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5 04:34:43

룸 술탄국

룸 셀주크에서 넘어옴
룸 술탄국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유목 정주 근현대
몽골 유라시아 스텝 스텝 이란 아나톨리아
흉노 돌궐 제국 서돌궐 제국 오구즈 오구즈 야브구국 셀주크 제국 룸 술탄국 아나톨리아 베이국 오스만 제국 튀르키예 공화국 }}}}}}}}}

아나톨리아의 역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상고대 미탄니 히타이트 트로이 미케네 문명
히타이트
신 히타이트 프리기아 리디아, 리키아, 카리아 그리스
(이오니아 / 도리스 / 아이올리스)
신아시리아 제국 리디아
메디아
고전 고대 아케메네스 페르시아
마케도니아 제국
헬레니즘 국가
(안티고노스 / 리시마코스 / 셀레우코스 / 프톨레마이오스 / 아탈로스 / 비티니아 / 갈라티아 / 폰토스 / 카파도키아 / 콤마게네)
로마 제국
{{{#!wiki style="margin: -16px -11px" 중세 동로마 제국
우마이야 칼리파국 동로마 제국
아바스 칼리파국
동로마 제국
셀주크 제국 / 1차 아나톨리아 베이국
(스미르나 / 다니슈멘드 / 멩귀치 왕조 / 아르투크 / 샤아르멘 / 살투크)
킬리키아
아르메니아
룸 술탄국 동로마 제국
룸 술탄국

니케아 제국 라틴 제국 트라페준타
제국
동로마 제국
맘루크 2차 아나톨리아 베이국
(오스만 / 카라만 / 아이딘 / 잔다르 / 게르미얀 / 에레트나 / 멘테셰 /
사루한 / 카라시 / 하미드 / 둘카디르 / 에슈레피 / 자니크 / 아히 형제단)
동로마 제국
라마잔 카라만 / 잔다르 / 둘카디르 오스만 술탄국
}}} ||
근현대 오스만 제국
앙카라 정부
[[튀르키예 독립 전쟁|
그리스
영국
이탈리아
프랑스
]]
튀르키예 공화국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e30a17> 상징 <colcolor=#000,#fff>국가 · 월성기 · 국장
역사 역사 전반 · 히타이트 · 트로이 · 프리기아 · 리디아 · 페르가몬 왕국 · 돌궐 · 서돌궐 · 강거 · 오구즈 · 셀주크 제국 · 아나톨리아 베이국 · 룸 술탄국 · 오스만 제국 · 튀르키예 독립 전쟁
지리 아나톨리아 · 트라키아 · 에게 해 · 보스포루스 해협 · 마르마라 해 · 차낙칼레 해협 · 아라라트 산 · 북쿠르디스탄 · 지진/튀르키예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튀르키예 대통령
외교 외교 전반 · G20 · MIKTA · JUSCANZ · 튀르키예-아제르바이잔 관계 · 튀르키예 여권 · 튀르크어권 국가 기구
경제 경제 전반 · 튀르키예 리라 · 넥스트 일레븐
국방 튀르키예군 · 튀르키예 해군 · NATO · 튀르키예/방위산업
교통 터키항공 · 페가수스 항공 · 이스탄불 공항 · 이스탄불 아타튀르크 국제공항 · 사비하 괵첸 국제공항 · 앙카라 에센보아 공항 · 아드난 멘데레스 국제공항 · 트라브존 공항 · YHT · 이스탄불 지하철 · 차나칼레 1915 대교
문화 문화 전반 · 튀르키예 드라마 · 튀르키예 영화 · 튀르키예 음악 · 요리 · 바클라바 · 로쿰 · 필라프 · 돈두르마 · 튀르크 커피 · 차이 · 페즈 · 공휴일/튀르키예 · 사모바르 · 튀르키예/관광 · 세계유산 · 튀르크리 · YKS
언어 아나톨리아어파 · 튀르키예어 · 튀르키예/언어
스포츠 튀르키예 축구 국가대표팀 · 튀르키예 축구 연맹 · 쉬페르리그 · 튀르키예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 튀르키예 여자 배구 리그 · 튀르키예 농구 국가대표팀 · 터키 그랑프리(이스탄불 파크)
인물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 ·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사회 튀르키예 마피아 · 회색늑대
민족 튀르키예인(러시아계 · 그리스계 · 아르메니아계) · 투르코만 · 튀르키예계 아프리카인 · 튀르키예계 미국인 · 튀르키예계 독일인 · 튀르키예계 러시아인 · 메스케티 튀르크 · 튀르키예계 우크라이나인 · 튀르키예계 일본인 · 튀르키예계 캐나다인 · 튀르키예계 호주인 · 튀르키예계 브라질인 · 튀르키예계 아르헨티나인 · 튀르키예계 영국인 · 튀르키예계 프랑스인 · 튀르키예계 네덜란드인
기타 튀르키예/여담
}}}}}}}}} ||


