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틀:대한민국의 국보 1~30호, version=27, uuid=b16ef97f-b363-494a-ab2a-e95ccd5f503f,
title2=틀:대한민국의 국보 31~60호, version2=23, uuid2=979147df-3a26-481f-b049-2bed6c206bdc,
title3=틀:대한민국의 국보 61~90호, version3=18, uuid3=a651288c-6ac5-4be6-aabd-d4ff8ce28b2d,
title4=틀:대한민국의 국보 91~120호, version4=16, uuid4=47b78863-c197-4fb3-8fa6-911be58d2f63,
title5=틀:대한민국의 국보 121~150호, version5=18, uuid5=38233d15-3cf9-4c93-833c-94c06a6fbf8b,
title6=틀:대한민국의 국보 151~180호, version6=15, uuid6=edf3cf60-9adb-4a8f-8ee0-0b7fbc07c52f,
title7=틀:대한민국의 국보 181~210호, version7=13, uuid7=dc5f6abf-c5c1-4679-b79e-a752e027eb8b,
title8=틀:대한민국의 국보 211~240호, version8=15, uuid8=0da4ae8e-4b56-4578-9135-01ed7dddf02a,
title9=틀:대한민국의 국보 241~270호, version9=13, uuid9=98999a90-809a-452b-9fd0-6721c558ff35,
title10=틀:대한민국의 국보 271~300호, version10=12, uuid10=d3cf8eb4-7dea-45c4-8db8-f764102672c0,
title11=틀:대한민국의 국보 301~330호, version11=21, uuid11=654db38a-ea8b-426b-a33e-245918ddd995,
title12=틀:대한민국의 국보 331~360호, version12=14, uuid12=6bc2ec27-8f76-40cf-9ef0-c2d80032b65e)]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006cb2>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제1경 오동도 | 제2경 거문도 · 백도 | 제3경 금오도 비렁길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제4경 향일암 | 제5경 여수세계박람회장 | 제6경 진남관 | 제7경 [[여수밤바다|{{{#!wiki style="margin:0 -10px"]]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제8경 영취산 진달래 | 제9경 해상케이블카 | 제10경 이순신대교 | }}}}}}}}} |
| |
여수 진남관 麗水 鎭南館 | |
소재지 | 전라남도 여수시 동문로 11[1] |
분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관아 |
수량/면적 | 1동 |
지정연도 | 2001년 4월 17일 |
제작시기 | 조선 선조 32년(1599) |
2009년 |
1. 개요
전라남도 여수시 동문로 11에 있는 전라좌수영의 객사. 1963년에 보물 제324호로 지정되었고, 이후 2001년 국보 제304호로 승격되었다.2. 역사
성종 때인 1479년 전라좌수영이 설치되고, 1485-1491년 성을 축조했는데 이때 구 객사도 지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1599년 삼도수군통제사 이시언[2]이 정유재란 때 불타 없어진 진해루 자리에 새 객사를 세우고 진남관이라 하였다. 1716년(숙종 42) 화재로 한번 불탔다가 1718년 전라좌수사 이제면이 다시 건립했다. 1895년 을미개혁으로 수영이 폐지되었으나 객사로서의 기능은 계속하였다. 1911년부터 50여년간 여수공립보통학교, 여수중학교, 야간상업중학원 등 여러 학교의 교실로 사용되었다. 6·25전쟁 때는 폭격으로 지붕이 대파되었고, 피난민의 임시 수용소로 사용되었다. 1950년대부터 2020년대까지 몇 차례 보수·복원공사가 있었다.[주우일,2016]정면 15칸, 측면 5칸으로 총 75칸, 건물 면적 240평으로 현존하는 지방 관아 건물로서는 국내 최대의 규모를 자랑한다. 건물 자체는 충무공과 아무런 관련이 없지만, 충무공이 머물렀던 전라좌수영 자리에 있는 건물이기에 여수시는 충무공과 관련해서 홍보하고 있다.
도성 밖, 가장 거대한 건축물, 전라좌수영 객사 「진남관」의 100년 전 흑백사진
2.1. 해체보수
건물의 노후화가 심해지면서 문화재청으로부터 105억원을 지원받고 여수시에서 45억원을 부담하여 2016년부터 2019년까지 전면 해체보수 공사를 진행하기로 하였다. 해체하던 중 진남관의 동쪽에서 옛 건물지와 보도의 흔적이 발굴되면서 공사 일정이 2025년까지로 연기되었다. 2025년 4월 재개방 예정이다.3. 건축
- 객사 진남관: 규모는 75(15×5)칸, 팔작지붕, 주심포 양식이다. 다른 객사들과 마찬가지로 중앙에 왕을 상징하는 전패를 봉안하고 정기적으로 참배했으며 전라좌수영을 방문하는 관리가 머무는 숙소로도 활용되었다.
- 특징: 객사는 정청의 지붕이 가장 높고 동·서익헌은 그보다 규모가 작게 지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지만(이런 형태를 '객사형 평면'이라고 한다), 진남관은 정청과 익헌을 구분하지 않고 단일 건물로 되어 있다(이 점은 세병관과 유사하다).
- 벽·창문: 일제강점기에 학교로 사용하기 위해 대수선하면서 형태가 변경되었다. 다시 복원하는 과정에서 벽·창문의 원형을 알지 못해 뚫린 채로 두었다. 원래부터 기둥으로만 이루어진 것은 아니며, 1900년대 사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래는 벽과 창문이 있었다.
