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0 15:04:34

미국해군사관학교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USNA_Gold_Seal.png 미국해군사관학교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연방 사관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0px;margin-bottom:-11px"
웨스트포인트 아나폴리스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미국육군사관학교 문장.svg 파일:미국해군사관학교 문장.svg 파일:미국공군사관학교 문장.svg
육군사관학교해군사관학교공군사관학교
뉴런던킹스포인트베데스다
파일:USCGA_seal.svg 파일:USMMA_seal.svg 파일:USUHS-seal.svg
해안경비대사관학교상선단사관학교국립군의관의과대학
연방 사관학교 | 고등 군사대학 }}}}}}}}}

파일:메릴랜드 휘장.svg 메릴랜드대학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0px;margin-bottom:-11px"
<colcolor=#fff> 연방 미국국립군의관의과대학 · 미국해군사관학교
공립 메릴랜드 대학교 · 메릴랜드 대학교/글로벌 캠퍼스 · 메릴랜드 대학교/볼티모어 카운티 캠퍼스 · 메릴랜드 대학교/볼티모어 캠퍼스 · 메릴랜드 대학교/이스턴 쇼어 캠퍼스 · 모건 주립대학교
보위 주립대학교 · 볼티모어 대학교
솔즈버리 주립대학교
코핀 주립대학교
토슨 대학교
프로스트버그 주립대학교
사립 가우처 대학교
널 이스라엘 래비니컬 칼리지
로욜라 대학교 메릴랜드
마운트 세인트 메리 대학교 · 맥대니얼 칼리지 · 메릴랜드 노트르담 대학교 · 메릴랜드 예술대학 · 메릴랜드 융합보건대학교
볼티모어 바이스 하메드라시와 메시브타
세인트 존스 칼리지 · 스티븐슨 대학교
예시바 네이션스 캐피털 칼리지 · 워싱턴 재림대학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캐피톨 공과대학교
토라 여자신학대학
후드 칼리지
미국의 대학 }}}}}}}}}

