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자두야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누룽지(안녕 자두야) 문서
, 원신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마르코시우스 문서
참고하십시오.가마치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치킨 체인점에 대한 내용은 가마치통닭 문서 참고하십시오.🍚 밥의 종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밥짓는 재료 | 귀리밥 · 기장밥 · 가지밥 · 감자밥 · 고구마밥 · 곤드레밥 · 곤약밥 · 녹두밥 · 메밀밥 · 밀밥 · 백미밥 · 당근밥 · 대추밥 · 대통밥 · 두부밥 · 밤밥 · 비지밥 · 보리밥 · 수수밥 · 은행밥 · 인조고기밥 · 옥수수밥 · 율무밥 · 자굴밥 · 자미밥 · 조밥 · 지라 바트 · 찰밥 · 콩밥 (완두콩밥) · 클로렐라밥 · 팥밥 · 피밥 · 해초밥 · 현미밥 · 호밀밥 · 홍미밥(앵미밥 및 적미밥) · 흑미밥 | |
국밥 | 굴국밥 · 돼지국밥 · 따로국밥 · 소머리국밥 · 수구레국밥 · 순대국밥 · 짬뽕밥 · 콩나물국밥 · 평양온반 · 라면밥 | ||
김밥 | 김치김밥 · 돈가스김밥 · 불고기김밥 · 야채김밥 · 제육김밥 · 참치김밥 · 충무김밥 · 치즈김밥 | ||
덮밥 | 김치덮밥 · 돈부리(가루비동 · 가츠동 · 규동 · 산마이니쿠동 · 오야코동 · 우나기동 · 텐동 · 텐신항) · 라면덮밥 · 삼겹살덮밥 · 스팸마요 · 오므라이스 · 오징어덮밥 · 잡채밥 · 제육덮밥 · 짜장밥 · 참치마요 · 치킨마요 · 카레라이스 · 카오 니아오 마무앙 · 컵밥 · 페이조아다 · 하이라이스 · 회덮밥 · 피자 라이스 볼 | ||
볶음밥 | 김치볶음밥 · 까오팟 · 나시고렝 · 비르야니 · 삼선볶음밥 · 아메리칸 프라이드 라이스 · 야채볶음밥 · 잠발라야 · 차오판 · 파에야 · 필라프 · 황금 볶음밥 | ||
비빔밥 | 꼬막비빔밥 · 돌솥비빔밥 · 멍게비빔밥 · 산채비빔밥 · 새싹비빔밥 · 육회비빔밥 · 전주비빔밥 · 중화비빔밥 · 진주비빔밥 · 콩나물비빔밥 · 해주비빔밥 · 계란밥 · 묵밥 · 알밥 | ||
주먹밥 | 무스비 · 밥버거 · 삼각김밥 · 수플리 · 아란치니 | ||
쌈밥 | 김쌈 · 우렁쌈밥 · 제육쌈밥 | ||
초밥 | 군칸마키 · 노리마키 · 니기리즈시 · 유부초밥 · 캘리포니아 롤 | ||
기타 | 백반 · 고두밥 · 고봉밥 · 공깃밥 · 누룽지(누룽지탕 · 기리탄포 · 타딕) · 미음 · 죽 · 치밥 · 떡 | }}}}}}}}} |
최신식 누룽지 만드는 공장을 촬영한 영상[1] |
<color#eee> 스낵 누룽지 제조기 설명영상[2] |
1. 개요
가마솥 바닥에 눌어붙은 밥을 총칭하는 것. 사투리로는 '깜밥', '깐밥'[3], '깡개밥', '깡개', '누룽갱이', '가마치'[4] 등으로 불린다. 일부러 프라이팬에 구워서 만드는 경우도 있긴 하지만 어쨌건 대부분은 '밥하다가 생긴 부산물'이다. 전기밥솥이 보급되기 전 가마솥이 대세였던 시절에는 밥을 할 때마다 누룽지가 반드시 생기기 마련인지라 여러가지 용도로 쓰곤 했다.쌀의 종류에 따라 백미누룽지, 현미누룽지 로 나뉜다.
