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11 23:12:15

국민의힘/지도부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국민의힘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_가로.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E61E2B,#E61E2B><colcolor=#FFF> 역사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다른 정당과의 관계
전당대회 1차 · 2차 · 3차 · 4차 · 5차 · 6차
선거 지지 기반
20대 대선 경선 · 선거대책본부 · 국민캠프 · 살리는 선거대책위원회 · 정권교체동행위원회 · 결과
8회 지선 시민이 힘나는 선거대책위원회 · 공직후보자 기초자격평가 · 결과
22대 총선 공천 갈등 · 중앙선거대책위원회 · 결과
21대 대선 경선 · 재선거 · 정정당당 선거대책위원회 · 결과
비판 및 논란 비판 및 논란 (행보 관련)
관련 단체 지도부 · 여의도연구원 · 청년의힘 · 혁신위원회 (최재형 · 인요한 · 안철수 · 윤희숙)
미래통합당 · 국민의당 · 시대전환 · 국민의미래
기타 보수주의 · 국제민주연합 · 국민의힘 마이너 갤러리 · 국민의힘 비대위 마이너 갤러리 · 나는 국대다 (1회 · 시즌2 · 2회) · 국민의힘 해산 청원 · 국민의힘 중앙당사
관련 틀 역대 대표 · 역대 원내대표 · 중앙당 · 상임고문단 · 계파 분류 · 제21대 국회의원 · 제22대 국회의원 }}}}}}}}}

1. 개요2. 당대표
2.1. 역대 당대표
3. 중앙당 지도부4. 원내 지도부
4.1. 제22대 국회
4.1.1. 송언석 지도부
5. 선거 지도부6. 시도당 지도부7. 혁신위원장

1. 개요

국민의힘의 지도부를 서술한 문서. 합당으로 정당이 출범한 이후 "지도부-비대위1-비대위2"가 반복되고 있다가 김용태 비대위원장 이후 새 지도부를 선출하지 않고 송언석 비대위 체제로 가면서 3연속 비대위가 되어 기록이 깨졌다.

2. 당대표

<colbgcolor=#e61e2b><colcolor=#fff>
파일:국민의힘 흰색 아이콘.svg
국민의힘 당대표
Leader of the People Power Party
파일:장동혁22대국회.png
현직 장동혁 / 제4대
취임일 2025년 8월 26일
정당

2.1. 역대 당대표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225deg, #00b5e2 21.8px, transparent 21.8px), linear-gradient(315deg, #ffffff 50.5px, transparent 50.5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비대위
김종인
대행 주호영

