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대 이스라엘-시아파갈등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발단: 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 |
<colbgcolor=#009000><colcolor=#FFF> 對이란 | 이스라엘의 주시리아 이란영사관 공습 · 진실의 약속 작전 · 2024년 이스라엘의 이란 공습 · 2024년 10월 이스라엘의 이란 공습 | |
對헤즈볼라 | 2023년 10월 헤즈볼라 포격 · 2024년 레바논 및 시리아 무선호출기 테러 · 북쪽 화살 작전 · 2024년 이스라엘-헤즈볼라 전쟁 | |
對후티 | 홍해 위기 · 머스크 항저우호 공격 사건 · 번영의 수호자 작전 (2024년 예멘 공습) · 아스피데스 작전 · 2024년 이스라엘의 예멘 공습 |
}}}}}}}}} ||
번영의 수호자 작전 Operation Prosperity Guardian | |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의 여파 및 홍해 위기의 일부 | |
기간 | |
2023년 12월 18일[1] ~ 현재 | |
장소 | |
홍해 전 지역 | |
원인 | |
후티의 민간 선박 다수 공격 | |
교전 국가 및 세력 | |
[[예멘| ]][[틀:국기| ]][[틀:국기| ]] (최고정치위원회)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캐나다| ]][[틀:국기| ]][[틀:국기| ]] [[호주| ]][[틀:국기| ]][[틀:국기| ]] [[뉴질랜드| ]][[틀:국기| ]][[틀:국기| ]] [[바레인| ]][[틀:국기| ]][[틀:국기| ]] [[그리스| ]][[틀:국기| ]][[틀:국기| ]] [[네덜란드| ]][[틀:국기| ]][[틀:국기| ]] [[노르웨이| ]][[틀:국기| ]][[틀:국기| ]] [[덴마크| ]][[틀:국기| ]][[틀:국기| ]] [[싱가포르| ]][[틀:국기| ]][[틀:국기| ]] [[스리랑카| ]][[틀:국기| ]][[틀:국기| ]] |
지원 국가 및 세력 | |
[[이란| ]][[틀:국기| ]][[틀:국기| ]] | [[세이셸| ]][[틀:국기| ]][[틀:국기| ]] [[이스라엘| ]][[틀:국기| ]][[틀:국기| ]] [[아랍에미리트| ]][[틀:국기| ]][[틀:국기| ]] [[유럽연합| ]][[틀:국기| ]][[틀:국기| ]] |
피해 | |
최소 16명 사망 보트 3대 격침 수도 사나를 포함한 군사시설 및 민간인 거주지역 | 4명 사망 FA-18 1기 MQ-9 10여기 이상 |
[clearfix]
1. 개요
2023년 10월에 알아크사 홍수 작전으로 시작된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중 이스라엘이 예비군을 소집하여 전열을 재정비한 후 가자 지구에 대대적으로 철검작전을 시행하고 있었다. 서방은 하마스 박멸은 찬성하되 가자 통치는 불허하는 상황에서 후티[2][3]가 이스라엘에 전쟁을 선포하며 홍해상에서 이스라엘 국적 선박은 물론 친이스라엘 성향 국적의 선박을 나포하겠다고 선포했다.[4]이에 첫 제물로 외국산 자동차를 실은 일본 국적 화물선박이 후티에게 나포되었고 이후에도 1세계권 선박들에 대한 공격이 이루어지면서 이로 인해 수에즈 운하를 통한 홍해 이용률이 급감하였고 웬만한 선박들이 다시 희망봉을 돌아가야 하는 바람에 늘어난 9,000km분의 해운료는 각 국가의 물가상승으로 이어졌다.
이에 미국은 후티의 납치를 막고 항로를 정상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미영 해군을 주축으로 캐나다, 네덜란드[5], 스페인[6]이 합류 선언을 했고 이 외에도 한국[7]을 포함한 서방국가에게도 합류를 제안하고 있다. 최종적으로는 후티 반군의 피랍을 막고 군함에 대한 공격을 방어하는 군사작전이다.
