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0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000, #000, #8B0000, #B20000)" {{{#!wiki style="margin-top:3px;display:inline-block;min-width:25%;min-height:2em" {{{#!folding [ 시리즈 ] | 피의 게임 | 피의 게임2 | 피의 게임3 |
}}} ||
||<-2><tablealign=right><tablewidth=550><tablebordercolor=#B200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000000><colcolor=#fff> Wavve 오리지널
피의 게임3 (2024~2025)
Bloody Game 3 ||
피의 게임3 (2024~2025)
Bloody Game 3 ||
| |
장르 | 서바이벌, 리얼리티쇼, 스포츠, 두뇌 게임, 정치, 스포일러 |
방영 기간 | 2024년 11월 15일 ~ 2025년 1월 24일 매주 금요일 오전 11시 공개 |
방영 횟수 | 15부작 (본편 14화 + 비하인드 1화) |
상영 시간 | 1716분 |
기획 | Wavve |
기획/제작 | 모스트267, MBC, QQQ STUDIO |
연출 | 현정완, 전채영 |
작가 | 최가희, 유소안, 김민지, 박경원, 김세림, 이승은, 김아현, 김민정, 전다올, 김서현 |
출연 | 장동민, 홍진호, 김경란, 임현서, 서출구, 엠제이 킴, 유리사, 주언규, 빠니보틀, 충주맨, 악어, 최혜선, 허성범, 김민아, 이지나, 김영광, 시윤, 스티브예 |
촬영 기간 | 2024년 8월 1일 ~ 2024년 8월 12일(추정) |
촬영 장소 | 춘천 인터스텔라(강원 춘천시 남면 소주고개로 238) 홍천 더체어펜션(강원 홍천군 서면 모곡강변길 151) 홍천 큐벨리(폐업)(강원 홍천군 북방면 온천길 182) |
스트리밍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
시청 등급 | |
외부 링크 |
[clearfix]
1. 개요
<colcolor=#fff> 지킬 것인가 뺏을 것인가 서바이벌 레전드들이 펼치는 서바이벌 올스타전. 생존 지능 최강자들의 극한 생존 게임. |
|
안녕하십니까. 피의 게임에 오신 여러분 환영합니다. 피의 게임은 매우 불공정하고 비합리적인 게임입니다. 여러분은 거짓, 배신, 음모, 정치, 그 어떤 수를 써서라도 살아남아야 하며 피의 게임 규칙을 위반하지 않는 한 생존을 위한 그 어떤 행동도 문제되지 않습니다. 다만 모든 선택에는 반드시 대가가 따른다는 것을 명심하십시오. |
Wavve의 예능 프로그램.
피의 게임2의 후속작이자, 피의 게임 시리즈의 세 번째 시즌이다.
2. 공개 정보
의 시즌 3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1. 포스터
<rowcolor=#fff> 메인 포스터 | ||
| | |
메인 포스터 | 장동민 | 홍진호 |
| | |
<rowcolor=#fff> 메인 포스터(1:1) | 메인 포스터(가로) | |
<rowcolor=#fff> 플레이어 포스터 | ||
| | |
<rowcolor=#B20000> 홍진호 ▲ 장동민 | 서출구 ▲ 유리사 | 이지나 ▲ 스티브예 |
| | |
<rowcolor=#B20000> 임현서 ▲ 김경란 | 충주맨 ▲ 빠니보틀 | 악어 ▲ 주언규 |
| | |
<rowcolor=#B20000> 최혜선 ▲ 허성범 | 김영광 ▲ 엠제이킴 | 시윤 ▲ 김민아 |
2.2. 예고편
▲메인 티저 |
▲캐릭터 티저 - 올스타 |
▲캐릭터 티저 - 뉴스타 |
2.3. 스틸샷
| ||
| | |
| | |
| |
3. 홍보 및 이벤트
- 지난 시즌 몰아보기
방영 전 Wavve 유튜브에서 이전 시즌 전편 몰아보기 스트리밍을 진행했다. 11월 1일~11월 3일에는 시즌 1 # 링크 정주행을, 11월 8일~11월 10일에는 시즌 2 정주행을 진행했다. # 링크시즌 1 몰아보기 시즌 2 몰아보기
- 탈출 시사회 참가 이벤트
다양한 커뮤니티에서 후술할 시사회 참가 티켓을 두고 여러 응모 이벤트가 진행되었다.
| ||
키노라이츠 이벤트 | }}} | |
덕력고사 이벤트 |
<피의 게임3> 탈출 시사회 초대 피겜 덕력고사 이벤트!
피겜 덕력고사 풀고 <피의 게임3> 탈출 시사회 가자!
<피의 게임> 시리즈 관련 덕력고사 문제를 풀고
웨이브 공식 인스타그램(@wavve.official) 프로필 링크를 통해 정답을 제줄해 주세요.
*모든 문제의 정답을 맞히신 분들 중 추첨을 통해 <피의 게임3> 탈출 시사회 초대 문자'가 발송될 예정입니다!
피겜 덕력고사 풀고 <피의 게임3> 탈출 시사회 가자!
<피의 게임> 시리즈 관련 덕력고사 문제를 풀고
웨이브 공식 인스타그램(@wavve.official) 프로필 링크를 통해 정답을 제줄해 주세요.
*모든 문제의 정답을 맞히신 분들 중 추첨을 통해 <피의 게임3> 탈출 시사회 초대 문자'가 발송될 예정입니다!
- 문제 및 정답 해설 [ 펼치기 · 접기 ]
- 2번, 5번, 2번, 4번, 1번, 3번
<colbgcolor=#000> |
문제가 출제되었습니다ㅣ탈출 시사회 초대 |
📢웨이비 여러분께 안내 말씀 드립니다📢
[피의 게임] 입장할 수 있는 문제가 출제되었습니다
문제 정답자는 최초 시사회에 초대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됩니다🩸
[피의 게임] 입장할 수 있는 문제가 출제되었습니다
문제 정답자는 최초 시사회에 초대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됩니다🩸
- 문제 및 정답 해설 [ 펼치기 · 접기 ]
- Q. 다음 ??에 들어갈 숫자는?
02 21 40 ?? ?? 11 11 13
|
더쿠 댓글 이벤트 |
}}}
- 우승자 예측 이벤트 #
우승자 예측 이벤트
- 무물 이벤트 #
무물 이벤트
3.1. 제작발표회
제작발표회 |
11월 12일, 서울 성동구 메가박스 성수점에서 제작발표회가 진행되었다. 진행은 박경림이 맡았다. 현정완 PD, 전채영 PD, 장동민, 김경란, 임현서, 서출구, 엠제이킴, 유리사, 주언규, 김선태, 악어, 최혜선, 허성범, 김민아, 이지나, 시윤, 스티브예가 참석했다. 김영광, 홍진호, 빠니보틀은 불참했다.[1] 일부 참가자들의 복장을 보아 제작발표회 전후로 릴레이 지목 인터뷰를 촬영한 듯 하다.
3.2. 시사회
탈출 시사회 메이킹 |
3.3. 영상클립
3.3.1. 릴레이 지목 인터뷰
릴레이 지목 인터뷰 | ||
장동민 | 김민아 | 서출구 |
홍진호 | 충주맨 | 최혜선 |
김경란 | 스티브예 | 허성범 |
악어 | 주언규 |
3.3.2. 카운트다운 & 오픈
카운트다운 & 오픈 | ||
D-7 | D-1 | |
D-Day | 1-3화 공개 | |
4-5화 공개 | 6-7화 공개 | |
8화 공개 |
====# 하이라이트 #====
하이라이트 모음집 |
▲1-3화 하이라이트 |
▲4-5화 하이라이트 |
▲6-7화 하이라이트 |
▲8화 하이라이트 |
▲6-8화 하이라이트 (두뇌 싸움 모음집) |
▲3,6,8화 하이라이트 (예능 모음집) |
▲9화 하이라이트 |
▲10화 하이라이트 |
▲11화 하이라이트 |
▲12화 하이라이트 |
▲13화 하이라이트 |
▲14화 하이라이트 |
====# 종영 이후 영상 클립 #====
홍보용 영상 쇼츠 | ||
피겜3 정주행 주변 반응.mp4 | 피겜3 넘길게요 챌린지🔥 | 드디어 오셨다! 킹갓동민✨ |
[피의 게임3] 함께 보는 새해 운세🍀 | 어색한 표정을 짓고 속으론 이런 생각을 하곤 해,,,🙄 |
3.4. 리뷰 및 비하인드
공식 코멘터리역주행 인터뷰[4]
- 김영광 역주행 인터뷰 ①
- 시윤 역주행 인터뷰 ②
- 빠니보틀 역주행 인터뷰 ③
- 임현서 역주행 인터뷰 ④
- 이지나 역주행 인터뷰 ⑤
- 충주맨 역주행 인터뷰 ⑥
- 유리사 역주행 인터뷰 ⑦
- 최혜선 역주행 인터뷰 ⑧
- 주언규 역주행 인터뷰 ⑨
- 김민아 역주행 인터뷰 ⑩
- 서출구 역주행 인터뷰 EP.11
- 스티브예 역주행 인터뷰 EP.12
- 허성범 역주행 인터뷰 EP.13
- 악어 역주행 인터뷰 EP.14
참가자 리뷰
- 김민아
- 용산연예상점 인터뷰[5]
- 무신사 TV 현생님들5 EP.4[6] with 넉살, 홍진호, 서출구
- 서출구 재생목록
- 공개 전 피겜3갤 눈팅
- 1-3화 공개 후 인스타 라이브
- 2-3화 with 충주맨
- 4화 with 충주맨
- 5화 with 충주맨
- 6화 with 김민아, 악어, 임현서
- 7화 with 김민아, 악어, 임현서
- 8화 공개 이후 인스타 라이브 #요약
- 8화 with 이지나
- 9화 비하인드 관련 인스타그램 라이브 #1, #2, 요약
- 9화 비하인드 영상 관련 유튜브 커뮤니티 게시글
- 스티브예
- 1화 with 서출구, 시윤, 악어, 김민아, 임현서
- 2화 with 서출구, 시윤, 악어, 김민아, 임현서
- 3화 with 서출구, 시윤, 악어, 김민아
- 4-5화 공개 후 인스타 무물
- 4-5화 with 시윤, 이지나, 빠니보틀
- 6-7화 with 시윤, 이지나
- 9화 편집된 내용 관련 요약
- 9화 비하인드 영상 관련 유튜브 커뮤니티 게시글
줄거리 요약
4. 출연진
4.1. 참가자
4.2. 집사
- 강윤서
피의 낙원 담당 집사. #