대행 김기현
초대
이준석
대행 권성동
비대위1
주호영
대행 권성동
비대위
정진석
제2대
김기현
대행 윤재옥
비대위
한동훈
대행 윤재옥
비대위
황우여
제3대
한동훈
대행 권성동
비대위
권영세
대행 권성동
비대위
김용태
비대위
송언석
제4대
장동혁
1 서울남부지방법원 2022카합20415 집행정지가처분 사건의 결정에서 재판부는 이 지도부의 성립에 대해 무효 의견으로 주호영 비상대책위원장의 직무정지를 주문함.
미래통합당 대표
국민의당 대표
시대전환 대표
국민의미래 대표
}}}}}}}}}}}}
<rowcolor=#fff> 국회 대수 이름 임기 비고
21대 비대위 김종인
(金鍾仁)
2020년 9월 2일 ~ 2021년 4월 8일 [1]
권한대행 주호영
(朱豪英)
2021년 4월 8일 ~ 2021년 4월 30일
김기현
(金起炫)
2021년 4월 30일 ~ 2021년 6월 11일
초대 이준석
(李俊錫)
2021년 6월 11일 ~ 2022년 8월 9일 [직무정지A]
직무대행 권성동
(權性東)
2022년 7월 8일 ~ 2022년 8월 9일 [직무대행]
비대위 주호영
(朱豪英)
2022년 8월 9일 ~ 2022년 9월 5일 [직무정지B]
직무대행 권성동
(權性東)
2022년 8월 26일 ~ 2022년 9월 5일 [직무대행]
권한대행 2022년 9월 5일 ~ 2022년 9월 8일
비대위 정진석
(鄭鎭碩)
2022년 9월 8일 ~ 2023년 3월 8일
제2대 김기현
(金起炫)
2023년 3월 8일 ~ 2023년 12월 13일
권한대행 윤재옥
(尹在玉)
2023년 12월 13일 ~ 2023년 12월 26일
비대위 한동훈
(韓東勳)
2023년 12월 26일 ~ 2024년 4월 11일
권한대행 윤재옥
(尹在玉)
2024년 4월 11일 ~ 2024년 5월 2일
22대 비대위 황우여
(黃祐呂)
2024년 5월 2일 ~ 2024년 7월 23일
제3대 한동훈
(韓東勳)
2024년 7월 23일 ~ 2024년 12월 16일
권한대행 권성동
(權性東)
2024년 12월 16일 ~ 2024년 12월 30일
비대위 권영세
(權寧世)
2024년 12월 30일 ~ 2025년 5월 10일
권한대행 권성동
(權性東)
2025년 5월 10일 ~ 2025년 5월 15일
비대위 김용태
(金龍泰)
2025년 5월 15일 ~ 2025년 6월 30일
비대위 송언석
(宋彦錫)
2025년 7월 1일 ~ 2025년 8월 26일
제4대 장동혁
(張東赫)
2025년 8월 26일 ~ 현재

3. 중앙당 지도부

파일:국회 회의실.jpg
국회 본청의 당대표 회의실[6]
파일:당사 회의실.jpg
중앙 당사의 당대표 회의실[7]
파일:현장 최고위.jpg
현장 최고위원회의[8]
===# 김종인 비대위 #===
파일:김종인_비대위.jpg
2020년 9월 2일 ~ 2021년 6월 11일[9]





===# 초대 지도부 #===
파일:이준석_지도부.jpg

2021년 6월 11일 ~ 2022년 8월 9일





===# 주호영 비대위 #===
서울남부지방법원 2022카합20415 집행정지가처분 사건의 결정에서 재판부는 이 지도부의 성립에 대해 무효 의견으로 주호영 비상대책위원장의 직무정지를 주문함.
파일:주호영_비대위.jpg
2022년 8월 9일 ~ 2022년 9월 8일





===# 정진석 비대위 #===
파일:정진석_비대위.jpg
2022년 9월 8일 ~ 2023년 3월 8일





===# 제2대 지도부 #===
파일:김기현_지도부.jpg
2023년 3월 8일 ~ 2023년 12월 26일






===# 한동훈 비대위 #===
파일:한동훈_비대위.jpg
2023년 12월 26일 ~ 2024년 4월 11일






===# 황우여 비대위 #===
파일:황우여_비대위.jpg
2024년 5월 2일 ~ 2024년 7월 23일





===# 제3대 지도부 #===
파일:한동훈_지도부.jpg
2024년 7월 23일 ~ 2024년 12월 29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로 장동혁, 진종오, 김민전, 인요한이 사의를 밝히며 지도부가 붕괴 위기에 처했다.# 당헌당규에 따르면 선출직 최고위원 중 4명 이상이 사퇴하면 비대위로 전환되지만 한동훈 대표가 사퇴 의사를 밝히지 않고 있다. 결국 2024년 12월 16일 한동훈 대표가 대표직 사퇴를 하여 권성동 원내대표의 대표 권한대행 체제로 전환되었다.
===# 권영세 비대위 #===
파일:권영세_비대위.jpg
2024년 12월 30일 ~ 2025년 5월 15일





언론 등지에서는 이 시기를 이른바 "쌍권(권영세·권성동) 체제"라고 부른다. 또한 역대 지도부(비대위 포함) 중 당원들에게 평가가 가장 좋지 않다.
===# 김용태 비대위 #===
파일:김용태_비대위.jpg
2025년 5월 15일 ~ 2025년 6월 30일




