. 이후 천공카드를 이용한 통계/계산장치를 연이어 내놓았으며, 정보처리에 대한 경력을 쌓아간다. 이들의 기계는 인구 센서스, 공장 자동화, 사회 보장 제도에까지 쓰이면서 큰 인기를 끌었으며, 이 과정에서 OMR 카드의 원형이 되는 시험 채점기도 만든다.

1964년, 컴퓨팅 관련 역사적인 제품을 개발해 내었다. 당시 사장인 토머스 J. 왓슨 주니어[9]는 IBM의 사운을 걸고 최초의 현대적인 메인프레임이라 불리는 IBM System 360을 발표한다. 50억 달러라는 당시로서는 천문학적인 예산이 투입된 이 프로젝트는 엄청난 반향을 일으켰으며, 지금까지 IBM을 먹여살린 메인프레임 시스템의 제공과 컴퓨팅 서비스 제공 사업의 토대가 되게 된다. 이후 대중적으로 잘 알려진 IT 기업으로서의 IBM의 모습을 갖춰가기 시작한다.

System/360이 발표된 2년 후인 1966년, DRAM을 최초로 개발한다. 또한 다양한 굵기의 직선을 평행하게 배치한 모양의 UPC 바코드 역시도 IBM에서 1974년 발표한 것이다.

1980년에는 현대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대부분을 점유[10]하고 있는 RISC 아키텍처를 발표한다.

2.1. IBM PC 시절

애플에서 1977년 큰 성공을 거둔 개인용 컴퓨터인 Apple II를 내놓고 이게 무지막지하게 팔리면서 PC 시장이 돈이 된다는 걸 보여주자, PC 시장에 눈독을 들이고 1981년, IBM PC(모델명 5150)를 출시했다.

IBM PC는 출시 초기만 해도 이름만 '개인용 컴퓨터'였지, 실제로는 업무용 목적으로 개발된 것이다. 그래서 16비트였음에도 동시기의 가정용 8비트 기종들(MSX 등)과 비교해도 그래픽이나 사운드 수준이 빈약했다. 당시 일반적인 사무실에서 개인용 컴퓨터를 사용하는 경우는 워드프로세서스프레드시트, 데이터베이스 등의 텍스트 기반 작업이 거의 전부였기 때문에 그래픽은 글자만 나오면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개방 아키텍처를 적용하여 다른 회사들도 호환기종들을 만들 수 있도록 허용하고, XT, AT 등의 후속 기종에서는 비디오 카드, 사운드 카드 등으로 부족한 기본 사양을 확장할 수 있게 되면서 멀티미디어 성능 면에서도 다른 규격의 개인용 컴퓨터를 압도할 수준까지 이르렀다. PC 시장의 대세가 16비트로 넘어갈 무렵이 되면 개인용 컴퓨터 시장은 IBM PC 및 호환기종들과 Apple Macintosh로 양분되기에 이르렀다. 예외적으로 일본의 경우 1990년대 초에도 PC98같은 독자 모델이 주류였고, 오히려 IBM에서 개발한 기종들이 마이너한 취급을 받았다.

한국의 경우 PC가 중산층에게 보급될 무렵부터 IBM PC와 호환기종이 주류였다. 교육용 PC 사업 이전까지는 소득 문제 탓에 가정집에서 개인용 컴퓨터를 보는 것이 쉽지 않았기 때문이다.[11] 일찍부터 한메 한글 등 소프트웨어적인 방법[12]으로 IBM PC 호환기종에서 한글을 구현해서 썼다.

정작 IBM은 초기에는 상당히 이익을 보았으나 나중에는 별로 득을 보지 못하게 되었다. 왜냐하면, IBM PC의 하드웨어 중에 독자 기술은 바이오스 밖에 없었고, 개발비 절감을 위해 다른 회사의 부품들을 이용하여 개발되었기 때문이다. 결국, 컴팩이 합법적으로 바이오스를 복제하는 데 성공하면서 하드웨어 아키텍처는 공개나 다름 없는 상태가 되었다.[13] 이를 계기로 다른 회사에서 자유롭게 호환 복제품을 만들어서 팔 수 있게 되었고 이는 다른 경쟁 기종들을 물리치는데 큰 도움을 주었지만 곧 IBM 호환 PC가 더 싸고 성능도 별로 꿀릴게 없는 상황이 되어서 역으로 IBM에서 만든 오리지널 PC들이 열세에 놓이고 말았다. 실제로 386 PC를 처음으로 내 놓은 곳은 IBM이 아닌 컴팩이었다.