{{{#!wiki style="margin: -8px;"<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파일:logo cdio.png
The CDIO™ INITIATIVE
CDIO 공학교육 도입 대학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아시아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1
<colcolor=#fff><colbgcolor=#66b4b4> 동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인제대학교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colcolor=#000,#fff> 펑챠대학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공학기술원 · 몽골과학기술대학교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가나자와공업대학 · 가나자와국제고부 · 구마모토공업고등전문학교 · 나가노공업고등전문학교 · 나가오카공업고등전문학교 · 센다이공업고등전문학교 · 쓰루오카공업고등전문학교 · 아난공업고등전문학교 · 이바라키공업고등전문학교 · 츠야마공업고등전문학교 · 키사라즈공업고등전문학교 · 홋카이도정보대학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다롄동연신식학원 · 베이징교통대학 · 베이징석유화공학원 · 산토우대학 · 쑤저우 공업원구 전문대학 · 얀샨대학 · 전자과기대학 · 청두신식공정대학 · 칭화대학
동남아시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마라 공과대학교 · 웅쿠 오마르 폴리테크닉 대학교 · 이브라힘 술탄 폴리테크닉 대학교 · 테일러스 대학교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FPT 대학교 · 국립토목공학대학 · 달랏 대학교 · 동나이 공과대학교 · 두이탄 대학교 · 베트남국립대학 · 빈 대학교(베트남) · 투다우못 대학교 · 트라빈 대학교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난양이공학원 · 싱가포르 이공학원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이산 대학교 · 쭐랄롱꼰 대학교 · 탄부리 대학교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남필리핀 과학기술대학교/카가얀데오로 캠퍼스 · 불라칸 주립대학교
남아시아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SRM 과학기술원 · 벨텍 공과대학교 · 사티야바마 과학기술원 · 티야가라자르 공과대학
서아시아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아제르바이잔 공과대학교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이스라엘 창의진흥원 · 텔아비브 공과대학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쿠웨이트 호주대학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유럽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1
<colcolor=#fff><colbgcolor=#66b4b4> 서유럽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colcolor=#000,#fff> 델프트 공과대학교 · 바헤닝언 대학교 · 에인트호번 공과대학교 · 트웬터 대학교 · 헤이그 응용과학대학교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겐트 대학교 · 뢰번 국제 유니버시티 칼리지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리머릭 대학교 · 사우스이스턴 리저널 칼리지 · 트리니티 칼리지 더블린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노팅엄 트렌트 대학교 · 랭커스터 대학교 · 레스터 대학교 · 리버풀 대학교 · 리즈 대학교 · 버밍엄 시립대학교 · 브리스톨 대학교 · 사우스 웨스트 칼리지 · 스트래스클라이드 대학교 · 애스턴 대학교 · 얼스터 대학교 · 치체스터 대학교 · 캔터베리 크라이스트 처치 대학교 · 퀸스 대학교 벨파스트 · 하트퍼드셔 대학교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CESI 공학대학원 · IMT 아틀란티크 · 파리 국립고등기술공예학교
중부유럽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라인 베스트팔렌 아헨 공과대학교 · 비스마르 응용과학대학교 · 에른스트-아베 응용과학대학교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그단스크 공과대학교
남유럽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나바라 대학교 · 카탈루냐 공과대학교 · 화학공학 고등기술학교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밀라노 폴리테크니코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포르투 고등공학원
북유럽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노르웨이 과학기술대학교 · 외스트폴 유니버시티 칼리지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VIA 유니버시티 칼리지 · 오르후스 대학교 · 올보르 대학교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빌뉴스 응용과학대학교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룰레오 공과대학교 · 린네 대학교 · 린셰핑 대학교 · 블레킹에 공과대학교 · 찰머스 공과대학교 · 서부대학교 · 셰브데 대학교 · 옌셰핑 대학교 · 스웨덴 왕립 공과대학교 · 우메오 대학교 · 크리스티안스타드 대학교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레이캬비크 대학교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탈린 공과대학교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LAB 응용과학대학교 · 노비아 응용과학대학교 · 라플란드 응용과학대학교 · 메트로폴리아 응용과학대학교 · 사보니아 응용과학대학교 · 세이네요키 응용과학대학교 · 탐페레 응용과학대학교 · 투르쿠 대학교
동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돈 국립공과대학교 · 모스크바공학물리연구소 부속 국립원자력대학교 · 모스크바 물리기술원 · 모스크바 국립항공대학교 · 바우만 모스크바 국립공과대학교 · 북동연방대학교 ·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항공기기대학교 · 수르구트 국립대학교 · 스콜코보 과학기술원 · 시베리아 연방대학교 · 아스트라한 국립대학교 · 오룔 국립대학교 · 우랄 국립철도운송대학교 · 우랄 연방대학교 · 체레포베츠 국립대학교 · 카잔 연방대학교 · 쿠반 국립공과대학교
}}}}}}}}}}}}
[ 아메리카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fff,#191919><colcolor=#fff><colbgcolor=#66b4b4><-2> 북아메리카 ||
[ 아프리카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fff,#191919><colcolor=#fff><colbgcolor=#66b4b4><-2> 북아프리카 ||
[ 오세아니아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fff,#191919><colcolor=#fff><colbgcolor=#66b4b4><-2> 오스트랄라시아 ||
}}} ||
<colbgcolor=#2f385f>
United States Naval Academy
미합중국 해군사관학교
파일:미국해군사관학교 문장.svg
대학 정보
<colcolor=#fff> 모토 <colbgcolor=#2f385f><colcolor=#fff> 라틴어 <colcolor=#000,#fff>Ex Scientia Tridens
영어 From Knowledge, Seapower
설립 연도 1845년 10월 10일 ([age(1845-10-10)]주년)
상징명칭 ANNAPOLIS (아나폴리스)
국가
[[미국|]][[틀:국기|]][[틀:국기|]]
소재 메릴랜드주, 아나폴리스
(Annapolis, Maryland, United States)
분류 국립대학 / 군사학교 / 리버럴 아츠 칼리지
학교장 파일:미합중국 해군중장기.svg 이벳 M. 데이비스
(Yvette M. Davids, VADM[1])
생도대장 월터 H 올만 (Walter H. Allman III, CAPT[2])
재학생 4,576명
교직원 510명
캠퍼스 면적 338 에이커 (약 137 헥타르)
= 1,367,837m²
상징 마스
코트
염소
(Bill the Goat)
색상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위치

1. 개요2. 상세3. 역사4. 생도 생활
4.1. Selection Night
5. Navy Midshipmen
5.1. 전설의 감독
5.1.1. 미식축구5.1.2. 농구
6. 동문
6.1. 가상의 동문
7. 기타8.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USNA_Gold_Seal.png
The United States Naval Academy.

미국해군사관학교이다. 메릴랜드애나폴리스(Annapolis, Maryland)에 위치한 4년제 연방 교육기관.
파일:미국해군사관학교 아이콘.png 홈페이지

2. 상세

파일:USNA_Sky_Shot.jpg
United States Naval Academy (USNA)
5개의 사관학교 (육군, 해군, 공군, 해양, 해안경비)중 두번째로 오래됐으며 미합중국 해군미합중국 해병대 장교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기관이다. US News에서 2023년 발표한 National Liberal Arts Colleges에서 3위, Top Public Schools National Liberal Arts Colleges에서 1위에 랭크 되었다. (웨스트포인트는 3위, 미국공군사관학교는 2위). # 입학자격은 17 - 22세의 미혼인 미국시민으로 대통령, 부통령, 상원, 하원 의원의 추천자 그리고 명예 훈장 수훈자의 자녀 중에서 학업성적, SAT와 ACT점수, 체력 테스트와 신체 검사후에 선발한다.[3] 사관학교 특성상, 현역군인, 예비학교(prep-school), 운동특기, 상이군인 자녀, 다른 일반대학에서의 지원 등을 감안하면, 고등학교 졸업 후 바로 입학하는 것은 매우 경쟁이 치열하다. (합격률 8% 미만). # 입학생의 70퍼센트 이상이 고등학교 운동부 주장 (캡틴) 출신이다. 4년동안 학문과 군사교육을 이수하며 졸업하면 전공에 관계없이 이학사(Bachelor of Science) 학위를 수여 받는다. 이는 코어 커리큘럽이 과학과 공학에 중점을 둔 덕분이다. 졸업과 동시에 소위로 임관하게 된다. 소위는 해군은 Ensign, 해병대는 2nd lieutenant라 불리운다. 非항공, 해병장교는 5년, 회전익기를 조종하는 장교는 8~11년, 고정익기를 조종하는 장교는 6~8년 의무복무하게 된다. 대학원격인 미국 해군대학원 (The U.S. Naval postgraduate school)은 1951년 애나폴리스에서 캘리포니아 몬터레이로 옮겨졌다.