2. 설명
대개 가마솥에 눌은 누룽지에다가 물을 넣고 끓여서 숭늉을 만드는 게 일반적이고 누룽지탕같은 요리에 쓰거나 말려서 보관해뒀다가 과자처럼 먹는 경우도 있었다. 숭늉 끓일 때 밥과 누룽지를 좀 넉넉히 남겨두고 끓인 다음 긁어먹는 것을 따로 눌은밥이라고 한다. 군대에서는 일부 전투식량으로 썼다.누룽지는 과자가 없던 시절 아이들의 주요 간식거리였기 때문에 고연령층에겐 추억의 상징이다. 뻥튀기 장수에게 맡기면 누룽지 뻥튀기[5]를 만들어주었다.
먹어보면 고소하면서도 아주 미묘한 단맛이 느껴져서 대다수의 사람들이 무척 좋아한다. 그대로의 누룽지도 맛있지만 프라이팬에 살짝 구워서 설탕을 묻히면 더 맛있다. 특이한 케이스로 라면 스프를 뿌려먹는 경우도 있다. 기름에 튀겨 즐기는 사람도 많다.
하지만 전기밥솥이 대중화된 이후로는 아주 시골 동네 내지는 가마솥밥 전문점 같은 곳이 아니면 제대로 된 누룽지를 보기 힘들어졌다. 기술의 발달로 전기밥솥으로도 어느 정도는 누룽지를 만들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철판에 그냥 밥을 얇게 펴서 구워서 만드는 약식 누룽지같은 것도 있는데, 슈퍼마켓 같은데서 포장되어 파는 누룽지는 대부분 이런 스타일. 이는 가마솥에 제대로 만들어진 누룽지의 맛과 어느정도 흡사하기는 하지만, 실제로 먹어보면 부산물로 생성되는 누룽지는 보통 수분이 약간 남아있고, 제품화된 누룽지는 완전히 건조된 상태라서 질감부터 다르고 차이가 없는 것은 아니다.
때문에 직접 만든 누룽지를 먹고 싶다면 즉석밥이나 집에 남은 밥 한 컵 정도를 프라이팬에 물 반컵 쯤과 함께 넣고 끓이다가, 중약불로 줄여서 구우면 파는 누룽지보다 훨씬 맛있는 누룽지를 완성할 수 있다.
다이어트 식품으로도 각광받는 모양. 기본적으로 수분이 매우 적은 음식이다보니 조금만 먹어도 시간이 지나면 뱃속에서 빵빵하게 불어나기 때문에 포만감이 상당히 오래 유지되기 때문이다. 특히 숭늉을 만들어 먹으면 물을 흡수하여 빵빵해지기 때문에 포만감이 더해진다. 물론 누룽지는 밥, 탄수화물 그 자체이기 때문에 사실상 밥 먹는거랑 똑같다.
다만 굉장히 딱딱하기 때문에 치아에 문제가 있는 사람이나 노인들은 취식시 주의해야 한다. 냄비에 끓여서 누룽밥을 만들거나 뜨거운 물에 불리기라도 하는 편이 좋다. 누룽지를 우려내서 숭늉을 만들어 마시기도 한다. 시중에서 누룽지차가 많이 팔린다.
돌솥밥을 취급하는 식당에서는 대부분 밥을 먼저 공기에 떠내고, 솥 밑의 누룽지에 뜨거운 물을 부어 숭늉과 누룽지죽을 먹을 수 있도록 한다. 일부 식당에선 남은 양념으로 볶음밥을 할 때 누룽지 형태로 만들기도 하는데, 고소한 맛과 감칠맛이 조화를 이루어 괜찮다고 한다. 어떤 데는 누룽지를 말아서 롤 형태로 주는 데도 있다.[6]
3. 해외의 누룽지
자세한 내용은 누룽지/세계 문서 참고하십시오.누룽지처럼 밥이 눌어붙는다던지, 밥을 일부러 굽거나 튀기는 요리는 한국뿐 아니라 아프리카, 아메리카, 유럽 일부에도 있다.
4. 기타
쥬니버에서 잘 찾아보면 효도하자닷컴이 매월 8일 누룽지 데이라고 효도 관련으로 엮은게 있었다. 누룽지 데이 관련 노래도 있었는데 쥬니버 개편 때문에 사이트 내에선 어디있는지 찾기 힘들다. 대신 쥬니버 플래시극장이라는 컨텐츠에 누룽지데이라는 항목에 효도관련 플래시 애니메이션들이 있다.현미가 뜨면서 현미밥으로 만든 누룽지를 파는 브랜드가 많이 늘었다. 브랜드는 많지만 형태는 직사각형으로 똑같다.