===# 송언석 비대위 #===
파일:송언석_비대위.jpg
2025년 7월 1일 ~ 2025년 8월 26일




3.1. 제4대 지도부

파일:장동혁_지도부.jpg
2025년 8월 26일 ~ 현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국민의힘/지도부/4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국민의힘/지도부/4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국민의힘/지도부/4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원내 지도부

파일:국민의힘 흰색 아이콘.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원내대표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225deg, #00b5e2 21.8px, transparent 21.8px), linear-gradient(315deg, #ffffff 50.5px, transparent 50.5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nopad> 제21대 국회
초대
주호영
제2대
김기현
제3대
권성동
제4대
주호영
<nopad> 제21대 국회 <nopad> 제22대 국회
제5대
윤재옥
제6대
추경호
제7대
권성동
제8대
송언석
미래통합당 원내대표
국민의당 원내대표
시대전환 원내대표
}}}}}}}}}}}}}}}
<rowcolor=#ffffff> 국회 대수 이름 임기 비고
21대 초대 주호영
(朱豪英)
2020년 9월 2일 ~ 2021년 4월 30일 [75]
제2대 김기현
(金起炫)
2021년 4월 30일 ~ 2022년 4월 8일 [조기]
제3대 권성동
(權性東)
2022년 4월 8일 ~ 2022년 9월 19일 [조기]
제4대 주호영
(朱豪英)
2022년 9월 19일 ~ 2023년 4월 7일 [78]
제5대 윤재옥
(尹在玉)
2023년 4월 7일 ~ 2024년 5월 9일 [79]
22대 제6대 추경호
(秋慶鎬)
2024년 5월 9일 ~ 2024년 6월 24일 [80]
직무대행 배준영
(裵俊英)
2024년 6월 24일 ~ 2024년 6월 29일 [81]
제6대 추경호
(秋慶鎬)
2024년 6월 29일 ~ 2024년 12월 7일 [82]
직무대행 배준영
(裵俊英)
2024년 12월 7일 ~ 2024년 12월 12일 [83]
제7대 권성동
(權性東)
2024년 12월 12일 ~ 2025년 6월 12일 [84]
직무대행 박형수
(朴亨修)
2025년 6월 12일 ~ 2025년 6월 16일 [85]
제8대 송언석
(宋彦錫)
2025년 6월 16일 ~ 현재
===# 제21대 국회 #===
파일:국민의힘_21.jpg

====# 주호영 지도부 1기 #====
파일:주호영_원내지도부1기.jpg
2020년 9월 2일 ~ 2021년 4월 30일[86]

====# 김기현 지도부 #====
파일:김기현_원내지도부.jpg
2021년 4월 30일 ~ 2022년 4월 8일[87]

====# 권성동 지도부 1기 #====
파일:권성동_원내지도부1기.jpg
2022년 4월 8일 ~ 2022년 9월 19일

====# 주호영 지도부 2기 #====
파일:주호영_원내지도부2기.jpg
2022년 9월 19일 ~ 2023년 4월 7일[88]

====# 윤재옥 지도부 #====
파일:윤재옥_원내지도부.jpg
2023년 4월 7일 ~ 2024년 5월 9일[89]

4.1. 제22대 국회

파일:국민의힘_22.jpg

====# 추경호 지도부 #====
파일:추경호_원내지도부.jpg
2024년 5월 9일 ~ 2024년 12월 7일[91][92]

====# 권성동 지도부 2기 #====
파일:권성동_원내지도부2기.jpg
2024년 12월 12일 ~ 2025년 6월 12일[95]

4.1.1. 송언석 지도부

파일:송언석_원내지도부.jpg
2025년 6월 16일 ~ 현재[98]

