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1-15 13:18:03

C-97 스트라토프레이터

파일:Milestones-c97-070919-03-16.jpg
Boeing C-97 Stratofreighter

1. 개요2. 제원3. 상세4. 형식5. 파생형
5.1. 보잉 377 스트라토크루저5.2. C-97 스트라토프레이터 AEW.1
6. 기타7. 둘러보기

1. 개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보잉에서 B-29B-50을 기반으로 제작한 장거리 수송기.

2. 제원

Boeing C-97 Stratofreighter
승무원 5~6명
(조종사, 부조종사, 항법사, 엔지니어, 적재사)
전체길이 110 ft 4 in (33.63 m)
전폭 141 ft 3 in (43.05 m)
높이 38 ft 3 in (11.66 m)
익면적 1,734 sq ft (161.1 m²)
익형 보잉 117 (22%) 날개뿌리
보잉 117 (9%) 날개끝
공허중량 82,500 lb (37,421 kg)
만재중량 120,000 lb (54,431 kg)
최대이륙중량 175,000 lb (79,379 kg)
수송능력 병력 138명
들것 69개
재급유 붐
엔진 프랫&휘트니 R-4360B 와스프 메이저 28기통 공랭식 피스톤 엔진 x4
각 3,500 hp (2,600 kW)
최고속도 375 mph (604 km/h, 326 kn)
순항속도 300 mph (480 km/h, 260 kn)
항속거리 4,300 mi (6,900 km, 3,700 nmi)
페리항속거리 5,760 mi (9,270 km, 5,010 nmi)
실용상승한도 35,000 ft (11,000 m)
익면하중 69.2 lb/sq ft (338 kg/m²)
추중비 0.117 hp/lb (0.192 kW/kg)

3. 상세

C-97 스트라토프레이터는 1942년부터 B-29를 기반으로 설계된 수송기로, 전체적인 기골은 B-29의 구조를 기반으로 하고 있지만 더 거대한 동체와 수직미익을 가지고 있다. 1944년 11월 9일 시제기와 1947년 3월 11일 선행양산기가 각각 비행을 하였고 B-29의 R-3350 듀플렉스 사이클론 엔진을 탑재하였지만, 이후 후기 선행양산기인 YC-97A는 24ST 합금 기골에서 더 튼튼한 75ST 합금으로 개량하고 엔진도 B-50의 더 강력한 R-4360 와스프 메이저로 교체되어 이것이 최종적으로 선택된다.

C-97는 최대 16,000 kg의 화물을 수송할 수 있었으며 2½톤 트럭 2대나 견인포, 또는 M56 스콜피온과 같은 경량 궤도 차량을 적재할 수 있었다. 후방의 램프는 비행 중 열리는 것이 불가능했지만 공수 투하를 위해 일시적으로 제거될 수 있었다.

1947년에 정식으로 도입되었으며, 운용 초기에는 미 전략공군사령부의 공중지휘소로서 사용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1950년 거의 2배에 달하는 화물을 나를 수 있는 수송기인 C-124 글로브마스터 II가 도입되자 수송 목적의 C-97는 77기만 생산되었고 그 이후의 811기는 공중급유기 형식인 KC-97로서 도입되었다.

