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구석기시대 | 상원 검은모루동굴 유적, 덕천 승리산동굴 유적[1], 만달리 유적, 연천 전곡리 유적[2], 공주 석장리 유적[3], 두루봉동굴 유적[4] |
신석기시대 | 서울 암사동 유적, 반구천의 암각화 (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울주 천전리 암각화 ), 제주 고산리 유적[5], 양양 오산리 유적[6] | |
청동기시대 | 고창, 화순, 강화의 고인돌 유적 ( 고창 죽림리 지석묘군, 화순 효산리와 대신리 지석묘군, 강화 부근리 지석묘 ), 부여 송국리 유적[7], 대구 진천동 입석, 사월동지석묘군, 속초 조양동 유적 | |
초기 철기시대 | 광주 신창동 유적 | |
연속적 시대 | 대전 둔산 선사유적지구석기~청동기, 하남 미사리 유적신석기~철기, 굴포리 서포항 유적구석기~청동기[8] | |
기타 | 패총 유적 목록 | |
※ 문서가 있는 경우만 서술. 밑줄은 세계유산. | ||
| }}}}}}}}} |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777777,#555555> 평양시 | 평양성 (대동문 / 보통문 / 연광정 / 전금문) · 숭령전 |
고구려 고분군 (호남리 사신총) · 광법사 · 안학궁 · 대성산성 · 청암리 사지 & 청암리 토성 | ||
고구려 고분군 (동명왕릉 / 진파리 고분군) · 정릉사 | ||
법운암 | ||
룡화사 · 평양성 (부벽루 / 을밀대 / 최승대 / 칠성문 / 현무문) | ||
단군릉 | ||
개성시 | 개성의 역사 기념물과 유적 (개성 성균관 / 개성 남대문 & 개성성 / 숭양서원 / 선죽교 / 만월대 / 현릉 / 현정릉) · 해선리 고려왕릉 · 관음사 · 영통사 · 흥국사 · 목청전 | |
남포시 | 고구려 고분군 (강서삼묘 (강서대묘) / 덕흥리 벽화분 / 룡강대총 / 수산리 벽화분 / 쌍영총 / 약수리 벽화분) | |
라선시 | 굴포리 서포항 유적 | |
강원도 | 보덕암 · 총석정 · 표훈사 · 신계사 · 장안사 · 유점사 · 석왕사 · 정양사 · 고성행궁 | |
자강도 | 인풍루 · 보현사 · 상원암 | |
평안남도 | 강선루 · 고구려 고분군 (덕화리 고분군) · 백상루 · 법흥사 | |
평안북도 | 약산동대 · 영변행궁 · 통군정 · 귀주성 · 의주 남문 | |
함경남도 | 함흥본궁 · 황초령비 · 마운령비 · 귀주사 · 함흥읍성 | |
함경북도 | 개심사 · 북관대첩비 | |
황해남도 | 고구려 고분군 (안악 1호분 / 안악 2호분 / 안악 3호분) · 패엽사 | |
황해북도 | 성불사 | |
공통 | 천리장성 | |
}}}}}}}}} |
1. 개요
굴포리 유적은 함경북도 라선시 굴포리에서 발견된 선사 시대 유적이다. 특히 해방 이후 한반도에서 최초로 발견된 구석기 시대 유적으로, 한반도에는 구석기 시대가 없었다는 일제강점기 학설을 깨고 한국에도 구석기 유적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국내외에 널리 알렸다.사료로 쓰려 조개무지를 파내다 드러나 1960~64년 북한 사회과학원 고고학 및 민속학 연구소가 다섯 차례에 걸쳐 발굴 조사하였다.※ 그리고 이후 신석기, 청동기 시대 유적도 속속 나왔다.2. 상세
굴포리 유적에서는 구석기 시대, 신석기 시대, 청동기 시대 문화층이 각각 발견되었다.구석기 문화층에서는 밀개, 땐석기, 긁개, 몸돌 등의 석기가 발견되으며, 신석기 문화층에는 움집터의 유구가 출토되었다. 청동기 문화층에서는 움집터와 무덤들이 출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