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9 19:35:05

최원준(1994)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131230>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두산 베어스
2024 시즌 투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군>
1 박치국 · 12 박정수 · 17 홍건희 · 29 이병헌
41 김동주 · 42 최지강 · 43 알칸타라 · 46 김명신
47 곽빈 · 49 박신지 · 59 최준호 · 61 최원준
63 김택연 · 65 정철원
<2군>
18 박소준 · 19 김민규 · 24 제환유 · 27 김강률
28 최승용 · 30 김정우 · 35 전형근 · 38 조제영
39 권휘 · 40 최종인 · 48 브랜든 · 50 이영하
55 이승진 · 56 김호준 · 62 김유성 · 64 이원재
69 백승우 · 94 남호 · 99 이교훈 · 100 문원
103 이상연 · 106 이주엽 · 107 남율 · 108 최세창
110 한충희 · 111 배창현 · 112 이민혁 · 113 박지호
115 김무빈 · 117 김태완 · 120 김도윤 · 121 장원호
2024년 4월 19일 경기 기준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군 입대 선수등록 선수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
최원준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131230>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두산 베어스
역대 1차 지명 선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982년 1983년 1984년 1985년 1986년
-
(7명)
장호연
정선두
박종훈
이선웅
송일섭
정구선
한대화
(16명)
한오종
장훈
김성호
윤석환
김남수
기세봉
김수남
홍희섭
사인상
김영하
이광국
김광림
김명구
김진욱
배원영
오덕환
(11명)
김형석
김영신
이승희
윤수봉(1)
김문수(1)
이종융(1)
권광운(1)
천성호(1)
박상석
이종원(1)
도이석
(10명)
박노준
박형열
임채섭
이복근
조석진(1)
김희식(1)
김현찬(1)
정광식(1)
차재택(1)
박상익(1)
1987년 1988년 1989년 1990년 1991년
조재환
김경남
김태진(1)
이석재(1)
김원식
정삼룡
이진
김동현
김보선
임형석
김경원
황일권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손경수 추성건 류택현 송재용 최기문
(고졸)
김선우
박명환
한명윤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이경필
(고졸)
김덕용
김성환
최경훈
김동주
(고졸)
유재웅
윤상무
이경수
홍성흔
(고졸)
구자운
문상호 황규택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이재영 노경은 김재호 김명제 남윤희(1)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이용찬
임태훈
진야곱 성영훈 장민익(2) 최현진(2)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윤명준(2) 김인태(2) 한주성 남경호 이영하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최동현 곽빈 김대한 이주엽 안재석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이병헌 최준호(2) 김택연(2) (2) (2)
(1) 지명 후 미입단 / 지명 거부
(2) 1차 지명 미시행 년도 (1라운드 지명 선수)
}}}}}}}}}

최원준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두산 베어스 우승 엠블럼 V6.svg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2019

두산 베어스 등번호 63번
채지선
(2016)
<colbgcolor=#ed1c24><colcolor=#fff> 최동현
(2017)
유재유
(2018)
두산 베어스 등번호 61번
함덕주
(2014~2017)
최원준
(2018~)
현역
}}} ||
A대표팀 참가 경력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333>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svg2020 도쿄 올림픽
김경문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ff,#333><colcolor=#09539D,#DDD> 투수 1 고영표 · 11 조상우 · 15 김진욱 · 18 원태인
19 고우석 · 21 오승환 · 23 차우찬 · 32 박세웅
48 이의리 · 55 김민우 · 61 최원준
포수 25 양의지 · 47 강민호
내야수 2 오지환 · 3 김혜성 · 10 황재균 · 13 허경민
44 오재일 · 50 강백호 · 53 최주환
외야수 17 박해민 · 22 김현수 · 37 박건우 · 51 이정후
'''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4''' 김경문
투수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3 최일언
타격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8 김재현
수비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5 이종열
작전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7 김종국
배터리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96 진갑용
불펜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9 정대현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역대 로스터 }}}}}}}}}
}}} ||
파일:최원준20231.png
<colbgcolor=#131230><colcolor=#ffffff> 두산 베어스 No.61
최원준
崔源峻 | Choi Won-Jun
[1]
출생 1994년 12월 21일 ([age(1994-12-21)]세)
서울특별시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수유초 - 신일중[2] - 신일고 - 동국대
신체 182cm | 91kg | A형
포지션 선발 투수
투타 우사우타
프로 입단 2017년 1차 지명 (두산)
소속팀 두산 베어스 (2017~)
병역 병역면제[3]
연봉 2024 / 2억 5,000만 원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등장곡 Tones and I - 《Dance Monkey》[4]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131230><colcolor=#fff> 가족 <colcolor=#373a3c,#ddd>아내 정서현(2021년 12월 결혼 - 현재)
장남 최윤우(2021년 5월 26일생)
차남 최윤재(2022년 12월 29일생)
소속사 리코스포츠에이전시[5][6]
MBTI ISFJ[7]
}}}}}}}}} ||
파일:두산 베어스 홈 심볼.sv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별명5. 여담6. 둘러보기7.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파일:불꽃원준.jpg
두산 베어스 소속 우완 투수. 2020년부터 두산의 선발 투수로 활약하고 있는 사이드암 투수다.

