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8 17:06:41

금동관음보살입상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틀:대한민국의 국보 1~30호, version=27, uuid=b16ef97f-b363-494a-ab2a-e95ccd5f503f,
title2=틀:대한민국의 국보 31~60호, version2=23, uuid2=979147df-3a26-481f-b049-2bed6c206bdc,
title3=틀:대한민국의 국보 61~90호, version3=18, uuid3=a651288c-6ac5-4be6-aabd-d4ff8ce28b2d,
title4=틀:대한민국의 국보 91~120호, version4=16, uuid4=47b78863-c197-4fb3-8fa6-911be58d2f63,
title5=틀:대한민국의 국보 121~150호, version5=18, uuid5=38233d15-3cf9-4c93-833c-94c06a6fbf8b,
title6=틀:대한민국의 국보 151~180호, version6=15, uuid6=edf3cf60-9adb-4a8f-8ee0-0b7fbc07c52f,
title7=틀:대한민국의 국보 181~210호, version7=13, uuid7=dc5f6abf-c5c1-4679-b79e-a752e027eb8b,
title8=틀:대한민국의 국보 211~240호, version8=15, uuid8=0da4ae8e-4b56-4578-9135-01ed7dddf02a,
title9=틀:대한민국의 국보 241~270호, version9=13, uuid9=98999a90-809a-452b-9fd0-6721c558ff35,
title10=틀:대한민국의 국보 271~300호, version10=12, uuid10=d3cf8eb4-7dea-45c4-8db8-f764102672c0,
title11=틀:대한민국의 국보 301~330호, version11=21, uuid11=654db38a-ea8b-426b-a33e-245918ddd995,
title12=틀:대한민국의 국보 331~360호, version12=14, uuid12=6bc2ec27-8f76-40cf-9ef0-c2d80032b65e)]
{{{#!wiki style="margin:-12px 0"<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국보 國寶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1.#26 경주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
  1. 경주 불국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2. 경주 백률사 금동약사여래입상
  3. 성덕대왕신종
  4.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
  5. 경주 첨성대
  6.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7. 창녕 진흥왕 척경비
  8. 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
  9. 구례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
  10. 상원사 동종
  11. 경주 황복사지 삼층석탑
  12. 경주 고선사지 삼층석탑
  13. 경주 나원리 오층석탑
  14. 경주 정혜사지 십삼층석탑
  15. 청주 용두사지 철당간
  16. 순천 송광사 목조삼존불감
  17. 혜심고신제서
  18. 장흥 보림사 남 · 북 삼층석탑 및 석등
  19. 영주 부석사 소조여래좌상
  20. 부석사 조사당 벽화
  21.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22. 평창 월정사 팔각 구층석탑 / 평창 월정사 석조보살좌상
  23. 예산 수덕사 대웅전
  24. 영암 도갑사 해탈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76 이순신 난중일기 및 서간첩 임진장초
  1.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
  2.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1962-1)
  3.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좌상
  4.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입상
  5. 경주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
  6. 경주 감산사 석조아미타여래입상
  7.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1962-2)
  8.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9. 금동신묘명삼존불입상
  10. 개성 경천사지 십층석탑
  11. 금관총 금관 및 금제 관식
  12. 금관총 금제 허리띠
  13. 평양 석암리 금제 띠고리
  14. 경주 부부총 금귀걸이
  15. 도기 기마인물형 명기
  16. 청동 은입사 포류수금문 정병
  17. 백자 철화포도원숭이문 항아리
  18. 청자 참외모양 병
  19. 청자 투각칠보문뚜껑 향로
  20. 청자 구룡형 주전자
  21.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매병
  22. 청자 상감모란문 항아리
  23. 김천 갈항사지 동 · 서 삼층석탑
  24. 개성 남계원지 칠층석탑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101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1.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
  2. 광양 중흥산성 쌍사자 석등
  3. 전 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4. 산청 범학리 삼층석탑
  5. 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
  6. 백자 철화포도문 항아리
  7. 계유명삼존천불비상
  8. 군위 아미타여래삼존 석굴
  9. 이제현 초상
  10. 안향 초상
  11. 경주 감은사지 동 · 서 삼층석탑
  12. 청자 철화양류문 통형 병
