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명·지명 한자 약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대륙 | |||||||
亞 | 歐 | 阿 · 非 | ||||||
아시아 | 유럽 | 아프리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국가 | ||||
南 · 韓 | 北 · 朝 | 華 · 臺 · 台 | 中 · 漢 唐 | 日 和 | ||||
대한민국 | 북한 | 대만 중화민국 | 중국 | 일본 | ||||
蒙 | 美 · 米 | 英 | 加 | 濠 · 澳 | ||||
몽골 | 미국 | 영국 | 캐나다 | 호주 | ||||
佛 · 法 | 獨 · 德 | 墺 · 奥 | 伊 | 蘭 | ||||
프랑스 | 독일 | 오스트리아 | 이탈리아 | 네덜란드 | ||||
西 | 葡 | 露 · 俄 | 印 | 印尼 | ||||
스페인 | 포르투갈 | 러시아 | 인도 | 인도네시아 | ||||
末 · 馬 · 馬聯 | 泰 | 比 | 越 | 埃 | ||||
말레이시아 | 태국 | 필리핀 | 베트남 | 이집트 | ||||
波 | 厓 · 愛 | 丁 | 瑞 | 那 · 諾 | ||||
폴란드 | 아일랜드 | 덴마크 | 스웨덴 | 노르웨이 | ||||
希 | 芬 | 南阿共 | 白 | 匈 · 洪 | ||||
그리스 | 핀란드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벨기에 | 헝가리 | ||||
瑞西 | 土 | 墨 | 阿根廷 | 巴西 | ||||
스위스 | 튀르키예 | 멕시코 | 아르헨티나 | 브라질 | ||||
과거의 국가 | ||||||||
伽 | 高 · 麗 | 濟 | 羅 | 朝 | ||||
가야 [A] | 고구려 · 고려 [A] | 백제 [A] | 신라[A] | 조선[A] | ||||
大秦 | 蘇 | 普 | 倭 | 琉 | ||||
로마 제국 | 소련[B] | 프로이센[C] | 왜국 [D] | 류큐 왕국/열도 [D] | ||||
지역 및 도시 | ||||||||
亞太 | 滿 | 加州 | 羅城 | 桑港 | ||||
아시아-태평양 | 만주 지역 | 캘리포니아주 | 로스앤젤레스 | 샌프란시스코 | ||||
華盛頓 | 莫斯科 | 伯林 | 羅馬 | 倫敦 | ||||
워싱턴 D.C. | 모스크바 | 베를린 | 로마 | 런던 |
}}}}}}}}} ||
和 화할 화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口, 5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8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ワ, (オ), カ | ||||||
일본어 훈독 | やわ-らぐ, やわ-らげる, なご-む, なご-やか, あ-える, な-ぐ, かず | ||||||
- | |||||||
표준 중국어 | hé, hè, hú, huó, huò, huo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和는 '화할 화'라는 한자로, '화하다', '화목하다', '어우러진다'를 뜻한다.2. 상세
창힐수입법으로는 竹木口(HDR)로 입력한다.뜻을 나타내는 口(입 구) 자와 소리를 나타내는 禾(벼 화) 자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주요 이체자로는 口 자와 禾 자의 위치가 뒤바뀐 咊(U+548A), 또 口 자 대신 龠(피리 약) 자가 들어간 龢(U+9FA2) 자가 있다.[1]
중국어에서는 '그리고', '~와'를 뜻하는 등위 접속사로 자주 쓰인다. 발음은 hé(허). 대만에서는 ㄏㄢˋ(hàn)으로 읽을 때가 많은데 이에 대해서는 두 가지 설이 있다. 첫번째로는 오래된 북경 방언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오래된 북경 방언에서는 hàn/hài/huàng 등으로 발음 되었는데, 이 발음이 세대가 지나면서 hé로 수렴된 것으로 보인다. 대만의 경우는 해당 세대가 지나기 전에 대륙에서 이주해 와서 중국어를 전파했기 때문에 hàn 발음이 남아있는 것이라고 한다. 또 대만어에서 같은 의미를 지닌 접속사 和(hām)가 있어 이에 이끌린 발음이라는 설이 있다.
일본에서는 자국을 지칭할 때 '和'(わ, 와)를 자주 사용한다. 가나 わ, ワ도 和로부터 비롯된 글자이다. 먼나라 이웃나라에서는 일본을 상징하는 사상이 '和'로 정리될 수 있다고 하면서, 이것이 섬나라라는 특성에서 기원한 것일 수 있다고 했다.[2] 오죽하면 '和', '大和'라고 쓰고 '야마토'라고 읽는 독음도 있을 정도이다.[3]
일본어에서는 사칙연산의 결과값을 뜻하는 和差積商(한국어로는 각각 합, 차, 곱, 몫) 중 덧셈(足し算)의 결과값을 부르는 용어이다. 인명한자로서는 かず로 읽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和가 만엽집의 시에서 '합치다'는 의미를 가진채 かて로 활용된 모습(기본형은 かつ)으로 처음 등장하고 음운 변화가 나타난 것이라는 설, 和의 발음이 숫자를 의미하는 数(かず)와 같고 덧셈의 결과값을 和라고 부른다는 점에서 운수가 좋은 글자(縁起物)로 취급했을 것이라는 설이 있다. 和에는 화합, 합치다, 누그러지다라는 뜻이 있다.#
A와 B의 합 A+B는 和 이고 A와 B의 곱 A*B는 積이다.
