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9 10:20:53

양종철

파일:KBS 로고 화이트.svg 코미디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2282b9><colcolor=#fff> 공채 전 송해† · 박시명† · 이상한 · 이상해 · 이주일† · 남춘† · 방일수 · 배수남 · 서영환 · 서우락† · 손경수 · 석현 · 심철호† · 유성 · 임희춘† · 조철남 · 진선 · 최용순† · 한주열† · 고영수 · 송영길 · 성은주 · 임금희 · 문영미 · 변아영 · 김성남 · 한기풍† · 조치원 · 허원 · 김학래 · 전유성 · 주병진 · 이용근 · 손철 · 김형곤† · 이성미 · 장두석† · 정명재
특채(1981) 김정식 · 임하룡 · 정광태 · 최양락
1기(1982) 노영석 · 심형래 · 이경래 · 이선민 · 이승오
2기(1983, 1984) 김미화 · 김재훈 · 김한국 · 김혜정 · 이경애 · 이봉원 · 이선우 · 이정문 · 임미숙 · 조금산† ·엄영수 · 지영옥
3기(1985) 김용 · 김의환 · 팽현숙 · 한혜승
4기(1986) 곽재문 · 김영선 · 김정빈 · 김지은 · 김혜란 · 김호남 · 김황우 · 박승대 · 박현웅 · 서원섭 · 양종철† · 이숙녀 · 이현순 · 임인하 · 전형진 · 정우진 · 조문식 · 하상훈 · 한정호
5기(1987) 김종국 · 김진호 · 문정숙 · 성낙앙 · 안숙희 · 오성우† · 윤혜영† · 이희구 · 최형만 · 최승혁 · 오재미 · 이창훈
6기(1990) 김민석 · 김지선 · 김찬 · 김현영 · 문형주 · 배동성 · 백현욱 · 서인석 · 서현선 · 안수미
7기(1991) 금병완 · 김국진 · 김수용 · 김용만 · 남희석 · 박병득 · 박수홍 · 양원경 · 엄정필 · 유재석 · 윤기원 · 이영재 · 전효실 · 최승경
8기(1991) 김태호† · 김만호 · 남진아 · 신재수 · 윤국일 · 이정표 · 정헌범 · 한상우 · 한상진 · 한송이 · 황창주
9기(1992) 권영찬 · 김병재 · 박수림 · 세리 · 손동환 · 이창명 · 장미화 · 조성준 · 하철승 · 허동환
10기(1993) 이덕재 · 이태식 · 김생민 · 백재현 · 송은이 · 장웅 · 조혜련 · 지석진 · 이인철
11기(1994) 김경희 · 김성규 · 서길자 · 심원철 · 이병진 · 홍석우 · 강남영
12기(1995) 공기탁 · 김숙 · 유은주 · 이장숙 · 한상규 · 홍석천 · 황승환
13기(1997) 김미자 · 김현기 · 김현희 · 박성호 · 박준형 · 서동균 · 손윤상 · 양재희 · 유재현 · 이경화 · 이상철 · 이승환 · 임혁필
14기(1999) 김대희 · 김미진 · 김상태 · 김성희 · 김영철 · 김지혜 · 박은혜 · 김준호
15기(2000) 권혜수 · 김혜진 · 남상호 · 남진우 · 양희성 · 윤석주 · 정종철 · 조수원 · 홍종호
16기(2001) 김기수 · 김시덕 · 김영삼 · 김인석 · 손소연 · 윤선희 · 이재훈 · 정명훈 · 최희선 · 허승재 · 엄태경 · 윤성호 · 최국
17기(2002) 권진영 · 김다래 · 김민정 · 김병만 · 이경우 · 이정수 · 정형돈
18기(2003) 강주희 · 김병헌 · 김진철 · 류담 · 서남용 · 오지헌 · 이동혁 · 장동혁 · 채경선 · 하지영 · 이수근
19기(2004) 강유미 · 김대범 · 안상태 · 안영미 · 유상무 · 유세윤 · 윤경화 · 장동민 · 최정화 · 홍경준 · 홍인규 · 황현희 · 정철규