토미존 수술과 갑상선암을 이겨내고 두산 베어스의 토종 에이스로 성장한 데다 올림픽 야구 국가대표팀에도 발탁되며 태극마크까지 달게 된, 원종현과 함께 KBO 리그를 대표하는 인간 승리의 표본이기도 하다.

2. 선수 경력

최원준의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 최원준(1994)/선수 경력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화이트 로고.svg
2021년

3. 플레이 스타일

파일:최원준 직구.gif
{{{#white 최원준의 포심 패스트볼}}}
동국대 시절 대학 무대 정상급 투수였고, 지명 당시 즉시전력감으로 평가받았다.[8] 최고 147km/h[9]의 포심 패스트볼을 구사하는 사이드암 투수로, 상당히 지저분하고 힘 있는 포심을 주무기로 하며 꺾이는 각이 큰 슬라이더를 세컨피치로 사용한다.[10] 여타 다른 사이드암 투수와 다르게 포심의 구사 비율이 50%를 넘길 정도로 높은 편이고[11], 포심의 수직 무브먼트가 좋아 하이패스트볼로 탈삼진을 잡아내는데 능하다. 제구력 또한 준수한 편.

주무기인 포심 패스트볼과 슬라이더 모두 팔스윙이 빠르고 자세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타자가 포심과 슬라이더를 분간하기 어렵다. 두 구종의 구사율이 대단히 높은 투피치 투수에 가깝지만, 제구가 상당히 안정적이라 포심과 슬라이더를 존 구석구석에 찔러넣으며 범타나 헛스윙을 유도한다. 긁히는 날에는 직구와 슬라이더의 구위만으로 상대 타선을 아주 맛있게 요리하는 최상급의 피칭을 보여준다.

약점은 이 포심-슬라이더 조합이 좌타자 상대로 상당히 위험하게 작용한다는 점이다. 좌타자를 상대로는 몸에 맞는 볼의 위험성 때문에 슬라이더를 깊게 던질 수 없는지라[12] 포심 의존도가 높은데, 포심의 구위가 좋은 투수이기 때문에 컨디션이 좋으면 바깥쪽 포심만으로도 충분히 좌타자를 상대할 수 있지만 제구력이 흔들리는 날은 좌타자 상대로 고전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 때문에 체인지업, 커브 등의 변화구를 레퍼토리에 섞어보기도 했지만 포심이나 슬라이더만큼의 완성도는 보이지 못했다. 때문에 결정구의 정확도가 낮다는 지적이 자주 있었고, 2023 시즌을 앞두고 세리자와 유지 배터리 코치와 양의지의 조언을 받고 체인지업의 구사율을 대폭 끌어올려보기도 했으나 그리 주목할 만한 성과는 거두지 못하면서 아직까지는 아쉽다는 반응이 많다.[13]

또한 공의 수직 무브먼트를 살린 높은 코스 위주의 피칭을 펼치다 보니 장타 허용도 비교적 잦다. 잘 던지다가도 뜬금 장타를 허용하기도 하며, 상술한 대로 직구 의존도가 높은 좌타자를 상대할 때 이런 문제가 두드러진다.

요약하면 포심-슬라이더의 우수한 구위와 제구력을 무기로 삼은 최상급의 사이드암 선발이지만, 높은 코스 위주의 피칭과 좌타 상대로의 장타 리스크가 있어 공략이 불가능한 선수는 아니다.

숨겨진 장점으로는 이닝 소화력. 갑상선암 투병 경력으로 인해 체력에선 다소 부족한 모습이 자주 나오지만, 의외로 체력 대비 이닝 소화력이 상당한 편이다. 어지간하면 매 경기 5~6이닝은 기본적으로 먹어주는 이닝이터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2020년과 2021년에는 2년 연속 100이닝 이상 등판한데다 한 시즌 완주 이후에도 연투가 가능할 정도로 이닝 소화력 측면에서는 뛰어난 모습을 보여준다.[14] 등판 도중 타구에 맞는 등의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큰 문제 없이 곧바로 회복하면서 6~7이닝을 소화할 정도로 몸도 튼튼하며, 본격적으로 한 시즌 풀타임을 소화하기 시작한 2019년 이후부터 부상으로 중도이탈한 경우가 매우 드물다. 초반에 난타당하는 일이 있더라도 최소한 먹어줄 이닝은 끝까지 막아서 위기관리를 해내는 모습을 자주 보이나, 컨디션이 좋지 않을 때는 잘 버티다 갑작스럽게 무너지는 경우가 종종 있다. 또한 2023년 들어서는 그 동안의 이닝이팅의 여파와 담 증세나 손가락 물집 등의 변수로 인해 적은 투구수에도 불구하고 5~6이닝보다 더 많은 이닝을 소화하지 못하고 내려가는 경우가 늘고 있는 중.