이에 PS/2를 내면서 폐쇄구조와 독자구조를 도입하여 이 현상을 막으려 했지만, 비싼 가격과 호환성 문제로 결과적으로 실패하였고 이후 시장에 채택된 구조를 적용하게 된다. 그래도 PS/2에 적용된 기술 중 일부는 다른 PC에도 적용되었다. 키보드 및 마우스 포트[14], D-SUB 커넥터, VGA 등이 그것이다. 물론 MCA 버스같이 철저하게 외면당한 것도 있다. 경쟁 상대인 EISA도 망한 것은 마찬가지지만.

하여튼 시장 지배권은 IBM에서 공식 OS로 지정한 MicrosoftMS-DOS와 공식 CPU로 지정한 인텔로 넘어가게 되었다. "어느 회사에서 만든 PC"가 중요한 시대는 지나고, "어떤 OS, 어떤 CPU를 쓰느냐?"가 중요한 시대가 되어서 결과적으로 IBM은 마소와 인텔에게만 좋은 일을 시켜줬다. OS/2라는 독자 OS를 출시하며 버티려고 해 봤지만 이마저도 처참히 실패했다.

2.2. 사업 전환 이후

1993년, 창사 이래 IBM의 최대 위기

IBM은 설립 시점부터 1980년대 중후반까지 컴퓨터 분야의 기술을 선도하고, 혁신적인 제품을 출시하며 그야말로 파죽지세로 성장했다. 하지만 1990년대 들어 규모의 비대화로 인한 비효율이 커지며 성장 활력이 크게 둔화되었고, 신규 사업 분야 진출, 연구 개발비 삭감 등의 문제가 발생하며, 일각에선 IBM이 망하는 거 아니냐는 우려도 나왔다. 미국에선 1980년대 PC 산업이 무분별하게 확장되다가 1980년대 후반, 1990년대 초반 조정기를 거치면서 수많은 컴퓨터 관련 회사들이 망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IBM 역시 PC 시장을 선도한 회사임에도 불구하고 사실상 그 과실은 모두 부품업체나 다름없었던 인텔이나 Microsoft에게 돌아가는 상황이었으며 완제품 시장에서 차별화에 실패한 IBM은 결국 , 컴팩 등의 타 제조회사에 밀려 1990년대 초반 대규모 적자를 맞이하게 되었다.[15] 이 같은 위기 속에서 창사 이래 처음으로 회사 외부에서 영입되어 1993년 IBM CEO에 취임한 루이스 거스너는 IBM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사업 분야와 사업 중점을 재설계했다.

루이스 거스너는 솔루션이라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한 번에 묶은 개념을 제시했다. 이는 컴퓨터와 관련된 사람 이외의 모든 사람을 IBM의 고객화하자는 의미로, 생활 속에 IBM의 기술이 침투하게 하자는 것이었다. 이 개념은 1997년 e-비지니스 솔루션으로 확장되며, 인간 친화적 서비스를 표방하였다. 루이스 거스너의 혁신은 IBM을 제품 공급 업체에서 서비스 공급 업체로 재탄생시켰단 의미가 있다. 고객의 요구에 맞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고, 전문적인 기술자문을 제공하며 지속적인 유지 보수 관계를 맺게 된 것이다. 루이스 거스너의 혁신으로 IBM은 1990년대 말 침체에서 완전히 벗어나며, 다시 한 번 기술 분야는 아니더라도 경영 분야는 선도하는 회사가 되었다.

80년대까지의 IBM의 역사를 보면 진정한 기술 선도 기업이었음을 알 수 있다. 초기에 고부가가치의 새로운 기술을 개발해 고비용 제품을 출시해 기술 개발 비용 이상을 벌어들이면, 특허를 적절히 공개해 해당 분야를 레드 오션으로 만든다. 이 때에는 원천 기술이나 핵심 특허 등은 여전히 IBM이 쥐고 있으므로 IBM의 수익은 유지된다. 하지만 그 분야의 기술 수준이 원천 기술이 출현할 당시보다 높아지고 경쟁이 너무 치열해서 IBM이 더 이상 수익을 얻을 수 없을 경우 그 사업부를 과감히 매각해 버린다.[16] 이러한 패턴이 계속되는 가운데서도 IBM은 새로운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을 지속하여 경쟁력을 유지하는 것을 시도하였다.

2002년, 35억 달러에 PwC 컨설팅을 인수했다. 다만 컨설팅 사업 자체를 인수했다기보단 인적과 노화우 인수였어서 현재도 PwC는 별도 회사가 있다.