20기(2005) 김선하 · 김재욱 · 김지환 · 김진 · 노우진 · 박휘순 · 변승윤 · 신고은 · 신봉선 · 유민상 · 이동윤 · 이상구 · 정경미 · 조지훈 · 변기수 · 윤형빈 · 이종훈
21기(2006) 권재관 · 김경아 · 김종은 · 김지민 · 박나래 · 안일권 · 이상민 · 이상호 · 이혜석 · 한민관 · 홍순목 · 강일구 · 고혜성 · 곽한구 · 김기열 · 송병철 · 이승윤
22기(2007) 곽현화 · 김준현 · 김지호 · 박성광 · 박영진 · 박지선† · 성현주 · 송준근 · 안윤상 · 양상국 · 양선일 · 이광섭 · 이원구 · 장도연 · 장효인 · 정범균 · 조윤호 · 최효종 · 허경환 · 허미영 · 김원효 · 조준우
23기(2008) 김대성 · 김민경 · 김희원 · 남영환 · 류정남 · 박소영 · 오나미 · 정태호 · 조승희 · 허민 · 김영민
24기(2009) 김선웅 · 김성원 · 류근지 · 안소미 · 이조원 · 허안나
25기(2010) 권미진 · 김기리 · 김영희 · 김장군 · 송영길 · 신보라 · 신종령 · 이성동 · 이희경 · 장기영 · 정은선 · 정지민
26기(2011) 김수영 · 김정훈 · 김태원 · 김혜선 · 류근일 · 박소라 · 서태훈 · 이문재 · 이상훈 · 임우일 · 정승환 · 정진영 · 정해철 · 홍나영 · 홍훤
27기(2012) 곽범 · 김현기 · 김회경 · 남궁경호 · 박은영 · 송왕호 · 송필근 · 신윤승 · 오기환 · 유인석 · 이수지 · 이찬 · 임재백 · 정윤호 · 정찬민
28기(2013) 김나희 · 김병선 · 박성호 · 복현규 · 송인화 · 윤한민 · 이예림 · 장유환 · 장윤석 · 조수연 · 홍예슬 · 황신영
29기(2014) 김니나 · 김승혜 · 박보미 · 송준석 · 윤승현 · 이상은 · 이세진 · 이은호(a) · 이창호 · 이현정 · 임종혁 · 정승빈 · 정재형 · 최재원 · 홍현호
30기(2015) 김민희 · 김원훈 · 송재인 · 심문규 · 이창윤 · 장하나 · 조충현 · 홍성현
31기(2016) 박진호 · 방주호 · 배정근 · 손별이 · 이승환 · 임성욱 · 조래훈 · 조진세 · 최희령 · 황정혜
32기(2018) 김두현 · 민성준 · 박대승 · 송이지 · 엄지윤 · 이가은 · 이재율 · 이정인 · 장준희 · 전수희 · 정진하
33기(2023) 김시우 · 나현영 · 남현승 · 서아름 · 이수경 · 임선양 · 임슬기 · 오민우 · 오정율 · 장현욱 · 최기문 · 채효령 · 황은비
}}}특채, 제명, 고인†
(a): 29기 중에서 유일하게 개그콘서트에 출연하지 못했다.
}}}}}} ||
<colbgcolor=#DB4E9C><colcolor=#FFFFFF> 양종철
梁鐘鐵 | Yang Jong Cheol
파일:양종철.jpg
출생 1962년 11월 14일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불광동[1]
사망 2001년 11월 23일 (향년 39세)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 강남구청 사거리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신체 177cm, 88kg, A형
학력 대성고등학교 (졸업)
서울예술대학 (연극과 / 전문학사)
종교 기독교
데뷔 1986년 KBS 4기 공채 개그맨
취미 드라이브, 영화 감상, 스포츠
별명 물방개, 돌포, 불광동 휘발유, 아찌
특기 성대모사, 춤, 수영
병역 대한민국 육군 제101보병여단[2] 전역
링크 파일:다음 카페 아이콘.svg영원한 개그맨 양종철님을 추억합니다 [3]
1. 개요2. 사망3. 출연작4. 영화5. 연극6. 수상7. CF8. 가족오락관9. 외모 변천사10. 어록11. 여담