  13. 청자 상감모란국화문 참외모양 병
  14. 청자 상감당초문 완
  15. 청자 상감모란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16.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17.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1964)
  18. 금동연가7년명여래입상
  19. 용주사 동종
  20. 안동 하회탈 및 병산탈
  21. 양양 진전사지 삼층석탑
  22.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사리장엄구
  23. 강릉 한송사지 석조보살좌상
  24. 녹유골호(부석제외함)
1.#126 불국사 삼층석탑 사리장엄구
  1. 서울 삼양동 금동관음보살입상
  2. 금동관음보살입상
  3. 금동보살입상(1968)
  4. 구미 죽장리 오층석탑
  5. 고려말 화령부 호적 관련 고문서
  6. 징비록
  7. 청자 동화연화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8. 금동보살삼존상
  9. 신윤복필 풍속도 화첩
  10. 금동 용두보당
  11. 대구 비산동 청동기 일괄-검 및 칼집 부속 / 투겁창 및 꺾창
  12. 전 고령 금관 및 장신구 일괄
  13. 김홍도필 군선도 병풍
  14. 나전 화문 동경
  15. 정문경
  16. 동국정운
  17. 화순 대곡리 청동기 일괄
  18. 영암 월출산 마애여래좌상
  19. 귀면 청동로
  20. 전 논산 청동방울 일괄
  21.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
  22. 십칠사찬고금통요 권16 / 십칠사찬고금통요 권17
  23. 동래선생교정북사상절 권4, 5 / 동래선생교정북사상절 권6
  24. 송조표전총류 권7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176 백자 청화‘홍치2년’명 송죽문 항아리
  1. 분청사기 인화국화문 태항아리
  2. 분청사기 음각어문 편병
  3. 분청사기 박지연화어문 편병
  4. 김정희필 세한도
  5. 장양수 홍패
  6. 구미 선산읍 금동여래입상
  7. 구미 선산읍 금동보살입상(1976-1)
  8. 구미 선산읍 금동보살입상(1976-2)
  9. 상지은니묘법연화경
  10. 양평 신화리 금동여래입상
  11. 영양 산해리 오층모전석탑
  12. 천마총 금관
  13. 천마총 관모
  14. 천마총 금제 허리띠
  15. 황남대총 북분 금관
  16. 황남대총 북분 금제 허리띠
  17. 경주 98호 남분 유리병 및 잔
  18. 황남대총 남분 금목걸이
  19. 토우장식 장경호
  20. 신라백지묵서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1~10, 44~50
  21.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
  22. 단양 신라 적성비
  23. 경주 단석산 신선사 마애불상군
  24. 금동보살입상(1979)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251 초조본 대승아비달마잡집론 권14
  1. 청자 음각'효문'명 연화문 매병
  2. 청자 양각연화당초상감모란문 은테 발
  3. 청자 음각연화문 유개매병
  4. 전 덕산 청동방울 일괄
  5.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1
  6.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9
  7. 백자 청화죽문 각병
  8. 분청사기 상감운룡문 항아리
  9. 분청사기 박지철채모란문 자라병
  10. 백자 유개항아리
  11. 백자 달항아리(1991)
  12. 백자 청화산수화조문 항아리
  13. 포항 냉수리 신라비
  14.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13
  15.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 75
  16. 초조본 아비달마식신족론 권12
  17. 초조본 아비담비파사론 권11, 17
  18. 초조본 불설최상근본대락금강불공삼매대교왕경 권6
  19. 청자 모자원숭이모양 연적
  20. 초조본 현양성교론 권12
  21. 초조본 유가사지론 권32
  22. 초조본 유가사지론 권15
  23. 귀함별황자총통(1596년조)
  24. 도기 기마인물형 뿔잔
1.#276 초조본 유가사지론 권53
  1.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36
  2. 태종11년이형원종공신록권부함
  3.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74
  4. 성거산 천흥사명 동종
  5. 백자 병형 주전자
  6. 영주 흑석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7. 통감속편
  8. 초조본대반야바라밀다경 권162, 170, 463
  9.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10. 백자 ‘천’ ‘지’ ‘현’ ‘황’명 발
  11. 백제 금동대향로
  12. 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감
  13.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14. 양산 통도사 대웅전 및 금강계단
  15. 용감수경 권3~4
  16. 평창 상원사 중창권선문
  17. 부여 규암리 금동관음보살입상
  18. 백자 청화철채동채초충문 병
  19. 나주 신촌리 금동관
  20. 칠장사 오불회 괘불탱
  21. 안심사 영산회 괘불탱
  22. 갑사 삼신불 괘불탱
  23. 신원사 노사나불 괘불탱
  24. 장곡사 미륵불 괘불탱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301~336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 번호 없음 ]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국보 제128호
금동관음보살입상
金銅觀音菩薩立像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분류 유물 / 불교조각 / 금속조 / 보살상
수량/면적 1구
지정연도 1968년 12월 19일
제작시기 백제시대