C-97이 처음으로 투입된 것은 베를린 봉쇄로, 1기의 YC-97A가 물자를 수송하기 위해 운용되다가 엔진과 랜딩기어에 문제가 발생해 사고를 일으켜 봉쇄가 끝날 때까지 수리를 받아야 했다. 6.25 전쟁 당시에도 다수의 C-97이 부상자를 수송하기 위해 투입되었으며, 나이지리아 내전 때도 비아프라에 구호물자를 수송하기 위해 운용되었다. 허나 당시 양 측이 무차별적으로 항공기를 공격하고 있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C-97을 포함한 구호 수송기는 레이더를 피하기 위해 야간 중 저고도로 비행해야만 했고, 이 과정에서 2기의 C-97이 추락했다. 이스라엘 또한 초기에 C-130을 구매할 수 없자 C-97과 KC-97, 그리고 보잉 377을 대신 운용했으며 그 중 한 기는 1971년 9월 전자전 임무를 수행하던 중 이집트의 S-75 지대공 미사일에 의해 격추되었다.
파일:Boeing_KC-97L_Stratofreighter_Zeppelinheim_USAF.jpg
Boeing KC-97 Stratofreighter
상술했듯이 상당수의 기체는 공중급유기인 KC-97 형식으로서 제작 및 운용되었고, 이 중 일부만이 수송기로 다시 전환되어 운용되었다. KB-29와 KB-50을 대체한 KC-97은 주로 B-47의 전략 초계를 지원하였으며 그 외에도 각종 군용기의 급유를 담당하였으나 속도가 매우 느린지라 급유에 불편하였다. 이 때문에 B-52는 KC-97에게서 급유를 받을 수 있을 만큼 감속이 가능하게 설계되었고 KC-97L 기종은 속도를 일시적으로 높일 수 있도록 J47 엔진 2기가 장착되었다. KC-97은 1978년에 KC-135로 대체되어 퇴역하였다.

2017년 기준으로 비행이 가능한 C-97은 45-59595 '해방의 천사(Angel of Deliverance)'와 NASA에서 운용하는 52-0828 뿐으로, 이 중 해방의 천사는 위에서 언급한 베를린 봉쇄 당시 운용되었던 기체이며 현재 베를린 공수작전 역사 협회에서 관리 중이다. #

4. 형식

5. 파생형

5.1. 보잉 377 스트라토크루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보잉 377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보잉 377#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보잉 377#|]]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b377.jpg
Boeing 377 Stratocruiser

5.2. C-97 스트라토프레이터 AEW.1

공중조기경보기로 개조된 기종. 영국이 도입할 예정이었으나 취소되고 대신 아브로 섀클턴 기반 AEW&C를 도입했다.[1] 자세한 내용은 밝혀진게 거의 없지만 인터넷에 존재하는 모델링을 보면 기수가 레이더 때문에 괴이할 정도로 거대하다.

6. 기타

7. 둘러보기

파일:미합중국 공군 마크.svg 냉전기 미합중국 공군 항공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5a99> 미합중국 공군
United States Air Force, USAF
지상 공격기 A-1, OV-10, F-105, F-107, F-111, A-7D, A-10A, A-26, A-37A/B, AC-47, AC-130A/E
제공 전투기 <colbgcolor=#005a99> 1세대 F-80C, F-84, F-86A/F, F-86E-6-CAN
2세대 F-100A/C/D, F-101A/B/C/D, F-102A/B/C, F-104A/C, F-105B/C/D, F-106A/B, F-108
3세대 F-4C/D/E, F-5A/B/E, F-111A
4세대 F-15A/B/C/D, F-16A/B/C/D
5세대 ATF, YF-23
폭격기 B-26, B-29, B-36, B-45, B-47, B-50, B-57, B-58, B-66, YB-49, XB-70, B-1A, ATB, B-52A/D/F/G, FB-111A
수송기 전술 수송기 C-12, C-23, C-54, C-119, C-123, C-130
전략 수송기 C-97, C-124, C-141A/B, C-5A/B, C-17A
공중급유기 KC-97, KC-135A/B/D, KC-10A
다목적기 C-130
훈련기 T-33, T-37, T-38
정찰기 RB-57D, U-2S, SR-71A, RF-4C, RF-16, RC-135, RB-52B/C
전자전기 EB-66, EF-111
조기경보기 E-3
공중지휘기 E-4, EC-135
회전익기 UH-19
실험기 VZ-9
취소선: 개발 취소 및 도입 취소 기종
※ 윗첨자NG: 주방위군에서 사용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