[clearfix]

1. 개요

파일:밥 먹고 합시다.gif
대한민국코미디언. 서울예술대학 연극과를 졸업하였으며, 1986년, 한국방송공사 4기 공채 개그맨으로 데뷔하여 1988년, KBS 코미디대상 신인상을 받았다. '불광동 휘발유’라는 별명으로 KBS ‘유머 1번지’와 ‘쇼 비디오 자키’ 등에서 인기를 모았다. 1980년대 말, 회장님 회장님 우리 회장님에 출연하여 "밥 먹고 합시다!!"라는 명대사도 남겼다.#[4], 이후 1991년 진중일기와 무적의 레슬러에 출연하여 KBS 코미디대상 인기상 후보에 올랐으며, 이듬해인 1992년에는 한바탕 웃음으로 총각 파티 코너에서 인기를 끌어 KBS 코미디대상 인기상을 수상하였고, 3년 후인 1995년에는 코미디 1번지 열려라 강의실 코너에서 NG를 많이 내어 KBS 코미디대축제 NG대왕상 후보에 올랐었다. 이후 90년대 중후반까지 코믹문화센터, 웃음천국, 고전해학극장 등 여러 코미디 프로에서 감초 역할로 활동했었다. 2000년부터는 주로 지역 행사나 공연에서 MC를 맡기도 했었다. 정확히 언제인지는 알 수 없으나 이 시기 사이에 전주 통갈비집과 나이트클럽을 운영하여 사업에도 힘을 썼으며, 이듬해인 2001년에는 iTV에서도 활동했었고, 쇼 행운열차를 통해 복고 코미디를 선보이기도 하였으며 그 해 8월까지 시사터치 코미디파일에도 출연했었다. 또한 드라마를 통해서 연기자로 진출하여 이미지가 바뀌는 듯 싶었으나..

2. 사망

파일:사랑과 전쟁.jpg
사망 전의 모습 (2001. 11. 09.)
2001년 11월 23일 오전 3시 50분경에 모 나이트클럽으로 공연을 하러 가던 도중 관세청 입구 사거리에서 포드 익스플로러[5][6]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 231번지 강남구청 사거리 방면, 편도 4차선 도로 중 2차로를 시속 약 70-77km/h로 달리다 2차선과 3차선에서 각각 신호 대기 중이던 차량 사이를 파고들면서 2차선에 쏘나타3 택시의 후면 우측단과 3차선에 있던 쏘나타3 택시의 좌측 앞 펜더부위를 연쇄 충돌, 두 대를 들이받고 차량이 우측으로 넘어져 미끄러졌다. 이때 양종철은 안전띠를 착용하지 않아 깨어진 조수석 유리창으로 머리와 우측팔이 아스팔트에 쓸리면서 차체에 눌려 그 충격으로 현장에서 즉사했다. # 향년 39세.[7]

사고 다음날인 2001년 11월 24일 연예가 중계에서 사고 현장 화면을 적나라하게 보도하거나 오열하는 유가족에게 카메라와 마이크를 억지로 드러내는 등 고인과 유족의 프라이버시 보호에 대한 배려가 전혀 없어 게시판에 시청자들의 분노가 빗발쳤었다. #

사고 장소는 1년 전 클론의 멤버 강원래가 사고가 났던 곳과 가까운 거리[8]에 위치해 있었다. 당시 타고 있던 차량은 포드 익스플로러의 2세대 모델[9][10]로, 전복 사고가 많이 일어나는 등의 문제로 인해 미국에서도 이와 비슷한 사례가 많아 안전 문제로 말이 많았던 차종이었다. 사고 당시 깨진 조수석 유리창 너머로 튕겨 나온 머리가 전복된 차에 깔려 숨졌기 때문에 안전벨트만 착용했더라면 생존할 수도 있었던 터라 안타까움을 남겼다. 더욱이 방송 활동 중단 기간도 다 끝나서 당시 KBS 쇼 행운열차의 코너 쇼 행운을 잡아라 녹화도 앞두고 있었다. 그야말로 휘발유 같은 인생을 살다 간 인물.

