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5-04 19:57:11

김문수-한덕수 단일화


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 선거
파일:제21대 대통령선거 틀 이미지.svg파일:제21대 대통령선거 틀 이미지 화이트.svg
<colcolor=#005ba6,#59b3ff><colbgcolor=#f0f0f0,#191919> 후보 <colbgcolor=#fff,#1c1d1f>대권주자 · 경선 (더불어민주당 / 후보 · 국민의힘 / 후보 · 개혁신당 · 진보당 · 정의당(연대회의)) · 최종 후보
여론조사 후보 확정 전 여론조사 (가상대결) · 후보 확정 후 여론조사 (비정기) · 출구조사
변수 변수 (지역별 · 정당별 · 세대별) · 김문수-한덕수 단일화 · 반명 빅텐트
결과 개표 결과 (지역별 · 정당별 · 세대별)
지역별 (수도권 · 강원도 · 충청권 · 호남권 · 대경권 · 동남권 · 제주도 · 재외선거)
정당별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 · 개혁신당 · 진보당 · 정의당)
기타 타임라인 · TV 토론회
대한민국의 주요선거
김문수-한덕수 단일화
<colbgcolor=#000,#000><colcolor=#fff> 일시 미정
당사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무소속
김문수 한덕수

1. 개요2. 타임라인3. 각 후보의 입장4. 반응5. 효과가 있는가?6. 관련 문서7. 둘러보기

1. 개요

제21대 대통령 선거 당시 국민의힘 후보 경선 기간 중부터 거론되어 온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와 무소속 한덕수 후보간의 단일화 논의에 대해 서술한 문서. 반명 빅텐트의 일환으로 추진 중이다.

2. 타임라인

파일:김한 후보적합도.jpg
단일화 시 후보 적합도 (출처: 채널A)[1]
제21대 대선 후보 선출을 위한 국민의힘 경선이 진행되던 시기의 통계 자료부터 한덕수 전 국무총리는 국민의힘의 어느 후보와 단일화를 하더라도 후보 적합도가 우위에 있는 것으로 국민 여론 조사가 집계되었다.

이후 한덕수 전 국무총리는 2025년 5월 2일,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에서 사퇴한 이후 제21대 대통령 선거 출마를 공식화하며 국민의힘 최종 후보와의 단일화를 예고했다. 단일화 룰에 대한 부분은 국민의힘 측에서 제시하는 안을 따를 것임을 밝혔다.

2025년 5월 3일, 한동훈국민의힘 대표를 꺾고 국민의힘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로 선출된 김문수 후보는 경선 후보자 시기부터 한덕수와의 단일화 필요성을 반복적으로 언급하며 자신이 대선 후보가 되면 한덕수와의 단일화를 진행할 것임을 예고했다. 김문수의 경선 당선 이후 한덕수가 전화를 걸어 10분 간 당선 축하 인사를 했으며, 한덕수 후보 캠프 측 인사인 이정현 여러분의 캠프 대변인은 "시간이 촉박하기에 빠른 시일 내에 접촉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

2025년 5월 4일, 국민의힘이 당 선거대책위원회 내에 한덕수 무소속 예비후보와 단일화를 추진하는 기구를 설치한다고 밝혔다.# 또한 두 후보 모두 부처님오신날인 5월 5일에 조계사에서 열리는 봉축법요식에 참석해 이 자리에서 단일화 논의를 시작할 수도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

3. 각 후보의 입장

3.1. 김문수

김문수는 대선 후보 선출 이후 한덕수와의 단일화와 관련하여 쏟아지는 기자들의 질문에 대해 "오늘 후보가 됐는데 바로 단일화를 논하는 것은 이상하다"고 답하였고, 그 외에 "25일까지 단일화 하면 되지 않느냐"고 말하는 등[2] 후보자 시절에 적극적으로 단일화를 논하던 것과는 다소 달라진 태도로 한덕수 측과의 온도 차를 보이기도 했다.

이를 두고 언론에서는 김문수가 순순히 국민의힘 대선 후보 자리를 한덕수에게 내주지는 않겠다는 뜻을 내비친 것으로 풀이하기도 한다. 실제로도 단일화가 늦어지게 될 경우 불리한 쪽은 전적으로 무소속인 한덕수 측이기 때문에 김문수 측에서 시간 끌기 전략으로 나올 가능성도 점쳐지는 편이다.[3]

2025년 5월 4일 오후 2시경,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 이양수 국민의힘 사무총장 등 국민의힘 지도부가 김문수 캠프를 찾아 한덕수와의 단일화 논의에 본격 착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김문수 후보 측은 "선대위 구성이 우선이다. 단일화의 시기와 방식을 논의해 보겠다"는 입장을 완고히 밝히며 조속한 단일화를 촉구하는 국민의힘 지도부 및 한덕수 측의 입장과는 분명하게 선을 긋고 속도 조절에 나섰다.

5월 4일 이루어진 국민의힘 지도부와 김문수 캠프의 회동에서 한덕수 후보와의 단일화 회동이나 방식 등에 대해선 최종 합의에 이르지 못한 것으로 알려진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선거 공보물 인쇄와 같은 대선 준비 일정을 고려했을 때 2025년 5월 7일까지는 한덕수와의 단일화가 마무리돼야 한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지만 김문수 캠프 측은 전반적으로 이러한 국민의힘 지도부 및 한덕수 캠프 측의 입장과 입장차를 보이고 있다.