- {{{#!folding 스포일러 [ 펼치기 / 접기 ]
잔해 유령 카지노, 연옥 담당 집사.}}}
5. 게임 규칙
6. 진행 결과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 회차별 게임 결과 [ 보기 ]
- ||<-2><table bordercolor=#B20000><rowbgcolor=#000><tablewidth=100%><rowcolor=#B20000><tablebgcolor=#fff,#1c1d1f> GUIDE ||
M 해당 회차 머니챌린지 우승자 D 해당 회차 데스매치 승리자 ''' 면제'''탈락 면제권을 사용한 플레이어
악귀 규칙으로 인한 탈락 후보였다면 ⚔''' 후보'''탈락후보 선정 단계에서 후보 플레이어
데스매치 진출자 투표인 경우 ▲
데스매치에 진출한 경우 △
지하감옥 수감자 투표인 경우 🚫''' 수감'''지하 감옥에 수감된 플레이어 ''' 탈락'''해당 회차에서 탈락한 플레이어
머니 챌린지 최하위 탈락후보는 ▼
투표 또는 지목으로 결정된 탈락후보는 ▽
악귀의 대살로 선정된 탈락후보는 ⚔''' 악귀'''악귀 플레이어 (8일차부터 활성화) ''' 통과'''상기한 내용 중 해당 사항 없음
파이널 직행 플레이어의 경우 ▶
파이널 인 스테이지 2차에 진출한 플레이어의 경우 ▷''' 우승'''파이널 매치에서 최종 우승한 플레이어 ''' 준우승'''파이널 매치에서 최종 준우승한 플레이어 ''' 3위'''파이널 매치에서 최종 3위를 한 플레이어 ''' 4위'''파이널 매치에서 최종 4위를 한 플레이어 기타 소속 관련 표기 (9일차 이후 생략)
일과 종료 시점 낙원 소속일 경우 🔵
일과 종료 시점 저택 소속일 경우 🟡
일과 종료 시점 잔해 소속일 경우 🟢||<tablebordercolor=#B20000><rowbgcolor=#000><tablewidth=100%><rowcolor=#fff> 진행 || 1일차 || 2일차 || 3일차 || 4일차 || 5일차 || 6일차 || 7일차 || 8일차 || 9일차 || 10일차 || 11일차 || 12일차 ||<|4> 최종
순위 ||<colbgcolor=#fff,#191919> 녹화일 24.08.01. 24.08.02. 24.08.03. 24.08.04. 24.08.05. 24.08.06. 24.08.07. 24.08.08. 24.08.09. 24.08.10. 24.08.11. 24.08.12. 머니챌린지 낙원 개인전
선착순
저택 개인전
탈락자 선정낙원 개인전
미스터리 타임
저택 개인전
미스터리 타임이벤트
납치의 날
이벤트
습격의 날이벤트
열쇠 약탈
팀전
예측승패이벤트
금고 약탈팀전
수식 링크개인전
세븐노트팀전
크리미널 메모리이벤트
금고 약탈
개인전
트라이13이벤트
악귀 심판
개인전
선과 악파이널 인 스테이지
1차 커트라인
2차 메모리 카운트
파이널 매치
1라운드 아트경매
2라운드 블랙 빌리지
3라운드 믹스 앤 매치
연장전크라임노트데스매치 2:2 팀전
스위치 포커2:2 팀전
밸런스 매치X 1:1:1
브릭빌드X 1:1
블라인드 베팅1:1:1
히든코드1:1
수식미로1:1:1
메모리301:1:1
블랙 빌리지장동민 ''' 면제''' M 🔵''' 면제''' 🔵''' 후보🚫''' 🟢''' 면제''' M 🟢''' 통과''' 🟢''' 후보▲''' 🟢''' 후보△''' D''' 악귀''''''면제''' M 🔵<bgcolor=#ffffff,#1f2023> ''' 악귀''''''후보△''' D<bgcolor=#ffffff,#1f2023> ''' 악귀''''''면제''' M''' 통과▷'''''' 우승'''1위 악어 ''' 통과''' 🟡''' 면제''' M 🟡''' 면제''' 🟢''' 면제''' M 🟢''' 통과''' 🟢''' 후보▲''' 🟢''' 통과'''''' 면제''' M 🔵''' 통과'''''' 후보▲'''''' 통과▶'''M''' 준우승'''2위 홍진호 <bgcolor=#fff> ''' 후보△''' D 🟢''' 후보▲''' 🟢''' 통과''' 🔵''' 통과''' 🔵''' 통과''' 🔵''' 면제''' M 🔵''' 통과'''''' 후보▲''' 🟢''' 통과'''''' 면제''' M''' 통과▶'''M''' 3위'''3위 허성범 ''' 통과''' 🔵''' 면제''' M 🔵''' 면제''' 🟢''' 면제''' M 🟢''' 통과''' 🟢''' 후보▲''' 🟢''' 면제''' M''' 면제''' M 🔵''' 통과'''''' 후보▲'''''' 통과▷'''''' 4위'''4위 스티브예 ''' 통과''' 🟡''' 후보△''' 🟢''' 통과''' 🔵''' 통과''' 🔵''' 통과''' 🔵''' 면제''' M 🔵''' 통과'''<bgcolor=#ffffff,#1f2023> ''' 악귀''''''후보△''' D 🟢<bgcolor=#ffffff,#1f2023> ''' 악귀''''''면제'''<bgcolor=#ffffff,#1f2023> ''' 악귀''''''면제⚔''' M''' 통과▷'''''' 탈락'''5위 서출구 ''' 통과''' 🟡''' 수감'''<bgcolor=#ffffff,#1f2023> ''' 후보🚫''''''수감'''<bgcolor=#fff> ''' 후보△''' D 🟡''' 통과''' 🟡''' 후보▲''' 🟡''' 통과'''''' 후보▲''' 🟢''' 후보▲'''''' 후보▲'''''' 통과▷'''''' 탈락'''6위 김민아 ''' 통과''' 🟡''' 면제''' 🟡''' 통과''' 🟡''' 후보▲''' 🟡''' 통과''' 🟡''' 후보▲''' 🟡''' 후보▲'''''' 면제''' M 🔵''' 통과'''''' 후보△''' D''' 통과▷'''''' 탈락'''7위 주언규 ''' 통과''' 🔵<bgcolor=#ffffff,#1f2023> ''' 후보△''' D 🟢''' 통과''' 🔵''' 통과''' 🔵''' 통과''' 🔵''' 면제''' M 🔵''' 통과'''''' 면제''' M 🔵''' 통과'''''' 면제''' M''' 통과▷'''''' 탈락'''8위 엠제이킴 ''' 통과''' 🔵''' 통과''' 🔵''' 후보🚫''' 🟢''' 면제''' M 🟢''' 통과''' 🟢''' 후보▲''' 🟢''' 통과'''''' 면제''' M 🔵''' 통과'''<nopad> ''' 후보▲''''''탈락▽'''9위 최혜선 <bgcolor=#ffffff,#1f2023> ''' 후보△''' D 🟢''' 통과''' 🟢''' 통과''' 🔵''' 통과''' 🔵''' 통과''' 🔵''' 면제''' M 🔵''' 통과'''''' 후보▲''' 🟢''' 면제⚔''' M<nopad> ''' 후보▲''''''탈락▽'''10위 유리사 ''' 통과''' 🔵''' 통과''' 🔵<bgcolor=#ffffff,#1f2023> ''' 후보🚫''''''수감'''<bgcolor=#fff> ''' 후보△''' D 🟡''' 통과''' 🟡''' 후보▲''' 🟡''' 면제'''''' 면제''' M 🔵''' 탈락▽'''11위 충주맨 ''' 통과''' 🟡''' 통과''' 🟡''' 통과''' 🟡''' 후보▲''' 🟡''' 통과''' 🟡''' 후보▲''' 🟡''' 통과'''''' 후보▲''' 🟢''' 탈락▼'''12위 이지나 ''' 통과''' 🟡''' 통과''' 🟡''' 통과''' 🟡''' 후보▲''' 🟡''' 통과''' 🟡<bgcolor=#ffffff,#1f2023> ''' 후보△''' D 🟡''' 통과'''''' 탈락⚔'''13위 임현서 ''' 후보△''' 🟢''' 통과''' 🟢''' 통과''' 🔵''' 통과''' 🔵''' 통과''' 🔵''' 면제''' M 🔵''' 탈락▼'''14위 빠니보틀 ''' 후보▲''' 🔵<bgcolor=#ffffff,#1f2023> ''' 후보△''' D 🟢''' 후보🚫''' 🔵''' 통과''' 🔵''' 통과''' 🔵''' 면제''' M 🔵''' 탈락▼'''15위 시윤 ''' 통과''' 🔵''' 통과''' 🔵''' 후보🚫''' 🟢''' 면제''' M 🟢''' 통과''' 🟢''' 탈락▽'''16위 김경란 ''' 통과''' 🟡''' 후보▲''' 🟡''' 통과''' 🟡''' 탈락▽'''17위 김영광 ''' 수감'''''' 수감'''''' 탈락'''18위 - 녹화 일자와 총 진행 회차에 대한 추측은 촬영 관련 정보에서 확인.
- 대체적으로 저녁-밤 시간대에 머니 챌린지를 시작해 당일 밤이나 다음날 새벽-아침에 데스매치를 종료했다. 작성 편의상 각 회차의 종료 시점은 데스매치 종료를 기준으로 한다.
- 여러 명이 한 회차에 탈락한 경우, 머니 챌린지에서 더 높은 순위를 거둔 플레이어를 상위 순위로 한다. 머니 챌린지에서 동률이거나 순위 구분이 없다면 데스매치에서 더 높은 성적을 거둔 플레이어를 상위 순위로 한다.
- 3일차에는 머니 챌린지와 데스매치를 진행하지 않았다. 습격의 날 이벤트는 3일차 자정-4일차 새벽까지 진행되었으나 작성 편의상 3일차 문서에서 서술한다. 김영광은 머니챌린지, 데스매치 진행없이 탈락해서 별도 표기 없음.
- 5일차는 폭우로 인해 머니 챌린지, 데스매치 모두 6일차로 연기되었다. 5일차, 6일차 진행 과정은 통합 문서로 서술한다.
- 8일차부터 악귀 규칙이 활성화된다.
- 10일차의 데스매치 진출자 선정 방식은 10일차 문서 참고.
- 준결승~결승전인 11-12일차는 통합 문서에서 서술하며, 자세한 진행 방식은 문서 참고.
- 파이널 매치 진출자 4명의 최종 순위는 상기한 대로 '데스매치에서 동률인 경우 머니 챌린지에서 성적을 참고한다'와 맥락의 통일성을 위해 1,2,3라운드 성적을 참고하여 기재하였다.
- 개인 자금 현황 [ 보기 ]
- * 개인 자금 단위는 만 원이다.