5. 선거 지도부

===# 제20대 대통령 선거 #===
====# 제20대 대선경선준비위원회 #====
2021년 7월 9일 ~ 2021년 8월 26일



====# 제20대 대통령후보자 선거관리위원회 #====
2021년 8월 26일 ~ 2021년 11월 5일




====# 살리는 선거대책위원회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살리는 선거대책위원회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살리는 선거대책위원회#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살리는 선거대책위원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국민의힘 선거대책본부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국민의힘 선거대책본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국민의힘 선거대책본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국민의힘 선거대책본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시민이 힘나는 선거대책위원회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시민이 힘나는 선거대책위원회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시민이 힘나는 선거대책위원회#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시민이 힘나는 선거대책위원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 중앙선거대책위원회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e61e2b><tablebgcolor=#e61e2b>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_가로.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e61e2b><tablebgcolor=#e61e2b>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중앙선거대책위원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colbgcolor=#f5f5f5,#2d2f34> 총괄 · 공동 선거대책위원장
한동훈 · 나경원 · 안철수 · 원희룡 · 윤재옥
선거대책위원회 부위원장
선대위 고동진 · 정양석
정책위 유의동
비대위 구자룡 · 김경율 · 박은식 · 장서정 · 윤도현
권역별 공동선거대책위원장
서울 박진 · 김용태
인천 윤상현
경기 김학용 · 김은혜
충청 정진석 · 이상민
강원 권성동
호남 정운천
부울경 서병수 · 김기현 · 김태호
대구경북 주호영 · 임이자
격차해소 특별위원회
위원장 홍석철 · 이영
경기-서울 리노베이션 특별위원회
위원장 배준영
* 1차 위원: 김종혁, 김태섭, 김상균, 유계순, 김갑성, 이인화, 정경석
총괄선거대책본부
본부장 장동혁
종합상황실장
이만희
부실장 정희용
홍석준
주진우

}}}}}}}}} ||
===# 제21대 대통령 선거 #===
====# 제21대 대통령후보자 선거관리위원회 #====
2025년 4월 7일 ~ 2025년 5월 3일


====# 정정당당 선거대책위원회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정정당당 선거대책위원회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정정당당 선거대책위원회#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정정당당 선거대책위원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시도당 지도부

파일:국민의힘 흰색 아이콘.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시도당위원장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225deg, #00b5e2,#00b5e2 21.8px, transparent 21.8px), linear-gradient(315deg, #ffffff 50.5px, transparent 50.5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181818,#e5e5e5
서울 부산 대구 인천
배현진 정동만 이인선 박종진
광주 대전 울산 세종
안태욱 이상민 박성민 이준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김선교 이철규 엄태영 강승규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조배숙 김화진 구자근 강민국
제주
고기철
파일:국민의힘 아이콘.svg
중앙당
}}}}}}}}}}}}}}}}}}

2025년 5월 10일 기준

7. 혁신위원장

파일:국민의힘 흰색 아이콘.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혁신위원장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225deg, #00b5e2 21.8px, transparent 21.8px), linear-gradient(315deg, #ffffff 50.5px, transparent 50.5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이준석 대표 체제 김기현 대표 체제 송언석 비대위 체제
제1기
최재형
최재형 혁신위원회
제2기
인요한
국민과 함께 혁신위원회
제3기
안철수윤희숙
윤희숙 혁신위원회
}}}}}}}}}}}}}}}
<colbgcolor=#e61e2b><colcolor=#fff>
파일:국민의힘 흰색 아이콘.svg
국민의힘 혁신위원장
Chairman of the Innovation Committee
파일:최재형 22대 총선 프로필.jpg
초대 최재형 / 초대[B]
임기 2022년 6월 23일 ~ 2022년 12월 26일
<colbgcolor=#e61e2b><colcolor=#fff>
파일:국민의힘 흰색 아이콘.svg
국민의힘 혁신위원장
Chairman of the Innovation Committee
파일:인요한_22대총선 프로필사진.jpg
현직 인요한 / 제2대[B]
임기 2023년 10월 23일 ~ 2023년 12월 11일
<colbgcolor=#e61e2b><colcolor=#fff>
파일:국민의힘 흰색 아이콘.svg
국민의힘 혁신위원장
Chairman of the Innovation Committee
파일:안철수 공식 프로필.jpg
현직 안철수 / 제3대[B]
임기 2025년 7월 3일 ~ 2025년 7월 7일
<colbgcolor=#e61e2b><colcolor=#fff>
파일:국민의힘 흰색 아이콘.svg
국민의힘 혁신위원장
Chairman of the Innovation Committee
파일:윤희숙 원장.jpg
현직 윤희숙 / 제4대[B]
임기 2025년 7월 9일 ~ 2025년 8월 31일

