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국보 國寶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2%;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 -10px 0" | 1. 서울 숭례문 1.#26 경주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2%;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1 강릉 임영관 삼문 1.#76 이순신 난중일기 및 서간첩 임진장초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2%;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01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1.#126 불국사 삼층석탑 사리장엄구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2%;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51 조선왕조실록
1.#176 백자 청화‘홍치2년’명 송죽문 항아리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2%;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201 봉화 북지리 마애여래좌상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2%;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251 초조본 대승아비달마잡집론 권14
1.#276 초조본 유가사지론 권53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2%;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301~336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301 화엄사 영산회 괘불탱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2%;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번호폐지 이후(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 }}}}}}}}}}}} |
title=틀:대한민국의 국보 1~30호, version=27, uuid=b16ef97f-b363-494a-ab2a-e95ccd5f503f,
title2=틀:대한민국의 국보 31~60호, version2=23, uuid2=979147df-3a26-481f-b049-2bed6c206bdc,
title3=틀:대한민국의 국보 61~90호, version3=18, uuid3=a651288c-6ac5-4be6-aabd-d4ff8ce28b2d,
title4=틀:대한민국의 국보 91~120호, version4=16, uuid4=47b78863-c197-4fb3-8fa6-911be58d2f63,
title5=틀:대한민국의 국보 121~150호, version5=18, uuid5=38233d15-3cf9-4c93-833c-94c06a6fbf8b,
title6=틀:대한민국의 국보 151~180호, version6=15, uuid6=edf3cf60-9adb-4a8f-8ee0-0b7fbc07c52f,
title7=틀:대한민국의 국보 181~210호, version7=13, uuid7=dc5f6abf-c5c1-4679-b79e-a752e027eb8b,
title8=틀:대한민국의 국보 211~240호, version8=15, uuid8=0da4ae8e-4b56-4578-9135-01ed7dddf02a,
title9=틀:대한민국의 국보 241~270호, version9=13, uuid9=98999a90-809a-452b-9fd0-6721c558ff35,
title10=틀:대한민국의 국보 271~300호, version10=12, uuid10=d3cf8eb4-7dea-45c4-8db8-f764102672c0,
title11=틀:대한민국의 국보 301~330호, version11=21, uuid11=654db38a-ea8b-426b-a33e-245918ddd995,
title12=틀:대한민국의 국보 331~360호, version12=14, uuid12=6bc2ec27-8f76-40cf-9ef0-c2d80032b65e)]
| |
강릉 임영관 삼문 江陵 臨瀛館 三門 | |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임영로131번길 6 (용강동) |
분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관아 |
수량/면적 | 1동 |
지정연도 | 1962년 12월 20일 |
제작시기 | 고려 시대 후기 |
|
<colbgcolor=#315288> 강릉 임영관 삼문 |
1. 개요
고려 태조 丙申年(936년)에 창건된 강릉부 객사인 임영관의 정문으로, 사적 제388호 강릉대도호부 관아 내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미술사 및 역사 전공자에게는 강릉 객사문으로 알려져 있다. 객사(客舍)란 고려와 조선시대 때 각 고을에 두었던 지방관아의 하나로 왕을 상징하는 나무패를 모셔두고 초하루와 보름에 궁궐을 향해 절을 하는 망궐례를 행하였으며, 왕이 파견한 중앙관리나 사신들이 묵기도 하였다. 하지만 정확히 고려 어느 시대에 지어진 문인지는 알 수 없다.'임영'(臨瀛)은 강릉의 옛 별칭이다. 동양 전통 천하관에서 천하 동쪽의 바다를 동영(東瀛)이라 하였는데 이는 부상(扶桑)과 비슷한 단어다. 임영은 그 바다(영, 瀛)에 접해있는(臨) 지역이라는 뜻. 조선 세종의 적 4남인 임영대군의 봉호가 여기서 유래됐다.
강릉 임영관 삼문은 1962년 국보 제51호로 지정되었다.
2. 특징
고려시대부터 있었다는 기록 때문에, 예산 수덕사 대웅전,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안동 봉정사 극락전, 영천 거조사 영산전과 함께 학술적인 가치가 매우 높은 건축물이다. 특히 앞에 명시한 건축물들이 전부 불교 건물인 것에 비해, 고려시대 건축양식이 일부 남아있는 국가기관의 건축물이라는 점에서 특별하다.강릉시에서는 강릉 대도호부(명칭에 관해서 이견이 있으나, 통칭 강릉 관아를 말함) 터에 있던, 강릉시청, 강릉경찰서, 우체국 지점 등을 순차적으로 이전하면서 객사문 일대를 역사공원하는 사업을 진행 중이다. 이 과정에서 강릉시는 객사문의 활용 방안을 다양하게 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객사문의 구조는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이루어져 있다. 기둥 초석은 자연석 덤벙주초이다. 외부 기둥인 외진주는 배흘림 원주며, 내부 기둥인 내진주는 민흘림 각주로 되어 있다. 또한 무고주 5량 구조이며, 내부 연등천정이다. 공포는 주심포에 초제공, 출목첨차, 툇목이 날개 모양이다. 지붕은 맞배지붕으로 되어 있다.