다만 NATO나 EU의 정식 결정이 아니라서 자발적으로 참가하려는 유럽 국가들도 적고 무엇보다도 이 작전 중에 후티의 해상봉쇄는 여전해서[8][9] 희망봉으로 가거나 홍해 운항중지 등은 현재 진행 중이라 이 작전의 실효성에 대해 별로 좋은 소리는 듣지 못하고 있다. 이후 EU에서는 본 작전과 별개의 항로 보호 작전인 아스피데스 작전을 개시했다.
후티의 공격, 미국의 공습이 서로 반복되는 와중에 홍해를 이용하는 선박의 물동량은 절반 이상 줄어들었다.#
2024년 연합 함대 측은 장기간의 작전에 따른 피로와 소모되는 비용 그리고 후티의 여전한 해상 봉쇄로 사실상 작전 실패라는 분위기가 강해지고 있다.[10] 결국 홍해에 면한 주요 이스라엘 항구인 에일라트항이 후티반군의 봉쇄에 따른 영향으로 결국 같은 해 7월 파산 신청을 하는 등, 피해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11]
2025년1월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에 사실상 하마스의 승리로 휴전이 이루어졌고 양측의 휴전을 작전중지조건으로 내세우던 후티 역시 피납 선원들을 석방하고 봉쇄해제를 발표하는등 후티의 사실상 승리로 일단 마무리됐지만 이스라엘의 휴전파기나 미-유럽이 예멘을 공격할시 선박공격을 재개하겠다고하는등 불씨는 여전히 남아있다 일단 휴전조건들이 이스라엘-하마스 양쪽다 문제가 될 요소가 많아 전쟁이 재개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2. 교전
2.1. 머스크 항저우호 공격 사건
2.2. 머스크 항저우호 공격 사건 이후
덴마크 국적의 세계 2위 해운회사 MAERSK는 항저우호 공격 사건 이후 다시 홍해 통행을 중단하며 희망봉을 통해 돌아가는 것으로 선회하면서 운임료를 상승시켰다. 이후 미국은 후티에 다시 한 번 경고를 날리며 날을 세웠는데 경고를 던진 날 후티의 후원국이자 뒷배 역할을 하는 나라인 이란의 해군 소속 구축함 한 척이 홍해에 진입하면서 긴장이 고조되었다.한국 시간 1월 5일 후티는 미 해군에 고속보트 3척을 침몰당한 후 무인 자폭 고속정을 홍해에서 미 해군과 상선이 뒤섞인 곳에 보내 공격을 시도하였다. 다행히 피해는 없었지만 제대로 극대노한 미국은 '불법공격 즉각 중단 및 피랍한 선박과 선원 석방'을 요구하였고 바이든 행정부는 "이 성명이 최후 경고"라며 최후통첩을 날렸다.
2.3. 2024년 예멘 공습
결국 인내심이 한계에 달한 미국과 영국은 예멘을 보복 공격하기 시작했다.2.4. 2024년 예멘 공습 이후
미국과 영국의 대대적인 예멘 공습이 벌어진 이후 정식 정부인 대통령지도위원회는 지지 메시지를 보내는 한편 후티측은 미영의 공격에 더더욱 분노를 표출하며 홍해 봉쇄를 지속하며 서방 국가의 무역선은 물론 미 해군 함정을 향한 지속적인 공격을 시도하고 있다.한편 유럽연합은 번영의 수호자 작전과 별개의 항로 보호 작전인 아스피데스 작전 개시 단계에 들어가면서 유럽의 군함들이 홍해로 다수 파견되기 시작했다. 이러자 후티 측은 해도를 올리며 또 다른 공격을 암시를 하고 있다. 문제는 이 해도에 그려진 선들이 현재 글로벌 인터넷을 연결하는 해저 인터넷 케이블망 선이라는 것이다. 무려 세계의 17%에 가까운 트래픽이 오가는 해저선인데 이를 끊을 시 전 세계에 트래픽 문제는 물론 인터넷 장애까지 벌어질 가능성이 있다. 현재 이란의 지원을 받아도 후티의 장비로는 끊지 못 하니까 그냥 블러핑이라는 예측도 강하지만, 후티가 진짜로 끊는 순간 엄청난 대혼란이 야기될 전망이다.