[1] 2020년 5월 8일 출범한 미래통합당 중앙당 지도부 승계.[직무정지A] 국민의힘 윤리위원회가 2022년 7월 8일부터 2023년 1월 8일까지 6개월 당원권 정지 처분으로 인하여 이준석 전 대표의 직무가 정지됐으나 (2022년 7월 8일 ~ 2022년 8월 9일) 2023년 11월 2일에 국민의힘 최고위원회에서 징계취소 의결.[직무대행] 당대표 사고로 인해 당헌 및 당규에 따라 원내대표로서 직무대행. 국민의힘 당헌당규는 당대표 궐위 시 '권한대행', 사고 시 '직무대행'으로 구분한다. 모두 '직무대행'으로 규정한 더불어민주당과는 차이가 있다.[직무정지B] 2022년 8월 26일, 서울남부지방법원의 2022카합20415 집행정지가처분 사건 결정으로 본안판결 확정 시까지 직무정지. 이후 주호영 사퇴.[직무대행] [6] 김종인 비대위, 이준석 지도부, 주호영 비대위, 정진석 비대위, 김기현 지도부, 황우여 비대위, 한동훈 지도부 후기, 권영세 비대위, 김용태 비대위, 송언석 비대위 초기, 장동혁 지도부.[7] 한동훈 비대위, 황우여 비대위, 한동훈 지도부 초기, 송언석 비대위 후기.[8] 보통 지역 현안에 대해 논의하거나 급한 지방 일정이 생길 때, 지역 선거가 치뤄질 때 등에 비정기적으로 개최된다. 사진은 강서구청장 보궐선거 당시.[9] 2020년 6월 1일 출범한 미래통합당 비상대책위원회 계승.[탈당] 당직자 폭행 논란으로 탈당.[직무정지A] [사퇴] [13] 2022년 7월 29일 사퇴 선언[사퇴] [사퇴] [16] 2022년 8월 8일 사퇴 선언. 2022카합20415 효력정지 가처분 사건 결정문에서 사퇴서 제출이 확인되지 않음.[17] 현재 1석, 국민의당과의 합당으로 2석 추가 논의가 있으나 당헌당규 개정 사항으로 계류되다 무산됨.[18] 2022년 7월 31일 사퇴 선언[사퇴] [사퇴] [사퇴] [사퇴] [23] 2022년 8월 10일 대통령실 청년대변인 임명에 따라 국민의힘 대변인을 사퇴하였다.[직무정지B] [사퇴] [26] 초선 국회의원(충북 제천시·단양군)[사퇴] [28] 세종특별자치시의회의원, 1986년생[사퇴] [30] 전 국회의원[사퇴] [32] 초선 국회의원(비례대표)[사퇴] [사퇴] [35] 강원도의회의원, 1984년생[사퇴] [37] 9월 13일 주기환 전 비대위원을 후보자로 지명하였지만 같은 날 오후 주 후보자의 사퇴로 인해 지명되었다.[사퇴] [사퇴] [사퇴] [직무정지C] 국민의힘 윤리위원회가 2023년 5월 10일부터 2024년 5월 10일까지 1년 당원권 정지 처분으로 인하여 최고위원 직무가 정지됐으나 2023년 11월 2일에 국민의힘 최고위원회에서 징계취소 의결[사퇴] [43] 보궐선거로 당선[사퇴] [사퇴] [사퇴] [사퇴] [사퇴] [사퇴] [A] 2024년 4월 11일 총선 참패 책임으로 사퇴.[A] [국민의미래] [53] 2024년 3월 13일 제명, 3월 15일 제명 의결. 하지만 국민의미래 당적으로 비상대책위원직을 계속 수행한다고 밝혔다.