더불어 사고 당시에 같은 차량의 조수석에 탔던 배모 씨(44·여)[11]에 대해서도 논란이 많았다. 대체 이 여자가 누구인가 하는 논란. 당시 경찰은 조수석에 타고 있던 배씨를 상대로 사고 경위를 조사했다. 배씨는 중상을 입긴 했어도 말을 할 수 있는 상태였지만 진술을 거부했는데, 이 때문에 불륜(간통) 상대라는 소문도 돌았었고, 하여튼 온갖 루머를 만들어 냈다. 이후 잠수타듯이 피해 버려 이 일에 대하여는 일체 입을 다물면서 정확한 사고 경위는 세월이 한참 지난 지금까지도 미스터리로 남게 되었다.

더욱 안타까운 것은 교통사고로 사망하기 불과 2년 전인 1999년에는 동료 연예인들과 경부고속도로 서울톨게이트를 비롯해 도로 곳곳에서 교통질서 캠페인을 했었으며 고속도로를 운행하는 운전자들에게 차선 위반, 과속운전이 생명을 잃게할 수 있다는 경고를 담은 부채 5만 개를 배포한 적이 있었다.
파일:1999 교통안전.jpg
왼쪽에서 두 번째가 양종철, 여섯 번째는 김흥국

그리고 사고 당시 후배 개그맨인 김경식이 우연히 사고 현장을 지나갔다고 당시 시사대담을 진행했던 김구라가 주장했다.

3. 출연작

3.1. KBS

3.2. SBS

3.3. MBC

3.4. EBS

3.5. iTV

4. 영화

5. 연극

6. 수상

7. CF

8. 가족오락관

※ 손미나 아나운서가 진행한 회차는 굵게 표시.
파일:가족오락관 871.jpg
가족오락관 마지막 출연본 (2001. 09. 01.) 당시 모습

9. 외모 변천사

파일:양종철 졸업사진.jpg
1980년 (고3 시절)
파일:회장님 1986.jpg
1986년 (데뷔 시절)
파일:1987 시상식.jpg
1987년 (신인 시절)
파일:1988 물방개.jpg
1988년 (전성기 시절)
파일:동작그만 1989.jpg
1989년
파일:맨손의 청춘 1990.jpg
1990년
파일:감초의 전방 1991.jpg
1991년
파일:양 실장 1992.jpg
1992년
파일:홍학동 1993.jpg
1993년
파일:할매캅 1994.jpg
1994년
파일:95 강의실.jpg
1995년
파일:퍼즐특급 1996.jpg
1996년
파일:970611.jpg
1997년
파일:980223.jpg
1998년
파일:990510.jpg
1999년
파일:001224.jpg
2000년
파일:양종철 2001.jpg
2001년

10. 어록

''밥 먹고 합시다!''
유머 1번지, 회장님 회장님 우리 회장님 中
"우리 비룡이 제가 없으면 운영이 되겠습니까~"
유머 1번지, 회장님 회장님 우리 회장님 中
"그래요~몰랐어요~!"
유머 1번지, 회장님 회장님 우리 회장님 中
"○○이 나를 부른다 야으호~!"
쇼 비디오 자키, 도시의 천사들 中
"이따만한 ○○~요따만한 ○○~이~따만한 ○○을~"
쇼 비디오 자키 中
"이왕 죽으면 썩어 문드러질 몸 젊었을 때 놀자!"
유머 1번지, 맨손의 청춘 中
"어디긴 어디야 경마장이지~"
유머 1번지, 맨손의 청춘 中
"내가 왜 이럴까? 아~떨려~"
유머 1번지, 진중일기 中
"그 어두웠던 과거 생각이 나는구나~
그 까만 그 창살에 어둠이 빨갛게 질 때면
그 할아버지 쥐가 팍팍!!
뒤이어서 할머니 쥐가 팍팍!!
뒤이어서 새끼 쥐들이~(코브라 흉내를 내며)"
유머 1번지, 감초맨 中
"그래요~나 몸으로 웃기는 개그맨이에요~"
한바탕 웃음으로, 총각 파티 中
"촌장을 몰아내자!"
코미디 세상만사, 홍학동 사람들 中
"○○아 이러면 안돼~이러지마~"
코미디 세상만사, 홍학동 사람들 中
"○○ 이리와!!!"
코미디 1번지, 포졸 아카데미 中
"앞으로 기회가 된다면 좀 더 많은 드라마에 출연해 이미지 완전히 바꾸고 싶다"
2001년 2월 2일, 인터뷰
"농담인 줄 아시죠~"
2001년 9월 1일, 가족오락관
''스트레스는 쌓이는 족족 팍팍 풀어줘야 된다구~"
2001년 11월 9일, 부부 클리닉 사랑과 전쟁