3월 6일 소식으로, 결국 후티가 해저 케이블을 절단하였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조사된 바로 해저 케이블은 이미 전달인 2월 24일 절단된 것으로 보이지만, 절단 방법 등에 대한 내용은 밝혀진 바가 없다. 이로 인해 홍해를 지나는 인터넷 통신량의 25%가 영향을 받고 있다고 한다. 후티 측에서는 이 절단 사건이 본인들에 의한 것이 아니고 미영 군사작전으로 인한 것이라고 반박하고 있다.
미 해군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에 후티 측 대함 순항미사일이 겨우 1마일(1.6Km)까지 접근하여 펠렁스를 비롯한 대공무기들이 동원되어 위기를 모면할 정도로 긴장수위가 높아지고 있다.
3. 영향
3.1. 미국 및 서방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에서 팔레스타인 지지를 선언한 후티 반군은 이스라엘을 지지 및 지원한다고 후티측이 판단한 국적의 선박들을 공격하거나 피랍하여 수에즈가 사실상 마비되어[12] 9000km나 되는 희망봉 우회 경로를 통해 해운료가 급상승해 물가에도 치명적이니 당연히 곱게 보일리가 없다.그 결과 이 작전에 미국과 영국 외에도 캐나다, 싱가포르 등 물론 여러 서방 국가가 참여를 약속했고 아프리카 섬나라 세이셸도 참여 의사를 표명했다. 다만 이후 진행을 보면 프랑스는 유럽주의자 마크롱이 AUKUS 사건 이후로 미국과 영국 주도를 거부하는 중이라 독자 작전을 하겠다며 번영 수호 작전에 불참, 호주는 외부 위협 때문에 함선 파견을 거부[13]하며 소수의 무관 파견에 그쳤고, 스페인은 EU나 NATO의 결정이 아니라며 참가를 확약하지 않았다며 정정했고, 네덜란드 또한 NATO의 정식 결정이 아니기에 10여 명 정도의 무관 파견에 그쳤다. 그나마 덴마크는 자국 기업인 머스크 해운이 피해를 입어 군함을 보냈고, 영국도 함선을 파견해 참가했다.
2024년 1월 말부터 EU 주도 홍해 항로 보호 작전인 아스피데스 작전이 준비되면서 상당수 유럽 국가들은 번영의 수호자 작전이 아닌 이쪽에 전력을 투입하려하고 있다.
미군 3명이 사망하는 일이 일어났음에도 공습만 할 뿐, 본격적인 지상전을 할 예정이 전혀 없기에 후티는 계속해서 상선을 공격중에 있다. 미국 입장에서도 지상전을 벌이면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아주 잘 알기 때문에 함부로 지상전은 시작하고 있지는 못하고 있다.
예멘 공습 이후 한국은 이번 조치에 대한 지지를 표하였고 공식적인 참여는 하지 않았다. 이 외에도 현재 소말리아 해적 소탕을 하며 파견된 청해부대가 속한 함선은 후티 반군의 자폭 드론이나 자폭 무인 고속보트에 대응할 수단이 없어서 참여할 방도가 없다.
세계 1위 크루즈 운영사인 카니발 코퍼레이션은 후티 반군의 무장 행위로 인해 2024년 5월에 예정되어 있던 12척의 크루즈 운행에 있어 홍해를 배제하고 일정을 조정시켰다. 이로 인해 수익성이 악화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미국과 서방이 원하는 완전한 항행의 자유는 후티 반군이 지상전에 의해 완전히 소탕되지 않는 한 불가능한 상황인데, 이미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이라크 전쟁, 시리아 내전 개입, 대IS 군사 개입 등 20여년에 거친 중동 개입에 지칠대로 지친 서방이 지상군을 투입할 여력이 없다
2025년1월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에 휴전이 이루어졌고 양측의 휴전을 작전중지조건으로 내세우던 후티 역시 피납 선원들을 석방하고 봉쇄해제를 발표하는등 사실상 후티의 승리로 끝이났다[14]
3.2. 중동
대체로 하마스를 비난, 이스라엘을 지지 및 지원하는 미국 주도의 홍해 해안 치안유지 작전을 지지하기에는 좀 그렇다는 반응이 많아서 후티를 향해 불쾌함을 표하기만 할 뿐 아무런 움직임을 보이고 있지 않고 중동 지역에서는 바레인이 공식 참가했다.3.2.1. 사우디아라비아
허구한날 후티에게 처참히 패배한 탓에 악연이긴 하지만, 6년 뒤 개최할 리야드 엑스포를 대비해야하고 중국과 협약을 맺은 대로 도시 개발을 비롯한 내부 문제도 해결하는등 내정에 전력을 다하는 중이라 외부의 일에 대해선 대체로 관망으로 일관하고 있다.[15]3.2.2. 이집트
어쩌다보니 본 사태의 최대 피해국이 되었다. 이집트 해군이 중동에서 가장 강한 해상전력을 가진 나라라곤 하지만, 친미를 주장하자니 반미감정이 들끓는 국내 민심과 주변국의 시선이 문제고, 반미를 주장하자니 관광산업과 수에즈 운하 통행료가 외화벌이의 대다수인 이집트 입장에서 주요 고객인 서방쪽 회사와 고객들의 발길이 끊겨버리니 국가 재정에 치명적이다.결국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애써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지만,[16] 그런만큼 서방쪽 해운사들이 수에즈를 통하지 않고 희망봉쪽 우회를 가느라 여러모로 손해를 보고 있다.