3. 역사

1845년 10월 10일에 창설되었다. 창설의 주체는 해군장관이었던 조지 밴크로프트. 미 육군 기지 포트서번 자리를 인수하여 해군사관학교로 개조하였다. 첫 입학생은 50명이었고 교수는 7명이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General_View_of_the_Naval_Academy%2C_Annapolis%2C_Maryland.jpg
당시의 해군사관학교.

남북 전쟁이 터지자 북부의 연방 정부는 해군사관학교를 이전하는 것을 검토하였다. 1861년에 로드아일랜드로 이전하였다. 북군 해군의 장교 24%가 사임하고 남군 해군으로 옮기면서 인력 공백이 생기기도 했다. 1865년 전쟁이 끝나자 해사는 다시 애너폴리스로 이전하였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83px-US_Naval_Academy_1894.jpg
1894년의 졸업생들.

남북 전쟁 이후에 육군의 사관학교인 웨스트포인트아프리카계 미국인이 들어온 것에 비해 미국 해사는 상당히 백인 중심이었다. 해군의 엘리트적 기질은 전 세계적으로 비슷하긴 하다. 일본군일본육군사관학교에는 소수나마 조선인이 들어갔지만 일본해군병학교에는 거의 없었고 그 때문에 대한민국 해군은 일본군의 영향력에서 자유로운 인물들이 주축이 되었다. 미국 해사는 1949년에서야 아프리카계 미국인으론 6번째 입학생이자 첫 번째 졸업생인 웨슬리 앤서니 브라운(Wesley Anthony Brown, 1927-2012)을 배출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Wesley_Brown_1949_photo_by_US_Naval_Academy.jpg
웨슬리 브라운은 항해 소위로 임관, 20년간 복무 후 1969년 소령(Lieutenant Commander)으로 전역했다. 같은 해사 출신으로 3년 선배인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과 크로스컨트리를 하기도 했다. 그의 활동은 미국의 인종통합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76년부터 여생도를 모집했다.

4. 생도 생활

파일:USNA_Sky_View.jpg
USNA 캠퍼스 전경

미 해병대의 인원도 미국 해사에서 일정 부분 보충된다. 나머지는 OCSROTC로 보충된다.[4]

생도대장(Commandant of Midshipmen)은 원칙적으로 준장이 임명되지만 미 해군이 타군에 비해 장성 티오가 굉장히 적은 편이라 실제로는 제독, 장군 진급이 확정되거나 유력한 해군이나 해병 대령이 임명되는게 일반적이다. ISAF 사령관을 지낸 존 R. 앨런 해병대장도 대령~준장 시절 해병대 출신으로서 생도대장을 지낸 사례가 있다. 2024년 현재, James P. McDonough III 해병대령이 제 89대 생도대장을 맡고 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Marching_Plebes_USNA.jpg
1학년을 플립(Plebe)이라 부른다. 임시입교(Plebe Summer) 동안에만 White Works 라고 부르며, 이 시기엔 복장을 수병처럼 입혀 굴린다. 정식 입학 후엔 상급 생도들과 동일한 피복을 입는다. 2학년은 흔히 소포모어라 부르는 일반 대학들과 달리 '영스터(Youngster)'라고 부른다. 3학년은 세컨 클래스, 4학년이 퍼스트 클래스(퍼스티, Firstie)라고 불린다. 또한 3학년 이전까지는 자퇴에 있어 학비 반납 의무도 없고 아무런 제약이 없지만 3학년으로 진급할 때 2 for 7 서약을 하는데, 이는 차후 2년간 사관학교에서 교육을 받고 5년간 의무복무를 하겠다는 약속으로, 이후 자퇴시 그 동안의 교육비를 현금으로 해군 측에 반납해야 한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US_Naval_Academy_campus.jpg
육공사와 달리, 해양대 및 해경사와 함께 생도 정복이 현역 장교들과 큰 차이가 없다. 근무복검은색 근무복을 입어 카키색 근무복을 입는 장교와 차이를 두고 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90px-US_Navy_climbing_pillar_040520-N-9693M-012.jpg
사진은 Herndon Climb를 보여주고 있다. 1학년들이 헌던 기념비(Herndon Monument) 꼭대기에 놓여져 있는, 임시입교 때 쓰는 수병용 정모 형태의 모자를 떨어뜨리고, 생도들이 쓰는 정모를 대신 올려놓는 행사이다. 이 행사를 통해 1학년들은 1학년의 생활이 공식적으로 끝났음을 알린다는 것이다. 그래서 모자를 교체하고 난 후에는 "Plebe no more!"라고 외치는데, 대충 "막내 생활 끝!" 정도의 의미다. 모자를 교체한 사람은 나중에 학교장으로부터 별이 3개 달린 견장을 받는다. 한 가지 재밌는 소문이 있는데, 모자를 교체한 사람은 그 기수중에 가장 빨리 별을 단다고 하나, 그냥 소문이고 아직 실사례는 없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Naval_Academy_chapel.jpg
해사 교회이다.