<colcolor=#fff> 룸 살주크 왕조
سلجوقیان روم
Saljūqiyān-i Rūm
파일:Double-headed_eagle_of_the_Sultanate_of_Rum.svg 파일:Lion_and_Sun_of_the_Sultanate_of_Rum.svg.png
[1] [2]
파일:룸 술탄국 지도.svg
룸 술탄국의 강역
1077년 ~ 1308년
성립 이전 멸망 이후
동로마 제국 아나톨리아 베이국
셀주크 제국 일 칸국
지위 <colbgcolor=#fff>독립국 (1077~1243)
몽골의 봉신국 (1243~1256)
일 칸국의 봉신국 (1256~1308)
위치 아나톨리아
수도 이즈니크 (1077 ~ 1097)
콘야 (1105 ~ 1307)
정치 체제 봉건제
국가 원수 술탄
언어 페르시아어 (정부, 공용어)
초기 아나톨리아 튀르크어 (군대, 유목민)
그리스어 (정교도)
종교 이슬람교 (국교)
그리스 정교 (인구 대다수)
주요 사건 1071년 만지케르트 전투
1077년 셀주크 제국과 분리
1243년 고세 다그 전투
1308년 멸망
언어별 명칭
페르시아어 سلجوقیان روم
(살주키연에 룸)
튀르키예어 Anadolu Selçuklu Devleti
(아나돌루 셀추클루 데블레티)
Rum Sultanlığı
(룸 술탄르으)
영어 Sultanate of Rum

1. 개요2. 역사
2.1. 초창기(1077 ~ 1095)2.2. 십자군 시대와 동로마 제국의 역습(1095 ~ 1180)2.3. 전성기(1180 ~ 1225)2.4. 몽골 제국의 침공과 속국화(1243 ~)2.5. 소멸
3. 역대 술탄

[clearfix]

1. 개요

룸 술탄국은 오늘날 튀르키예가 소재한 아나톨리아 지역에서 1077년 ~ 1308년 존속한 이슬람 왕조이다. 룸(روم)은 아랍어페르시아어로마라는 뜻으로, 동로마 제국의 핵심 영역이었던 아나톨리아에 세운 나라이기 때문에 지방 이름과 나라 이름을 그대로 룸이라고 하였다. 이란의 셀주크 제국에서 갈라져 나온 왕족이 세운 나라였기 때문에 룸 셀주크라고도 하며, 본가 셀주크 왕조와 마찬가지로 튀르크계 유목민이 시초이지만, 페르시아 문화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현대 튀르키예어로는 아나톨리아의 셀추크 일족의 왕국이라는 의미의 아나돌루 셀추클루 데블레티(Anadolu Selçuklu Devleti)나 룸 술탄국(Rum Sultanlığı), 튀르키예에서의 셀주크 왕조 시대라는 뜻의 튀르키예 셀축룰라르(Türkiye Selçukluları) 등이 쓰인다.

2. 역사

2.1. 초창기(1077 ~ 1095)

1071년 동로마 제국의 황제 로마노스 4세만지케르트 전투에서 패배하고 그전부터 소아시아 동부를 왕래하던 튀르크족은 군사적 공백과 로마 내부 분열을 기회로 본격적으로 아나톨리아 동부로 몰려들기 시작한다. 이후 튀르크족은 아나톨리아를 사실상 장악하다시피 했고 셀주크 제국 왕족인 쿠탈므시의 아들 쉴레이만(سليمان بن قتلمش, Kutalmışoğlu Süleyman)이 1075년 아나톨리아 서부의 니케아동로마 제국에게서 빼았고, 2년 후인 1077년에 본국인 셀주크 제국으로부터 독립하게 된다. 이때가 룸 술탄국이라 부르는 튀르크 정치체의 시작점이다. 이 시기에 니케아가 이즈니크(İznik)로 이름이 바뀌었는데, 다른 튀르키예 도시들도 그렇지만 그리스어 발음을 자기식에 맞게 고친 것이다.