- 지난 시즌과 달리 개인 자금은 상금과 관련이 없다.
||<tablebordercolor=#B20000><rowbgcolor=#000><rowcolor=#fff><tablebgcolor=#fff,#1c1d1f> 진행 || 최초 || 1일차 || 2일차 || 3일차 || 4일차 || 5일차 || 6일차 || 7일차 || 8일차 || 9일차 || 10일차 || 11일차 || 12일차 || 최종 ||장동민 25,800 27,800[11] 30,700[12] 32,700[13] 34,700[14] 36,700[15] 우승 악어 17,000 17,000[16] 19,000[17] 13,000[18] 15,000[19] 1,000[20] 탈락 홍진호 1,200 4,000[21] 6,600[22] 600[23] 2,600[24] 탈락 허성범 500 1,500[25] 3,500[26] 5,500[27] 5,500[28] 7,500[29] 9,500[30] 15,200[31] 탈락 스티브예 20,000 12,000[32] 14,500[33] 17,300[34] 1,300[35] 3,300[36] 2,200[37] 탈락 서출구 6,000 7,000[38] 5,000[39] 1,000[40] 0[41] 탈락 김민아 10,000 8,000[42] 10,000[43] 2,000[44] 탈락 주언규 2,700 5,900[45] 8,900[46] 900[47] 2,900[48] 900[49] 2,000[50] 탈락 엠제이킴 3,700 5,700[51] 5,700[52] 7,700[53] 5,700[54] 0[55]
탈락최혜선 6,100 3,100[56] 5,700[57] 8,300[58] 4,300[59] 2,300[60] 탈락 유리사 2,900 3,700[61] 4,700[62] 6,700[63] 700[64]
탈락충주맨 4,000 0[65] 1,000[66] 6,000[67]
탈락이지나 6,000 4,000[68] 5,000[69] 탈락 임현서 0[70] 2,700[71] 5,500[72] 탈락 빠니보틀 2,800 0[73] 2,200[74] 4,400[75] 시윤 900 2,900[76] 0[77]
탈락김경란 10,000 0[78] 탈락 김영광 0[79] 탈락
7. 에피소드 목록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B20000><rowbgcolor=#000><rowcolor=#fff><tablebgcolor=#fff,#1c1d1f><nopad> 회차 || 방영일 || 부제 / 줄거리 ||<nopad> 분량 ||
1화 | 2024년 11월 15일 | 피의 게임에 오신 여러분 환영합니다 또다시 시작된 극한 생존경쟁. 첫 데스매치에 직행할 플레이어는 누가 될 것인가 | 50분 |
2화 | 신이 점지한 운명이죠 미지의 저택에 모인 의문의 플레이어들. 침묵 속 오늘의 희생양을 찾기 시작하는데... | 79분 | |
3화 | 강자를 탈락시켜야해 수상한 행방을 뒤로하고 시작된 머니 챌린지. 추리 게임의 왕은 누구? | 161분 | |
4화 | 2024년 11월 22일 | 나는 지고는 못 사는 사람이야 돌아오지 않는 사람들. 불안한 플레이어들은 방어 태세에 돌입한다. | 106분 |
5화 | 모든 선택에는 반드시 대가가 따른다 마침내 찾아온 습격의 날. 만반의 준비를 갖춘 낙원과 잔해. 과연 이 전쟁의 승자는? | 91분 | |
6화 | 2024년 11월 29일 | 우주의 기운이 우리에게 왔어 세 팀으로 나뉜 플레이어들. 각 팀의 자존심을 건 첫 번째 팀전이 시작된다 | 74분 |
7화 | 난 더 이상 두려운 게 없어 운명처럼 맞붙은 장동민 VS 김경란 VS 홍진호. 팽팽한 긴장감 속 시작된 4라운드의 승자는 누구? | 68분 | |
8화 | 2024년 12월 6일 | 한 배를 탄다는 것 누군가가 퍼뜨린 의심의 씨앗. 서로를 믿을 수 없게 된 플레이어들의 관계가 점차 파국으로 치닫는다. | 147분 |
9화 | 2024년 12월 13일 | 영원한 비무장지대는 없어 권력자 자리를 두고 펼쳐진 15인 개인전. 저마다 연합을 결성한 가운데 회색지대를 선언한 플레이어들이 있는데... | 183분 |
10화 | 2024년 12월 20일 | 타고난 것이 가장 중요하다 패배하는 팀은 잔해에 가야 한다. 두려움과 긴장감이 감도는 7vs6 팀전. 기억력과 추리력을 필요로 하는 이번 매치의 승리 팀은? | 139분 |
11화 | 2024년 12월 27일 | 잡고 있던 걸 놓을 뿐이야 잔해로 쫓겨난 패배 팀. 벼랑 끝에 몰린 심정의 홍진호는 한 가지 결심을 하며 플레이어들을 한데 모은다. | 163분 |
12화 | 2025년 1월 3일 | 신이 나에게 거짓말을 했어 충돌하기 시작한 악어와 성범. 서로를 향한 불신을 안은 채 게임을 시작하게 되는데... | 175분 |
13화 | 2025년 1월 10일 | 지금부터 쌓아온 모든 걸 쏟아부어야 해 파이널 매치로 향하는 마지막 개인전을 앞두고, 장동민과 홍진호가 비밀리에 접촉한다. | 111분 |
14화 | 2025년 1월 17일 | 파이널 매치를 시작하겠습니다 두 명의 플레이어가 파이널 매치에 합류한다. 피의게임3 최종 우승자는 누가 될 것인가. | 133분 |
15화 | 2025년 1월 24일 | 피의게임3 야미야미 토크쇼티저 클립1 클립2 클립3 | 36분 |
- 1주차는 3화, 2주차부터 2화, 4주차부터 1화씩 공개한다.[80]
- 회차별 제목은 해당 에피소드에서 등장하는 주최자 및 참가자의 대사에서 따왔다.
{{{#!folding 제목 원문 발언 [ 펼치기 / 접기 ] - 주최자: "안녕하십니까. 피의 게임에 오신 여러분 환영합니다. 피의 게임은 매우 불공정하고 비합리적인 게임입니다. (후략)"
- 임현서: "신이 점지한 운명이죠. 굳이 거스르려고 해봤자 거스를 수 없죠."
- 충주맨: "저는 일관되게 서바이벌 프로그램에서 강자를 탈락시켜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기회가 있을 때. (후략)"
- 장동민: "저는 그냥 우리의 집을 지키고 싶었고. 그것보다 더 큰 건 지기 싫었다, 이것도 게임의 하나다. (중략) 저는 지고는 못 사는 성격이라..."
- 주최자: "(중략) 다만 모든 선택에는 반드시 대가가 따른다는 것을 명심하십시오."
- 시윤: "우주의 기운은 이미 우리한테 왔어."
- 서출구: "(중략) 이대로만 갈 수 있다면 더 이상 솔직히 피의 게임3에서 제가 두려운 게 없거든요 지금. (후략)"
- 장동민: "(중략) 한 배를 탄다는 건 뭐냐, 그 책임과 의무를 다해야 되고 그거를 다 하지 못했을 때는 그만큼의... 책임을 또 져야돼. 이거는 목숨을 걸고 하는 거야."
- 빠니보틀: "영원한 비무장지대는 없어요."
- 스티브예: "사실 어떤 분야든 저는 항상 타고난 게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라. (후략)"
- 홍진호: "이제 잡고 있던 걸 놓을 뿐이야. 딱 그거야."
- 서출구: "(중략) 신이 철두철미하셔가지고 나한테 거짓말한 거야. (후략)"
- 장동민: "지금까지 있었던 모든 관계를 다 정리해서 여기다가 쏟아야 해."
- 주최자: "(중략) 그럼 지금부터 피의 게임 파이널 매치를 시작하겠습니다. (후략)"
- 이전 시즌과 마찬가지로 진행 회차와 방영 회차가 1:1로 대응하지 않는다.
{{{#!folding 에피소드 별 타임라인 정리 [ 보기 ]
<rowcolor=#fff> 회차 | 줄거리 |
1화 | 1일차 낙원 머니 챌린지 및 투표 |
2화 | 1일차 저택 머니 챌린지 및 투표 1일차 데스매치 |
3화 | 2일차 낙원 머니 챌린지 2일차 저택 머니 챌린지 2일차 저택 투표 |
4화 | 2일차 낙원 투표 2일차 데스매치 낙원 1-3일차 습격의 날 준비 잔해 3일차 습격의 날 준비 |
5화 | 3일차 납치의 날/습격의 날 4일차 열쇠 약탈 |
6화 | 4일차 열쇠 약탈 4일차 3파전 머니 챌린지 |
7화 | 4일차 3파전 머니 챌린지 4일차 데스매치 |
8화 | 5일차 금고 약탈 6일차 3파전 머니 챌린지 6일차 데스매치 6-7일차 낙원/잔해 에필로그 |
9화 | 7일차 머니 챌린지 7일차 데스매치 |
10화 | 8일차 머니 챌린지 8일차 데스매치 |
11화 | 9일차 머니 챌린지 3-8일차 비하인드 9일차 데스매치 |
12화 | 10일차 머니 챌린지 10일차 데스매치 |
13화 | 11일차 1차 파이널 인 스테이지 |
14화 | 12일차 2차 파이널 인 스테이지 12일차 파이널매치 |
8. 평가 및 반응
9. BGM
10. 여담
- 방영 전 현정완 PD는 '이번 시즌에도 모티브가 있으며, P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도 하나의 재미 요소가 될 것'이라고 인터뷰했다.[81] 이번 시즌에서 P의 의미로는 낙원(Paradise), 평행(Parallel), 양극화(Polarization)가 꼽힌다.
{{{#!folding [ 스포일러 ]
- 최초 방영 공지에서는 시즌 2와 같은 디자인에 숫자만 바뀐 로고가 사용되었으나 이번에도 새로운 로고가 사용되었다. 시즌 2의 정삼각형(피라미드)와 대조되는 역삼각형이 특징이다.
피의 게임3 로고 White ver Red ver Black ver
- '서바이벌 프로그램 올스타전'에 걸맞게 일반인 참가자 모집을 일절 진행하지 않았다. 시즌 2 당시 일반인 참가자 모집을 해놓고 하나도 뽑질 않아서 시청자 기만, 허위광고로 비판받은 일이 있었는데[82], 이에 대한 피드백인지 혹은 기획의도가 앞서 결정된 것인지는 불명이다. 시즌 2 당시에도 서바이벌 올스타전이라는 반응이 있었지만, 이번 시즌 3에서 이런 장르 프로그램의 시초인 더 지니어스의 결승전 진출자는 물론, 역대 서바이벌의 화제의 출연자들을 대거 섭외하여 '서바이벌 올스타전'이 피의 게임의 특징으로 자리매김했다. 출연진 별 서바이벌 경험에 대한 정보는 사전 접점 참고.