파일:external/ba556e8abee78e858fc753f69468676f635f7b7c4062dd8ba62bb608d5a201eb.jpg
졸업하는 미 해사 사관생도들로, 대학 졸업식에서 하는 학사모 던지기의 시초가 바로 이곳이다. 1912년 졸업식과 임관식이 통합된 첫 해부터 생긴 전통으로, 임관과 함께 곳곳으로 퍼져 흩어지더라도 서로 연락하자는 의미에서 장교가 되며 필요없어진 생도 시절 정모에 자신의 연락처를 적어 높이 던지고 아무 정모나 받아 연락처를 교환하던 전통이 이어지고 다른 학교에도 퍼지게 된 것이다. 예복 상의가 흰 색인 이들이 해군, 검은 색인 이들이 해병 장교다. 09월 학기제를 실시하는 국가라 임관도 여름에 하므로, 해군 인원들은 하정복을 입는다.
파일:external/graphics8.nytimes.com/27cnd-navy.450.jpg파일:external/darkroom-cdn.s3.amazonaws.com/2010-poy-p52-.jp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Defense.gov_News_Photo_090522-N-8395K-002.jpg
졸업식의 생도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Wendy_Lawrence_NASA_STS114.jpg
초창기 여성 생도 중 웬디 로렌스(Wendy B. Lawrence, 1959-) 해군 대령(예)은 해사 출신 여성으로서 최초로 우주 비행사가 되었다.[5] 웬디 로렌스의 경우 집안 배경이 매우 빵빵하다. 해사에 입학한 후 아버지 윌리엄 로렌스 제독이 해사 교장으로 부임했으며 딸이 졸업/임관하는 흐뭇한 모습을 교장으로서 직접 보기도 했다. 아버지 윌리엄 로렌스도 해군 항공대에서 전투 조종사로 복무[6]하여 쓰리스타까지 다는 등 무용담이 대단한 인물인데, 최초로 항공모함에서 발진해 마하2 속력을 돌파한 인물이자 중령 시절 베트남 전쟁에서 격추되어 전쟁포로 생활을 6년이나 하면서 비슷한 시기 포로로 잡힌 제임스 스톡데일 중령(명예 훈장 수훈자이며 훗날 로렌스와 마찬가지로 중장까지 오른다)과 함께 포로수용소에서의 고된 고문과 매질을 견뎌내면서도 포로들의 저항을 주도하고 같이 수용되었던 모든 포로들의 계급과 이름을 기억해서 훗날 미군 베트남전 포로들의 행적을 찾는데 기여하기도 했다. 그의 이름은 알레이버크급 구축함 DDG-110의 이름으로 남아있다. 아버지도 머큐리 계획 당시 최종 리스트에까지 올랐다가 아깝게 떨어지기도 했는데[7] 딸이 아버지의 우주에 대한 꿈을 대신 이뤘다.

웬디 로렌스 외에도 해사 출신 우주비행사가 매우 많다. 일단 미국 최초의 우주인이었던 앨런 셰퍼드와 아폴로 10호 사령관 토머스 스태퍼드, 아폴로 13호의 사령관이었던 짐 러블이 해사 출신이고, 버락 후세인 오바마 행정부의 찰스 볼든 NASA 국장도 해사를 나와 해병대 항공대에서 복무하며 우주왕복선 파일럿으로 활동한 2성 장군 출신이다. 역대 NASA 우주비행사들을 배출한 대학별로 랭킹을 매기면 압도적(...)인 1위를 차지한다. 공사가 생기기 전에 몇년간은 육해사 졸업 후 공군으로 임관할 수도 있게 했는데, 이렇게 해사 출신 공군 장교로 복무하다 우주비행사가 된 이들도 꽤 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40px-Michaelson_experiment_annapolis.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70px-Albert_Abraham_Michelson2.jpg
마이컬슨-몰리 실험의 기념물이다. 이 실험을 했던 앨버트 에이브러햄 마이컬슨(Albert A. Michelson)은 해사를 졸업하고 의무복무 이후 전역하여 민간인 과학자로 활동하다가 제1차 세계 대전시 재소집되어 소령까지 올랐다.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데, 이는 미국인 노벨 과학상 수상자 중에는 최초이다.