파일:국보128호금동관음보살입상.jpg

1. 개요2. 내용3. 외부 링크4. 국보 제128호

1. 개요

金銅觀音菩薩立像. 금동관음보살입상은 삼국시대 백제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보는, 구리로 주조하여 으로 도금한 금속제 관음보살상이다.

삼성 이병철 전 회장 소유였던 국보로 지정된 문화재 가운데 대다수가 그렇듯이, 금동관음보살입상도 정확한 입수경위나 출토 위치는 현재로선 모르고 단지 충청남도 공주 지역에서 출토되었다고만 알려져 있다.[1] 정식적인 학술 조사를 통한 발굴로 발견된 유물도 아니고 불상에 남아 있는 명문도 전혀 없어서, 이 불상이 어디 계열 유물일지 그리고 언제쯤 만들어졌을지도 정확하게는 알 수가 없다.[2] 다만 불상에서 드러나는 여러 특징으로 미루어보아 7세기 초엽 경 삼국시대 백제 불상으로 추정한다.[3]

만들어진지 아주 오래 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지라 세월을 이기지 못하여 여기저기에 이 스는 등 금동관음보살입상의 보존 상태는 보기에 좋은 편은 아니다. 그래도 불상의 형태가 눈에 띄게 결구된 부분 없이 잘 남아 있고 도금 상태도 그럭저럭 양호하다.

금동관음보살입상은 1968년에 국보 제128호로 지정되었으며, 삼성미술관 리움에서 소장하고 있었다가, 2021년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되었다.

2. 내용

금동관음보살입상은 높이 15.2cm의 작은 금동불상으로, 연꽃형 대좌 위에 올라선 보살이 왼손에는 법구 중 하나인 정병을 들고 있고 오른손은 흘러내리는 옷자락을 잡고 있는 형상이다. 또한 불상의 왼손에 정병이 들려 있는데, 이는 전형적인 관세음보살의 특징적인 표현으로 본 불상이 관세음보살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4]

금동관음보살입상의 머리에는 삼면보관(三面寶冠)이 씌여 있는데 보관의 정면은 꽃무늬로 장식되어 있다. 관음보살의 정수리 위로는 마치 상투를 튼 것 같은 보계(寶髻)가 솟아 있다.[5] 관음보살의 얼굴은 통통하게 살이 올라 사각진 형태이며 표정은 양 눈을 감고 미소도 띠지 않는 무표정으로 근엄한 인상을 준다.[6]

관음보살이 입고 있는 옷(천의(天衣))은 어깨에서부터 시작해 쭉 늘어져서 바닥의 대좌에 까지 닿는데, 팔을 아래로 쭉 뻗어 오른손으로 흘러내린 옷자락을 잡고 있다. 이렇게 늘어진 옷은 무릎 부근에서 서로 X자로 교차한다. 옷 위에는 불상에 장식하는 구슬 장식인 영락(瓔珞)이 표현되어 있는데,[7] 가슴팍에서 한번 만나고 배의 가장자리를 따라 두 줄로 내려오다가 배꼽 부근에서 다시 만난 뒤 다시 갈라져서 다리 아래로까지 늘어져 있다. 이와 같이 불상 의복 표현은 중국의 불상 양식이 반영된 것으로 삼국시대 불상들에서 자주 나타난다고 한다.[8]