- 주최자의 소개 멘트는 이전 시즌과 거의 동일하나, 마지막에 새로운 문구가 추가되었다. 추가된 문구가 업보를 강조한다는 점에서 더 지니어스:블랙가넷의 초대장 내용[83]과도 비슷한 점이 있다.
??: 업보는 존재합니다.
- 최초 방영 발표 당시 Wavve 홈페이지에 적힌 시청 등급은 청소년 관람불가였으나, 이후 이전 시즌과 동일한 15세 이상 관람가로 수정되었다.
- 참가자 수가 많아져서인지 이번에는 플레이어 포스터가 2명씩 묶여서 공개되었다. 예외적으로 게임 서바이벌 우승 경험자인 장동민, 홍진호만 단독 포스터가 배정되었다. 또한 시즌 2에서는 메인 포스터에서 일부 참가자를 생략(...)하는 바람에 제작진이 특정 참가자를 편애한다고 비판을 받아서인지, 이번에는 18명 전원의 모습이 포함되었다. 포스터 역시 배치와 로고를 통해 역삼각형을 강조했다.
- 지난 시즌에 이어서 이번에도 다른 플랫폼의 서바이벌 프로그램들(금수저 전쟁, 대학전쟁2)과 방영 기간이 겹쳤고, 이 중 대학전쟁은 공개 시간대가 금요일로 동일하다. 또한 이런 경쟁작들 사이에서 참가자가 둘 다 출연하는 상황도 똑같이 벌어졌다.[84]
- 시즌 2에서 '최대 상금 3억' 홍보 문구가 무색하게 최종 상금이 5,000만원이란 점에 비판을 받아서인지 이번에는 홍보에서 상금과 관련한 멘트가 없어졌고, 게임에 사용되는 개인 자금은 최종 우승 상금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규칙이 수정되었다.
- 이전 시즌에 비하면 영상 클립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번에는 MBC 엠뚜루마뚜루 채널과 동시 공개가 아닌 Wavve 채널에서만 클립이 공개 중이며, 여러 비하인드나 홍보 영상 갯수도 매우 적다. Naver TV에는 아예 올라오지 않았다.
- 이번 시즌에는 타이틀 영상, 다음화 예고가 없다.
- 시즌 1-2에서는 비하인드 회차를 포함해 전체 회차 수를 집계해 사전 공지한 반면, 이번 시즌 3에서는 비하인드를 제외한 회차 수를 사전 공지한 뒤 비하인드 회차를 공개했다.
- 데블스 플랜에서 화제의 출연자였던 궤도도 섭외 대상 중 하나였으나, 궤도가 본인 성격과 서바이벌이 맞지 않다며 거절했다. 24.11.22일자 침착맨 방송 (43분부터)
- 2023년 11월 13일 디시인사이드 피의 게임3 마이너 갤러리가 개설되었고, 2024년 11월 29일 메이저 갤러리로 승격되었다.
10.1. 촬영 관련 정보
- 피의 낙원: 춘천 인터스텔라 (강원 춘천시 남면 소주고개로 238)
- 피의 저택: 홍천 더체어펜션 (강원 홍천군 서면 모곡강변길 151)
- 잔해: 홍천 큐벨리 (폐업) (강원 홍천군 북방면 온천길 182)[85]
- 촬영 기간
작중 5일차에 폭우로 인한 대피 경보가 울리는데, 촬영지인 강원도 지역에 2024년 8월 5일에 있었던 사실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8월 1일부터 합숙 촬영을 시작했다. 참가자 중 이지나의 네이버 블로그가 7월 28일~8월 12일 동안 업데이트 되지 않은 점(#), 악어가 7월 31일~8월 9일 동안 휴방한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 공식적으로 촬영 기간이 발표된 바는 없으나, 자연재해로 인해 특정이 가능해진 특이한 케이스이다.
10.2. 사건사고 및 해프닝
- 2주차 업로드 오류
- [제작진의 업로드 실수에 분노하는 시청자]
- ||<nopad>
||<nopad>
||
2주차 공개 당시 4화와 5화의 내용이 바뀌어서 올라가는 참사가 벌어졌다. 이후 영상 내용을 수정한 것이 확인되었으나 Wavve 자체 오류인지 몇몇 사용자는 내용이 여전히 바뀐 채로 공개되거나 두 편 모두 4화나 5화만 재생되는 등 오류가 심각하다. 에피소드마다 진행 회차가 1:1로 대응하는 것도 아니고, 시간을 과거로 되돌리는 반전 연출도 많이 나왔기에 마찬가지로 연출의 일종으로 착각한 시청자들이 스포일러 피해를 입었다.
해당 사태에 대해 Wavve와 피의 게임 제작진 측에서는 어떠한 공식 사과나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다만 Wavve에서 개별 문의한 이용자들에겐 사과 답변을 보냈다고 한다. # 이후 공개 3주차에선 영상 도입부에 회차 정보를 자막으로 표시하여 시청자들이 피해를 보는 일이 없도록 조치를 취했다.
- 비상계엄으로 인한 인터뷰 연기 해프닝
- 스티브예의 톡방 유출 루머와 시청자 고소 해프닝
그러나 이후 스티브예 본인이 스포일러성 발언을 하거나, 다른 참가자, 제작진, 시청자 등을 비난하는 행적이 늘어나면서 오히려 적반하장이라는 부정적인 반응이 더 많아졌다. 스티브예의 가짜 스포일러라는 해명 역시 신빙성이 떨어졌다. 다행히(?) 이후 방송에서 공개된 내용은 해당 톡방 내용과는 거리가 멀어서 가짜 스포일러로 취급받는 중이다.
- 7일차 필담 룰 논란
- 14화 유출 스포일러 해프닝
10.3. 추측 및 떡밥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방영 전
- 피의 게임 2 방영 이후 참가자 일문일답 인터뷰에서 재출연 여부에 대해 긍정적인 답변을 내놓은 참가자들(홍진호, 서출구, 유리사, 윤비)이 이번 시즌 출연 후보로 꼽혔다.
→이중 홍진호, 서출구, 유리사는 재출연이 확인되었다. 윤비는 Wavve에서 제작한 다른 서바이벌에 출연했다.
- 2024년 8월, 디시인사이드에서 피의 게임3 마이너 갤러리에서 출연진/촬영일 분석이 올라왔다. (#1, #2, #3 #정리) '서바이벌 프로그램 출연 경험자', 'Wavve 인스타그램에 팔로워/팔로잉', '촬영 기간으로 추정되는 8월 초에 인스타그램을 비롯한 SNS 활동이 없음'의 교집합으로 16명(최혜선, 엠제이킴, 서출구, 홍진호, 빠니보틀, 김민아, 유리사, 스티브예, 임현서, 주언규, 악어, 시윤, 허성범, 이지나, 장동민, 충주맨)을 추려냈다.
→이후 10월 21-22일자 기사를 통해 출연자 18인이 공개되며 해당 스포일러가 전부 사실로 밝혀졌다. 김영광과 김경란은 예측에 실패했다.
- '서바이벌 올스타전' 컨셉이지만 정작 지난 시즌 결승전 진출자들(이태균, 최연승, 덱스, 이진형)은 출연하지 않았고, 시즌 2와 마찬가지로 세미파이널 진출자(공동 3위)+화제의 출연자가 재등장했다. 때문에 후속 시즌에서 각 시즌 파이널 진출자들로 왕중왕전을 진행한다는 추측이 있다.
- 2024년 9월 13일부터 여왕벌 게임이 방송하였고, 같은 Wavve 제작 서바이벌 프로그램으로 장르가 겹친다. 따라서 여왕벌 게임 종영 이후에나 방영될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11월 15일 첫 방송이 확인되었다.
- 2024년 7월 27일에 올라온 악어의 휴방 일정이 7월 31일 ~ 8월 9일인데, 해당 시기가 촬영 기간임을 추측할 수 있다. 또한 이전 시즌에 비하면 촬영 기간이 10일차로 줄었으나(시즌 1은 11일간, 시즌 2는 12일간 촬영), 플레이어가 18명으로 늘었다. 따라서 이전 시즌의 세미파이널 진행 방식을 고려하고, 후반부에 대거 탈락자가 발생하는 구성이 아니라는 전제 하에서, 한 회차에 두 명 이상 탈락하는 규칙이 있을 듯 하다.
- 시즌 2에서 의상을 비교한 예측(착장 스포일러)이 적중한 여파인지, 첫번째 티저 예고편에서는 대다수 참가자들의 의상이 다양하게 나오지 않도록 편집되었다. # 6명씩 3팀으로 6:6:6으로 3파전, 혹은 5:5:5:3으로 히든 팀이 있는 4파전 구도로 진행될 듯 하며, '왕들의 귀환'으로 강조한 더 지니어스 출연자 3인방이 각 팀의 리더를 맡을 것이라는 추측이 있다. # 이지나는 인디언 포커로 추정되는 게임을 한다. # 출연자 중에서 이레즈미 문신을 한 인물이 없어 의문을 낳았으나#, 포스터를 통해 임현서의 팔토시로 밝혀졌다.
- 10월 31일, 3번째 출연자 6인 그룹 포스터(#)가 올라오자마자 비공개 되었다가 소개 멘트를 수정하여 다시 공개했다. 메인 티저 역시 비공개 되었다가 재업로드했다. (최초 공개 버전) 어느 게시글에 따르면 그냥 제작진이 헛짓거리 한거라고.. 유일한 변경점은 치킨의 유무이다. 한편 이전 그룹이 두뇌형, 정치형으로 직관적인 키워드에 반해 비주얼+열정이라는 키워드가 다소 난해하다는 반응이 있다.
- 스티브예가 방영 이전 티저 예고편에 자신을 응원하는 댓글에 대댓글을 달거나, 다른 참가자들에 비해 독보적으로 왕성한 SNS 활동을 보였다. #1, #2 SNS에서 적극적인 행보 자체가 스포일러가 된 선례가 있어서인지, 시청자들 사이에서 '초반부 탈락은 아니다', '큰 활약상을 보여줬을 것이다' 하는 추측을 받고 있다. 그리고 제작발표회, 시사회에서 시윤도 예고편에서 적은 분량에 비해 매우 적극적인 모습
조커 호소인을 보여주고 있어 상위 기록이라는 추측을 받고 있다.
반면 피의 게임 관련 게시글을 하나도 올리지 않은 참가자(김경란, 장동민, 홍진호)들도 있다. 이들의 경우, 혹시라도 악성 시청자들이 SNS까지 찾아오는 것을 우려했거나, 예고편에서 보여지듯 중요한 역할이기에 특히나 스포일러에 주의한다[87]는 추측이 있다.
- 11월 12일 제작발표회에서 어느 기자의 부주의한 질문으로 인해 모 출연자가 꼴등이라는 1화 내용이 유출되었다. # 1회전 머니 챌린지 최하위자라는 뜻인지, 첫번째 탈락자라는 뜻인지는 모호하나, 인터뷰나 예고편의 모습 등으로 초반부 탈락이 아니라는 정황을 보면 전자로 추정된다.
