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2 05:43:58

연산

닫혀 있다에서 넘어옴
1. 수학의 용어
1.1. 정의1.2. 단항연산1.3. 이항연산1.4. 항등원과 역원1.5. 교환법칙과 결합법칙1.6. 닫혀 있다1.7. 관련 항목
2. 조선의 제10대 임금 연산군봉호3. 대한민국의 지명

1. 수학의 용어

[[대수학|대수학
Algebra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이론
기본 대상 연산 · 항등식(가비의 이 · 곱셈 공식(통분 · 약분) · 인수분해) · 부등식(절대부등식) · 방정식(/풀이 · (무연근 · 허근 · 비에트의 정리(근과 계수의 관계) · 제곱근(이중근호 · 개방법) · 환원 불능) · 부정 · 불능) · 비례식 · 다항식 · 산술(시계 산술)
수 체계 자연수(소수) · 정수(음수) · 유리수 · 실수(무리수(대수적 무리수 · 초월수) · 초실수) · 복소수(허수) · 사원수 · 팔원수 · 대수적 수 · 벡터 공간
다루는 대상과 주요 토픽
대수적 구조
군(group) 대칭군 · 기본군 · 자유군 · 리 군 · 괴물군 · 점군 · 순환군 · 군의 작용 · 동형 정리 · 실로우 정리
환(ring) 아이디얼
체(field) 갈루아 이론 · 분해체
대수 가환대수 · 리 대수 · 불 대수(크로네커 델타)
마그마·반군·모노이드 자유 모노이드 · 가환 모노이드
선형대수학 벡터 · 행렬 · 텐서(텐서곱) · 벡터 공간(선형사상) · 가군(module) · 내적 공간(그람-슈미트 과정 · 수반 연산자)
정리·추측
대수학의 기본정리 · 나머지 정리 · 유클리드 호제법 · 부분분수분해 · PID 위의 유한생성 가군의 기본정리 · 산술·기하 평균 부등식 · 바이어슈트라스 분해 정리 · 호지 추측미해결 · 가환대수에서의 호몰로지 추측미해결
관련 하위 분야
범주론 함자 · 수반 · 자연 변환 · 모나드 · 쌍대성 · 토포스 이론 · 타입 이론
대수 위상수학 연속변형성 · 사슬 복합체 · 호몰로지 대수학(호몰로지 · 코호몰로지) · mapping class group · 닐센-서스턴 분류
대수기하학 대수다양체 · · 스킴 · 에탈 코호몰로지 · 모티브
대수적 정수론 타원곡선 · 디오판토스 방정식 · 유리근 정리 · 모듈러성 정리
가환대수학 스펙트럼 정리
표현론 실베스터 행렬
기타 및 관련 문서
수학 관련 정보 · 추상화 · 1학년의 꿈 · 노름 · 혼합계산 · 분배법칙 · 교환법칙 · 결합법칙 · 교재 }}}}}}}}}

연산
Numbers and Operations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765432> 수 체계 자연수 (홀수 · 짝수 · 소수 · 합성수) · 정수 · 유리수 (정수가 아닌 유리수) · 실수 (무리수 · 초월수) · 복소수 (허수) · 사원수
표현 숫자 (아라비아 숫자 · 로마 숫자 · 그리스 숫자) · 기수법(과학적 기수법 · E 표기법 · 커누스 윗화살표 표기법 · 콘웨이 연쇄 화살표 표기법 ·BEAF· 버드 표기법) · 진법 (십진법 · 이진법 · 8진법 · 12진법 · 16진법 · 60진법) · 분수 (분모 · 분자 · 기약분수 · 번분수 · 연분수 · 통분 · 약분) · 소수 {유한소수 · 무한소수 (순환소수 · 비순환소수)} · 환원 불능 · 미지수 · 변수 · 상수
연산 사칙연산 (덧셈 · 뺄셈 · 곱셈 구구단 · 나눗셈) · 역수 · 절댓값 · 제곱근 (이중근호) · 거듭제곱 · 로그 (상용로그 · 자연로그 · 이진로그) · 검산 · 연산자 · 교환자
방식 암산 · 세로셈법 · 주판 · 산가지 · 네이피어 계산봉 · 계산기 · 계산자
용어 이항연산(표기법) · 항등원과 역원 · 교환법칙 · 결합법칙 · 분배법칙
기타 수에 관련된 사항 (0과 1 사이의 수 · 음수 · 작은 수 · 큰 수) · 혼합 계산 (48÷2(9+3) · 111+1×2=224 · 2+2×2) · 0으로 나누기(바퀴 이론) · 0의 0제곱 }}}}}}}}}

1.1. 정의

연산(, operation)은 수학에서 하나 이상의 피연산자를 연산자의 정의에 따라 계산하여 하나의 결과값을 도출해 내는 과정을 말한다. 피연산자가 1개일 경우 단항연산, 2개일 경우 이항연산, n개일 경우 n항연산이라고 한다. 단항연산은 함수에 대응되는 개념이며 n항연산은 n개의 정의역으로 1개의 치역을 도출하는 사상에 대응되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math(A_1\times A_2\times{\cdots}\times A_n\rightarrow B)]

예를 들면 [math(1+2=3)]에서 [math(1)]과 [math(2)]가 피연산자, [math(+)]가 연산자, [math(3)]이 결과값이라고 할 수 있다.