#[A] [사퇴] [A] [A] [A] [국민의미래] [A] [A] [62] 추경호 원내대표 사퇴로 인해 배준영 원내수석부대표의 직무체제로 복귀 전까지 전환되었다.[63] 전당대회 출마로 2024.6.24. 사퇴[사퇴] [사퇴] [사퇴] [사퇴] [사퇴] [사퇴] [사퇴] [사퇴] [사퇴] [73] 계엄 관련 발언 논란#으로 자진사퇴[74] 전당대회 출마로 인한 사퇴[75] 2020년 5월 8일 출범한 미래통합당 원내지도부 계승.[조기] 후임 조기 선출로 인한 임기 단축.[조기] [78] 주호영 당선인 본인의 뜻에 따라 잔여 임기만 수행.[79] 후임 선출 지연으로 인한 임기 연장.[80] 원 구성 협상 관철 실패에 대한 책임으로 사퇴.[81] 원내수석부대표로서 직무대행.[82] 원내대표 복귀로 직무대행 체제 종료 및 추경호 지도부 유지.[83] 원내수석부대표로서 직무대행.[84] 제21대 대통령 선거 패배로 사퇴.[85] 원내수석부대표로서 직무대행.[86] 2020년 5월 8일 출범한 미래통합당 원내지도부 계승[87] 본래 임기는 2022년 4월 30일까지이지만 새 정부 출범 전 여야 협상력 강화를 위해 신임 지도부를 조기 선출하기로 결정.[88] 원래 임기는 1년이 맞으나 주 원내대표가 권성동 전 원내대표의 잔여 임기까지만 수행하겠다고 선언하여 4월 7일까지만 재임했다.[89] 대표 선출 의원총회에서 65표를 얻어 김학용 의원을 꺾고 당선되었다. 임기는 2024년 4월까지이나, 한동훈 비대위원장의 사퇴로 당대표직이 공석이 되었고 5월 10일에 새 원내대표 선출이 예정되어 있어 당대표 권한대행을 맡으면서 임기가 한 달 정도 연장되었다.[사퇴] [91] 원내대표 선출을 위한 당선자 총회에서 70표를 얻어 당선되었다.[92] 2024년 6월 24일 추경호 원내대표가 원구성 협상 결과에 책임을 지고 사퇴한 후 6월 29일 복귀할 때까지 배준영 원내수석부대표의 직무대행체제로 운영[사퇴] [94] 2024.06.21. 제4차 전당대회 최고위원 출마를 위해 사퇴[95] 106표 중 72표를 얻어 당선되었다.[사퇴] [97] 제21대 대통령 선거 국면에서 홍준표 후보 지지를 선언하며 무대홍 캠프 합류.[98] 106표 중 60표를 얻어 당선되었다.[사퇴] [100] 당 대변인으로 보직 이동.[사퇴] [102] 제6차 전당대회 출마로 사퇴.[103] 현재 중앙선거관리위원 후보자이며 이 이력과 당적 때문에 논란이 있다.# 이에 국민의힘 측에서는 여당에서도 친여 인사들을 선관위원에 추천했기에 내로남불이라고 반박했다. 참고로 여당에서 주장하는 내용은 국민의힘 당원이었고 당비를 납부하였기에 자신이 중립적이라 하더라도 국민들은 전혀 신뢰하지 못한다고 주장했다. 국민의힘에서는 입당 경력이 19일이라며 노정희 위원장, 조해주 위원이 친여 인사라서 문재인 대통령이 청문회 없이 강행 임명시켰다고 맞서는 중이다.[B] 국민의힘 당명 개정 이후부터 계산한다.[B] 국민의힘 당명 개정 이후부터 계산한다.[B] 국민의힘 당명 개정 이후부터 계산한다.[B] 국민의힘 당명 개정 이후부터 계산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