→본편에서 해당 출연자가 머니 챌린지 최하위 탈락후보로 밝혀지며 스포일러 질문임이 확인되었다.
- 스틸샷을 비롯해 확인된 의상의 종류가 가장 적다는 점에서 초반부 탈락자로 이지나, 김영광이 추측되었다. #
→본편이 공개되고 추측이 적중했다.
방영 후
- 시즌 2에서 참가자들의 작중 발언을 인용해 포스터 멘트를 설정했으나, 이번 시즌에서 일부 참가자들은 포스터 멘트가 등장하지 않았다. 시즌 2와 달리 각색을 넘어서 아예 원본으로 추정되는 발언조차 나오지 않은 경우도 있다.
- 릴레이 지목 인터뷰는 촬영 진행 중, 제작발표회 당일에 두 번에 거쳐서 촬영했다. 컨셉은 '방영 전 서로에 대한 정보가 없는 상태에서 인터뷰'이지만, 실제 촬영은 서로의 출연 사실 자체가 스포일러라는 전개로 진행되었고, 일부 참가자들의 문답이 행적에 고스란히 드러났기 때문이다. 초반부 탈락한 참가자는 제작발표회에서 촬영한 게 아니냐는 추측이 제시되었다.
→13화에서 준결승전에 진출한 플레이어들의 복장을 통해 사실로 밝혀졌다.
- 예고편에서 공개된 '왕들의 귀환' 장면이 등장하지 않은 점, 1일차 낙원의 선착순 게임에서 홍진호가 이상하리만큼 부진한 태도를 보여준 점, 1일차 저택 팀의 전개(2화 방송분)가 편집된 정황과 2화 코멘터리가 등장하지 않은 점으로 인해 '서바이벌 레전드' 출연진 3인방(장동민, 홍진호, 김경란)이 게임의 비밀을 가지고 있다는 추측이 다시금 조명되었다. #
→7화의 팀전 4라운드에서 상기 서술된 '왕들의 귀환' 장면이 재현됨에 따라 추측은 무산되었다.
- 2024년 11월 21일, 스티브예의 2화 리뷰 방송(#)이 오후 3시경 업로드 되었다가 사운드 문제로 편집하기 위해서 5시경 비공개 되었다. 문제는 스포일러성 발언이 많이 나왔다. # 그리고 오후 11시경 재업로드 되었는데(#) 사운드 문제는 해결되었지만 스포일러성 발언은 여전히 남아 있다.
- 촬영 중 폰을 압수하기에 녹화가 끝나서야 악어는 코인이 떡락한 걸 알았다고 했는데, 시윤이 실시간으로 하락하는 걸 봤다고 밝혔다. 악어보다 시윤이 먼저 핸드폰을 받았다는 말인데, 이는 시윤이 악어보다 일찍 탈락했다는 상황을 유추할 수 있다.
→이후 악어보다 일찍 탈락하며 스포일러로 밝혀졌다. - 악어가 '트릭이 많이 숨겨져 있는데 잘 찾지 못했다'는 발언을 하였다.
- 김민아는 잔해 소속 플레이어였던 적이 없다고 밝혔다.
- 우승 상금에 대해 스티브예가 방송 촬영 이후 피의 게임 우승 상금의 5배 정도 해당하는 금액을 포커 대회에서 벌어들였다고 밝혔는데, 우승 상금이 시즌 2처럼 억대 단위가 아니라는 추측과, 스티브예가 뜬금없이 자신의 포커대회 상금을 과시하는 건 우승에 실패했기에 나온 일종의 방어기제라는 추측이 나왔다.
→13화에서 우승 상금이 1억으로 밝혀졌다. 스티브예가 촬영 이후 몇달간 5억원대의 상금을 벌어들였기에 스티브예의 이야기는 사실로 밝혀졌다. 또한 마지막 화인 14화가 공개되면서 우승을 못 했다는 예측 또한 적중했다.
- 2024년 11월 24일, 엠제이킴의 인스타 댓글을 통해 엠제이킴이 4-5일차(6-7화) 중 탈락하는 게 아니냐는 추측이 제시되었다. # 더불어 허성범이 캐릭터 티저에서 나온 우는 장면도 엠제이킴의 탈락(내지는 데스매치 진출)에 속상해하는 게 아니냐는 추측이 제시되었다.
→허성범의 눈물에 대해서는 추측이 적중하였으나, 탈락 시기에 대한 추측은 빗나갔다.
- 시사회에서 지난 시즌 출연자 이진형이 참가했는데, 당시 현장과 최초 시사회 스틸컷 게시글에선 확인되지 않았고 메이킹 영상(11월 27일자 업로드)으로 공개되었다. 이진형의 시사회 참석 사실을 굳이 감췄다가 방영 2주차 이후 공개한 것, '국내 촬영을 해야하는 이유가 추후 공개될 것'이라는 현정완 PD 인터뷰를 근거로 '후반부에 지난 시즌 참가자들 게스트 플레이어로 등장한다'는 추측이 제시되었다.
→유령 카지노의 딜러가 박지민으로 공개되면서 '지난 시즌 참가자가 출연한다'는 점은 사실로 밝혀졌으나, 박지민 외에 추가로 등장한 지난 시즌 참가자가 안 나오면서 추측은 일부 빗나갔다.
- 4일차 열쇠 약탈 이벤트에서 경보가 울린 시간이 저택 팀에게 안내된 규칙에 쓰여있는 내용과 달랐다. 제작진의 말장난 혹은 국어능력 문제(...)라는 의견과, 타이밍 좋게 잔해 팀이 동시에 약탈하거나 다른 히든 룰로 벌어진 경보가 아니냐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이후 시윤의 인스타 라이브 방송(1시간 28분 14초)에서 '이유가 6화에서 공개된다'고 답변했다.
→6화에서 히든 룰이나 절도가 아닌 제작진의 현장 진행 실수로 밝혀졌다.
- 8화 방영 직전 기사를 통해 총 14부작 편성으로 밝혀졌다. 8화부터 한 화당 한 회차 분량이라고 가정해도 생존한 플레이어 수가 워낙 많고(6일차 종료 시 15명 생존 중), 녹화 기간이 10일동안 촬영한 것으로 추정되기에 '하루에 2명 이상 탈락자가 발생하는 규칙이 추가된다', '팀전 게임에서 최하위 팀 전원이 탈락한다'는 추측이 제시되었다.
→7일차부터 데스매치에서 2명 이상 탈락하는 규칙이 공개되었다.
- 9화 공개 시점 이후 #1(티저관련), #2(릴레이), #3(서출구-악어), #4(착장), #5, #6, #7, #8
- 전체 촬영 기간이 8월 1일에서 8월 12일까지로 밝혀져 총 12회차 진행이 확인되었다.
- 9화 방영분, 티저 예고편에서 최혜선과 주언규의 대화 장면을 근거로 팀 배분은 허성범, 장동민, 엠제이킴, 악어, 유리사, 김민아, 이지나가 7인 팀, 스티브예, 홍진호, 주언규, 최혜선, 서출구, 충주맨이 6인 팀으로 추정된다.
→10화 방영 전 기사에서 선공개된 장면으로 주언규와 이지나가 바뀐 것이 실제 배치로 밝혀졌다. - 앞서 스티브예의 2화 리뷰 방송 중 김민아가 '잔해에 가본 적이 없다'고 한 발언을 근거로 8일차 팀전 머니 챌린지에 '김민아가 소속한 팀의 승리(낙원 거주)' 혹은 '김민아가 소속한 팀의 패배 후 김민아 탈락'이 확정되었다.
- 10화 방영 하루 전, 빠니보틀 채널에 빠니보틀, 시윤, 서출구가 함께 여행을 간 영상이 올라왔다. # 서출구가 "어차피 한 명 빼고는 다 탈락해", "장동민 망해라"라는 발언을 했고, 인터넷 포커 화면에서 서출구의 닉네임이 '피겜3준결승간사람'이다. 이 때문에 서출구가 준결승전 진출 후 탈락, 장동민이 그 이상 순위를 기록했다는 스포일러가 나왔다.
→14화가 공개되고 해당 내용이 정말로 스포일러였음이 밝혀졌다. - 티저 예고편에서 공개되지 않은 장면과, 스티브예가 방송에 나오지 않은 중요한 사건이 있다는 발언으로 이 '사건'이 무엇인지 여러 추측이 있다.
→후에 이 '사건' 관련하여 논란이 일어났다. 자세한 설명은 필담 룰 논란 참고.
- 10화 공개 이후 #1, #2
- 10화 마지막에 제단 장면이 방영되면서 제단/저주 관련 추측이 여럿 등장했다. 티저 예고편 장면을 근거로 탈락자 이지나의 지목 대상은 스티브예로 추정된다.
→11화에서 악귀 규칙이 밝혀지며 이지나에겐 원한의 살을 날릴 기회가 없음이 밝혀졌다.
- 11화 공개 이후 #1, #2, #3, #4
- 10화 공개 이전에 나온 추측 중 티저 예고편에서 충주맨, 장동민, 유리사가 카드를 동시에 들고 있는 장면이 데스매치이며, 충주맨과 유리사가 탈락했다는 추측이 적중했다.
- 반면 이전에 나온 추측 중 티저 예고편에 나오는 소위 '최혜선 5끈끈' 장면이 7일차 데스매치 이후라는 추측이 빗나갔다.
- 12화 공개 이후 #1, #2, #3
- 12화 공개 이전 릴레이 인터뷰를 근거로 '특정 시점을 전후로 생존한 플레이어들의 촬영 배경이 다르다'는 추측이 적중했다. 파이널 인 스테이지 진출자 8인은 흰 배경에서 촬영한 것이 확인되었다.
- 2025년 1월 8일 빠니보틀의 유튜브(#)에 출연한 홍진호의 발언을 근거로 홍진호가 이렇다 할 만한 성과를 내지 못하고 탈락했다는 추측이 제시되었다.
→13화에서 홍진호가 파이널 매치에 진출하는 활약을 보여주었다. 때문에 '의도적인 가짜스포' 혹은 '활약보다는 부진이 많았던 행적에 대한 자조적인 평가'로 밝혀졌다.
- 13화 공개 이후 #1(PD스포), #2(스포정리)
- 파이널매치 진출자, 우승자에 대해 수많은 예측이 쏟아졌고 14화 내용으로 추정되는 스샷도 퍼지면서 논란이 일었지만, 후에 이는 해프닝으로 일단락되었고 대부분 적중하지 못했다. 다만 14화 공개 이후 반응을 보면 대부분 의외라는 반응보다는 역시라는 반응이 더 주를 이뤘다.