파일:국보128호금동관음보살입상뒷면.jpg
관음보살의 뒷편은 평평하여 따로 조형이 되어 있는 것이 없고 녹이 심하게 슬어있다. 다만 광배를 달았던 흔적으로 보이는 못이 남아 있는데, 이로 미루어보아 본래는 머리 뒤의 두광과 몸체 뒤의 신광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한다.[9]

관음보살이 서 있는 대좌는 2단으로 되어 있는데, 육각형의 연꽃 대좌 위에 작은 앙련좌가 올라가 있는 모습이다.[10] 이 앙련좌 위에 관음보살이 올라가 있다. 대좌는 아래를 향하고 있는 연꽃잎으로 장식되어 있는데, 연꽃잎이 넓고 부드러워 백제 특유의 연꽃 무늬 양식을 드러낸다고 평가받는다.[11]

금동관음보살입상의 제작 연대나 제작 국가는 불명확하지만, 국보 제293호인 부여 규암리 금동관음보살입상과 형태가 유사하다는 점과 백제의 강역이었던 공주 지역에서 출토되었다고 전해진다는 점 그리고 삼면보관이나 영락 등과 같은 불상의 특징적인 도상 양식을 토대로 짐작해보면 7세기 초엽 경 백제의 불상으로 추정할 수 있다.[12]

금동관음보살입상은 출토지가 불명확하며 여기저기 녹이 슬고 금박이 벗겨지는 등 보존상태가 아주 좋지는 않지만, 불상의 형태가 온전하고 표현 기법 등으로 제작 시기를 7세기 초로 추정할 수 있으며 백제 특유의 양식이 잘 남아 있는 불상이라는 점 등의 가치를 인정받아 1968년 12월 19일에 국보 제128호로 지정되었다.

3. 외부 링크

4. 국보 제128호

충청남도 공주에서 출토되었다고 전해지며 백제시대의 양식을 잘 보여주는 자그마한 보살입상으로 높이 15.2㎝이다.

머리에는 꽃무늬로 장식한 반원 모양의 관(冠)을 썼고 그 위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높이 표현되어 있으며, 사각형에 가까운 얼굴은 미소가 없어 근엄한 표정이다. 몸에 밀착된 얇은 옷은 신체의 굴곡을 잘 드러내주지만 옷주름은 선이 분명하지 않다. 어깨에서 몸의 가장자리를 따라 내려오는 구슬 장식은 배 부근에서 X자형으로 교차되어 다리 위에 장식되었고, 배 한가운데에 둥근 꽃무늬 고리를 달고 있다. 이것은 중국의 옛 방식을 따르고 있는 것으로 우리나라의 삼국시대 금동불상에서도 나타난다. 오른손은 내려서 옷자락을 잡고 있고, 왼손에는 큼직한 정병(淨甁)을 들고 있어 관음보살을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6각형의 대좌(臺座)에는 엎어 놓은 연꽃무늬가 새겨지고, 그 위에 활짝 핀 연꽃무늬를 새긴 대석을 올려 놓은 모습인데, 잎이 넓고 부드러운 연꽃잎은 백제시대 특유의 양식을 잘 보여준다.

보살상 전체에 녹이 많으나 아직도 금색이 찬연하며 백제 불상 특유의 유연함을 보여주고 있다.


[1]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금동관음보살입상[2] 폐사지에서 도굴한 유물이거나 혹은 어느 절에서 훔쳐온 절도품일 가능성도 있다.[3] 출처: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 금동관음보살입상[4] 참조: 세계미술용어사전 - 관음보살[5] 보계는 보살이나 부처의 머리 위에 있는 상투를 말한다. 이와 비슷한 것으로는 육계(肉髻)가 있다. 육계는 무견정상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부처의 정수리에 있는 뼈가 솟아 저절로 상투 모양이 된 것을 지칭한다. 출처: 네이버 국어사전 - 보계5, 네이버 국어사전 - 육계4[6]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금동관음보살입상[7] 참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영락[8] 출처: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 금동관음보살입상[9]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금동관음보살입상,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 금동관음보살입상[10] 앙련좌(仰蓮座)는 연꽃이 위로 향한 모양을 새겨 꾸민 좌대를 지칭한다. 출처: 네이버 국어사전 - 앙련좌[11]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금동관음보살입상[12]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금동관음보살입상,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 금동관음보살입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