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숫자 한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零/〇(영) | 一(일) | 二(이) | 三(삼) | 四(사) |
零 | 壹 | 貳 | 參 | 肆 | |
五(오) | 六(육) | 七(칠) | 八(팔) | 九(구) | |
伍 | 陸 | 柒 | 捌 | 玖 | |
十(십) | 卄(이십) | 卅(삼십) | 卌(사십) | 百(백) | |
拾 | 念 | - | - | 佰 | |
皕1(이백) | 千(천) | 萬(만) | 億(억) | 兆(조) | |
- | 仟 | - | - | - | |
京(경) | 垓(해) | 秭(자) | 穰(양) | 溝(구) | |
- | - | - | - | - | |
澗(간) | 正(정) | 載(재) | 極(극) | ||
- | - | - | - | ||
※회색 칸 안의 한자는 갖은자이다. 1 다만 이백 벽의 경우 후저우의 건축물인 '비쑹루(皕宋樓, 벽송루)'를 제외하고는 용례가 일절 없다. |
六 여섯 륙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八, 2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4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ロク, リク | ||||||
일본어 훈독 | む, む-つ, むっ-つ, (むい), むう | ||||||
- | |||||||
표준 중국어 | liù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
六의 획순 |
[clearfix]
1. 개요
六은 '여섯 륙'이라는 한자로, '여섯', '6', '여섯째' 등을 뜻한다.2. 특징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여섯 |
음 | 륙 | |
중국어 | 표준어 | liù, lù[1] |
광동어 | luk6 | |
객가어 | liuk | |
민북어 | lṳ̀ | |
민동어 | lĕ̤k | |
민남어 | lio̍k[文] / la̍k[白] | |
오어 | loq (T5) | |
일본어 | 음독 | ロク, リク |
훈독 | む, む-つ, むっ-つ, (むい), むう | |
베트남어 | lục |
유니코드에는 U+516D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YC(卜金)로 입력한다.주음부호로는 ㄌㄧㄡˋ 혹은 ㄌㄨˋ로 입력한다.
이체자로 갖은자인 陸, 陆[4]이 있다. 이들은 원래 '뭍 륙'으로, 대륙(大陸), 육지(陸地), 육상경기(陸上競技) 등에 사용되는 글자이나 발음이 비슷한 점으로 인해 갖은자로 쓰이게 되었다.
'여섯 륙'이 공식 명칭이나 여섯 육이라고도 하며, 남한에서는 '육'으로 쓰는 것이 사실상 표준이다.
글자 모양이 어디에서 비롯되었는지 확실치 않고 다만 양손의 각 세 손가락을 펴 보인 모양에서 따온 지사자라는 추측이 널리 퍼져 있다. 하지만 갑골문에서 대전에 이르기까지 진나라(통일제국) 이전의 중국의 기록에서는 지금의 介와 비슷한 형태였기 때문에 이 주장은 신빙성이 떨어진다. 오두막(廬)이라는 설도 있다. 현재의 자형은 이전부터 한자를 조금 다른 모양으로 썼던 진나라가 대륙을 통일한 뒤에 널리 사용되었다.
| | | | |
주나라의 여러 지역에서 사용되었던 대전 | ||||
진나라의 소전 |
3. 용례
3.1. 단어
- 사육신(死六臣)
- 생육신(生六臣)
- 쌍륙(雙六)
- 오뉴월(五六月)
- 오장육부(五臟六腑)
- 육각류 (六脚類)
- 육각수 (六角水)
- 육각형 (六角形)
- 육감 (六感)
- 육덕(동음이의어) (六德)
- 육도삼략 (六韜三略)
- 육모방망이 (六-)
- 육법(六法)
- 육서(六書)
- 육십갑자(六十甲子)
- 육십사괘(六十四卦)
- 육예(六藝)
- 육자회담 (六者會談)
- 육젓(六젓)
- 육조(六曹)
- 육촌(六寸)
- 육하원칙 (六何原則)
- 정십육포체 (正十六胞體)
- 정육백포체 (正六百胞體)
- 정육품(正六品)
- 종육품(從六品)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 무구루마 켄세이(六車 拳西)
- 무츠무로 아키라(六室 慧)
- 로쿠도 무크로(六道 骸)
- 로쿠죠 미하루(六条 壬晴): 닌자의 왕의 주역
- 롯텐 마이조(六転 舞蔵)
- 릿카 가주마루(六何 我樹丸)
- 사노바 식스(六糞 野郎)
- 사카키 도부로쿠(酒奇 溝六)
- 야스리 무츠에(鑢 六枝)
- 왕정륙(王定六)
- 육길(六吉): 왕여겸(王汝謙)의 자(字)
- 오오시마 무우아(大島 六宇亜)
- 이자요이 사쿠야(十六夜 咲夜), 이자요이 (十六夜)
- 자오류(趙六): 실제 사용되는 이름은 아니고, 대만 등지에서 홍길동과 같은 용도로 쓰이는 가상 인명이다.
- 카시무라 조로쿠(樫村 蔵六): 앨리스와 조로쿠의 주역
- 황동륙(黃東六): 고려혁명군 정치국 비서이자 사회주의 운동가
- 로쿠
3.4. 지명
- 롯폰기(六本木)
- 로쿠반쵸역(六番町駅)
- 히가시로쿠센역(東六線駅)
- 육곡리(六谷里)
- 육통리(六通里)
- 청주 육거리종합시장(淸州 六距離綜合市場)
- 류다오커우역(六道口站)
- 류리차오역(六里桥站)
- 류리차오둥역(六里桥东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