- 14화 공개 이후 우승 상금이 담긴 금고의 비밀번호가 241227로 밝혀졌는데, 일자로 표기하면 2024년 12월 27일이다. 금요일인 점을 보아 첫 화 혹은 마지막 화 방영 일자로 맞추려다가 실패한 게 아니냐는 추측이 있다. 혹은 기존에는 2화씩 풀려 하였으나 기대 이상의 흥행을 거두면서 1화씩 공개로 바꿨다는 추측도 있다. 만약 계속 2화씩 공개했더라면 14화가 딱 2024년 12월 27일에 나온다는 점이 그 근거이다.
미회수 떡밥
- 티저 예고편 중, 본편에서 등장하지 않았거나 관련 정황이 비하인드로 공개되지 않은 장면들이다.
- 0:24 허성범: "동민이 형 죽여야 돼"
- 0:40 허성범: "안 나오면 동민이 형도 어쩔 수가 없어"
- 0:47 장동민: "(빠니보틀에게) 네가 여기 어디라고 와"
- 1:16 장동민: "공무원 밥 쳐먹는 새끼들은 (후략)"
→복장으로 보아 7일차 머니챌린지 진행 중이며, 유일한 공무원 출신 인물인 충주맨을 까는 발언으로 추정된다. - 1:41 장동민: "진호야 다 너 때문이야"
→복장으로 보아 7일차 진행 중 혹은 결과 발표 시점으로 추정된다. - 1:55 엠제이킴: "쟤는 배신도 아니고 병신"
→복장으로 보아 7일차 머니챌린지 진행 중이며, 같은 대화 맥락인 상기한 장동민의 공무원 발언을 보아 충주맨을 까는 발언으로 추정된다. }}}
{{{#!wiki
- 김영광과 임현서의 최초 개인자금 관련 정보.
- 2일차 데스매치 [밸런스 매치]에서 1,2,5라운드 미션의 정확한 규칙.
- 동률 관련 룰 (1일차 저택 머니챌린지 [탈락자 선정], 9일차 머니챌린지 [트라이13], 11일차 파이널 인 스테이지 1차 게임 [커트라인])
- 유령 카지노 게임 [페르미 추정]에서 미사용된 키워드와 질문.
- 5일차 잔해 생활 중 유령 카지노 이용 여부(및 이용했다면 당일 진행한 게임 정보).
- 12일차 파이널 매치 연장전 [크라임 노트]의 규칙.
10.4. 관련 인터뷰
- "방송은 부업"…'카이스트 모델' 허성범의 진짜 꿈은?[인터뷰①].
- 허성범 "피의게임3, 도덕률·인튜애 무너지는 순간 있었다"[인터뷰②].
- '피의게임3' 현정완 PD, "각 분야 최고 중 '생존'만 바라보는 사람 뽑았다"
- [MBC 단독] '피의 게임3' 빠니보틀 "장동민·홍진호 등장, 너무 짜증나더라"
- '피의 게임3' 최혜선 "서바이벌 예능 광팬, 꿈 이뤘죠" [MD인터뷰①].
- 최혜선 "'솔로지옥3' 멤버들 잘 지내, 윤하정과 연락 多" (피의 게임3)[MD인터뷰②].
- '피의 게임3', 대만·미주·유럽 동시 공개…시즌 최초
- [MBC 단독] '피의 게임 3' 김선태 "나 충주맨인데 면접 보자더라"
- [MBC 단독] 김민아, '피의 게임 3' 도전장 "목숨 걸어야겠다 다짐"
- [MBC 단독] 악어, '피의 게임3'로 맛본 극한 도파민 "서바이벌 중독 심각"
- [MBC 단독] '피의 게임3' 시윤, 아이돌→美명문대 졸업까지 "8각형 플레이어"
- [MBC 단독] '피의 게임3' 임현서 "홍진호·장동민, 서바이벌 학교 세워야"
- [MBC 단독] '피의 게임3' 김영광 "덱스VS하승진처럼 몸싸움? 나도 자신 있어"
- [MBC 단독] 서출구, '피의 게임 3' 재출격 "시즌2 보다 3배 더 힘들었다"
- [MBC 단독] '피의 게임3' 막내 허성범 "우승 위해 못할 짓까지 하리라 결심"
- [MBC 단독] 최혜선 "다툼·갈등 이번 시즌 장난 아냐, 그게 '피의게임3' 매력"
- [MBC 단독] "예쁜데 독기 있네"…이지나, '피의 게임3' 제작진 홀린 이유
- [MBC 단독] 주언규, 인생 마지막 서바이벌로 '피의 게임3' 꼽은 이유
- [MBC 단독] '피의 게임3' 스티브예, '포커 맞수' 홍진호 만났다 "질 자신 없었죠"
- [MBC 단독] 유리사, 전세사기 아픔 딛고 '피의 게임' 재도전…"이번엔 달라"
- 최혜선 "홍진호, 내가 좋아하는 거 알아…호감 이상 존경심"
- '피의 게임3' PD "시즌2로 끝내려 했는데...해외 '트릴로지'부터 시리즈 쳐줘" [인터뷰①]
- '피의 게임3' 주언규 "또 '홍진호 스토커'? 5백만원 참가비 내도 더 할 듯" [인터뷰②]
- '피의 게임3' 임현서 "충주 패스? '충주맨' 종족 같아...동네마다 꼭 있어" [인터뷰③]
- '피의 게임3' 허성범 "장동민 모든 능력치 특화, 1대 100 레이드 해야할 듯" [인터뷰④]
- 현정완 PD “‘피의 게임’ 벌써 3번째 시리즈, 더이상 안 만들려 했는데…” [EN:인터뷰①]
- ‘피의 게임3’ 매력 뭐길래 “탈락은 곧 사형→500만원 내도 출연할 것” [EN:인터뷰②]
- ‘피의 게임3’ PD “서바이벌 레전드 장동민 귀환, 홍진호에 자극 받았다고” [EN:인터뷰③]
- ‘피의 게임3’ 주언규 “홍진호 저격? 내가 섭외된 이유…더 세게 못해 아쉬워” [EN:인터뷰④]
- '피의 게임3' PD "장동민, 서바이벌계 송강호…주연 역할 완벽" [인터뷰M]
- '피의 게임3' PD "'충주패스'가 조작? NO…반응에 놀라" [엑's 인터뷰①]
- 임현서 "'피의 게임3' 감옥보다 실제 구치소가 나을 정도" [엑's 인터뷰②]
- [디시人터뷰] ‘피의 게임3’ 게임판을 흔드는 플레이어, 유리사
- ‘피의 게임3’ PD “욕설+흡연 자극적 장면 불편? 일부러 뺄 필요 없어” [EN:인터뷰①]
- 김경란, 서바이벌 레전드 귀환 “장동민 홍진호 재회? 살아있는 기분” (피의 게임3)[EN:인터뷰③]
- '피의게임3' 이지나 "저택팀, 정치싸움 多…갈등 커" [N인터뷰]①
- 김경란 "'혐젤갓' 별명, 인생에서 가장 힘들었던 순간" [N인터뷰]②
- '피의게임3' PD "가편집 분량 6시간…감독판 생각 無" [N인터뷰]③
- '피의게임3' 김경란 "'혐젤갓' 10년 넘게 시달려...'드센女' 프레임 컸다" [OSEN 인터뷰①]
- '피의게임3' 김경란 "장동민VS홍진호 '지니어스' 재회, 모르고 나갔는데 운명적" [OSEN 인터뷰②]
- '피의게임3' 이지나 "사이렌 오작동 5시간 토론"...김경란 "차라리 '잔해' 갈 걸" [OSEN 인터뷰③]
- '피의게임3' 시윤 "이지나 앞 발가락 카운팅, 오만함 반성했다...꼭 재출연하고파" [OSEN 인터뷰④]
- ‘피의게임3’ 방송인 김민아 “내가 한 욕설에 내가 놀라 … 치열하게 몰입해 승부”
- 용산연예상점 김민아 인터뷰 민아 씨 언제부터 이지나가 그렇게 싫었나요?
- 최혜선 “‘피의게임3’ 평생 잊지 못할 기억”[일문일답]
- '피의 게임3', 하루 전 인터뷰 취소 "홍진호 독감 심해 부득이한 결정" [공식입장]
- iMBC 연예 김영광 인터뷰 역주행 인터뷰 ① 전 축구선수 김영광 Kim Young-kwang |'피의 게임3' , 아직도 안 보셨어요? 지금부터 역주행 시작🔥
- iMBC 연예 시윤 인터뷰 역주행 인터뷰 ② 그룹 유키스 출신 시윤 SIYOON| '피의 게임3' , 아직도 안 보셨어요? 지금부터 역주행 시작🔥
- 파이널 진출자 홍진호·악어·허성범, ‘피의 게임3’ 숨은 비하인드 대방출
- iMBC 연예 빠니보틀 인터뷰 역주행 인터뷰③ 유튜버 빠니보틀 Pani Bottle|'피의 게임3' , 아직도 안 보셨어요? 지금부터 역주행 시작🔥
- iMBC 연예 임현서 인터뷰 역주행 인터뷰④ 변호사 임현서|'피의 게임3' , 아직도 안 보셨어요? 지금부터 역주행 시작🔥
- iMBC 연예 이지나 인터뷰 역주행 인터뷰⑤ 이지나|'피의 게임3' , 아직도 안 보셨어요? 지금부터 역주행 시작🔥
- ‘피의 게임3’ 우승 장동민 “12일 촬영하고 10kg 빠져, 피골이 상접” [화보]
- 장동민, 홍진호, 악어 피의 게임 파이널리스트 3명 인터뷰
- [조이人]① '피의게임3' 장동민 "46세에 우승, 서바이벌 인재 이렇게 없나"
- [조이人]② '피겜3' 장동민 "홍진호와 연합? 순탄한 승리보단 긴장되는 라이벌로"
- [조이人]③ '피의게임3' 장동민 "딸 지우, 서바이벌 대 이어주길…날 이겨달라"
- [조이人]④ '피겜3' 장동민表 서바이벌 나오나 "이미 게임 준비完, 훌륭할 것"
- '피의게임3' 장동민 "내가 만든 서바이벌 예능도 계획 중"'피의 게임3' 우승자 장동민 [N인터뷰]①
- 장동민 "김준호, 서바이벌 예능 출연 추천…잘할 것 같아"'피의 게임3' 우승자 장동민 [N인터뷰]②
- 장동민 "'오겜' 너무 재밌지만 서바이벌 경력자로선 공감 떨어져"'피의 게임3' 우승자 장동민 [N인터뷰]③
- 장동민 "똑똑해서 우승한 건 아니죠…제 강점은 승부욕"
- iMBC 연예 충주맨 인터뷰 역주행 인터뷰 ⑥ 충주맨|'피의 게임3' , 아직도 안 보셨어요? 지금부터 역주행 시작🔥
- iMBC 연예 유리사 인터뷰 역주행 인터뷰 ⑦ 유리사|'피의 게임3' , 아직도 안 보셨어요? 지금부터 역주행 시작🔥
- iMBC 연예 최혜선 인터뷰 역주행 인터뷰 ⑧ 최혜선|'피의 게임3' , 아직도 안 보셨어요? 지금부터 역주행 시작🔥
- iMBC 연예 주언규 인터뷰 역주행 인터뷰 ⑨ 주언규|'피의 게임3' , 아직도 안 보셨어요? 지금부터 역주행 시작🔥
- iMBC 연예 김민아 인터뷰 역주행 인터뷰 ⑩ 김민아|'피의 게임3' , 아직도 안 보셨어요? 지금부터 역주행 시작🔥
- iMBC 연예 서출구 인터뷰 역주행 인터뷰 EP.11 서출구|'피의 게임3' , 아직도 안 보셨어요? 지금부터 역주행 시작🔥
- iMBC 연예 스티브예 인터뷰 역주행 인터뷰 EP.12 스티브예|'피의 게임3' , 아직도 안 보셨어요? 지금부터 역주행 시작🔥
- iMBC 연예 허성범 인터뷰 역주행 인터뷰 EP.13 허성범|'피의 게임3' , 아직도 안 보셨어요? 지금부터 역주행 시작🔥
- iMBC 연예 악어 인터뷰 역주행 인터뷰 EP.14 악어|'피의 게임3' , 아직도 안 보셨어요? 지금부터 역주행 시작🔥
10.5. 후속 시즌 정보
- 2024년 12월 4일자 인터뷰(#)에서 현정완 PD는 '한 시리즈는 시즌을 3~4개를 하는 게 중요하다고 하더라. 시즌4는 일단 시즌3 끝나고 생각해보겠다'며 명확한 답변을 하지 않았다.