3.2.3. 이란
후티의 홍해 봉쇄를 지지하였다. 이후 주적인 미국과 영국이 번영수호자 작전 시행 및 다국적군 창설을 선포하자 오히려 미국, 영국과 이에 합류한 국가들을 향해 강력한 비난을 하며 후티를 지지하는 중이다.4. 둘러보기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건국 ~ 20세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전쟁·분쟁 | 교전국 | |
독립전쟁 ,1775 ~ 1783, | <colbgcolor=#fff,#191919> | ||
유사전쟁 ,1798 ~ 1800, | | ||
1차 바르바리 전쟁 ,1801 ~ 1805, | | ||
미영전쟁 ,1812 ~ 1815, | | ||
2차 바르바리 전쟁 ,1815, | | ||
미국-멕시코 전쟁 ,1846 ~ 1848, | | ||
태평천국의 난 ,1850 ~ 1864, | | ||
제2차 아편전쟁 ,1856, | | ||
남북전쟁 ,1861 ~ 1865, | | ||
시모노세키 전쟁 ,1863 ~ 1864, | | ||
포르모사 원정 ,1867, | 파이완족 | ||
신미양요 ,1871, | | ||
하와이 침공 ,1893, | | ||
미국-스페인 전쟁 ,1898, | | ||
미국-필리핀 전쟁 ,1899 ~ 1902, | | ||
의화단의 난 ,1900 ~ 1901, | | ||
멕시코 국경 전쟁 ,1910 ~ 1919, | | ||
니그로 반란 ,1912, | | ||
니카라과 점령 ,1912 ~ 1933, | | ||
아이티 점령 ,1915 ~ 1934, | | ||
도미니카 점령 ,1916 ~ 1924, | | ||
제1차 세계 대전 ,1917 ~ 1918, | | ||
러시아 내전 ,1918 ~ 1920, | | ||
제2차 온두라스 내전 ,1924, | | ||
제2차 세계 대전 ,1941 ~ 1945, | 태평양 전쟁 ,1941 ~ 1945, | | |
북아프리카 전역 ,1940 ~ 1943, | | ||
서부전선 ,1941 ~ 1945, | | ||
추축국 석유 차단 작전 ,1940 ~ 1945, | | ||
그리스 내전 ,1944 ~ 1948, | | ||
6.25 전쟁 ,1950 ~ 1953, | | ||
1958년 레바논 위기 ,1958, | | ||
피그만 침공 ,1961, | | ||
베트남 전쟁 ,1964 ~ 1973, | | ||
라오스 내전 ,1964 ~ 1973, | | ||
푸에블로호 피랍사건 ,1968, | | ||
EC-121 격추 사건 ,1969, | | ||
도미니카 내전 ,1965 ~ 1966, | | ||
캄보디아 내전 ,1970 ~ 1975, | | ||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1976, | | ||
엘살바도르 내전 ,1979 ~ 1992, | | ||
시드라 만 사건 ,1981~1989, | | ||
그레나다 침공 ,1983, | | ||
레바논 내전 ,1982~1984, | | ||
리비아 공습 ,1986, | | ||
사마귀 작전 ,1988, | | ||
파나마 침공 ,1989, | | ||
1989년 필리핀 쿠데타 시도 ,1989, | | ||
걸프 전쟁 ,1990 ~ 1991, | | ||
모가디슈 전투 ,1993, | | ||
민주주의 유지 작전 ,1994 ~ 1995, | | ||
보스니아 내전 ,1995, | | ||
무한 도달 작전 ,1998, | | ||
사막의 여우 작전 ,1998, | | ||
코소보 전쟁 ,1999, |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21세기 이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전쟁·분쟁 | 교전국 | |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 ~ 2021, | <colbgcolor=#fff,#191919> | ||
이라크 전쟁 ,2003 ~ 2011, | | ||
파키스탄 드론 공습 ,2004 ~ 2018, | | ||
소말리아 군사 개입 ,2007 ~ 현재, | | ||