망새와 내림마루 사이, 망새와 용마루 사이를 이어주는 부분에 와구토가 그대로 드러나는 부분은 아직도 그대로인데, 오히려 이 부분도 조선후기의 양식이기 때문에 고려시대 이전 양식을 복원하려 한다면 바뀌어야 한다. 그러나 한국 전통건축의 지붕을 담당하는 대부분의 대목수들에게 와구토 없이 망새와 마루를 자연스럽고 깔끔하게 잇는 기술이 실전된 상황이라 중국이나 일본에서 이를 배워오지 않는 이상 앞으로도 계속 이 양식이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3. 역사
임영관이 강릉부 객사로써 창건된 것이 936년이기 때문에, 이 문 역시 936년에 지었다고 보는 견해가 있으나, 건축 양식과 기록에 근거하여 대부분 1400년대에 건립되었다고 추정한다.그러나 공민왕이 1366년 병오(丙午)년에 친필로 임영관의 판액을 하사했다는 기록이 있어 고려 후기에 지어졌다고 보는 견해가 존재한다. 건축 양식으로 볼 때, 고려말~조선초에 객사문이 지어졌다고 볼 수 있다.
이후 기록에는 객사의 중수 및 개조에 대한 기록은 남아 있지만 객사문에 대한 별도의 기록은 존재하지 않는다. 1627년, 임영관 대청에 화재가 발생했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 시기에 객사문도 개조 및 보수가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일제강점기 임영관 사진을 보면 삼문과 중문은 조선 초기 양식인데 반해 대청은 중후기 양식을 따른다.
일제강점기에 강릉 관아가 철거되고 그 자리에 일제의 건축물들이 자리잡았다. 임영관 터에 강릉공립보통학교가 들어서는 와중에도 다행히 객사문은 철거되지 않고 그 자리를 지켰다. 해방 후 학교 터에는 강릉 경찰서가 들어섰고, 이 과정에서 1959년 번와보수공사를 시작으로 4차례의 보수를 했다. 그 중 2000년 객사문 해체보수공사는 객사문의 지붕 모양을 바꾸는 큰 공사 였다.
강릉대도호부 관아 복원 후 담장이 연결된 모습 |
이후 강릉대도호부 관아가 복원되면서[1] 객사문 양 옆으로 담장이 연결됨과 동시에 개방이 되었다. 강릉시에서 단오제, 커피축제 등을 관아에서 치르고 있으므로 많은 관광객들이 고려시대 건축물이자 국보를 통과하는 진귀한 경험을 할 수 있다.
4. 외부 링크
5. 국보 제51호
고려시대에 지은 강릉 객사의 정문으로, 현재 객사 건물은 없어지고 이 문만 남아 있다. 객사란 고려와 조선시대 때 각 고을에 두었던 지방관아의 하나로 왕을 상징하는 나무패를 모셔두고 초하루와 보름에 궁궐을 향해 절을 하는 망궐례를 행하였으며, 왕이 파견한 중앙관리나 사신들이 묵기도 하였다.
이 객사는 고려 태조 19년(936)에 총 83칸의 건물을 짓고 임영관이라 하였는데, 문루에 걸려 있는 ‘임영관’이란 현판은 공민왕이 직접 쓴 것이라고 한다. 몇 차례의 보수가 있었고, 일제강점기에는 학교 건물로 이용하기도 하였다. 학교가 헐린 뒤 1967년에 강릉 경찰서가 들어서게 되고 현재는 마당에 객사문만 남아 있다. 남산의 오성정·금산의 월화정·경포의 방해정은 객사의 일부를 옮겨 지은 것이다.
문은 앞면 3칸·옆면 2칸 크기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을 한 맞배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짠 공포구조가 기둥 위에만 있는 주심포 양식으로 간결한 형태로 꾸몄다. 앞면 3칸에는 커다란 널판문을 달았으며, 기둥은 가운데 부분이 볼록한 배흘림 형태이다.
간결하고 소박하지만 세부건축 재료에서 보이는 세련된 조각 솜씨는 고려시대 건축양식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 객사는 고려 태조 19년(936)에 총 83칸의 건물을 짓고 임영관이라 하였는데, 문루에 걸려 있는 ‘임영관’이란 현판은 공민왕이 직접 쓴 것이라고 한다. 몇 차례의 보수가 있었고, 일제강점기에는 학교 건물로 이용하기도 하였다. 학교가 헐린 뒤 1967년에 강릉 경찰서가 들어서게 되고 현재는 마당에 객사문만 남아 있다. 남산의 오성정·금산의 월화정·경포의 방해정은 객사의 일부를 옮겨 지은 것이다.
문은 앞면 3칸·옆면 2칸 크기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을 한 맞배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짠 공포구조가 기둥 위에만 있는 주심포 양식으로 간결한 형태로 꾸몄다. 앞면 3칸에는 커다란 널판문을 달았으며, 기둥은 가운데 부분이 볼록한 배흘림 형태이다.
간결하고 소박하지만 세부건축 재료에서 보이는 세련된 조각 솜씨는 고려시대 건축양식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1] 철거 이전에 촬영된 사진이 남아 있어 임영관 본관과 중문의 복원이 가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