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4 17:52:02

곤약밥

🍚 밥의 종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밥짓는 재료 귀리밥 · 기장밥 · 가지밥 · 감자밥 · 고구마밥 · 곤드레밥 · 곤약밥 · 녹두밥 · 메밀밥 · 밀밥 · 백미밥 · 당근밥 · 대추밥 · 대통밥 · 두부밥 · 밤밥 · 비지밥 · 보리밥 · 수수밥 · 은행밥 · 옥수수밥 · 율무밥 · 자굴밥 · 자미밥 · 조밥 · 지라 바트 · 찰밥 · 콩밥 (완두콩밥) · 클로렐라밥 · 팥밥 · 피밥 · 해초밥 · 현미밥 · 호밀밥 · 홍미밥(앵미밥 및 적미밥) · 흑미밥
국밥굴국밥 · 돼지국밥 · 따로국밥 · 소머리국밥 · 수구레국밥 · 순대국밥 · 짬뽕밥 · 콩나물국밥 · 평양온반 · 라면밥
김밥김치김밥 · 돈가스김밥 · 불고기김밥 · 야채김밥 · 제육김밥 · 참치김밥 · 충무김밥 · 치즈김밥
덮밥김치덮밥 · 돈부리(가루비동 · 가츠동 · 규동 · 산마이니쿠동 · 오야코동 · 텐동 · 텐신항) · 라면덮밥 · 삼겹살덮밥 · 스팸마요 · 오므라이스 · 오징어덮밥 · 잡채밥 · 제육덮밥 · 짜장밥 · 참치마요 · 치킨마요 · 카레라이스 · 카오 니아오 마무앙 · 컵밥 · 페이조아다 · 하이라이스 · 회덮밥 · 피자 라이스 볼
볶음밥김치볶음밥 · 까오팟 · 나시고렝 · 비르야니 · 삼선볶음밥 · 아메리칸 프라이드 라이스 · 야채볶음밥 · 잠발라야 · 차오판 · 파에야 · 필라프 · 황금 볶음밥
비빔밥꼬막비빔밥 · 돌솥비빔밥 · 멍게비빔밥 · 산채비빔밥 · 새싹비빔밥 · 육회비빔밥 · 전주비빔밥 · 중화비빔밥 · 진주비빔밥 · 콩나물비빔밥 · 해주비빔밥 · 계란밥 · 묵밥 · 알밥
주먹밥무스비 · 밥버거 · 삼각김밥 · 수플리 · 아란치니
쌈밥김쌈 · 우렁쌈밥 · 제육쌈밥
초밥군칸마키 · 노리마키 · 니기리즈시 · 유부초밥 · 캘리포니아 롤
기타 백반 · 고두밥 · 고봉밥 · 공깃밥 · 누룽지(누룽지탕 · 기리탄포) · 미음 · · 치밥 · }}}}}}}}}


1. 개요2. 설명3. 종류

1. 개요

곤약을 쌀 처럼 잘라서 을 짓듯이 만든 음식을 말한다.

2. 설명

시중에 곤약쌀을 판매하는 곳이 많아서 쉽게 구매할 수 있다. 200g 기준 밥 한 공기가 보통 340 kcal라면, 곤약과 쌀을 반씩 섞으면 그 절반으로 탄수화물 함량이 떨어져 다이어트용으로 많이 먹는다. 쌀, 곤약쌀, 물을 1:1:4 비율로 섞어 만들면 된다. 평소보다 물의 양을 적게 잡는게 좋다.

혹은 곤약쌀로만 밥을 지어 먹으면 칼로리가 더 떨어진다는 장점이 있으나 식감과 맛이 너무 없다. 최근 나오는 곤약 제품은 곤약 특유의 향이 크게 나지 않아 쌀과 5:5 비율로 섞으면 적당하고, 이 정도로 지으면 현미밥과 비슷하게 까끌한 식감이나 맛을 느낄 수 있다.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면 다름아닌 폭풍설사. 곤약의 주성분인 글루코만난이 일종의 사하제 역할을 하기 때문에 곤약밥을 너무 많이 먹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3. 종류

물과 함께 비닐팩에 담겨져 파는 제품과 쌀처럼 건조한 알갱이 모습인 제품이 있다. 거의 100% 곤약이라 칼로리가 거의 없는 전자와 달리, 후자의 경우 탄수화물 그 자체인 타피오카 전분과 혼합해 만들며 곤약의 비율이 15~20% 남짓에 불과하기 때문에 칼로리가 훨씬 높다. 즉 다이어트용이라면 전자를 구매해야하는 셈.

대신 전자에 비해 관리가 쉽고 곤약 특유의 비린내가 없다는 장점이 있으니[1] 원하는 대로 골라서 사면 될 것이다.


[1] 물에 헹군 후 한 번 끓이면 냄새가 크게 줄어들긴 하지만, 그래도 냄새에 예민한 사람은 꺼리는 경우가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