3.2. 한덕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덕수 대망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덕수 대망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덕수 대망론#|]][[한덕수 대망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한덕수 대망론에 따라 대통령 권한대행인 총리직을 사퇴하고 무소속으로 출마하는 과감한 행보를 보였지만, 동시에 준비 기간 없이 출마를 강행한 탓에 뚜렷한 지지세력도, 충분한 자금도 없는 상황이다. 즉 위에 언급된 것과 같이 아쉬운 것은 한덕수 측일 가능성이 시간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두 후보의 동상이몽 속에 단일화 협상이 결렬되어 각각 따로 대선 후보로 나올 경우 당선 가능성이 희박한 것은 김문수도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꼭 김문수 측이 마냥 유리한 상황은 아니다. 단일화 실패 시 과거 이회창-이인제 사례와 같은 보수 공멸의 결과의 책임을 지게 된다는 점에서 구체적인 단일화 룰을 어떻게 도출하냐에 따라 양 후보간의 유불리가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4. 반응

5. 효과가 있는가?

단일화 명분 중 하나는 한덕수 후보가 호남(전북 전주)·관료 출신이어서 국민의힘 약세 지역과 중도층 표심 흡수에 강점이 있지 않겠느냐 였는데, 한덕수의 지지율을 보면 호남 지역과 중도층에서 그리 높지 않게 나오고 있다. 한덕수 지지는 주로 보수 지지 지역에서 높게 나오고 있는데, 한 여론조사 전문가는 김문수와 한덕수가 "지지층을 나눠 갖는 관계"라면서 확장성에 문제가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E61E2B><tablebgcolor=#E61E2B> 파일:김문수틀투명.png김문수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E61E2B,#ddd> 일생 일생
정책 경기순환버스 · GTX
21대 대선 제21대 대통령 선거
대통령 선거 후보 경선 · 승리캠프 · 대통령 선거 공약 · 한덕수와의 후보 단일화
비판 및 논란 비판 및 논란
도지삽니다
기타 자유통일당 · 자유공화당 · 김문수TV · 차명진 · 대권주자로서의 장단점
}}}}}}}}} ||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808080> 파일:한덕수투명틀.png한덕수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808080,#fff> 생애 <colbgcolor=#fff,#1c1d1f>생애 · 한덕수 권한대행 체제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 심판)
가족 조부 한규철 · 아버지 한병호
21대 대선 제21대 대통령 선거
여러분의 캠프 · 장단점 · 대망론 · 18룡 · 김문수와의 후보 단일화
비판 및 논란 비판 및 논란
대통령 몫 헌법재판관 지명 논란
기타 총리-여당 당정협력 담화
별도 문서가 없는 평가 및 논란은 해당 주제 관련 문서 참고
한덕수 권한대행 체제와 관련된 문서는 틀:한덕수 권한대행 체제 참고
}}}}}}}}} ||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_가로.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E61E2B,#E61E2B><colcolor=#FFF> 역사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다른 정당과의 관계
전당대회 1차 · 2차 · 3차 · 4차 · 5차
선거 지지 기반
20대 대선 경선 · 선거대책본부 · 국민캠프 · 살리는 선거대책위원회 · 정권교체동행위원회 · 결과
8회 지선 선거대책위원회 · 공직후보자 기초자격평가 · 결과
22대 총선 공천 갈등 · 중앙선거대책위원회 · 결과
21대 대선 경선 · 결과
비판 및 논란 비판 및 논란 (행보 관련)
관련 단체 여의도연구원 · 청년의힘
미래통합당 · 국민의당 · 시대전환 · 국민의미래
기타 보수주의 · 국제민주연합 · 국민의힘 마이너 갤러리 · 나는 국대다 (1회 · 시즌2 · 2회) · 국민의힘 해산 청원 · 국민의힘 중앙당사
관련 틀 역대 대표 · 역대 원내대표 · 지도부 · 상임고문단 · 계파 분류 · 제21대 국회의원 · 제22대 국회의원 }}}}}}}}}

[1] 국민의힘 후보 경선 기간 중에 조사된 여론조사로, 여기서 본선 후보로 선출된 김문수 후보와의 적합도 차이가 29.1%p로 가장 적게 조사되었다. 단 해당 화면의 여론조사는 전체 응답자 대상이 아닌 단일화에 찬성한 응답자들 대상의 표본을 떼낸 조사다. 이 조사는 채널A가 여론조사업체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2025년 4월 26일 전국 성인 남녀 1,012명을 대상으로 1대1 전화면접조사로 실시됐고, 표본오차는 95%로, 신뢰수준에 ±3.1%p이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2] 25일이면 투표용지 인쇄 시작일이다. 후보 등록 마감일은 11일.[3] 다만 본인이 경선에서 단일화를 위해 뽑아달라고 수 차례 얘기했던 만큼 이는 믿고 지지해준 당원들에 대한 배신으로 비춰질 수 있다.[4] 과거 18대 대선 경선 당시 김문수 캠프 소속 의원의 보좌진 출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