4.1. Selection Night

파일:selection night.jpg
https://www.public.navy.mil/surfor/Pages/US-Naval-Academy-Holds-Ship-Selection-for-Class-of-2018.aspx
https://www.youtube.com/watch?v=mxtT_N9vMu4
함정 병과를 선택해 수상함 장교(surface warfare officers)로 임관할 예정인 4학년 생도들을 대상으로 하는 미해사 버전 신인 드래프트로, 4학년 생도들이 졸업 전 자신이 처음으로 근무할 함정을 미리 선택하는 행사이다. 당연히, 항공이나 해병을 택한 생도는 해당 없다.

행사 진행은 거의 프로선수 드래프트와 비슷하며, 현역 해군 제독이나 대령이 사회를 본다. 생도들의 성적순으로 나와 시범용으로 해사 마스코트 탈을 쓴 생도가 USS 컨스티튜션을 골라 가는 걸 시작으로 복무할 함정을 선택하기 때문에, 성적 우수자일수록 커리어 쌓기 좋은 진로 선택에 유리하다. 졸업 후 바로 배치되는 건 아니고, 임관한 뒤 함정 병과 소위 신분으로 신임장교 지휘참모과정을 수료한 뒤 선택한 배에 배치된다.

인기의 기준은 그때 그때 조금씩 다르지만, 보편적으론 당연히 커리어를 쌓기 좋으면서 함선의 중심 주둔지가 생활하기에 좋은 지역이고 배 자체도 너무 낡지 않고 오래되지 않은 배들이 인기가 높은데 함선중 항모, 순양함, 구축함 순으로 근무를 선호하며 상륙함은 기피되는 편이다. 특히 스페인에 주둔하는 제6함대 제65기동부대 해군 함선과 제7함대로 대표되는 주일미군 해군, 그 중에서도 요코스카 주둔 함선이 인기[8]가 많으며 국내 복무인 경우 샌디에이고와 태평양함대 본부인 하와이가 가장 인기이다. 특히 해상자위대가 이 행사에 매년 참여한다. 이는 해상자위대 간부진들이 복무지를 요코스카로 골라준 첫 생도에게 기념선물을 주기 위해서이고 이 생도들은 상위권 성적을 가진 자라 인맥형성도 연관이 있다.

스페인, 일본 주둔 함선 중 첫 번째 선택자의 경우 해당 국가에서 장교용 검을 수여한다. 추가적으로 영국 해군이 상시 배치되는 알레이버크급 구축함 윈스턴 처칠함에서도 모자 등의 기념품을 준다. 아래 2023년 영상에서는 2번째로 고른 생도가 스페인 로타항 주둔 함선을, 4번째로 고른 생도가 일본 요코스카항 주둔 함선을 골라 각국 해군 국방무관에게 검을 선물받았다.

외국인 수탁생도도 참가하기에 이들이 뽑을 수 있도록 생도들의 국가 해군의 함정들 명패도 비치해 두며, 아래 영상에서는 한국 해사 생도가 세종대왕함을 뽑는 장면이 17:37에 등장한다.
2023 Ship Selection Night

5. Navy Midshipmen

파일:Navy Athletics logo.png
네이비 미드쉽맨
Navy Midshipmen
스포츠팀의 이름은 Navy Midshipmen인데, 육사의 Army Black Knights나 공사의 Air Force Falcons에 비해 이름의 간지는 떨어지는 편(...)[9]이다.

그래도 사관학교들 간의 라이벌리가 매우 강성인데, 특히 매년 11월 말~12월 초에 열리는 미식축구 게임인 육해전(Army-Navy Game)이 유명하다. 1890년에 웨스트포인트에서 첫 시합을 했고 이 때는 24:0으로 해사가 이겼다. 최근엔 2002년부터 2015년까지 14회 연속으로 이기다 2016~8년 오랜만에(?) 육사 흑기사팀에 3년 연속 깨졌는데, 이것이 역대 육해전 최장 연승 기록이다. 2019년 120회 때 다시 해사가 31:7로 이겼다. 2019년 현재 기록(2019년 120회차 경기까지의 기록)은 해사 61승 52패 7무로 해사가 9승차로 앞서고 있다.
이후 2020년도 시즌 경기는 육사에 패배하면서 주춤하는 듯 했지만, 2021년 시즌 경기를 우승하면서 전적에 승리를 추가했다.

파일:external/www.west-point.org/ArmyNavyGameLogo.png
이 육해전은 미 3군 사관학교 대항전 중 가장 유명하고 인지도가 높은 미 대학 미식축구 경기이고, 미 육사와 해사는 전국 미식축구 대학팀들 중 강호들로 정평이 나있다. 이때는 양 사관학교 동문들의 격려와 응원의 메시지들과 양 군 참모총장들까지 배석하여 격려차원에서 열띤 응원을 하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경기는 4회전까진 웨스트포인트와 아나폴리스를 교대로 했다가 이후부턴 대부분 타지에서 하는데, 그 중 필라델피아가 89회의 경기를 치러 가장 많은 육해전 유치 기록을 갖고 있다. 그 외엔 뉴욕 11회, 볼티모어와 이스트 러더포드(East Rutherford) 4회, 아나폴리스와 웨스트포인트가 각 3회, 패서디나, 프린스턴, 시카고 각 1회이다.