상식적으로도, 전패를 벽도 없이 덩그러니 놔두거나, 방문객이 바닷바람 맞으면서 숙박하지는 않았을 것이므로 벽이 있었다고 보아야 한다.
1900년대의 모습[주우일,2016] |
- 망해루(望海樓): 객사의 정문인 중층 누각. 일제강점기 때 헐렸다가 해방 이후 복원되었다.
4. 기타
- 건물이 워낙 크고 웅장하다보니 전라좌수영의 지휘 본부 건물로 사용했다고 착각하는 사람이 제법 많다고 한다.
- 석인상이라는 독특한 유물이 존재한다. 설화에 따르면 이순신이 한창 거북선을 건조할 때 왜군의 눈을 속이기 위해 총 7개를 제작해 배치하였다고 하는데, 현재는 딱 하나 남아있다.
5. 외부 링크
6. 국보 제304호
여수 진남관은 1598년(선조 31) 전라좌수영 객사로 건립한 건물로서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을 승리로 이끈 수군 중심기지로서의 역사성과 1718년(숙종 44) 전라좌수사 이제면(李濟冕)이 중창한 당시의 면모를 간직하고 있으며, 건물규모가 정면 15칸, 측면 5칸, 건물면적 240평으로 현존하는 지방관아 건물로서는 최대 규모이다.
진남관의 평면은 68개의 기둥으로 구성되었는데 동·서측 각각 2번째 협칸의 전면 내진주를 이주(移柱)하여 내진주 앞쪽에 고주(高柱)로 처리하였다. 이 고주는 곧바로 종보를 받치고 있고 대량은 맞보로 고주에 결구하여 그 위에 퇴보를 걸었다.
전후면의 내진주와 외진주 사이에는 간단한 형태의 퇴량을 결구하였고 측면 어칸에는 2개의 충량을 두어 그 머리는 내부 대량위로 빠져나와 용두로 마감되었다.
기둥은 민흘림 수법을 보여주고 있으며, 그 위에 짜여진 포작은 외부로는 출목 첨차가 있는 2출목의 다포계 수법을 보이고, 내부에서는 출목첨차를 생략하고 살미로만 중첩되게 짜서 익공계 포작수법을 보여주고 있다. 외부출목에 사용된 첨차에는 화려한 연봉 등의 장식을 가미하였고 특히 정면 어칸 기둥과 우주에는 용머리 장식의 익초공을 사용하였다.
각 주칸에는 1구씩의 화려한 화반을 배열하여 건물의 입면공간을 살려주고 있으며, 내·외부 및 각 부재에는 당시의 단청문양도 대부분 잘 남아 있다.
또한 건물 내부공간을 크게 하기 위하여 건물 양측의 기둥인 고주(高柱)를 뒤로 옮기는 수법을 사용하여 공간의 효율성을 살리고, 가구는 간결하면서도 건실한 부재를 사용하여 건물의 웅장함을 더해주고 있다. 건물의 양측면에는 2개의 충량(측면보)을 걸어 매우 안정된 기법을 구사하고 있는 등 18세기초에 건립된 건물이지만 당시의 역사적 의의와 함께 학술적, 예술적 가치가 뛰어나다.
여수 진남관은 2014년 제6차 건축문화재분과위원회에서 해체보수하기로 결정되어 현재 보수 중에 있다.
진남관의 평면은 68개의 기둥으로 구성되었는데 동·서측 각각 2번째 협칸의 전면 내진주를 이주(移柱)하여 내진주 앞쪽에 고주(高柱)로 처리하였다. 이 고주는 곧바로 종보를 받치고 있고 대량은 맞보로 고주에 결구하여 그 위에 퇴보를 걸었다.
전후면의 내진주와 외진주 사이에는 간단한 형태의 퇴량을 결구하였고 측면 어칸에는 2개의 충량을 두어 그 머리는 내부 대량위로 빠져나와 용두로 마감되었다.
기둥은 민흘림 수법을 보여주고 있으며, 그 위에 짜여진 포작은 외부로는 출목 첨차가 있는 2출목의 다포계 수법을 보이고, 내부에서는 출목첨차를 생략하고 살미로만 중첩되게 짜서 익공계 포작수법을 보여주고 있다. 외부출목에 사용된 첨차에는 화려한 연봉 등의 장식을 가미하였고 특히 정면 어칸 기둥과 우주에는 용머리 장식의 익초공을 사용하였다.
각 주칸에는 1구씩의 화려한 화반을 배열하여 건물의 입면공간을 살려주고 있으며, 내·외부 및 각 부재에는 당시의 단청문양도 대부분 잘 남아 있다.
또한 건물 내부공간을 크게 하기 위하여 건물 양측의 기둥인 고주(高柱)를 뒤로 옮기는 수법을 사용하여 공간의 효율성을 살리고, 가구는 간결하면서도 건실한 부재를 사용하여 건물의 웅장함을 더해주고 있다. 건물의 양측면에는 2개의 충량(측면보)을 걸어 매우 안정된 기법을 구사하고 있는 등 18세기초에 건립된 건물이지만 당시의 역사적 의의와 함께 학술적, 예술적 가치가 뛰어나다.
여수 진남관은 2014년 제6차 건축문화재분과위원회에서 해체보수하기로 결정되어 현재 보수 중에 있다.
[1] (구)전남 여수시 군자동 472[2] 이순신의 후임이었다.[주우일,2016] 주우일. (2016). 전통건축환경 옛 모습으로의 재생방향 연구: 진남관을 대상으로. 주거환경, 14(4), 253-264.[주우일,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