2005년 PC 사업부 전체를 중국 레노버에 팔아버리면서, 1980년대 IBM의 상징과도 같던 사업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되었다. 레노버에 매각된 ThinkPad는 초반에 정체성 논란이 있었지만 ThinkPad를 개발한 IBM 야마토 연구소까지 같이 매각되어 지금도 개발자는 아직 IBM 시절 그대로다.[17] 그래서 아직은 레노버가 잘 이어가는 편이지만 IBM 시절만큼의 포스는 많이 약화된 편.[18]

2005년부터 슈퍼 컴퓨터왓슨 개발에 돌입했다.

2015년, 소프트웨어 제품의 디자인 강화를 위해 IBM 디자인 부서를 신설하고 사내 제품 개발 프로세스와 기업문화에 있어서 주도적 역할을 맡기고 있다. 1000명 이상의 디자이너를 채용하기도 했다.

2016년 5월 비영리 단체들과 협력하여 DNS 서비스인 Quad9을 출범시켰다.

2018년부로 왓슨을 실패한 사업으로 규정, 사업팀을 2018년 5월 구조조정했다. 대량의 환자 데이터 축적을 통해 왓슨은 의료 부문에 인공지능을 접목하는 노력을 기울였고, 종양학이나 유전학 등에서는 일부 성과를 봤다. 그러나 기대치에 못 미치는 성능에다가 AI 활용을 주저하는 의료 업계의 분위기 등 여러 문제로 기대만큼 사업이 확장되지 못했고, 결국 망한 것이다.

2020년대에는 많은 Big Iron(메인프레임과 대규모 UNIX 서버) 수요가 x86 + Linux 등 범용 서버로 이동하고,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에서는 AWSAzure 같은 젊은 퍼블릭 클라우드 사업자들과의 경쟁에서 하염없이 밀리고, 인공지능은 Watson Health의 실패를 시작으로 구글이나 MS, 하다못해 페북에게조차 밀리는 등, IBM의 존재감이 없어진 것은 사실이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IBM은 유명 Linux/오픈소스 솔루션 개발사인 Red Hat을 인수하면서 그들의 클라우드 전략을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를 중심으로 하는 것으로 바꾸었지만 기대와는 달리 온 프레미스시장은 갈수록 쇠퇴하여 재미를 못보고 있다. 양자컴퓨터 개발에도 엄청난 투자를 하고 있지만 별 성과가 없다.[19]
파일:attachment/IBM/kimcheak.jpg
김책공업종합대학의 IBM

IBM의 메인프레임은 북한에도 도입된 적이 있었다. 저것이 김책공업종합대학에 설치된 IBM의 메인프레임이다. 하지만 미국의 이미지가 싫었는지 IBM이라고 써진 상표를 전부 떼어낸 채로 도입한 듯하다.

업무용 메인프레임이 주력이긴 하나 사업 초기의 생산품목인 상점용 금전출납기, 즉 POS기를 2012년까지 생산하고 있었다.[20] 비싼 가격으로 별로 장사가 안됐다. IBM은 고비용 제조사다. 제품 및 기술 지원 하나하나가 다 비싸다. 일명 고부가치를 추구한다

2021년 기준, 왓슨 헬스 사업 매각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

2022년 433퀀텀비트(quantum bit, 줄여서 큐비트(qubit)라고도 부르는 양자 정보처리의 기본 단위)의 프로세서를 갖춘 최대 규모의 양자컴퓨터를 개발하는 기록을 남겼다. 이제 IBM은 그보다 훨씬 더 큰 목표를 세웠다. 그 목표는 10년 안에 10만 큐비트의 양자컴퓨터를 개발하는 것이다.#

5월 22일 일본 히로시마에서 열린 G7 정상회의에서는 이러한 계획을 발표했다. IBM은 도쿄 대학교(University of Tokyo) 및 시카고 대학교(University of Chicago)와 1억 달러(약 1,328억 원) 규모의 협력 계획을 통해 양자컴퓨팅 시스템을 구현할 계획이다. 계획이 실현된다면 일반 슈퍼컴퓨터로는 해결할 수 없는 시급한 문제를 양자컴퓨팅 기술로 해결하는 일이 가능해질지도 모른다.

2023년 6월, B2B 소프트웨어 업체인 앱티오를 46억 달러에 인수했다.