2006년 3월 18일 조치 ,2006, | | ||
머스크 앨라배마호 피랍 사건 ,2009, | | ||
아프간 주둔 미군-파키스탄군 교전 ,2009 ~ 2012, | | ||
제1차 리비아 내전 ,2011, | | ||
SY 퀘스트 피랍 사건 ,2011, | | ||
니제르 군사 개입 ,2013 ~ 현재, | | ||
대IS 군사 개입 ,2014 ~ 현재, | 제2차 이라크 내전 ,2014 ~ 2017, | | |
시리아 내전 ,2014 ~ 현재, | | ||
제2차 리비아 내전 ,2015 ~ 2019, | | ||
샤리아트 공군기지 공습 ,2017, | | ||
하샴 전투 ,2018, | | ||
2018년 4월 시리아 공습 ,2018, | | ||
바그다드 국제공항 공습 ,2020, | | ||
순교자 솔레이마니 작전 ,2020, | | ||
2023년 이라크·시리아 주둔 미군기지 공격 ,2023, | | ||
홍해 위기 , 2023 ~ 현재, | | ||
번영의 수호자 작전 ,2023 ~ 현재, | | ||
머스크 항저우호 공격 사건 ,2023, | | ||
2024년 예멘 공습 ,2024 ~ 현재, | | ||
친이란 민병대의 주요르단 미군기지 공격 ,2024, | 미상 친이란 민병대 | ||
2024년 미국의 이라크·시리아 공습 ,2024 ~ 현재, | |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전쟁·분쟁 | 교전국 | |
<colbgcolor=#012169> 영국-스페인 전쟁 ,1585 ~ 1808, | <colbgcolor=#fff,#191919> | ||
335년 전쟁 ,1651 ~ 1986, | | ||
영국-네덜란드 전쟁 ,1652 ~ 1784, | | ||
대북방전쟁 ,1700 ~ 1721, | | ||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1701 ~ 1714, | | ||
사국 동맹 전쟁 ,1718 ~ 1720, | | ||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1740 ~ 1748, | | ||
7년 전쟁 ,1754 ~ 1763, | | ||
제1차 영국-마라타 전쟁 ,1775 ~ 1782, | | ||
미국 독립 전쟁 ,1775 ~ 1783, | | ||
프랑스 혁명 전쟁 ,1793 ~ 1802, | | ||
나폴레옹 전쟁 ,1803 ~ 1815, | | ||
제2차 영국-마라타 전쟁 ,1803 ~ 1805, | | ||
미영전쟁 ,1812 ~ 1815, | | ||
제3차 영국-마라타 전쟁 ,1817 ~ 1818, | | ||
제1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 ,1839 ~ 1842, | | ||
제1차 아편전쟁 ,1840 ~ 1842, | | ||
영국-시크 전쟁 ,1845 ~ 1849, | | ||
크림 전쟁 ,1853 ~ 1856, | | ||
태평천국의 난 ,1850 ~ 1864, | | ||
제2차 아편전쟁 ,1856 ~ 1860, | | ||
영국-페르시아 전쟁 ,1856 ~ 1857, | | ||
세포이 항쟁 ,1857 ~ 1858, | | ||
사쓰에이 전쟁 ,1863 ~ 1864, | | ||
시모노세키 전쟁 ,1863, | | ||
제2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 ,1878 ~ 1880, | | ||
줄루 전쟁 ,1879, | | ||
제1차 보어 전쟁 ,1880 ~ 1881, | | ||
마흐디 전쟁 ,1881 ~ 1899, | | ||
영국-이집트 전쟁 ,1882, | | ||
영국-잔지바르 전쟁 ,1896, | | ||
파쇼다 사건 ,1898, | | ||
제2차 보어 전쟁 ,1899 ~ 1902, | | ||
의화단의 난 ,1900 ~ 1901, | | ||
티베트 침공 ,1903 ~ 1904, | | ||
제1차 세계 대전 ,1914 ~ 1918, | | ||
러시아 내전 ,1918 ~ 1920, | | ||
아일랜드 독립전쟁 ,1919 ~ 1921, | | ||