누룽지맛 사탕이 옛날부터 쭉 나오고 있다. 한국인에게는 박하 사탕 등과 함께 사탕하면 가장 친숙한 물건들 중에 하나일 것이다. 물론 사탕이기 때문에 설탕을 추가해서 맛은 실제 누룽지와는 꽤 차이가 나는 편.
누룽지가 가마솥에 한 밥맛을 좋게 하는 비결 중 하나라는 주장도 있는데, 눌어붙으면서 생긴 구수한 내음이 밥에 스며든다고 한다. 밥맛만 봐도 가마솥에 한 것인지 아닌지를 알 수 있는 사람들도 있다고 한다.
1990년대 중반에 가정용 누룽지 제조기가 만들어진 적이 있다. 주로 홈쇼핑에서 판매되었으며, 밥을 열판 위에 놓고 와플기계처럼 눌러서 굽는 방식의 도구였다.
과거엔 일부 식당들이 손님들이 남기고 간 남은 찬밥들을 모아다가 물로 대충 씻어 누룽지를 만들어 내놓는 일도 있었는데, 소비자 고발에서 취재하면서 세상에 알려진 뒤에는 이런 식당은 거의 없다고 보면 될 듯.
옛날 서당에서 천자문을 외던 학동들이 '하늘 천 따 지 깜 밥 눌은 밥'이라고 하거나 '하늘 천 따 지 가마솥에 누룽지
페이트 엑스트라 CCC에 등장하는 세이버 브라이드를 누룽지라고도 부른다. 또 다른 별명은 신부 세이버.
원신의 향릉의 소환수 국내 공식 명칭이 누룽지다.
마이너하지만 누룽지를 영어로 바비브라운이라고 하는 언어유희도 있다. '밥이(바비) + 브라운' 이런 식. 서양에서 밥은 로버트 약자로 많이 쓰이고, 브라운도 이름으로 꽤 쓰이는지라 실제로 바비 브라운이라는 서양인들도 존재한다.
팔꿈치 부분에 각질이 생겨 거뭇거뭇하게 색소 침착이 된 것을 누룽지라고 부르기도 한다. 때문에 지식IN 등지에서는 팔꿈치 누룽지 제거 (각질 제거)는 어떻게 하냐는 질문을 심심치 않게 찾아볼 수 있다.
바삭한 누룽지 먹는 소리가 본인은 모르지만 주변 사람들에게 상당한 민폐다. 사람들에 따라 뼈 부러지는 소리로 들리기도 한다고. 실제로 감자칩이나 나쵸 저리 가라 할 정도로 소음이 노골적이다.
평생소원이 누룽지라는 말이 있다. 요구하는 것이 너무 하찮을때 쓰는 속담이다.
백미 누룽지는 당뇨병 환자에게는 혈당을 빠르게 올리는 고혈당 식품이라 권장하지 않는다.# 현미누룽지는 당뇨식으로 권장되고 있다.
[1] 이렇게 아주 얇게 압착해 누룽지로 만들어 비닐포장해 동네 카페같은 곳에도 1천원 정도의 가격에 판매한다. 현미를 많이 쓰고, 매우 얇아서 부서지기는 쉽지만 대신 보통 누룽지가 너무 단단해서 씹을 수가 없던 노인, 유아들도 먹을 수 있어서 이 방식의 누룽지가 인기를 얻고 있다. 해외에서도 뻥튀기보다 조금 더 바삭한 맛의 이 누룽지를 나초처럼 먹는 방식도 생겨났다.[2] 업소에서 쓰는 누룽지기계는 반자동 혹은 자동방식으로 대량생산에 적합하다. 공압실린더를 이용해 밥을 얇게 눌러 굽는 방식이다. 해당 영상의 누룽지 제조기는 미곡간의 '누룽솥 플러스'이다.[3] 전북특별자치도, 전라남도, 광주 등 전라도 지역에서 이렇게 부른다.[4] 이북 지역의 사투리.[5] 이걸로 중화요리 누룽지탕을 만들 수 있다.[6] 이 경우 바닥에 달라붙은 누룽지를 완벽하게 떼어내야 하기 때문에 솥으로 만드는 전통제조법으로는 불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