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육군 · 해군 · 공군 · 해병대 · 우주군 | <rowcolor=#000> 초대 | 2대 | 3대 | 4대 | 5대 |
<rowcolor=#000> 6대 | 7대 | 8대 | 9대 | 10대 | |
<rowcolor=#000> 11대 | 12대 | 13대 | 14대 | 15대 | |
<rowcolor=#000> 16대 | 17대 | 18대 | 19대 | 20대 | |
<rowcolor=#000> 21대 | 22대 | 23대 | 24대 | 25대 | |
<rowcolor=#000> 26대 | 27대 | 28대 | 29대 | 30대 | |
<rowcolor=#000> 31대 | 32대 | 33대 | 34대 | 35대 | |
<colbgcolor=#003458><colcolor=#f7e400> 미합중국 제6대 캐리비안 사령관 로버트 몬태규 Robert Montague | |||
| |||
본명 | 로버트 밀러 몬태규 Robert Miller Montague | ||
출생 | 1899년 8월 7일 | ||
오리건주 포틀랜드 | |||
사망 | 1958년 2월 20일 (향년 58세) | ||
파나마 발보아 | |||
묘소 | 알링턴 국립묘지 | ||
재임기간 | 제6대 캐리비안 사령관 | ||
1957년 1월 ~ 1958년 2월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3458><colcolor=#f7e400> 임관 | 미국육군사관학교 | |
복무 | 미합중국 육군 | ||
1918년 ~ 1958년 | |||
최종 계급 | 중장 (미합중국 육군) | ||
주요 참전 |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 ||
주요 서훈 | 육군공로훈장 미국 공로훈장 동성훈장 | }}}}}}}}} |
1. 개요
미국의 군인.2. 생애
오리건주 포틀랜드에서 태어났고 1918년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포병 소위로 임관했다. 직접 전투에 참전하진 않았으나 전선을 시찰했다. 귀국 후 OBC를 수료했고 육군사관학교 교관을 지내다가 OAC를 수료했다. 1938년 지휘참모학교를 수료했다.2차 대전 당시 1944년 제83보병사단 포병연대장으로 유럽전선에 투입되었고 전시계급 준장까지 진급했다. 종전 후 원 계급 중령으로 환원했고 방공포병사령관, 샌디아미사일사령관, 유럽사령부 작전부장, 본토육군부사령관, 제1군단장을 역임했다.
1957년 캐러비안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재직 중 대장쪽의 병이 악화되어 입원했으나 회복하지 못하고 1958년 사망했다.
3. 여담
- 아들인 로버트 몬태규 주니어도 군인이 되었고 베트남 전쟁에 참여했으며 최종계급은 준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