2024년 4월 24일 실적발표회 자리에서 클라우드 분야 소프트웨어 개발 업체인 해시코프를 64억 달러에 인수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2019년 레드햇 인수 이후 자사 최대 규모의 인수합병이다.

3. IBM의 기술 개발

트랜지스터 기반의 기존 메인프레임을, 마이크로프로세서 채용 시스템으로 대체하고자 RISC 아키텍처[21]POWER를 개발하여 1990년 발표하였다. 그런데 최초로 개발된 POWER는 마이크로프로세서[22]는 아니었고, 이의 마이크로프로세서화를 위해 모토로라, Apple과 AIM 동맹을 맺어 PowerPC[23]를 개발한다.

PowerPC를 기반으로 IBM은 POWER 기반 고성능 마이크로프로세서인 POWER 시리즈를 만들어 나갔다. IBM이 POWER를 마이크로프로세서화하기 위해 모토로라와 Apple로부터 단물만 빨아먹은 다음, 정작 PowerPC의 개발은 내팽개쳤다는 관점도 있긴 하다.

하지만 소니, 도시바와 협력하여 PowerPC 기반의 Cell을 개발하여 플레이스테이션 3에 탑재, Xbox 360에는 PowerPC를 커스텀한 CPU를 탑재, Wii의 CPU인 브로드웨이도 PowerPC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이로서 7세대 콘솔의 CPU 시장은 전부 IBM이 먹어 버렸고, 당시에는 누가 이기건 승자는 IBM이었다.

이렇게 되어 버린 원인은 구 엑스박스의 사례에서 알 수 있듯, 예나 지금이나 게임기 시장은 PC 시장에 비하면 훨씬 작기 때문에 개발사들이 콘솔 시장에 그리 큰 관심을 보이지 않았고, 끽해야 몇천만대나 팔리는 콘솔마다 애프터 서비스나 CPU 커스텀에 신경쓸 여유가 없었던 탓이다. 때문에 충분한 가격경쟁력을 가진 CPU를 구하기가 어려웠다.

PS2, PSP에 쓰이던 MIPS 계열은 이미 성능이 한계점에 도달해 버렸고, 예전에는 나름대로 널리 쓰이던 모토로라계 CPU도 모토로라가 개발을 포기한 탓에 구할 수 없게 되어 버렸고,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널리 쓰이는 ARM 계열은 7세대 시기에는 콘솔로 쓰기에는 성능이 너무 떨어지는 편이었다. 지금이야 닌텐도 스위치가 ARM 아키텍처를 채택했지만, 이는 스위치의 독단적인 특징 때문이지 성능 자체는 당연히 x86 계열에 비하면 조족지혈이다. 결과적으로 IBM의 PowerPC가 PC계 CPU에 뒤지지 않는 성능을 가지고, CPU 개발 회사에서 충분한 애프터 서비스를 기대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이었던 셈이다.

실제 콘솔용 PowerPC CPU 납품 단가는 Xbox 360에서 약 $100 정도였고 PS3에 쓰인 Cell/BE는 약 $160로 예상되었는데, 인텔이 XBOX에 파격적이긴 했지만 적자도 보지 않고 $50대로 CPU를 납품한 걸 상기해 볼 때 이것은 콘솔계에선 이례적으로 비싼 편이었다. x86 진영은 당시 인텔은 펜티엄 4로 고전 중이었고 AMD는 AMD64 시리즈를 앞세워 PC 시장 공격에 집중을 했기 때문에 PC와 서버 시장에 비하면 용돈 벌이 수준에 지나지 않아 관심이 없었고 SONYMS도 x86 도입에 관심을 두지 않았다. 이는 초기 Xbox 시절 성능이 PS2를 능가했음에도 불구하고 x86 기반이었다는 이유로 PC 취급받으며 PS2보다 낮은 성능일거란 착각과 차별을 받았기 때문. 고로 애초부터 차세대기 개발 발향은 오버 스펙을 가진 우월해 보이는 게임기였고 이 선택은 MS와 SONY에게 대규모 적자라는 선물을 안겨 주었다. 그래도 Microsoft는 3년만에 흑자로 돌아섰지만 소니는 초기 모델의 삽질이 심각했던데다 Xbox 360보다 단가가 더 비싸서 역대급 적자를 안았는데 PS3가 판매되는 기간 동안 계속 적자가 났다.

2014년 적자가 지속되는 IBM 반도체 제조부문을 글로벌 파운드리에 15억 달러를 주면서 매각하기로 했다. 연간 적자가 15억 달러인 반도체 제조부문을 털어 내면서 글로벌 파운드리에게 칩을 공급받을 예정이다.