파일:external/tvk134jlbusn.up.n.seesaa.net/CIMG094820281280x85329.jpg
심지어 F-14 전투기 2대에 'Go Navy', 'Beat Army'가랏 해군, 육군을 밟아랏라고 적어 붙여놓고 응원비행을 한 적도 있다(...). 위 사진은 그 기체의 도장을 재현한 프라모델이다.

파일:external/www.realclearsports.com/Army%20Navy%20game.jpg
1964년 육해전 미식축구 프로그램 표지. 그림은 만화가 깁 크로켓(1912~2000)이 맡았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4_Army-Navy_Game_pregame_Midshipmen.jpg
2004년도 게임.


포스가 대단하다. 운동장엔 육사, 관중석엔 해사 인원이다.



파일:external/www.libertynews.com/army-navy.jpg
2013년 12월에 열린 114회 시합에 배석한 조너선 그리너트 당시 해군참모총장레이먼드 오디에어노 당시 육군참모총장이다.지면 참모총장이 갈군다.

2014년도 육해전 경기 전, 양 사관학교 선수단이 등장하면서 육사에서는 육군 항공대아파치 헬기가, 해사 팀 등장 후엔 해군 항공대호넷 전투기의 Fly Over로 기선제압을 시전하는 것이 가히 압권이다. 육군에 전투기가 없는 관계로 응원전에선 해군을 못 이긴다. 기갑 부대를 스타디움 주위를 돌게 시켜야...

파일:external/453fc85a3b3bc026f4fc053e2830eadd477187b41dc0642b2f6e41c6a4abfa72.jpg
1986년 NCAA Division I 남자농구 챔피언십 8강에 올랐던 농구팀 멤버들. 맨 뒤 센터에 50번을 달고있는 인물이 바로 데이비드 로빈슨이다.

파일:external/l.yimg.com/4c63fcb0-ece3-11e4-9afb-6122317a15d7_08483064.jpg
2015년에 역사적인 인물이 배출되었다.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의 우완 불펜투수 미치 해리스가 그 주인공으로, 2008년 졸업[10][11] 한 뒤 함정장교로 페르시아만에도 갔다오고 중남미 마약 퇴치 작전도 뛰며 5년간 성실히 복무한 뒤 대위로 전역하고는 2008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드래프트 13라운드에서 지명한 뒤[12] 꿋꿋이 기다려준 관조네 마이너리그로 훌훌 떠났다. 마이너리그에서 꼴랑 80mph에 그치던 구속 때문에 온갖 설움을 겪었지만 절치부심하며 구속과 몸상태를 끌어올린 뒤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 데뷔하였다. 2015년에 데뷔한 뒤 오래 있지는 못할 것이란 전망이 많긴 했지만 그래도 한달 이상 빅리그에서 생존하며 나름대로 진기록을 써나가는 중이며, 현충일에는 군생활 때 신었던 전투화를 신고 훈련을 하기도 했다고. 참고로 애너폴리스 출신 빅리거는 역대 1921년 졸업생 니모 게인즈(Nemo Gaines) 외에는 없다. 사실 게인즈 역시 잠깐 허락 받고 휴가 나와서 4경기 등판한 것 뿐임을 감안하면 해리스는... 용자도 이런 용자가 없다(...).

5.1. 전설의 감독

5.1.1. 미식축구

파일:external/media.philly.com/090413-Wayne-Hardin-600.jpg
28대 감독 웨인 하딘 (1959~1964 재임. 2017년 작고.) - 오렌지 볼 진출 (1960), 코튼 볼 클래식 진출 (1963)[13]

파일:external/www.footballfoundation.org/90081_1.jpg
31대 감독 조지 웰시 (1973~1981 재임. 2019년 사망.) - 홀리데이 볼 우승 (1978), 리버티 볼 진출 (1981)

파일:external/www.gannett-cdn.com/635540999275524808-AP-ARMY-NAVY-FOOTBALL-69434592.jpg
2015년까지 해사 미식축구팀의 해사-육사 라이벌전 14연승을 이어나갔던 켄 니우마타롤로 감독 (2007~2022 재임.) - 텍사스 볼 우승 (2009), 암드 포스 볼 우승 (2013), 포인세티아 볼 우승 (2014), 밀리터리 볼 우승 (2015, 17). 역대 감독들 중 통산 최다승인 192승 보유.