4. 별명

5. 여담


파일:개그원준.gif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투수 (11) 포수 (2) 내야수 (7) 외야수 (4)
1 고영표 11 조상우 25 양의지 2 오지환 17 박해민
15 김진욱 18 원태인 47 강민호 3 김혜성 22 김현수
19 고우석 21 오승환 10 황재균 37 박건우
23 차우찬 32 박세웅 13 허경민 51 이정후
48 이의리 55 김민우 44 오재일
61 최원준 50 강백호
53 최주환 }}}}}}}}}

7. 관련 문서


[1] 최동현에서 개명.[2] 청원중에서 전학.[3] 갑상선암 투병 경력으로 인해 병역이 면제되었다.[4] 2022년 6월 29일 KIA전에서 처음으로 사용. 이후로도 여러번 등장곡을 바꿨으나 2024 시즌 들어서 다시 이 곡을 등장곡으로 쓰고 있다.[5] 에이전시 & 선수 매니지먼트.[6] 팀 동료 양의지, 김재환, 허경민, 양석환이 소속되어 있다.[7] #[8] 사실 동국대 시절 17승 2패의 압도적인 성적에 가려져서 그렇지 신일고 시절에도 주말리그 감투상, 우수투수상을 수상하는 등 빼어난 유망주였다.[9] 어디까지나 최고 구속이며 평균적인 구속은 140km/h 전후로 형성된다.[10] 주로 롱릴리프로 활약하던 2019년에는 슬라이더가 아닌 커브가 세컨 피치였다.[11] 그래서 통상적인 사이드암 투수와 다르게 극단적인 뜬공형 투수이며, 2021년까지는 좌/우타자 피안타율도 거의 차이가 나지 않는 편에 속했다. 다만 다른 변화구의 비중이 낮아지고 포심-슬라이더 투피치의 경향이 두드러지기 시작한 2022년부터는 다시 좌타자 상대 피안타율이 더 높아진 상태다.[12] 실제로 최원준의 등판 경기를 유심히 보면 좌타자 배터박스 쪽으로 크게 빠지는 슬라이더가 종종 보인다.[13] 체인지업에 관해서는 2023 시즌 스프링캠프에서 안승한에게 '체인지업이 볼 끝이 약하다. 그렇게 떨어지면 타자들 못 속인다'는 조언을 듣기도 했다.[14] 체력 측면에서 상당히 떨어진 모습이 역력한 2022년에도 매 경기 5~6이닝까지는 버티고 내려가곤 했다.[15] 커리어 자체는 물론 대투수인 장원준이 압도적이긴 하지만 최원준이 데뷔한 이후부터 장원준은 쭉 혹사 후유증과 부진에 빠졌고, 장원준이 부진하고 있는 사이 최원준은 2019 시즌부터 불펜을 폭격하고 선발로 날아다니고 있어서 최원준이 찐원준이 되었다.[16] 원래 61번은 함덕주가 1번을 달기 전에 달았던 번호이다. 참고로 최원준과 함덕주는 동갑(정확히는 함덕주가 빠른년생)이다.[17] 삼성 상대로 매우 약한 모습을 보이는 팀 동료 이영하와는 정반대의 유형.[18] KIA 최원준이 상무 전역을 앞둔 2023년 6월, 항저우 아시안 게임 최종 엔트리에 자신의 이름이 포함된 것을 보고 두산의 최원준이 뽑힌 줄 알고 당사자에게 직접 연락을 취해서 물어봤다고 한다.[19] 덕아웃 리액션도 열정적으로 한다. 2022년에는 호세 페르난데스, 안재석, 허경민, 안승한 등과 함께 덕아웃 치어리더로 엮이기도 했다.[20] 정작 최승용의 64번은 남은 번호들 중 하나를 팀으로부터 배정받은 것이었다는 게 아이러니. 최승용 본인도 나중에 등번호 바꾸게 된다면 29번이나 28번으로 바꾸고 싶다고 말했다. 29번은 이병헌이 달고 있다. 결국 최승용은 2024년을 앞두고 28번으로 바꾸었다.[21] 과거에 함덕주가 달았던 번호다.[22] 이 곡은 손시헌의 현역 시절 등장곡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