'포화', '중화' 등 물질을 자주 섞는 화학 분야에서 용어로 자주 쓰인다. '-化'를 쓰는 단어들도 있고 의미가 사뭇 다를 때도 있다. '수화'(水和/水化)처럼 둘 다 쓸 수 있는 예도 있다.
3. 용례
3.1. 단어
- 강화(講和)
- 공화(共和)
- 동화(同和)
- 부화(附和)
- 불화(不和)
- 쌍화탕(雙和湯)
- 안화(安和)
- 온화(溫和)
- 완화(緩和)
- 위화감(違和感)
- 유화(柔和)
- 융화(融和)
- 조화(調和)
- 중화(中和)
- 척화(斥和)
- 친화(親和)
- 태화(太和)
- 평화(平和)
- 포화(飽和)
- 협화(協和)
- 화과자(和菓子)
- 화답(和答)
- 화락(和樂)
- 화목(和睦)
- 화백(和白)
- 화상(和尙)
- 화색(和色)
- 화성(和聲)
- 화약(和約)
- 화음(和音)
- 화의(和議)
- 화창(和暢)
- 화친(和親)
- 화합(和合)
- 화해(和解)
3.2. 고사성어/숙어
3.3. 창작물
3.4. 중국어
중국어로 和는 주로 ~과 라는 뜻의 접속사로 사용한다.3.5. 일본어
한국어에서 대개 '일-'(日)을 넣는 단어들이 일본어에서는 '和-'가 된다. '일식'(日食)도 和食인 등.- 겐나(元和)
- 메이와(明和)
- 쇼와(昭和)
- 레이와(令和)
- 오란다(和蘭): 한국식으로 '화란'도 간간히 쓰인다. 앞 글자를 줄이면 일본 자국을 줄이는 '和'하고 같은 탓인지 대개 '蘭'으로 줄인다('난학' 등).
- 야마토(大和)
동사로 쓸 때는 “나고”로 훈독한다. 예를 들어 和む(なごむ, 나고무)는 진정시키다, 화를 가라앉히다 등의 의미이다.
인명으로 和를 쓸 때도 “나고무”로 읽는 경우가 있다.
3.6. 인명
- 강경화(康京和)
- 김정화(金晶和)
- 류화영(柳和榮)
- 마루오카 와카나(丸岡 和佳奈)
- 사이죠 나고미(西條 和)
- 사이토 치와(斎藤 千和)
- 사화현(謝和弦)
- 악화(樂和)
- 야마모토 카즈토미(山本 和臣)
- 야마토 알렉산더(大和 アレクサンダー)
- 야마토노 니이가사(和新笠)
- 엄화생(嚴和生)
- 와라쿠 치세(和楽 チセ)
- 와라쿠바미 스미카(和楽喰 淑光)
- 와쿠이 유우(和久井 優)
- 와키 아즈미(和氣 あず未)
- 이나미네 카즈이치(稲嶺 和市)
- 이노우에 카즈히코(井上 和彦)
- 이노우에 나기(井上 和)
- 이문화(李文和)
- 이화성(李和星)
- 이화수(李和洙)
- 임화(林和)
- 장은화(張恩和)
- 전인화(錢忍和)
- 정승화(鄭昇和)
- 정용화(鄭容和)
- 정화(鄭和)
- 정화궁주(貞和宮主)
- 차화연(車和娟)
- 카즈노미야 치카코 내친왕(和宮親子內親王)
- 칸 칸나(菅叶和)
- 하나마키 토와(花巻 乙和)
- 현정화(玄靜和)
- 홍윤화(洪允和)
- 홍화리(洪和里)
- 화억옹주(和憶翁主)[A]
- 화순옹주(和順翁主)[A]
- 화평옹주(和平翁主)[A]
- 화덕옹주(和德翁主)[A]
- 화협옹주(和協翁主)[A]
- 화완옹주(和緩翁主)[A]
- 화유옹주(和柔翁主)[A]
- 화령옹주(和寧翁主)[A]
- 화길옹주(和吉翁主)[A]
- 후루하타 나오(古畑 奈和)
- 후와 마와타(不和 真綿)
- 웨이펑허(魏凤和)
- 이토 카즈에(伊藤 和枝)
3.7. 지명
- 서울특별시 중랑구 중화동(中和洞)
- 서울특별시 이화교(里和橋)
-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和道邑)
- 전라남도 화순군(和順郡)
- 황해북도 중화군(中和郡)
- 대화퇴(大和堆)
- 일본 아오모리현 토와다시(十和田市)
- 일본 도쿄도 히가시야마토시(東大和市)
- 일본 카나가와현 야마토시(大和市)
- 일본 사이타마현 와코시(和光市)
- 일본 나라현 야마토타카다시(大和高田市)
- 일본 나라현 야마토코리야마시(大和郡山市)
- 일본 오사카부 이즈미시(和泉市)
- 일보 오사카부 키시와다시(岸和田市)
- 일본 와카야마현(和歌山県)
- 일본 에히메현 우와지마시(宇和島市)
- 중국 지린성 연변 화룡시(和龙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