5.1.2. 농구

파일:external/graphics8.nytimes.com/carneval190.jpg
12대 감독 벤 카네베일 (1946~1966 재임. 2008년 작고.) - NCAA 토너먼트 8강 진출 (1954)

파일:external/blog.hoopskills.com/paul-evans.jpg
15대 감독 폴 에반스 (1980~1986 재임. 현재 생존.) - NCAA 토너먼트 8강 진출 (1986)

파일:external/chronicle.augusta.com/530380.jpg
17대 감독 돈 디보 (1992~2004 재임. 현재 생존.) - NCAA 토너먼트 3회 진출 (1994, 97, 98)

6. 동문

해군의 역사적인 고위급 장교들 대다수가 해군사관학교 출신인데, 이들 외에도 각자 역사에 이름을 남긴 초중급 장교들이 꽤 있다. 특히 NASA에서 우주 비행사를 뽑을 때마다 해사와 해군 출신자들이 공사/공군 출신자들과 앞서거니 뒤서거니 하며 경쟁하는 편이다.. 2013년 기준으로 역대 NASA 우주비행사를 배출한 대학 통계(NASA 2013년 우주비행사 통계 참조)를 매기면 해사가 압도적으로 많다.[14]

육사 출신으로 엘리트 장교들이 채워지던 공군의 초창기에는 소수지만 해사 졸업생들 중에서도 공군으로 임관한 자원들이 있었는데, 제독들의 반란으로 서로 으르렁대던 시기임을 생각하면 그들의 군생활이 얼마나 험난했을것이다. 공군의 전신이 육군 항공대인지라 공사가 생기기 전까지 육사 출신자들이 공군 초창기 장교단을 형성했고, 비행사관후보생(Aviation Cadet) 과정에서도 많은 이들이 배출되었다. 반면 해사 출신은 공사가 없어서 공군 임관이 적극 권장되던 시기에도 제독들의 반란 직후였기 때문에 공군 임관을 께름칙하게 여기는 풍조도 있었다. 게다가 이들이 임관하던 시기의 해군참모총장이 다른 이도 아니고 알레이 버크 제독이었다. 거기에 더해, 해군 항공대의 규모가 크고 고정익기를 대거 보유한 데다 모는 기종들도 공군이랑 큰 차이 없어 육군과 달리 눈치밥 먹으며 공군으로 갈 필요가 없었다.

6.1. 가상의 동문

7. 기타

2006년 제작된 제임스 프랭코 주연의 영화 아나폴리스가 해군사관학교의 이야기...를 다뤘다기엔 무늬만 해사 영화지 사실상 복싱 영화라서 이도저도 아니라는 혹평을 듣고 잊혀졌다. 그래도 그나마 대위가 예뻤다.

미 해병대에서는 의외로 힘을 잘 못 쓴다. 미 해병대는 학군 출신들이 강세이다. 대한민국 해병대해병대사령관이 거의 대부분 해군사관학교 출신임을 감안하면, 의외인 셈이다.[20] 미 육군, 미 해군, 미 공군에서 학군 출신이 한국보다는 비율이 높지만 그래도 사관학교 출신들 보다는 소수파인데 미 해병대에서만은 반대가 된다. 그래도 그나마 해병대 출신으로서 처음으로 합참의장까지 지낸 피터 페이스 해병 대장이 해사 출신이기는 하다.

2002년 해사 졸업자들의 이야기를 다룬 책이 국내에서 출판되기도 했다. <위대한 지도자를 향하여(In the Shadow of Greatness)>라는 제목의 책인데, 배형수 예비역 해군준장이 번역한 퀄리티가 좀 많이 아햏햏해서 읽다가 경악하는 수가 있다. 그래도 해사에서의 생활과 임관 후 초급장교로서의 이야기에 대해 알 수 있어서 원문과 비교&대조해서 읽는 등의 방식으로 읽어볼 가치는 있다. 중요한 문서 잘못 세절해서 까일까봐 똥줄태우다가 솔직하게 보고했다는 상대적으로 시시콜콜한(?) 이야기부터 해상에서의 검문 검색, F-14 최후의 여성 조종사, 아프간에 떨어져서 난 누군가 또 여긴 어딘가 하는 해군[21]등 흥미로운 이야기가 소개되어 있다. 다만 진주만 공습 이후 첫 졸업기수인 1942년 기수[22]와 자신들을 비교[23]하며 조국에의 헌신 같은 이야기를 하는등 미국만세 분위기가 짙긴 하다.