- 2025년 1월 22일자 인터뷰(#)에서 현정완 PD는 후속 시즌은 "후배들이 고민해야 할 사항"이고, "방송환경이 개인의 역량보다 팀의 역량이 중요하다"고 대답했다. 장동민은 시즌 4의 개그맨 출연자로 김준호를 추천했다.
- 인터뷰와 비하인드를 통해 '후속 시즌 재출연'에 대한 참가자들의 답변은 다음과 같다.
- 긍정적:
- 부정적:
- 미확인:
11. 제작진 크레딧
||<tablealign=center><tablewidth=500><tablebordercolor=#B200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000><colcolor=#fff><-2><nopad> ||
기획 | Wavve |
제작 | Most 267 |
기획 | 이태현 |
투자총괄 | 우승현 |
제작총괄 | 황인화 |
책임PD | 임창혁 |
PD | Wavve | 조현정, 지다은, 이소라 Most 267 | 전우철, 이승민 |
마케팅/홍보 | 한정은, 명미선, 권지은, 노진아, 정다연, 박선주 |
미디어편성운영 | 김경란, 김혜진, 권새봄 |
작가 | Most 267 | 최가희, 유소안, 김민지, 박경원, 김세림, 이승은, 김아현, 김민정, 전다올, 김서현 |
제작지원 | 롯데칠성음료, 스메그코리아, 카보이강헌 |
게임 자문 | 코리아보드게임즈 |
마케팅 | 버스데이컴퍼니 | 김리나, 김유정 |
회계 | 최지인 |
촬영 | 35mm | 이웅희 신은철 김영솔 윤연식 이갑천 강민지 권은지 권효주 황철용 권도훈 이웅걸 정현우 조세진 김형목 김현준 백도현 장문기 이재연 정도진 박찬범 강성훈 서정민 장석민 허수호 이창석 문과연 임기현 김창수 강지연 장준수 이주한 백종혁 임문기 임준환 |
거치 | 나사전자 | 정명재 오석환 김준영 전대헌 공창배 반옥현 김상준 박용진 김장훈 주다빈 박선영 고지훈 |
드론 | 형제상사 | 김우진 천화종 임동철 |
음향 | 인 사운드 | 송원규 박홍준 김동현 안효지 장원준 조은비 전혜연 김기동 철 사운드 | 박남규 조영언 이다연 조희진 육하은 듣;따 | 김동식 엄현식 허보라 권유정 |
조명 | 오프앤온 | 최명근 황학성 오재봉 김선기 김대완 정승원 송정배 김성종 최홍석 조용준 |
쇼라이트 | 스탭인 | 김기성 김범주 노태윤 민병도 |
글로벌(전기) | 김지윤 박성철 김국현 이상준 이정환 김지현 |
크레인 준파원 | 서대식 |
전기 | (주) 원광전기 |
영상 | 김미디어(KIMEDIA) |
현장포토 | 박보람 윤서준 |
현장진행 | (주) 와일드브라더스 |
미술 | 윤진희 |
미술팀 | 이윤주 김민정 민수현 송주리 |
세트 | 윤대중 조동석 황영진 김동기 김덕수 정성훈 구미경 김효중 김병도 |
소품 | 최준락 (주) 소품21 | 정홍진 김태형 김세민 |
구조물 | 이한영 박광민 |
소품제작 | 펩브로스제작소 | 김용현 정성일 송용우 김한솔 제민 마리아 |
의료 | 9119 구급센터 | 이명국 조현민 |
백업 변환 | 큐알픽쳐스 |
싱크 | (주) 와일드브라더스 |
차량 | 한빛렌트카 |
밥차 | 다올밥차 |
렌탈 | 대성렌탈 |
장소협조 | 인터스텔라 풀빌라, 더체어 풀빌라, 홍천온천 |
디자이너 | 조중현, 한창수, 김다온, 김성우 |
자막진행 | 컵스튜디오 |
CG | 김성겸 |
성우 | 정영한 |
집사 | 강윤서 김채린 박지민 |
믹싱 | 곤사운드 | 김유곤 김우직 |
음악 | 박교연 정지애 |
음향효과 | 박용혁 손태종 안성혁 |
연출 | 현정완 전채영 김용호 김대진 류서현 김정은 최정아 백유경 마민지 민수빈 김형태 김민재 |
총연출 | 현정완 |
12.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6px)"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word-break:break-all; margin:-4px -1px -11px; font-size:.9em" | |||
피의 게임 | 입주쟁탈전: 펜트하우스 | 버튼게임 | |
피의 게임2 | 사상검증구역: 더 커뮤니티 | 여왕벌 게임 | |
피의 게임3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2020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분류 | 제목 | 출연진 | 플랫폼 | 회차 |
예능 | <colbgcolor=#f5f5f5,#2d2f34> 레벨업 - 아슬한 프로젝트 | 레드벨벳-아이린&슬기 | - | 본편 12부 외전 4부 | |
소년멘탈캠프 | 정세운, 김재환, 김우석, 이진혁, 데프콘 | - | 12부 | ||
M토피아 | SuperM | - | 12부 | ||
어바웃타임 | 강호동, 이수근, 신동 | - | 5부 | ||
마녀들-그라운드에 서다 | 윤보미, 김민경, 박기량, 신수지 外 | | 10부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2021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분류 | 제목 | 출연진 | 플랫폼 | 회차 |
예능 | <colbgcolor=#f5f5f5,#2d2f34> 유노윤호의 출발 뮤직비디오 여행 | 유노윤호 | - | 3부 | |
반전의 하이라이트 | 하이라이트 | - | 12부 | ||
소년멘탈캠프 - NCT DREAM 편 | NCT DREAM, 데프콘 | - | 12부 | ||
신과 함께 | 신동엽, 성시경, 이용진, 박선영, 시우민 | | 10부 | ||
신과 함께 시즌2 | 40부 | ||||
잡동산 | 강호동, 은혁, 승관 | | 12부 | ||
편먹고 공치리 | 이경규, 이승엽, 이승기, 유현주 | | 16부 | ||
취향의 아이콘 | iKON | - | 12부 | ||
한쿡사람 | 장동민, 유세윤 | | 4부 | ||
노는 언니 2 | 박세리, 한유미, 정유인 | | 44부 | ||
THE BOYZ의 타임아웃 | 더보이즈 | | 5부 | ||
피의 게임 | 이상민, 장동민, 박지윤, 최예나, 슈카월드, 정근우, 최연승, 박재일, 허준영, 송서현, 박지민, 퀸 와사비, 이태균, 덱스, 이나영, 박서휘 | | 12부 | ||
탱키박스 | 태연, 키 | - | 12부 | ||
다큐멘터리 | 키스 더 유니버스 | 주지훈, 데니스 홍, 닐 디그래스 타이슨, 심채경 | | 3부 | |
문명: 최후의 섬 | 박은하, 박도현, 강원재, 마초맨, 부식, 김소봉, 박찬이, 송선, 장대현, 한혁규 | | 8부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2022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분류 | 제목 | 출연진 | 플랫폼 | 회차 |
예능 | <colbgcolor=#f5f5f5,#2d2f34> 홀인러브 | 황제성, 한보름, 김강열, 이가흔 | - | 14부 | |
EXO의 사다리타고 세계여행 시즌3 | EXO | - | 12부 | ||
메리 퀴어 | 일반인 및 신동엽, 홍석천, 하니 | - | 9부 | ||
남의연애 | 일반인 | - | 11부 | ||
도포자락 휘날리며 | 김종국, 지현우, 주우재, 노상현, 황대헌 | | 10부 | ||
입주쟁탈전: 펜트하우스 | 유진, 김일중, 김보성, 낸시랭, 장명진, 이루안, 조선기, 서출구, 지반, 이시윤 | | 12부 | ||
Listen-Up(리슨 업) | 다이나믹 듀오, 라이언 전, 팔로알토, 정키, 픽보이, 김승수, PATEKO, 도코, LAS, 이대휘, BIG Naughty | | 10부 | ||
배틀그램 | 김준현, 김경, 박상현, 배이정, 조준, 김주연, 정나금, 현지수 | | 6부 | ||
레드벨벳의 레벨업 프로젝트 시즌5 | Red Velvet | - | 12부 | ||
잠만 자는 사이 | 일반인 출연자 및 노홍철, 정혜성, 죠지 | - | 8부 | ||
버튼게임 | 이성호, 손서아, 김종서, 허유미, 이창재, 강초롱, 유경환, 김다움, 유종완 | - | 8부 | ||
좋아하면 울리는 짝!짝!짝! | 일반인 출연자 및 진영, 홍석천, 이은지, 츄 | - | 13부 | ||
에스파의 싱크로드 | aespa | - | 12부 | ||
다큐멘터리 | MMM_Where are we now | 마마무 | - | 4부 | |
더 타투이스트 | 이석훈, 모니카 | - | 4부 | ||
영화 | 젠틀맨 | 주지훈, 박성웅, 최성은 | - | 123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2023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분류 | 제목 | 출연진 | 플랫폼 | 회차 |
예능 | <colbgcolor=#f5f5f5,#2d2f34> WET! | 웻보이, Raiden, 숀, SURAN, 제이블랙 | - | 9부 | |
피의 게임2 | 홍진호, 하승진, 덱스, 박지민, 서출구, 파이, 넉스, 신현지, 이진형, 유리사, 현성주, 윤비, 케리건 메이, 후지이 미나 | - | 14부 | ||
남의연애 시즌2 | 일반인 | - | 14부 | ||
다큐멘터리 | 국가수사본부 | - | - | 13부 | |
악인취재기 | - | - | 9부 | ||
악인취재기; 사기공화국 | - | - | |||