파일:보잉 로고.svg파일:보잉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보잉 항공기 목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민항기
협동체 광동체
<colbgcolor=#d4def7,#666> 쌍발기 717(MD95) · 737(오리지널 · 클래식 · NG · MAX) · 757 767 · 777(-200 · -300 · 777X) · 787 드림라이너
3발기 727 -
4발기 707 747(-100 · -200 · SP · -300 · -400 · -8 · 특수목적용)
초창기 모델 247 · 307 · 314 · 377 · 367-80
개발 중단 / 개발 중 2707 · 7J7 · 소닉크루저 · NMA
군용기
훈련기 T-7
전투기 P-26 · F-15E/EX · F/A-18E/F · F-47
전자전기 EA-18G
폭격기 B-9 · B-17 · B-29 · B-47 · B-52
수송기 C-97 · C-135 · C-137 · VC-137 · VC-25 · C-32 · C-17 · C-40
조기경보기 / 지휘관제기 OC-135 · RC-135 · WC-135 · EC-135 · E-3 · E-4 · E-6 · E-8 · E-767 · E-7
공중급유기 KC-97 · KC-135 · KC-767 · KC-46
대잠초계기 P-8
무인기 MQ-25 ·MQ-28
헬리콥터 CH-46 · CH-47 · A/M/EH-6 · AH-64D/E
개발 중단 / 컨셉 / 실험기 YC-14 · X-32 · X-48 · YAL-1 · B-1R · F-15SE · 팬텀 레이버드 오브 프레이
인수 합병 및 공동 개발
맥도넬 더글라스의 항공기 · F-22 · B-1 · V-22 · 디파이언트 X
※ 제조사별 항공기 둘러보기 }}}}}}}}}


✈️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3D3137>1차
세계대전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협상군
파일:Cross-Pattee-Heraldry.svg.png
독일 제국군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동맹군
전간기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2차
세계대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1943-1947).svg
미국
파일:RAF_type_C1_roundel.svg
영국
파일:독일 공군(나치 독일) 라운델2.svg
나치 독일
파일:일본 공군 라운델.svg
일본 제국
파일:Italy-Royal-Airforce.svg
[[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항공기|
이탈리아 왕국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1914-1940).svg
노르웨이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1934-1945).svg
핀란드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Roundel_of_the_Royal_Thai_Air_Force_(1941-1945).svg
태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대만 국장.svg
중화민국
파일:Czech_roundel_(right_wing).svg
[[틀:2차 세계대전/체코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체코슬로바키아
]]
파일:Roundel_of_Bulgaria_(1937-1941).svg
[[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군 항공기|
불가리아 왕국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1942-1945).svg
헝가리 왕국
파일:Nationalist_air_force_black_roundel_with_arrows.svg
스페인
파일:Manchukuo_Air_Force_Roundel.svg
만주국
파일:Emblem_of_Mongolian_People's_Army.svg
[[틀:2차 세계대전/몽골 항공병기|
몽골 인민 공화국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세계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서독
제2세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공군 라운델.svg
동독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1921-1993).svg
폴란드
제3세계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파일:유고슬라비아 항공 및 반항공군 라운델.svg
유고슬라비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
중미/카리브
'''
[[틀:현대전/도미니카 공화국 항공병기|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틀:현대전/과테말라 항공병기|파일:과테말라 공군 라운델.svg
과테말라
]]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colbgcolor=#3d3137>남미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북유럽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공군, 육군, 해병대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
동남아시아
'''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
남아시아
'''
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공군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
'''
중앙아시아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
서아시아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틀:현대전/바트주의 시리아 항공병기|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2025).svg
바트주의 시리아
]]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
오세아니아
'''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
'''
북아프리카
'''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
동아프리카
'''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
서아프리카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
중아프리카
'''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
남아프리카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트전투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
파일:아시아 위치.svg
아시아
}}}}}}}}}}}}



[1] The Air Staff and AEW: Royal Air Force Airborne Early Warning Projects, Chris Gibson, page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