제3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 ,1919, | | ||
터키 독립전쟁 ,1919 ~ 1923, | | ||
제2차 세계 대전 ,1939 ~ 1945, | <colbgcolor=#012169> 서부 전선 ,1939 ~ 1945, | | |
북아프리카 전역 ,1940 ~ 1943, | | ||
동아프리카 전역 ,1940 ~ 1941, | | ||
영국-이라크 전쟁 ,1941, | | ||
페르시아 침공 ,1941, | | ||
태평양 전쟁 ,1941 ~ 1945, | | ||
그리스 내전 ,1944 ~ 1948, | | ||
인도네시아 독립전쟁 ,1945 ~ 1946, | | ||
말레이시아 비상사태 ,1948 ~ 1960, | | ||
6.25 전쟁 ,1950 ~ 1953, | | ||
제2차 중동전쟁 ,1956, | | ||
제1차 대구전쟁 ,1958 ~ 1961, | | ||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 대치 ,1963 ~ 1966, | | ||
도파르 전쟁 ,1963 ~ 1976, | DLF PFLOAG NDFLOAG PFLO | ||
아덴 비상사태 ,1963 ~ 1967, | | ||
베트남 전쟁 ,1964 ~ 1975, | | ||
제2차 대구전쟁 ,1972 ~ 1973, | | ||
제3차 대구전쟁 ,1975 ~ 1976, | | ||
포클랜드 전쟁 ,1982, | | ||
걸프 전쟁 ,1990 ~ 1991, | | ||
보스니아 전쟁 ,1992 ~ 1995, | | ||
코소보 전쟁 ,1999, | | ||
시에라리온 내전 ,2000 ~ 2002, | | ||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 ~ 2020, | | ||
이라크 전쟁 ,2003, | | ||
제1차 리비아 내전 ,2011, | | ||
대IS 군사 개입 ,2014 ~ 현재, | 제2차 이라크 내전 ,2014 ~ 2017, | | |
시리아 내전 ,2017 ~ 현재, | | ||
홍해 위기 ,2023 ~ 현재, | | ||
번영의 수호자 작전 ,2023 ~ 현재, | | ||
2024년 예멘 공습 ,2024 ~ 현재, | | }}}}}}}}} |
| |||
{{{#!wiki style="color: #da291c;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 전쟁·분쟁 | 교전국 | |
<colbgcolor=#fff> 마흐디 전쟁 ,1881 ~ 1889, | <colbgcolor=#fff,#191919> | ||
제2차 보어 전쟁 ,1899 ~ 1902, | | ||
제1차 세계 대전 ,1914 ~ 1918, | | ||
러시아 내전 ,1918 ~ 1920, | | ||
제2차 세계 대전 ,1939 ~ 1945, | 서부전선 ,1939 ~ 1945, | | |
태평양 전쟁 ,1941 ~ 1945, | | ||
6.25 전쟁 ,1950 ~ 1953, | | ||
걸프 전쟁 ,1990 ~ 1991, | | ||
보스니아 내전 ,1995, | | ||
코소보 전쟁 ,1999, | | ||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 ~ 2014, | | ||
제1차 리비아 내전 ,2011, | | ||
제2차 이라크 내전 ,2014 ~ 2017, | | ||
번영의 수호자 작전 ,2023, | | }}}}}}}}} |
[[호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전쟁·분쟁 | 교전국 | |
<colbgcolor=#012169> 제2차 보어 전쟁 ,1899 ~ 1902, | [[트란스발 공화국| | ||
제1차 세계 대전 ,1914 ~ 1918, | [[독일 제국| | ||
러시아 내전 ,1918 ~ 1920, |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 ||
제2차 세계 대전 ,1939 ~ 1945, | <bgcolor=#012169> 태평양 전쟁 ,1941 ~ 1945, | [[일본 제국| | |
인도네시아 독립전쟁 ,1945 ~ 1946, | [[인도네시아| | ||