다만 초창기의 룸 술탄국은 애매한 정체성과 독특한 외교관계를 가진 불안정한 국가였다. 우선 쉴레이만 1세는 '샤'를 칭했을 지언정 '술탄'을 칭하지도 않았다. 게다가 셀주크 술탄 알프 아르슬란과의 계승 전쟁에서 패배한 쿠탈므쉬의 아들이다보니 본가 혹은 본국이라 할 수 있는 셀주크 제국의 궁정과 사이가 나빴다. 또한 룸 술탄국 내부에는 피정복민인 로마인, 아르메니아인, 유대인들이 상대적으로 다수였고 권력의 근간인 튀르크-무슬림인들은 이방인인 데다가 상대적으로 소수였다. 정교회를 믿는 튀르크인이 수두룩했고, 이교도와 통혼하는 사람도 많았으며 심지어 튀르크 엘리트들이 동로마 제국에 투항하기도 했다.[3] 때문에 룸 술탄국은 셀주크-튀르크 제국(諸國)의 일원으로 볼 수는 있어도 셀주크 제국(帝國)으로 무작정 포함시키기에는 어렵다.

특히 쉴레이만 1세는 적국이었을 동로마 제국의 황제인 니키포로스 3세-알렉시오스 1세와 비교적 우호적인 관계를 맺었는데, 때문에 니케아의 튀르크 군주를 동로마 황제의 반독립적인 봉신-동맹 혹은 두루뭉술하게 '친구', '대리인'으로 보기도 한다. 이러한 독특한 관계 덕에 동로마 황제는 기존 제국령이었던 룸령 아나톨리아에 관리를 파견하고 유목민을 통제하여 제국 경제권을 유지할 수 있었으며, 심지어 유사시에 튀르크군을 지원받을 수 있었다.[4] 불안정하고 두 제국 사이에 끼인 국가였던 룸 술탄국 역시 동로마 제국과의 협력을 통해 살아남을 수 있었다. 셀주크 제국의 장군 보잔이 니케아를 포위하자 로마가 니케아의 아불 카심을 도와 포위를 이겨내게 협조하기도 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yzantiumforecrusades.jpg
알렉시오스 1세와 맺은 드라콘 조약(1081)으로 정해진 대략적인 세력권

1086년, 쉴레이만이 시리아에서 사망하자 룸 술탄국은 대단히 불안정해졌다. 아들 클르츠 아르슬란은 셀주크 제국의 포로가 되었고, 니케아에는 동로마 황제와 적대적인 비혈연 후계자가 들어섰다. 셀주크 왕족인 쉴레이만의 카리스마도, 원주인인 동로마 황제의 빌려온 권위도 없게 된 아나톨리아는 유목민과 튀르크 족장들이 날뛰어 대단히 혼란스러워졌다. 협력관계였던 동로마 제국 정부도 페체네그와의 전쟁으로 국력이 한계에 달하자 이제는 이스파한의 셀주크 술탄 말리크 샤와 협력하기 시작했다. 이렇게 적대적인 두 제국 사이에서 소멸할 뻔 했던 룸 술탄국은 1092년 말리크 샤가 죽어 셀주크 제국이 혼란스러워지고, 쉴레이만의 아들 클르츠 아르슬란이 풀려나 니케아로 돌아오면서 간신히 살아남았다.

2.2. 십자군 시대와 동로마 제국의 역습(1095 ~ 1180)

그러나 위기는 끝나지 않았다. 클르츠 아르슬란은 아버지처럼 로마 황제와 협력하지 않고 반대로 적대했는데, 동로마 황제 알렉시오스 1세는 아나톨리아 수복 여론이 높아지는 와중 자신의 지위까지 불안정해지자 국력이 부족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교황과 짜고 서유럽 세력을 불러들였다. 바야흐로 십자군 전쟁의 시작이었고, 그 여파를 얻어맞을 대상은 룸 술탄국이었다. 클르츠 아르슬란은 1096년 민중 십자군을 성공적으로 격파하였으나, 본대라 할수있는 1차 십자군에게 패배하여 수도 니케아를 잃고 도릴라이움 전투에서도 패퇴하여 아나톨리아 서부를 상실하였다. 그러나 1차 십자군이 통과한 이후 이코니온에 천도한 룸 술탄국은 십자군 후발대를 격파해가며 살아남았다. 이후 십자군이 통과한 공백을 차지하기 위해 동로마 제국과 경쟁하여 잠시 동안 우세함을 보였으나, 요새화 전략으로 일관하는 제국을 아나톨리아에서 완전히 몰아내지 못했다. 그리고 국력을 추스른 동로마 측이 야전을 걸어온 1117년의 필로밀리온 전투에서 패배한 이후 요안니스 2세 시절의 동로마 제국에 대해서는 수세를 취하며 중부 아나톨리아에서 국력을 수습하였다.