8. 관련 문서


[1] VAMD: Vice ADMiral (미 해군 중장)[2] CAPT: CAPTain (미 해군 대령)[3] 해안경비 사관학교를 제외한 4개의 사관학교(육군, 해군, 공군, 해양)가 동일[4] 우리나라 역시 해병대 장교를 해사에서 보충하며 한 기수에 20명 정도다.[5] 로렌스 외에는 리사 노왁, 수니타 윌리엄스, 그리고 오리온 다목적 유인 우주선 시대를 대비하여 2013년 선발된 니콜 만(Nicole Mann, 해병대 출신)이 있다. 정작 여군의 비율이 더 높다는 공사에서는 여성은 수잔 헴스만이 배출되었다.[6] 웬디는 헬리콥터 조종사로 복무했는데, 여성은 90년대 초반 테일후크 스캔들 전후로까지 전투기 전방석에 배치되지 못하고 후방석 관제사나 헬리콥터 같은 지원용 기종만이 가능했다. 대한민국보다 이르긴 하지만 천조국도 여군 차별의식에 쩔어있던 시대를 막 헤어나오는 중이다. 지금도 심심하면 동성 및 이성간 성폭력 스캔들 터지는게 미군의 실태다.[7] 당시 각 군별로 라이벌 의식이 강했던 편이라 3군별로 적절히 배분하는 것이 암묵의 룰이었다는 카더라도 있다. 머큐리 세븐은 적절(...)하게도 해병대 출신 존 글렌, 공군 출신 거스 그리섬, 고든 쿠퍼, 디크 슬레이튼, 해군 출신 앨런 셰퍼드, 월리 시라, 스콧 카펜터로 비율이 꽤 그럴듯 했다.[8] 스페인이나 일본 둘 다 해외파병이라 진급 가산점이 붙는데다가 치안이 매우 안전하다. 미국에 비해서 친절한 공무원, 엔저로 저렴한 물가로 군복무하며 거주하기 매우 좋다. 특히 이 중 극소수이지만 양덕 기질 있는 생도로써는 더 싼 가격으로 덕질까지 가능해 금상첨화인 나라다.[9] 로고 역시 육사가 간지 탑이다. 휘날리는 망토를 두르고 한손에는 검을 든 흑기사가 그려진 육사의 로고에 비해 해사는 듣보잡 산양(...).[10] 보통 미국 프로 스포츠의 대학 선수들은 '대졸'은 별로 없고 대학 재학 중에 지명받으면 계약금 합의에 이를 경우 그냥 대학에서 자퇴하고 프로에 입문한다. 그래서 웨스트포인트나 애너폴리스 출신으로 기록된 여러 프로 선수들도 사실 졸업이 아니라 중퇴하고 프로에 입문한 경우가 많다. 해리스의 경우는 3학년에서 4학년 올라가던 2007년 여름에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에 지명되었지만 2학년 마친 뒤로 "2년 추가 재학 / 5년 의무 복무" 서약을 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11] 미치 해리스가 데뷔할 무렵 NCAA 디비전 1의 탈삼진 선두가 해군사관학교 3학년 좌완투수인 루크 길링엄이었는데, 구속은 좀 딸려도 스카우트들이 눈이 휘둥그래질 절륜한 성적을 찍었음에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드래프트 주요 유망주 논의에서는 언급조차 되지 않았다. 이미 복무 서약을 마친 3학년을 억지로 퇴교시킬 수는 없음을 스카우트들도 알기 때문이다.[12] 이 해 카디널스는 2라운드에서 랜스 린을 지명했다. 야구에 만약은 없다지만 남들처럼 3학년 마치고 24라운드에서 지명한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와 계약했더라면 제이슨 헤이워드, 프레디 프리먼, 크레이그 킴브럴 등과 함께 애틀랜타의 중추로 성장했을지도 모르는 일.[13] 하딩 감독 옆의 선수는 바로 댈러스 카우보이스의 레전드 쿼터백 로저 스타우벅.[14] 통계가 학부/대학원 졸업자를 대학별로 각각 집계한 것이라 우주비행사들 대부분은 여러 학교에 중복으로 집계되지만, 해사는 학부 졸업생만으로 53명이나 배출했다. 뒤로는 마찬가지로 학부만 있는 미국공군사관학교가 37명, MIT가 36명, 해군대학원(Naval Postgraduate School)이 35명, 스탠퍼드 대학교, 퍼듀 대학교, 미국육군사관학교가 20명 내외.[15] Lawrence A. Skantze, 헤레스, Monroe W. Hatch Jr., James B. Davis 넷 뿐이다.[16] 해군 군종병과는 해군 군종센터장이 소장으로 최선임이고 해병대 군종실장이 준장으로 2인자이며 해군 군종센터장으로 올라가는 주요 진급코스에 속한다.[17] 리히 원수의 아내의 이름이 루이즈 해링턴이다.[18] ISS 장기 체류 프로그램.[19] 육사 출신은 율리시스 S. 그랜트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가 있다.[20] 미국의 경우 해군 ROTC에서 해병대를 선택할 수가 있지만, 우리나라는 해병대 ROTC가 있는 한국해양대학교, 제주대학교 외에는 해병대 장교로 임관할 수 없기 때문이다.[21] 의무 직별처럼 해병대에 붙어다니거나 지상비행장에 온 해군 조종사, 네이비 씰 같은 케이스가 아니더라도 각종 이유로 해군 인원들도 아프간과 이라크에서 많이 돌아다니며 적잖은 사상자를 냈다. 책 내용에 의하면 이런 물개해군을 아프간에서 본 땅개육군 중사가 "길 잃으셨나봐요? 바다는 꽤 멀텐데ㅋㅋ"하며 농을 던진다(...)[22] 해당 기수의 네임드로는 엘모 줌왈트가 있다. 다만 줌왈트는 당시 국가 전체가 전시체제라서 1년 조기 임관.[23] 2002년 기수는 9.11 테러 이후 테러와의 전쟁이 시작되며 임관한 첫 기수이다. 테러 소식이 전해진 사관학교에서 충격과 공포에 빠진 생도들의 모습도 묘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