영화 | 용감한 시민 | 신혜선, 이준영 | - | 112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2024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분류 | 제목 | 출연진 | 방송사 | 회차 |
예능 | <colbgcolor=#f5f5f5,#2d2f34> 사상검증구역: 더 커뮤니티 | 윤비, 이승국, 이수련, 이지나, 임현서, 김나정, 하미나, 이창준, 김재섭, 박성민, 안근영, 전민기, 키미야 | - | 11부 | |
연애남매 | 한혜진, 코드 쿤스트, 미연, 뱀뱀, 조나단, 파트리샤 | | 16부 | ||
나만 없어, KARA | 카라 | - | 8부 | ||
남의연애 시즌3 | 일반인 | - | 14부 | ||
모든 패밀리 | 망원댁TV MANGO COUPLE, 김규진, 김세연, 타일러 라쉬, 김똘똘 | - | 5부 | ||
여왕벌 게임 | 모니카, 장은실, 정혜인, 구슬, 서현숙, 신지은 | ||||
피의 게임3 | 장동민, 홍진호, 김경란, 임현서, 서출구, 엠제이 킴, 유리사, 주언규, 빠니보틀, 충주맨, 악어, 최혜선, 허성범, 김민아, 이지나, 김영광, 시윤, 스티브예 | - | 15부 | ||
애니메이션 | 호러나이츠 | - | - | 8부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공개 예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분류 | 제목 | 출연진 | 방송사 | 회차 |
예능 | <colbgcolor=#f5f5f5,#2d2f34> |
}}}}}}}}} ||
[1] 빠니보틀은 해외 일정으로, 홍진호는 기흉 수술 이후 회복을 위해 불참했다. 김영광의 불참 사유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그의 게임 결과를 보면 안와도 이상하지 않을 수준이였다.[2] 스위치 포커 칩과 카드.[3] 치약과 칫솔 세트.[4] 김경란, 엠제이킴, 홍진호, 장동민을 제외한 모든 플레이어들이 진행했으며, 내용 상으로 방영 전 또는 1~3화 공개 이후 촬영한 것으로 추정된다. 공개 순서는 본편을 본 시청자라면 알만한 순서이다.[5] 방송 내용보다는 방송 내에서 김민아 본인의 태도에 대한 내용이 주를 이룬다.[6] 넉살이 메인 MC로 진행했으며, 이 역시 방송 비하인드보다는 참가자와 함께 즐기는 예능 쪽에 가깝다.[7] 9화 공개 바로 다음날인 2024년 12월 14일에 촬영했다.[8] 피의 게임3 비하인드가 있으나 전체적인 내용은 최혜선 개인에 대한 Q&A이다.[9] 피의 게임2 참가자 출신으로 피의 게임3에 참가하진 않았지만 과거 여러 서바이벌에서 윤비와 접점이 있었던 피의 게임 참가자를 게스트로 섭외하여 함께 리뷰를 진행했다. 참가자도 아닌데 윤비 리뷰가 가장 재밌다.[10] 전체적인 내용은 사상검증구역:더 커뮤니티 비하인드 라이브이며, 피의 게임 선후배 관계에 대한 이야기 정도만 있고 피겜3에 대한 이야기는 많지 않다.[11] 머니 챌린지 우승(+2,000)[12] 시윤에게 양도받은 것으로 추정(9화에서 '실제 자금 3억 700만원'이라는 자막이 나옴)(+2,900)[13] 머니 챌린지 우승(+2,000)[14] 금고 약탈(+2,000)[15] 머니 챌린지 우승(+2,000)[16] 머니 챌린지 우승(+2,000), 추가 투표권 구매(-2,000)[17] 머니 챌린지 우승(+2,000)[18] 추가 투표권 3장 구매(-6,000)[19] 머니 챌린지 우승(+2,000)[20] 금고 약탈(+2,000), 추가 투표권 8장 구매(-16,000)[21] 금고 약탈(+2,800)[22] 머니 챌린지 우승(+2,000), 코인 3개 환산(+600)[23] 금고 약탈(+2,000), 추가 투표권 4장 구매(-8,000)[24] 머니 챌린지 우승(+2,000)[25] 최혜선에게 양도받음(+1,000)[26] 머니 챌린지 우승(+2,000)[27] 머니 챌린지 우승(+2,000)[28] 머니 챌린지 우승(+2,000), 코인 2개 환산(+2,000), 추가 투표권 2장 구매(-4,000)[29] 머니 챌린지 우승(+2,000)[30] 금고 약탈(+2,000)[31] 엠제이 킴에게 양도받음(+5,700)[32] 추가 투표권 4장 구매(-8,000)[33] 금고 약탈(+2,500)[34] 머니 챌린지 우승(+2,000), 코인 4개 환산(+800)[35] 추가 투표권 8장 구매(-16,000)[36] 금고 약탈(+2,000)[37] 머니 챌린지 우승(+2,000), 사유 불명(14화 파이널 인 스테이지 시작 전에 자금이 2,200만원이라고 함)(-3,100)[38] 금고 약탈(+1,000)[39] 추가 투표권 구매(-2,000)[40] 추가 투표권 2장 구매(-4,000)[41] 금고 약탈(+5,000), 추가 투표권 3장 구매(-6,000)[42] 추가 투표권 구매(-2,000)[43] 머니 챌린지 우승(+2,000)[44] 금고 약탈(+2,000), 추가 투표권 5장 구매(-10,000)[45] 금고 약탈(+3,200)[46] 머니 챌린지 우승(+2,000), 코인 3개 환산(+600), 빠니보틀에게 코인 2개 양도받은 것으로 추정(9화에서 집사가 추가 투표권 구매 전 자금이 8,900만원이라고 함)(+400)[47] 추가 투표권 4장 구매(-8,000)[48] 머니 챌린지 우승(+2,000)[49] 금고 약탈(+2,000), 추가 투표권 2장 구매(-4,000)[50] 머니 챌린지 우승(+2,000), 사유 불명(14화 파이널 인 스테이지 시작 전에 자금이 2,000만원이라고 함)(-900)[51] 머니 챌린지 우승(+2,000)[52] 추가 투표권 구매(-2,000), 사유 불명(10화에서 머니 챌린지 전에 집사가 개인 자금이 5,700만원이라고 함)(+2,000)[53] 머니 챌린지 우승(+2,000)[54] 금고 약탈(+2,000), 추가 투표권 2장 구매한 것으로 추정(12화 머니 챌린지 종료 후 자금이 5,700만원이라는 자막이 나옴)(-4,000)[55] 허성범에게 양도(-5,700)[56] 허성범에게 양도(-1,000), 추가 투표권 구매(-2,000)[57] 금고 약탈(+2,600)[58] 머니 챌린지 우승(+2,000), 코인 3개 환산(+600)[59] 추가 투표권 2장 구매(-4,000)[60] 금고 약탈(+2,000), 머니 챌린지 우승(+2,000), 추가 투표권 3장 구매(-6,000)[61] 빠니보틀에게 양도받음(+800)[62] 금고 약탈(+1,000)[63] 머니 챌린지 우승(+2,000)[64] 금고 약탈(+2,000), 추가 투표권 4장 구매(-8,000)[65] 추가 투표권 2장 구매(-4,000)[66] 금고 약탈(+1,000)[67] 금고 약탈(+5,000)[68] 추가 투표권 구매(-2,000)[69] 금고 약탈(+1,000)[70] 첫 머니 챌린지 이후 개인 자금 미지급[71] 금고 약탈(+2,700)[72] 머니 챌린지 우승(+2,000), 코인 4개 환산(+800)[73] 유리사에게 양도(-800), 추가 투표권 구매(-2,000)[74] 금고 약탈(+2,200)[75] 머니 챌린지 우승(+2,000), 코인 3개 환산(+600), 주언규에게 코인 2개 양도한 것으로 추정(-400)[76] 머니 챌린지 우승(+2,000)[77] 장동민에게 양도한 것으로 추정(-2,900)[78] 추가 투표권 5장 구매(-10,000)[79] 첫 머니 챌린지 이후 개인 자금 미지급[80] 14화 금고 비밀번호가 '241227'이었던 것을 근거로, 기존에는 2화씩 풀려 하였으나 기대 이상의 흥행을 거두자 1화씩 공개로 바꿨다는 추측이 있다. 만약 계속 2화로 공개했다면 14화가 딱 2024년 12월 27일에 풀리게 된다. #[81] 그런가 하면 이번 ‘피의 게임 3’에 새로운 키를 숨겨두었다고 해 흥미를 돋운다. “시즌 1의 구조는 영화 ‘기생충’에서 영감을 얻었고 시즌 2의 구조는 드라마 ‘왕좌의 게임’에서 영감을 얻었다. 시즌 3의 구조도 직접 보시면 어떤 걸 의도하고 만들었는지 알아채실 수 있을 것”이라며 “또한 ‘피의 게임’이 ‘P의 게임’이기도 하듯 이번에는 어떤 P가 숨겨져 있는지 추측해 보시는 것도 하나의 재미 요소가 될 것 같다”고 전했다.[82] 정확히는 시즌 2에서 일반인 면접 자체는 진행된 것이 사실이나, 최종적으로 방송에 합격한 '일반인 면접자'는 없었다. 유일한 일반인 참가자 이진형 역시 PD에게 연락을 받아 섭외된 인물이다.[83] "단, 당신의 모든 선택은 부메랑이 되어 당신에게 돌아올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하십시오. 당신은 하룻밤 만에 영웅이 될 수도 악당이 될 수도 있습니다." - 1화 오프닝 중 발췌.[84] 더 타임 호텔과 피의 게임2에 동시 출연한 홍진호 / 금수저 전쟁과 피의 게임3에 동시 출연한 이지나.[85] 네이버 거리뷰에는 2024년 7월에 촬영된 모습이 남아있는데, 촬영 준비 기간과 겹쳤는지 많은 사람들과 차량들이 도로에 즐비해있다.#.[86] 윤의 게임, 피의 계엄, 국회 습격의 날, 탄핵매치 등등.[87] 특히 장동민은 소사이어티 게임 2 당시 SNS 활동을 분석한 시청자들로 인해 파이널 진출이 스포일러되는 사건도 있었으니 더욱 주의하는 게 아니냐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