마수드 1세와 클르츠 아르슬란 2세 시절에는 서쪽의 동로마 제국과 동쪽의 다니슈멘드 왕조 사이에서 끝끝내 수성에 성공하였고, 소아시아 내륙을 장악했다. 이때 소아시아를 침공한 2차 십자군은 그야말로 박살이 나며 1차 십자군과 반대되는 졸전을 기록하였다. 그후 룸 셀주크는 마누일 1세 시절의 동로마 제국이 서부 아나톨리아의 요새화를 대강 완료하고 중흥기를 달리자 국력차를 인정하고 1161년 사실상의 봉신행세를 하는 등 와신상담의 시기를 보냈다. 이후 제국의 관심을 피해 약체화 된 다니슈멘드를 공격하여 세를 불린 다음, 1176년 미리오케팔론 전투에서 동로마 제국의 공세를 격퇴해내고 봉신 신세에서는 벗어났다. 그러나 국력차를 극복하지는 못해서, 이어진 전쟁에서 패배하자 열세를 인정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필로밀리온 전투 이후 콤니노스 왕조 시대의 룸 술탄국은 쉴레이만 1세 시절보다는 자주적이지만, 정도가 다를뿐 여전히 동로마 영향권내의 국가였다.

파일:1180 지중해.webp
1180년대 무렵 지중해 세력권

2.3. 전성기(1180 ~ 1225)

파일:룸 술탄국 지도.svg

그러나 이러한 소아시아의 정세는 1180년 동로마 제국의 마누일 1세의 사망을 기점으로 격변하기 시작한다. 마누일 1세 사후 즉위한 무능한 동로마 황제들 덕분에 룸 술탄국은 동로마 제국과의 전쟁에서 우세를 보였고, 1190년 제3차 십자군 원정때 잠시 패퇴하였지만 금방 국력을 복구하였다.

1202년, 살투크 왕조를 멸망시키고, 1204년 동로마 제국이 제4차 십자군 원정으로 몰락하자 룸 술탄국은 다시 동로마의 영역으로 확장하기 시작한다. 1207년 안탈리아를 점령하여 지중해를 통해 이집트와 교역할 수 있게 되었고, 라틴 제국과 손을 잡은 후 아나톨리아 서부에 자리잡은 니케아 제국을 완전히 멸망시키려 했다. 그러나 1211년 메안데르의 안티오키아 전투에서 니케아 제국의 테오도로스 1세에게 술탄 케이휘스레브 1세가 전사하는 참패를 당하고 니케아 제국 방면으로의 진출은 좌절되었으나 대신 흑해의 패권을 장악하고 있던 트라페준타 제국을 공격하여 1214년 시노페를 점령하고 트라페준타 제국을 거의 복속시켰다. 이때 룸 술탄국의 국력은 절정에 달해 프리기아에서 아르메니아에 이르는 넓은 땅을 지배하였고 크림 반도에서도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2.4. 몽골 제국의 침공과 속국화(1243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50px-1263_Mediterranean_Sea.png
동로마 제국의 콘스탄티노플 수복 이후 지중해 세력권(1263년)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은 시기인 13세기 중반엔 당시의 절대 강자 몽골 제국의 침략을 받아 세력이 크게 약화되고 이는 동로마 망명 세력들이 한숨 돌리게 되는 계기를 마련하게 해 주었다. 1242년 몽골 제국은 에르주룸을 점령하였고, 룸 술탄국은 1243년 쾨세다으 전투(Köse Dağ)에서 대패하고 몽골의 속국이 되었다. 다만 룸 셀주크의 핵심부는 건재했기에 몽골 역시 아나톨리아를 직접 정복할 역량은 부족했고, 따라서 룸 술탄들을 제후로 삼는 것에 만족하였다.[5]

몽골 제국의 분열 이후에는 일 칸국의 칸들이 룸 술탄국에 대해 종주권을 행사했다. 이런 과정에서 룸 술탄국 각지의 가지와 토후들이 사실상 독립함에 따라 내부 분열로 인해 룸 술탄국은 점점 위상을 잃게 된다. 또한 결정적으로 재상들이 몽골 칸들의 대리인으로 실권을 행사하며 점차 술탄의 권위를 추월하였다. 그중 무인 앗 딘 쉴레이만 (페르와네)은 1266년 클르츠 아르슬란 4세를 살해하며 사실상 술탄을 허수아비로 만들어버렸다.