콘솔 외에는 군사용 컴퓨터, 시장은 좁지만 대형 서버 시장의 절대강자. 슈퍼컴퓨터도 만든다. 세계 상위 5위권 슈퍼컴에는 언제나 IBM의 컴퓨터가 2~3대 포함되어 있었다. 또한 기업 IT 컨설팅도 IBM의 중요한 밥줄이다.

미국 서부연구소에는 웹파운틴이라는 괴물 컴퓨터가 있는데, 인공지능을 구현하기 위해 패턴을 입력하는 게 아닌 검색을 통해 인공지능을 구현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하루 트래픽이 테라를 넘어가고 인터넷 전체를 스캔하는데 4시간 정도가 걸린다고(...). 하루에도 몇 번씩 새로고침을 하기 때문에, 몇 년 뒤면 초보적인 지능을 지니게 될 듯하다고 한다.

고양이의 뇌를 스캔해서 시뮬레이션에 성공했다는 소식이 2009년 11월 들려왔다. 물론 2023년이 되도록 후속기사는 없다.

개인용 기기 관련을 제외한다면, IT에서 제일 큰 손이다. 휴렛팩커드가 단순매출로는 더 크나, IBM이 PC와 프린터 사업부를 팔아치웠다는 것을 생각하면(...). 참고로 IBM은 프린터 사업부를 두 번 팔아치웠다. 한 번은 소형 프린터(현재는 렉스마크)이고, 또 한 번은 대형 프린터(프린터 한 대에 가볍게 1억이 넘는다!) 사업을 리코에 넘겼다. 이미 IT 서비스 매출이 전세계적으로 50조원이 넘는다. 사실상 IT 서비스를 팔면서 서비스 구동용으로 서버를 팔고, 서버 위에 올릴 SW를 판다는 것이 맞을지도.

게다가 요새는 메인프레임 한 대를 가상으로 여러 대의 서버로 쓸 수 있는 가상화 기술을 마케팅하며 메인프레임도 팔아치우고 있다. 인텔 서버에 Linux 올려 100대 쓰느니 메인프레임 2대 쓰는게 전체 비용으로는 싸다나? 이 점은 기업용 환경과 개인용 환경의 차이점을 이해해야 된다. 개인용 환경에서라면 Linux 머신으로 돌려도 별 탈이 없고 비용도 저렴하다. 그리고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극단적인 상황에서는 리셋해 버리더라도 이로 인해서 발생하는 비용은 매우 적으며 복구도 빠르다. 그러나 기업환경에서는 서비스의 속도 못지않게 지속성과 안정적인 운영이 매우 중요하다. 때문에 각종 상황에 대응하고 동시에 안정적인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 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 차원에서의 비용이 소모되며 서비스가 외부로부터의 공격이나 내부적인 결함으로 인해 중지되면 이를 복구하기 위한 비용이 매우 크다는 점에서 다수의 저레벨 시스템보다 적은 수의 고성능 시스템을 운영하는 것이 기업 입장에서 유지보수의 비용절감에 유리하다는 결론이 도출된다.

옛날 전성기에는 한 번도 특허와 출원 전세계 1위를 놓친 적이 없고, 상용화 여부를 떠나서 기술력 하나만 놓고 본다면 세계 최강이었었다. 즉, 이 회사도 외계인 고문 특허 괴물이다. 어이없는 특허도 있는데(...) 유명한 것이 '누가 먼저 화장실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인데 선착순으로 대기표를 준다는 것. 예상시간이나 예약 취소같은 기능도 같이 포함되어있지만 이런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것까지 특허를 냈다. 결국 욕먹고 특허권한을 포기하였다. 회사 내에 노벨상 수상자만 무려 7명으로 아마 세계의 여러 회사 중에서 벨 연구소의 13명 다음으로 노벨상을 많이 탄 기업. 그래서 덩달아 IBM의 연구소인 토머스 J. 왓슨 연구소가 뜨게 되었다.

여담이지만 삼성전자와 꽤나 친한 편이다. 특허도 공유하고 연구도 협력하고 있다. IBM의 특허협력이 없으면 반도체 자체를 못 만들지만.

