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7 13:06:48

파주삼릉

공순영릉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color: #ffd400; min-height: 33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목조 효공왕후 익조 정숙왕후
덕릉德陵 안릉安陵 지릉智陵 숙릉淑陵
도조 경순왕후 환조 의혜왕후
의릉義陵 순릉純陵 정릉定陵 화릉和陵
태조 신의왕후 신덕왕후 정종, 정안왕후
건원릉健元陵 제릉齊陵 정릉貞陵 후릉厚陵
태종, 원경왕후 세종, 소헌왕후 문종, 현덕왕후 단종
헌릉獻陵 영릉英陵 현릉顯陵 장릉莊陵
정순왕후 세조, 정희왕후 덕종, 소혜왕후 예종, 안순왕후
사릉思陵 광릉光陵 경릉敬陵 창릉昌陵
장순왕후 성종, 정현왕후 공혜왕후 제헌왕후
공릉恭陵 선릉宣陵 순릉順陵 회릉懷陵
연산군, 거창군부인 중종 단경왕후 장경왕후
연산군묘燕山君墓 정릉靖陵 온릉溫陵 희릉禧陵
문정왕후 인종, 인성왕후 명종, 인순왕후 선조, 의인왕후, 인목왕후
태릉泰陵 효릉孝陵 강릉康陵 목릉穆陵
공성왕후 광해군, 문성군부인 원종, 인헌왕후 인조, 인열왕후
성릉成陵 광해군묘光海君墓 장릉章陵 장릉長陵
경기 [[남양주시|{{{#bf1400
효종, 인선왕후 현종, 명성왕후 장렬왕후 숙종, 인현왕후, 인경왕후
영릉寧陵 숭릉崇陵 휘릉徽陵 명릉明陵
인경왕후 옥산부대빈 경종, 선의왕후 단의왕후
익릉翼陵 대빈묘大嬪墓 의릉懿陵 혜릉惠陵
영조, 정순왕후 정성왕후 진종, 효순왕후 장조, 헌경왕후
원릉元陵 홍릉弘陵 영릉永陵 융릉隆陵
정조, 효의왕후 순조, 순원왕후 문조, 신정왕후 헌종, 효현왕후, 효정왕후
건릉健陵 인릉仁陵 수릉綏陵 경릉景陵
철종, 철인왕후 고종, 명성황후 순종, 순명효황후, 순정효황후
예릉睿陵 홍릉洪陵 유릉裕陵
폐지된 능호
소릉昭陵 | 회릉懷陵 | 숙릉肅陵 | 성릉成陵 | 문릉文陵
}}}}}}}}}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205호
파주 삼릉
坡州 三陵
Three Royal Tombs, Paju
<colbgcolor=#315288><colcolor=#fff> 소재지 경기도 파주시 조리읍 삼릉로 89 (봉일천리)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 왕실무덤 / 조선시대
교통 파일:GJLine_icon.svg 금촌역[1], 버스 이용은 교통항목 참조
지정연도 1970년 5월 26일
관리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 조선왕릉서부지구관리소
파일:파주삼릉 전체보기.png
파주 삼릉 안내도

1. 개요2. 공릉(恭陵)3. 순릉(順陵)4. 영릉(永陵)5. 교통

[clearfix]

1. 개요

경기도 파주시 조리읍에 위치한 조선왕릉 군(群)이다. 사적 제205호로 지정되었으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도 지정되었다. 공릉(恭陵), 순릉(順陵), 영릉(永陵) 총 3개의 능이 자리잡고 있어서 공순영릉이라고도 불린다. 총 3개의 왕릉이 위치한 나름 큰 왕릉군이지만[2], 2개의 능은 젊은 나이에 일찍 요절하였던 왕비의 능(참고로 둘 다 한명회의 딸), 다른 1개의 능은 추존왕과 왕비를 모아놓은 능이고, 안장되어 있는 무덤의 주인들이 역사적으로 큰 주목을 받고 있지 못한 인물들이다 보니 동구릉이나 서오릉, 서삼릉 등 여타 조선왕릉 군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인지도가 낮다.

홈페이지

파주삼릉의 조성 역사는 대략적으로 아래와 같은데, 1462년부터 1908년까지 조성이 이루어졌다.

2. 공릉(恭陵)

파일:파주 삼릉_공릉_능침 전경(궁능유적본부)-min.jpg

조선 8대 국왕 예종의 정비인 장순왕후의 능이다. 자세한 내용은 공릉 문서로.

3. 순릉(順陵)

파일:파주 삼릉_순릉_능침 전경(궁능유적본부)-min.jpg

조선 9대 국왕 성종의 정비인 공혜왕후의 능이다.

4. 영릉(永陵)

파일:파주 삼릉_영릉_능침 전경(궁능유적본부)-min.jpg
조선왕조의 추존왕인 진종과 추존왕비인 효순왕후를 모신 쌍릉이다.

세종대왕소헌왕후를 모신 영릉(英陵)효종인선왕후를 모신 영릉(寧陵)과는 한자가 다르니 유의하자.

5. 교통


[1] 허나 거리는 약 6.5km 가량이라 버스 환승이 권장된다.[2] 조선왕릉 군중에서 이보다 큰 왕릉군은 동구릉, 서오릉, 서삼릉 세 개 뿐이다. 보통 왕릉군은 2개의 릉이 있는게 대부분이며 그게 너무 많아서 이릉(二陵)이라고 불리는 곳은 없다. 2개보다 더 많은 조선왕릉군은 동구릉, 서오릉, 서삼릉, 파주삼릉이 전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