2.5. 소멸

이렇게 룸 술탄국이 유명무실해지는 와중에 킬리키아 아르메니아 왕국은 룸 술탄국의 일부 영토를 점령했으며 1270년대에는 잠시 맘루크 왕조의 지배를 받기도 했다. 그 와중에 고질적인 튀르크족의 내분이 심화되어 왕족끼리 죽고 죽이는 일이 비일비재했다.

그 와중에 각지의 토후들은 통제를 따르지 않고 제멋대로 행동했다. 그야세틴 케이휘스레브 3세(1265 ~ 1284 재위)의 치세 말에 술탄이 다스릴 수 있는 영역은 수도 콘야 일대에 불과했다. 심지어 1277년, 남부의 카라만 베이국에게 수도 콘야가 털리기도 했으나, 일 칸국의 개입으로 다시 탈환하기도 했다.

중간에 일 칸국이 개입하여 쿠데타를 일으킨 술탄을 내치고 자신들이 원하는 술탄을 복위시키기도 하였다. [6]그 후 1308년 룸 술탄국의 마지막 술탄 메수트 2세가 죽자 일 칸국은 신임 술탄을 임명하지 않고 총독을 파견한다. 이 해가 사실상 룸 셀주크가 멸망한 해로 볼 수 있다.

룸 술탄국의 해체는 숙적인 동로마 제국 입장에서도 달가운 일이 아니었다. 튀르크인들이 아나톨리아에 정착한지 이미 오랜 세월이 지나있었고, 기동력을 살려 약탈을 일삼는 골칫거리인 튀르크 유목민들을 통제하는 룸 술탄국은 동쪽의 완충지대이자 외교대상으로서 중요한 가치가 있었다. 유럽 영토에도 여력을 할애해야 했던 제국 입장에서는 차라리 룸 술탄국이 존재하는 것이 나았던 것이다.

결국 룸 술탄국은 아나톨리아 베이국으로 분할되고, 13세기 말에 동로마 제국과 맞닿은 북서부 국경에 가까운 비티니아 지방에 위치한 가지 군후국의 족장 오스만 1세의 세력이 강성해지기 시작한다. 바야흐로 오스만 제국의 시대가 시작된 것이다.
1299년 오스만 국이 탄생하고 9년 후인 1308년 , 일세를 풍미했던 룸 셀주크는 분열 상태인 아나톨리아 고원에서 공식적으로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파일:Beylicats_d%u2019Anatolie_vers_1330-en.svg
1330년 분열된 아나톨리아

3. 역대 술탄

룸 술탄국 술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쉴레이만샤 1세 클르츠 아르슬란 1세 멜리크샤 메수드 1세
<rowcolor=#fff>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클르츠 아르슬란 2세 케이휘스레브 1세 쉴레이만샤 2세 클르츠 아르슬란 3세
<rowcolor=#fff> 제6대2 제9대 제10대 제11대
케이휘스레브 1세 케이카우스 1세 카이쿠바드 1세 케이휘스레브 2세
<rowcolor=#fff>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케이카우스 2세 알라엣딘 케이쿠바트 2세 클르츠 아르슬란 4세 케이휘스레브 3세
<rowcolor=#fff> 제16대 제17대 제16대2
메수트 2세 알라엣틴 케이쿠바드 3세 메수트 2세 }}}
셀주크 술탄· 룸 술탄국 술탄
룸 술탄국 술탄 · 오스만 군주 · 튀르키예 대통령
}}}}}}