또한 항공우주전자분야의 최강자이기도 하다. 우주환경에 사용되는 모든 CPU, RAM, SSD를 IBM에서 제작한다. IBM은 방사능 방호 처리 기술을 가진 몇 안되는 회사다(다른 곳은 허니웰, 내셔널 세미컨덕터, 스페이스 마이크로). 게다가 성능도 나름 만족스러운 편으로, 펜티엄3 정도의 연산능력이 나온다(...) 다른 회사에서 난 20Mhz 니 33Mhz 니 할 때, 혼자서 400Mhz를 찍어버린다. 다른 회사가 아무리 날고 기어도 승자는 IBM.
파일:external/www.travelsinorbit.com/KennedySpaceCenter_027.jpg
옛 케네디 우주센터의 컨트롤 룸[24]

4. 지배구조

<rowcolor=#fff> 주주명 지분율 비고
뱅가드그룹 9.05%
블랙록 8.30%
스테이트 스트리트 6.03%
<rowcolor=#fff> 2023년 12월 기준

5. 사업 분야

<rowcolor=#fff> 분야 매출
(USD)
매출총이익률 비고
소프트웨어 263억 800만 80.1%
컨설팅 199억 8,500만 26.6% [25]
인프라 145억 9,300만 56.0% [26]
금융 7억 4,100만 48.1%
기타 2억 3,300만
<rowcolor=#fff> 2023년 기준

6. 대한민국 사업

1967년 설립된 IBM의 한국 내 자회사인 한국IBM(주)는 여의도서울국제금융센터에 위치해 있다.[27][28]
파일:attachment/IBM/1stcomputer.png
한국에 정식 도입된 날

참고로 우리 대한민국 최초의 컴퓨터는 1967년 경제기획원에서 도입한 IBM 1401 메인프레임이었다.[29] 이 당시 정부는 이 컴퓨터의 도입을 대대적으로 홍보했으며 지금도 국가기록원에 가면 '컴퓨터의 활용'이라는 영상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때를 대한민국 정부 전산화의 시작이라고 한다. IBM 1401을 인구통계업무에 도입하면서 전자정부의 역사가 시작되었고 본격적으로 모든 행정을 전산화하는 시작이 되기도 했다. 이러한 내용은 전자정부 50년사 페이지에 자세히 나와있다.[30] 대한민국 행정의 본격적인 발전을 체감해볼수 있으니 관심있다면 참고해도 좋다.[31]

7. 논란

7.1. 나치 협조

IBM사가 집시 단체에게 소송이 걸린 일이 있었다. 혐의는 홀로코스트 당시 박해 대상인 유대인집시 인구를 관리하기 위해서 나치 독일에게 기술을 제공한 것. 그 기술은 지금의 OMR 카드의 원형인 천공 카드였다.[32] 제공된 기술로 나치는 유대인 및 집시를 손쉽게 추적 및 관리할 수 있었고 그 결과는 홀로코스트였다. 사장 왓슨은 그 공로도 표창도 받았다고 한다.[33] 그 당시 IBM 사는 미국 정부와도 사이가 잠시 틀어졌다. # 현재 IBM은 이에 대해 철저히 침묵하고 있다.

이 문제에 대해선 영어 위키백과 IBM과 제2차 세계대전 문서를 참조해 봐도 좋다.

7.2. 반도체 생산공정의 유해성 논란

한편, 미국 IBM 반도체 사업부와 관련하여 생산공정 과정에서의 유해 화학물질(염화메틸렌, 글리콜 에테르 등) 사용에 따른 재해가 문제가 되었다. 이는 수백명의 근로자들이 다른 직업군 대비 평균이상으로 백혈병, 림프종 등의 질병으로 사망하거나 그들이 낳은 2세들의 유전적 질환 등의 피해로 나타나게 된 사건이었다. 이에 따라 위해사업장에 대한 사측의 관리소홀 책임이 문제가 되었는데, 대규모 집단소송(2003)으로 이어진 이 문제는 근로환경과 질병발생간의 입증의 곤란으로 회사 측의 책임은 끝내 인정되지는 않고, 대신 산업재해보험제도를 통해 산업재해로써 보상받는 것으로 마무리되었다.

최근에는 국내에서도 이와 유사하게 삼성전자 반도체공장의 생산라인 근로자들이 집단 백혈병 발병에 따라 사망하는 일이 잇따르자, 이들 피해와 관련하여 산업재해 인정 및 사측의 불법행위 책임과 관련하여 논란이 일고 있다.

