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9 20:03:26

롯데주류

롯데주류BG에서 넘어옴
파일:롯데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60012><colcolor=#fff> 대한민국 계열사
지주
회사
롯데지주 | 롯데인재개발원 | 롯데헬스케어 | 롯데바이오로직스
식품 롯데웰푸드 (롯데웰푸드 파스퇴르) | 롯데칠성음료 (롯데주류 | 충북소주) | 롯데아사히주류 | 롯데네슬레 | 롯데피플네트웍스 | 롯데중앙연구소 | 롯데GRS (롯데리아 | 엔제리너스 커피) | 길리안
유통 롯데쇼핑 (롯데백화점 | 롯데ON | 롯데아울렛 | 롯데몰 | 롯데마트 | 롯데마트 맥스 | 롯데슈퍼 | 롯데GFR | 에프알엘코리아 | 무인양품 | 자라리테일코리아 | 토이저러스 | 인천종합터미널) | 롯데상사 | 롯데하이마트 | 롯데홈쇼핑 (벨리곰) | 롯데컬처웍스 (롯데시네마 | 롯데엔터테인먼트 | 샤롯데씨어터) | 롯데멤버스 | 코리아세븐 (롯데CVS711)
화학·
건설·
제조
롯데케미칼 (롯데정밀화학 | 케이피켐텍) | 롯데이네오스화학 | 롯데건설 (롯데캐슬 | 르엘) | 롯데CM사업본부 | 한샘 | 롯데기공 | 롯데알미늄 (롯데인프라셀 | 롯데패키징솔루션즈) | 롯데엠시시 | 한국후지필름 |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관광·
서비스·금융
대홍기획 | 호텔롯데 (서울 | 월드 | 제주 | 울산 | 시그니엘 | 시티호텔 | L7호텔 | 롯데면세점 | 롯데리조트 | 롯데월드 (롯데월드 어드벤처 | 롯데월드 어드벤처 부산) | 서울스카이 | 아쿠아리움 | 롯데워터파크) | 부산롯데호텔 | 롯데물산 (롯데월드타워 | 부산롯데타워 | 롯데월드몰) | 롯데글로벌로지스 | 롯데렌탈 (롯데렌터카 | 그린카) | 롯데이노베이트 | 롯데JTB | 롯데캐피탈 | 롯데자산개발 | 롯데스카이힐CC | 롯데자이언츠 | 롯데미래전략연구소
재단 롯데문화재단 (롯데뮤지엄 | 롯데콘서트홀) | 롯데재단 (롯데장학재단 | 롯데복지재단 | 롯데삼동복지재단)
파일:롯데(일본) 로고 화이트.svg 일본 계열사
롯데홀딩스 | 롯데 | 광윤사 | 롯데시티호텔 | 롯데물산 | 롯데부동산 | 롯데서비스 | 미도리상사 | 크리스피 크림 도넛 재팬 | 치바 롯데 마린즈 }}}}}}}}}

희석식 소주의 지역별 제조사 및 대표 제품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지역 제조사 대표 제품
<colbgcolor=#F6F6F6,#1F2023>서울, 경기, 인천하이트진로참이슬·진로
강원롯데칠성음료 주류사업부처음처럼·새로
대전, 세종, 충남선양소주맑을린·선양
충북충북소주
(롯데칠성음료 자회사)
시원한 청풍
부산대선주조C1·대선
울산, 경남무학화이트·좋은데이
대구, 경북금복주
광주, 전남보해양조잎새주
전북하이트진로하이트소주
제주한라산한라산}}}}}}}}}
롯데칠성음료 주류BG
파일:롯데칠성음료 로고.svg
부서명 롯데칠성음료(주) 주류영업본부
설립일 1926년[1]
본부장 이동진
본사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269, 5층
(신천동, 롯데캐슬골드)

1. 개요2. 역사3. 역대 총괄대표4. 제품
4.1. 소주4.2. 맥주4.3. 청주4.4. 과실주4.5. 스피리츠4.6. 와인4.7. 기타4.8. 단종
5. 공장

[clearfix]

1. 개요

롯데칠성음료 주류BG의 브랜드로 운영업무는 주류영업본부가 맡는다.

바코드는 제조사별로 3개의 바코드가 구분됐다.

2. 역사

이 브랜드의 역사는 (구)롯데칠성음료 주류 사업부문과 롯데주류BG로 나뉜다. 전자는 1977년 롯데그룹이 세운 '롯데주조'를 모태로 했으며, 1978년 양주 제조업체 멜로즈[2]로부터 생산시설 등을 인수하고 '보드카 하야비치'를 내놓아 사업을 개시했고, 1980년 럼주 '캪틴큐'를 출시해 인지도를 올리기도 했다. 1983년 '조우커'를 출시하고 1985년에 롯데칠성음료와 합병한 후, 1987년 맛술 '미림', 1997년 '스카치 위스키' 등을 각각 시판하기도 했다.

후자 '롯데주류BG'의 경우 국산 삼배증양청주 백화수복을 만든 백화양조와 이 회사의 경영권을 이어받은 두산그룹의 역사와 연관이 있다. 백화양조는 1926년 전라북도 군산시에서 창업했으나 1985년 경영권이 두산그룹으로 넘어갔고 1990년 (주)백화로 사명을 바꾼다. 두산그룹은 백화양조 인수 이전에 이미 비맥주사업을 해왔는데 1977년에 동양맥주를 통해 출시한 순수 국산 와인 '마주앙' 출시가 비맥주부문의 시초다. 이후 두산은 1993년 강원도 강릉시 연고의 소주업체 경월(鏡月)을 인수하며 소주, 맥주, 청주 동시 생산 체제를 갖췄다. 그러나 1998년 두산의 사업구조 개편 과정에서 두산주류BG로 1차 개편됐고 2008년 중공업 분야 집중을 선언한 두산이 주류 사업 일체를 롯데그룹에 넘기면서 롯데주류BG가 됐다. 그리고 2011년 롯데칠성음료와 합병해 산하 사업부로 존속하고 있다.

3. 역대 총괄대표

4. 제품

4.1. 소주

4.2. 맥주

4.3. 청주[3]

4.4. 과실주

4.5. 스피리츠

4.6. 와인

4.7. 기타

4.8. 단종

5. 공장

한때 광주공장에서도 주류 생산 이력이 있었다. 충주공장 한군데는 칠성사이다, 펩시 등의 무알코올 제품도 만든다.
공장명 위치 생산능력
강릉 공장 강원도 강릉시 관솔길 7 20,374kL/년
군산 공장 전라북도 군산시 외항1길 222 80,000kL/년
경산 공장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대구대로 284-33 140,000본/일
충주 1공장 충청북도 충주시 대소원면 기업도시로 82 100,000kL/년
충주 2공장 충청북도 충주시 대소원면 메가폴리스로 87 200,000kL/년


[1] 구 백화양조 설립연도이다.[2] 구 원신상사. 위스키 브랜드 '그렌알바'로 유명함.[3] 모두 주세법상 청주로 분류되는 국산 사케에 해당한다. 주세법상 약주로 분류되는 한국식 청주는 없다.[4] 저가 블렌디드 스카치 위스키. 매장에 따라 한 병에 9900~10900 사이의 가격에 판매되고 있다. 롯데마트는 물론 일부 세븐일레븐 편의점에서도 판매하고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