말레이시아 비상사태 ,1948 ~ 1960, | [[말레이시아 공산당| | ||
6.25 전쟁 ,1950 ~ 1953, | [[북한| | ||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 대치 ,1963 ~ 1966, | [[인도네시아| | ||
베트남 전쟁 ,1964 ~ 1972, | [[베트남 민주 공화국| | ||
걸프 전쟁 ,1990 ~ 1991, | [[이라크| | ||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 ~ 2020, | [[아프가니스탄| | ||
이라크 전쟁 ,2003 ~ 2017, | [[이라크| | ||
시리아 내전 ,2017 ~ 현재, | [[알카에다| | ||
번영의 수호자 작전 ,2023, | | }}}}}}}}} |
[[뉴질랜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전쟁·분쟁 | 교전국 | |
<colbgcolor=#012169> 제2차 보어 전쟁 ,1899 ~ 1902, | [[트란스발 공화국| | ||
제1차 세계 대전 ,1914 ~ 1918, | [[독일 제국| | ||
제2차 세계 대전 ,1939 ~ 1945, | <bgcolor=#012169> 태평양 전쟁 ,1941 ~ 1945, | [[일본 제국| | |
말레이시아 비상사태 ,1948 ~ 1960, | [[말레이시아 공산당| | ||
6.25 전쟁 ,1950 ~ 1953, | [[북한| | ||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 대치 ,1963 ~ 1966, | [[인도네시아| | ||
베트남 전쟁 ,1964 ~ 1972, | [[베트남 민주 공화국| | ||
걸프 전쟁 ,1990 ~ 1991, | [[이라크| | ||
이라크 전쟁 ,2003 ~ 2017, | [[이라크| | ||
시리아 내전 ,2017 ~ 현재, | [[알카에다| | ||
번영의 수호자 작전 ,2023, | |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 전쟁·분쟁 | 교전국 | |
<colbgcolor=#ff9900> 네덜란드 독립전쟁 1568 ~ 1648 | <colbgcolor=#fff,#191919> | ||
네덜란드-포르투갈 전쟁 1601 ~ 1661 | | ||
30년 전쟁 1618 ~ 1648 | | ||
335년 전쟁 1651 ~ 1986 | | ||
영국-네덜란드 전쟁 1652 ~ 1784 | | ||
프랑스-네덜란드 전쟁 1672 ~ 1678 | | ||
9년 전쟁 1688 ~ 1697 | | ||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1701 ~ 1714 | | ||
사국 동맹 전쟁 1719 ~ 1720 | | ||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1740 ~ 1748 | | ||
미국 독립 전쟁 1775 ~ 1783 | | ||
프랑스 혁명 전쟁 1792 ~ 1795 | | ||
나폴레옹 전쟁 1803 ~ 1815 | | ||
벨기에 혁명 1830 ~ 1831 | | ||
시모노세키 전쟁 1863 ~ 1864 | | ||
제2차 세계 대전 1941 ~ 1945 | <colbgcolor=#ff9900> 서부전선 1940 ~ 1945 | | |
태평양 전쟁 1941 ~ 1945 | | ||
인도네시아 독립전쟁 1945 ~ 1949 | | ||
6.25 전쟁 1950 ~ 1953 | | ||
트리코라 작전 1961 ~ 1962 | | ||
걸프 전쟁 1990 ~ 1991 | | ||
코소보 전쟁 1999 | | ||
제1차 리비아 내전 2011 | | ||
시리아 내전 2017 ~ 현재 | | ||
번영의 수호자 작전 2023 | |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전쟁 | 교전국 | |
<colbgcolor=#00205b> 스웨덴-노르웨이 전쟁 ,1814, | <colbgcolor=#fff,#191919> | ||