8. 관련 문서

9. 기타


[1] Computing-Tabulationg Recording Company[2] 인도계 미국인으로, IT업계의 많은 인도계 CEO들처럼 인도 공과대학교 출신이며, 이 중 칸푸르 캠퍼스를 다녔다. 1990년 IBM 입사 이후 30년 넘게 재직하고 있던 원클럽맨이다.[3] 누적 자사주 매입 포함 시 부채율은 100% 이하로 감소한다.[4] 회사의 대표적인 슬로건. 1990년대 중후반을 기점으로 스티브 잡스의 복귀와 함께 IBM의 최대 경쟁사로 재도약하기 시작한 애플은 1997년 광고에서 "Think Different."('다르게 생각하라')라는 슬로건을 내놓았고 큰 호응을 얻어 혁신 브랜드 이미지를 대중에 각인시켰다. 일각에서는 이 "Think Different."가 IBM의 "THINK" 슬로건을 겨냥해 만든 것이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5] IBM의 전 CEO로서 회사의 메인프레임 사업을 개척한 것으로 유명하다.[6] 이 문구는 IBM 2대 CEO였던 토머스 J. 왓슨이 한 말로 흔히 알려져 있지만 사실이 아니다. 정확히는 본인도 니콜라스 머레이 버틀러의 말을 인용한 것으로, 정확한 문장은 다음과 같다 : "And we must study through reading, listening, discussing, observing and thinking. We must not neglect any one of those ways of study. The trouble with most of us is that we fall down on the latter thinking because it's hard work for people to think, And, as Dr. Nicholas Murray Butler said recently, all of the problems of the world could be settled easily if men were only willing to think. (또한 우리는 읽고, 듣고, 토론하고, 관찰하며 생각하는 것을 통해 배워야 합니다. 배움에 있어 이것 중 어느 하나도 소홀히 해서는 안됩니다. 생각하는 것은 사람들에게 그만큼 어려운 일이기 때문에 문제는 우리 중 많은 수가 마지막 한 가지에서 생각하는 것을 포기한다는 것이고, 니콜라스 머레이 버틀러 박사가 최근 한 말을 빌리자면, 세상의 모든 문제는 사람들이 생각할 의지만 가진다면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7] Computing Tabulating Recording Co.[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9] IBM 초대 사장이자 프로젝트 Watson의 모델인 토머스 J. 왓슨의 아들이다. 이름이 같아서 헷갈리곤 하는데 나치에 협력 의혹을 받은 사람은 아버지다.[10] 다른 것은 제쳐두고라도, ARM 아키텍처부터가 RISC 기반이다. 사실 대부분의 x86계통 CPU들도 인텔 펜티엄 프로 이후부터 내부적으로는 RISC 아키텍처를 응용하여 설계하고 있다.[11] 사실 1990년대 중반까지도 PC는 피아노와 대등한 수준의 고가품으로 대접받았다. 대다수 서민들에게까지 제대로 PC가 보급된 것은 국민PC 사업이 이루어졌던 1999년~2000년대 초반에 들어서였다.[12] 폰트 등은 '도깨비'나 '태백한글' 등 확장 카드로 구현하기도 했다.[13] 일단 바이오스를 해석하는 엔지니어가 리버스 엔지니어링으로 레퍼런스 북을 만든다. 그리고 IBM의 바이오스를 평생 단 한번도 보지 못한 엔지니어를 바이오스를 제작하는 엔지니어로 고용한다. 이제 이들에게 복제 엔지니어가 만든 자료를 우연히 접하게 해서 바이오스를 만들도록 시킨다. 참 쉽죠? 바이오스를 제작하는 엔지니어는 실물 바이오스를 보고 만든 것이 아니므로 명목상으로는 '복제'가 아니라 '개발'이 되는 셈.[14] 지금도 이 포트를 PS/2 포트라고 부른다. USB가 아닌 동그란 녹색/자주색 포트가 바로 이것.[15] 1993년에는 당시 미국 기업 역사상 최대 규모인 80억 달러의 적자를 기록하기도 했다. 당시 빌 게이츠는 앞으로 7년 이내에 IBM이라는 회사가 사라질 것이라고 예측하였다.[16] 가장 대표적인 것이 레노버에 매각해버린 PC 사업부.[17] 그래도 매각 당시 IBM이 아니면 안 된다고 반발해서 퇴사한 직원들도 꽤 있었다고 한다.