여기 기록된 이름/발음들은 아랍문자를 튀르키예어 알파벳으로 직역하고 현대 튀르키예어 식으로 읽은 것이다.[7] 물론 당시에도 튀르크인들은 중세 튀르크어를 썼지만, 르네 그루세에 따르면 당시 코냐(또는 콘야)[8]의 궁정에서 공식적으로 쓰는 언어는 페르시아어였다. 특히 룸 군주의 이름으로 자주 등장하는 카이후스라우(كيخسرو), 카이쿠바드(كيقباد), 카이카우스(كيكاوس) 따위의 인명들은 이란의 전설 샤나메에서 따온 것이다.
쿠탈므쉬오을루 쉴레이만샤 1세 (Kutalmışoğlu Süleyman Şah) 1077 ~ 1086 이즈니크에서 건국[9]
에불 카슴 (Ebu'l-Kasım) 1086 ~ 1092 비정통[10]
클르츠 아르슬란 1세 (I. Kılıç Arslan) 1092 ~ 1107 1차 십자군, 콘야 천도
멜리크샤 (Melikşah) 1110 ~ 1116 필로밀리온 전투 패배
뤼크넷틴 메수트 1세 (I. Rükneddin Mesud) 1116 ~ 1156 2차 십자군 격파
이젯틴 클르츠 아르슬란 2세(II. Kılıç Arslan) 1156 ~ 1192 3차 십자군
그야셋틴 케이휘스레브 1세(I. Gıyaseddin Keyhüsrev) 1192 ~ 1196 1차 재위
뤼크넷틴 쉴레이만샤 2세(II. Süleyman Şah) 1196 ~ 1204
클르츠 아르슬란 3세(III. Kılıç Arslan) 1204 ~ 1205
그야셋틴 케이휘스레브 1세 (I. Gıyaseddin Keyhüsrev) 1205 ~ 1211 2차 재위
이젯틴 케이카우스 1세(I. İzzeddin Keykavus) 1211 ~ 1220
알라엣틴 카이쿠바드 1세(I. Alaeddin Keykubad) 1220 ~ 1237 전성기 이룩
그야셋틴 케이휘스레브 2세(II. Gıyaseddin Keyhüsrev) 1237 ~ 1246 몽골 제국에 복속
이젯틴 케이카우스 2세(II. İzzeddin Keykavus) 1246 ~ 1260
알라엣딘 케이쿠바트 2세(II. Alaeddin Keykubad) 1249 ~ 1257
뤼크넷틴 클르츠 아르슬란 4세(IV. Kılıç Arslan) 1248 ~ 1265
그야셋틴 케이휘스레브 3세(III. Gıyaseddin Keyhüsrev) 1265 ~ 1284
그야셋틴 메수트 2세(II. Gıyaseddin Mesud) 1284 ~ 1296 1차 재위
알라엣틴 케이쿠바드 3세(III. Alaeddin Keykubad) 1298 ~ 1302
그야셋틴 메수트 2세(II. Gıyaseddin Mesud) 1303 ~ 1308 2차 재위


[1] 콘야에서 발견된 13세기 것으로 추정되는 아치 장식 쐐기돌의 쌍두독수리 문양. 이것과 함께 룸 술탄 카이쿠바드 1세의 궁전에서 '술탄'이라는 문구가 같이 새겨진 쌍두독수리 문양 타일이 발견된 것을 토대로 쌍두독수리가 셀주크 술탄의 상징이라는 해석이 널리 퍼져 있다.[2] 술탄 카이후스로우 2세의 디르함 주화에 사용된 사자와 태양 문양. 사자와 태양 문양은 이란 본토 혹은 페르시아 문화의 영향이 매우 강한 곳들에서 주로 쓰인 모티프이다.[3] 이러한 경향은 룸 술탄국 정부가 건재하던 13세기 중반까지 이어져서, 후기에 들어서면 술탄 중 콘스탄티노플에서 세례받은 자도 있을 정도였다. 로마-룸의 관계는 일반적인 기독교-이슬람 관계와는 달랐다.[4] 로베르 기스카르가 동로마 제위를 노리고 그리스를 침공했을 때 알렉시오스 1세가 베네치아와 룸 술탄국의 지원을 받아 이를 격퇴해낸 것이 대표적인 예시이다.[5] 이 전투의 여파로 트레비존드 제국킬리키아 아르메니아 왕국도 몽골의 속국이 되었다.[6] 후반기 술탄들은 술탄 즉위에 일 칸의 승인을 받고, 폐위도 일 칸에 의해 이루어지는 사실상 꼭두각시의 위치였으며, 술탄 케이휘스레브 3세는 일 칸국 내전에 휘말려 본국으로 소환되어 처형되기도 했다(...)[7] 튀르키예어는 어말에 유성음이 오더라도 무조건 무성음으로 발음한다. 아랍식으로 İzz-ed din 이라고 쓰든 izzeddin 이라고 쓰든 İzzettin 이라고 쓰든 발음은 이젯틴으로 동일하다.[8] 튀르크족들이 들어오기이전엔 콘야는 그리스식으로 이코니온, 라틴어로는 이코니움이라고 읽었다.[9] 동로마 제국의 독립 인정은 1081년[10] 쉴레이만샤 사후 비티니아 통치한 튀르크인 섭정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