제2차 세계 대전 ,1940 ~ 1945, | 노르웨이 침공 ,1940, | ||
콩고 위기 ,1960 ~ 1964, | |||
보스니아 전쟁 ,1992 ~ 1995, | |||
코소보 전쟁 ,1998 ~ 1999, | |||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 ~ 2015, | |||
제1차 리비아 내전 ,2011, | |||
번영의 수호자 작전 ,2023, | |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 전쟁·분쟁 | 교전국 | |
<colbgcolor=#0D5EAF> 그리스 독립 전쟁 ,1821 ~ 1829, | <colbgcolor=#fff,#191919> | ||
그리스-오스만 전쟁 ,1897, | | ||
제1차 발칸 전쟁 ,1912 ~ 1913, | | ||
제2차 발칸 전쟁 ,1913, | | ||
제1차 세계 대전 ,1917 ~ 1918, | | ||
러시아 내전 ,1918 ~ 1920, | | ||
튀르키예 독립전쟁 ,1919 ~ 1923, | | ||
제2차 세계 대전 ,1940 ~ 1945, | 그리스 침공 ,1940 ~ 1941, | | |
6.25 전쟁 ,1950 ~ 1953, | | ||
키프로스 전쟁 ,1974, | | ||
번영의 수호자 작전 ,2023, | | ||
아스피데스 작전 ,2024, | | }}}}}}}}} |
[1] 미국 정부가 선포한 시점[2] 말이 반군이지 수도 사나를 비롯해 교역량 많은 대도시를 대거 점령한 상태고 공식 예멘정부인 대통령지도위원회 정부는 아랍권의 지지와 미국의 지원으로 버티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란을 제외한 사실상 모든 국가가 대통령지도위원회 정부를 합법정부로 인정하고 있고 후티는 인정하지 않기에 반군세력으로 분류된다.[3] 참고로 대통령지도위원회는 '북예멘'이라고 할 수 없는 게, 대통령지도위원회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주 근거지가 구 남예멘 동부 하드라마우트 일부 지역이고, 정작 구 북예멘의 알짜 지역을 지배하고 있는 세력은 후티다.[4] 실상은 중립국 스위스 선박도, 하마스를 규탄한 일본 선박도, 이란행 선박도 공격하였다.[5] 장교 10여명 파견.[6] 정작 스페인은 본인들과의 협의없이 한 미국의 독자 발표라고 주장하며 EU나 NATO 차원의 참가결정이 있을 때에만 동참하겠다고 했다.[7] 실현되지 않음[8] 다만 후티 측이 이스라엘과 관련 없는 제3국의 선박 통과는 허용했기 때문에 여전히 중국 국적이나 러시아 국적 등 홍해를 운항 중인 선박들이 어느 정도 있다.[9] 미,영의 공습 이후로는 미국과 영국 선박이 주로 후티반군의 공격 대상이 되고 있다.[10] 적 본거지에 대한 지상전을 뺀 승리는 불가능하다는 것은 베트남전에서도 이미 입증되었기도 하다.[11] 봉쇄전 14만대 가량의 차량을 하역해 내륙으로 보내던 항구가 봉쇄후 0 대로 줄어둘 정도로 타격이 컸다.[12] 선박 운항이 절반정도 줄어들었으나 시간 비용 문제로 중-소규모 운송사들은 위험을 감수하고 여전히 통과중이다[13] 호주 해군은 일단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을 견제하는 최전방 군대이고 프랑스와 미국, 영국의 사이가 완전히 갈라진 AUKUS 체결 의의도 호주 해군에게 핵잠수함을 도입시켜서 중국 해군의 압박을 위함이었다. 게다가 중국이 솔로몬 제도와 군사기지 설치를 합의하는 등의 행보를 보이자 친미 정부가 들어선 필리핀과 연계하여 남중국해 동시 순찰을 하는 등 해군을 보낼 여력이 없다.[14] 물론 이스라엘의 휴전파기나 미-유럽이 예멘을 공격할시 선박공격을 재개하겠다고하는등 불씨는 여전히 남아있다[15] 실제로 이런 이유로 예멘 내전에서도 발을 빼고 있다.[16] 그나마 공식적으로 발언한게 수에즈 운하 관리국 명의로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는 성명을 내며 후티에게 경고를 보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