[18] 시대의 흐름에 따르기 위해 어쩔 수 없는 선택이지만, 저가형 모델 출시, 너프되는 키보드와 확장성 등 점점 타사 모델 대비 차별화를 잃어가고 있다.[19] 이는 현재 IT 빅테크 기업들이 과거 IBM의 전략을 극대화 시켜서 활용하기 때문이다. IBM은 초기 고부가가치 기술을 개발해서 개발 비용 이상의 수익을 벌고 오픈하며 시장을 키우고 원천 기술과 특허로 수익을 유지하는 동안에 고부가가치 기술을 다시 개발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다만 이런 상황에서 고부가가치가 경쟁이 심해지면 경쟁을 하기보다 사업을 포기하고 과감한 매각을 해버리는 전략을 사용하는데 신기술 개발이 지지부진하면 새로운 수익이 창출되지 못하며 큰 문제가 나타난다. 하지만 MS, 구글 등은 경쟁을 통해서 기존의 고부가가치 사업을 완전히 장악하고 고정적으로 성장하는 시장을 독점한다.(구글-검색 광고, MS-office 365/ 두 기업이 사실상 독점에 가까운 체제를 유지하는데 시장 전체의 크기가 성장하며 그 혜택을 구글과 MS가 받고 있다.) 때문에 기술의 격차가 유지되는 동안 신사업 개척에 실패(대표적으로 왓슨)하면 기업 성장에 문제가 생기는 IBM과 다르게 구글, MS는 신기술 개발에 속도가 늦어도 성장에는 문제가 없는 상황으로 IBM이 IT업계의 대표 자리에서 내려온 결정적 이슈로 작용하게 되었다.[20] 2012년 도시바에 매각.[21] RISC 아키텍처 역시도 IBM에서 만들었다.[22] 칩 하나로 CPU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 마이크로프로세서. 즉, 여러 개의 칩이나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CPU도 존재할 수 있다.[23] 여기에서의 PC는 Personal Computer가 아니라 Performance Computing.[24] 의자에 주목 바람. 참고로 나머지 회사들은 항공우주 관련 기업들로, 길쭉한 글자는 맥도넬 더글라스이고(F-4 팬텀, F-15 이글, F-18 호넷 만든 그 회사 맞다.) 삼각형 로고는 노스 아메리칸이다. 현재는 이 두 회사 모두 보잉에 합병되어 사라졌다.[25] IT 분야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서비스업 분야.[26] 메인프레임 전반에 해당되는 z시리즈 판매 및 유지보수.[27]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국제금융로 10[28] 1980~90년대 내내 여의도 한진해운빌딩(여의도동 25-11)에 있었으나 2000년대 초반 서울 강남구 도곡동 군인공제회관 건물이 신축되자 이전했다가 2014년 즈음에 여의도로 복귀이전했다. 여담으로 외환위기 직전, 1990년대 후반까지는 IBM, 마이크로소프트, 휴렛 팩커드, 오라클 등 대형 IT기업들은 대부분 여의도에 있었으나 2000년 닷컴 버블 시절을 전후해서 강남 테헤란로 인근으로 이전했다. 그러나 2010년대를 지나면서 오라클만이 코엑스에 남아있고 HP는 여의도로 복귀, MS는 광화문으로 이전했다.[29] 비공식적으로는 후지쯔의 FACOM 222가 IBM 1401보다 살짝 먼저 국내에 도착하였고, 가동도 FACOM 222가 더 빨라서 이쪽이 대한민국 최초의 컴퓨터로 여겨지는 경우도 있지만, 통관일자가 IBM 1401보다 살짝 늦어서 어디까지나 비공식 기록이 되었다. 사실 국내에 도입된 FACOM 222는 대일청구권 자금에 해당되는 현물 성격인데다가, 일본산 제품을 국내 최초의 컴퓨터로 인정하기도 좀 그렇다는 민족감정도 어느 정도 작용했다고 한다.[30] 대한민국 전자정부 50년(1967~2017), p23, 행정안전부 전자정부정책과[31] 실질적으로 이때를 전자정부 시작으로 보는 것에 대해서는 일부 의견이 나뉘긴 하나, 이 당시 모든 행정업무가 수작업으로 이뤄진 것을 생각하면 꽤나 앞선 것이기도 했다. 이 때를 부정적으로 보는 의견을 가지는 쪽에서는 보통 국민의 정부 때 세계 최초로 제정된 "전자정부법"을 실질적인 전자정부의 시작이라고 본다.[32] IBM이 개발에 직접적으로 참여하지는 않았고, 개발자 홀러리스의 회사를 인수한 것이다.[33] 위에 메인프레임 개발자 Watson은 표창 받은 사람의 아들.[34] 실제로 아시아 지역에서는 ODM 방식으로 알프스제 IBM 키보드가 대신 팔렸다. 알프스 SKCC 녹축을 사용한 핑마스터(Pingmaster)가 대표적.[35] 한자는 미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