가장 유명한 연산으로 사칙연산을 꼽을 수 있다.

1.2. 단항연산

피연산자가 하나인 연산. 부호 반전이나 역수, 절대값 기호 [math(\left| \cdot \right|)][1]최대 정수 함수 [math(\lfloor \cdot \rfloor)][2], 최소 정수 함수 [math(\lceil \cdot \rceil)], 그리고 여집합 연산 [math(\complement A)][3] 등이 있다. 복소수에서는 실수부와 허수부를 추출하는 [math(\Re(z), \Im(z))][4]가 있다.
지수는 형태상으로 단항연산으로 착각하기 쉽지만 이항연산이다. 밑과 지수 두 피연산자를 받는다.

1.3. 이항연산

사칙연산을 비롯하여 거듭제곱(및 거듭제곱근), 테트레이션(tetration)[5] 등이 있다.

정말 특이한 연산[6]을 빼고는 삼항연산부터는 정의할 의미가 없는 게, [math(A+B+C)] 같은 연산은 일단 [math(A+B)]를 구한 뒤 거기다가 [math(+C)]를 하면 되기 때문에 결국엔 이항연산으로 환원된다.

1.4. 항등원과 역원

연산 [math(◎)]에 대해 [math(a\mathbin◎e=e\mathbin◎a=a)]가 성립할 때, [math(e)]를 [math(◎)]의 항등원이라고 한다. 덧셈의 항등원은 [math(0)], 곱셈의 항등원은 [math(1)]이다. 사칙연산이 아닌 연산자에 대해서도 항등원이라는 개념을 적용할 수 있는데, 컨볼루션([math(\ast)])의 항등원은 디랙 델타 함수 [math(\delta (t))]가 될 수 있겠다.

연산 [math(◎)]과 [math(◎)]의 항등원 [math(e)]에 대해 [math(a\mathbin◎x=x\mathbin◎a=e)]가 성립할 때, [math(x)]를 [math(◎)]에 대한 [math(a)]의 역원이라고 한다. 덧셈에 대한 [math(a)]의 역원은 [math(-a)], 곱셈에 대한 [math(a)]([math(a\ne0)])의 역원은 [math(a^{-1})]이다.

또한, 항등원과 역원의 개수는 달라질수있는데 대표적으로 미분연산자가 있으며, 피연산자에 따라 달라질수도 있다.

1.5. 교환법칙과 결합법칙

연산 [math(◎)]에 대해 [math(a\mathbin◎b=b\mathbin◎a)]가 성립할 때, [math(◎)]는 교환법칙을 만족시킨다고 한다. 또한 연산 [math(◎)]에 대해 [math((a\mathbin◎b)\mathbin◎c=a\mathbin◎(b\mathbin◎c))]가 성립할 때, [math(◎)]는 결합법칙을 만족시킨다고 한다. 덧셈과 곱셈은 복소수 범위에서 교환법칙과 결합법칙이 성립하나, 뺄셈과 나눗셈은 그렇지 않다.

1.6. 닫혀 있다

연산 [math(◎)]이 정의된 집합 [math(A)]의 부분집합 [math(B)]의 임의의 원소 [math(a)]와 [math(b)]에 대해, [math(a\mathbin◎b)] 역시 [math(B)]에 속할 때, [math(◎)]는 [math(B)]에 대해 닫혀 있다고 표현한다.

1.7. 관련 항목

2. 조선의 제10대 임금 연산군봉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연산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대한민국의 지명


[1] 절대값 기호 속에 들어가는 수, 행렬, 벡터 등등을 정의에 따라 실수로 변환해 주는 연산. 이것을 일반화한 개념이 노름이다.[2] 안에 들어간 실수의 소수점 이하 부분을 제거하여 정수로 만드는 연산.[3] 중등교육과정에서는 [math(A^c)]가 친숙할 것이다.[4] 고등학교/대학교 학부 수준에는 [math(\mathrm{Re}(z), \mathrm{Im}(z))] 형태로 배우는데 [math(\Re(z), \Im(z))]가 비교적 낯선 형태이기 때문이다. 왠지 외계문자 같은 느낌도 있다. 참고로 [math(\Im)]는 허수부(Imaginary part)의 앞글자를 딴 I이다.[5] [math(x^x)]를 [math(x\uparrow\uparrow2)], [math(x^{x\uparrow\uparrow2})]를 [math(x\uparrow\uparrow3)]과 같은 식으로 정의하는 연산. 지수로는 나타낼 수 없는 매우 큰 수를 나타날 때 쓰인다.[6] 행렬이나 연산, 적분[7] 연산군의 연산이 이 지명에서 붙어졌다. 통일신라 시대 붙여진 지명이며 고려시대에 문의군(文義)으로 개칭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