11. 여담

파일:양종철 선우재덕.jpg
1991년 잡지 인터뷰 당시 모습
파일:19971001.jpg
1997년 가족오락관 출연 당시 모습


[1]은평구 불광동. 1979년에 은평구로 편입되었다.[2] 2008년 제9보병사단으로 이관되면서 해체[3] 사망한 당일 개설된 추모 카페이며, 그마저도 오래전인 2007년을 끝으로 글이 끊겨 현재는 정전 중이다.[4] 동기로는 박승대가 있는데, 둘의 입지 차이는 어마어마했다. 둘이 함께 진행한 코너로는 회장님 회장님 우리 회장님이 있는데, 박승대는 회장님 눈치나 보는 임원 A로 나온 반면, 양종철은 누님 빽으로 임원이 된 전무 역할로서 존재감을 뽐냈으며, 코너 종영 이후로도 양종철은 이미 네임드였으나, 박승대는 쭉 듣보잡이었다가 코미디언보다는 연예 기획사 대표와 웃음을 찾는 사람들에서의 비행들로 더 유명해졌다.[5] 차량 번호는 경북 33가 4489.[6] 사실 해당 차량도 타이어 결함으로 논란이 많던 차량이었다. 자세한 내용은 포드-파이어스톤 타이어 리콜 사태 문서 참조.[7] 당시 경찰은 사고 당시 도로에 그어진 타이어 자국을 확인하고 양종철이 안전벨트를 매지 않은 채 운전을 하던 중, 강남구청 사거리에 신호대기 중인 차량들이 계속 진행하는 것으로 착각하고 달려오다가 가까이 와서야 정지하고 있는 것을 발견하고 급제동을 하였으나 긴 제동거리 때문에 안전거리 확보가 안 되며 정지하지 못해 사고가 난 걸로 파악했다.[8] 강남구청 사거리에서 신논현역 사거리까지는 차로 약 10분 정도 걸린다.[9] 1999년식이다.[10] 한 때는 지프 체로키였다는 잘못된 말도 나돌았었다.[11] 1957년생.[12] 정확히는 약 4년 4개월[13] 같이 쇼 비디오 자키에서 본인은 '이슬 맞은 물방개', 오재미는 '주물럭'으로 빙그레 통구이 과자 CF와 체험 삶의 현장 일꾼으로 같이 출연했었다.[14] 이와 똑같은 특징을 가진 사람은 박신혜가 가장 유명하다.[15] 원래 약속 시간보다 30분이나 일찍 왔는데, 양종철이 그보다 더 일찍 와서 유재석이 도착할 때까지 계속 재촉했다고 한다.[16] 이후 가끔씩 연기자로 활동하려 했었는지 2001년 11월 9일 부부 클리닉 사랑과 전쟁 아들 낳기 대작전 편에도 출연했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불과 2주 후 교통사고로 사망하면서 그의 유작이 되고 말았다.[17] 자고로 프로필 상 사진에서는 안경을 착용하지 않았다.[18] 졸병수첩 코너에서 양종철 본인의 군 시절 군부대를 방문한 이의 이름은 김○○ 코미디언으로 복자처리되었는데 양종철 본인의 언급으로 김형곤임이 드러났다. 당시 양종철 예비역 병장 본인을 대역연기한 후배 현역장병이 안○○ 상병이었다. 양종철 본인과 대역이었던 안○○ 상병과 물방개춤 대결을 펼쳤었다. 현재 그 상병은 전역 후 예비군, 민방위까지 마쳤으며 양종철을 평소에 좋아하던 후배로서 TV 내무반 신고합니다 담당 PD에게 사정사정하면서 대역연기에 참여하는걸 허락받았다 한다.[19]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도전 1000곡에도 출연했었다.# 이후 2001년 1월과 8월에도 출연한 바 있는데 아직 업로드가 되지 않은 상태이다.[20] 1987년 ~ 1989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