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6 22:15:31

김한(1887)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11, #a11 20%, #a11 80%, #a11);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단장
김원봉
고문
김대지 황상규
단원
강세우 강인수 고인덕 곽재기
권정필 권준 김광추 김기득
김방우 김병현 김상옥 김상윤
김성숙 김시현 김익상 김지섭
김철호 나석주 남정각 박문희
박자혜 박재혁 박차정 박희광
배동선 배중세 배치문 서상락
송천흠 신악 신영삼 신채호
신철휴 오성륜변절 유자명 윤세주
윤치형 이구연 이병철 이병희
이성우 이수택 이육사 이종암
이태준 정이소 최수봉 황옥불확실
최용덕 한봉근 한봉인 홍가륵
유시태 이원대 이원기 윤병구
유석현 정율성불확실 문시환 이춘암
공약 10조
[ 펼치기 · 접기 ]
① 천하의 정의의 사(事)를 맹렬히 실행하기로 함.
② 조선의 독립과 세계의 평등을 위하여 신명을 희생하기로 함.
③ 충의의 기백과 희생의 정신이 확고한 자라 함.
④ 단의(團義)에 선(先)히 하고 단원의 의(義)에 급히 함.
⑤ 의백(義伯) 1인을 선출하여 단체를 대표함.
⑥ 하시(何時) 하지(何地)에서나 매월 1차씩 사정을 보고함.
⑦ 하시 하지에서나 매 초회(招會)에 필응함.
⑧ 피사(被死)치 아니하여 단의에 진(盡)함.
⑨ 1이 9를 위하여 9가 1을 위하여 헌신함.
⑩ 단의에 배반한 자는 처살(處殺)함이다.
5파괴
[ 펼치기 · 접기 ]
조선총독부
동양척식회사
매일신보사
④ 각 경찰서
⑤ 기타 왜적 중요기관
7가살
[ 펼치기 · 접기 ]
조선총독 이하 고관
② 군부 수뇌
대만총독
④ 매국노
⑤ 친일파 거두
적탐(밀정)
⑦ 반민족적 토호열신(土豪劣紳)
조선혁명선언 황옥 경부 폭탄사건 }}}}}}}}}
<colcolor=#fff><colbgcolor=#0047a0>
파일:독립운동가 김한.jpg
출생 1887년 11월 16일
한성부 서부 용산방 마포계
(現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동)[1]
사망 1938년 7월 13일 (향년 50세)
소련 러시아 SFSR 프리모리예 지방
본관 안동 김씨
초명 김상엽(金相燁)
제관(霽觀)
가족 아버지 김동헌[2]
배우자 배명원
장녀 김원정
차녀 김인정
삼녀 김례정
외아들 김담
외손자 우원식
학력 호세이대학 (정치경제과 / 졸업)
이명 김판관(瓣觀), 김자홍(子弘)
상훈 2005년 건국훈장 독립장 추서

1. 개요2. 생애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독립유공자.

제22대 국회의장 우원식의 외조부이다.

2. 생애

1887년 11월 16일 한성부 서부 용산방(성외) 마포계(現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동 296번지)에서 아버지 김동헌(金東憲)의 아들로 태어났다. 1904년부터 대한제국 통신원 주사, 탁지부 주사, 세무 주사 등을 지낸 뒤 1905년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 호세이대학 정치경제과에 입학해 졸업한 후 변호사 자격을 취득했다.

1910년 국권피탈 이후 1912년 만주로 망명했으며 상하이, 톈진, 봉천, 지린, 하얼빈 등지에서 대한독립단 단원으로 항일 활동에 참가했다. 1916년 비밀결사 광복단의 단원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19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참여했으며 그 해 7월 임시정부 사료편찬위원회 위원을 역임했고, 대한적십자회 회원으로 활동했다. 12월에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사법부장을 맡았고, 1920년 2월에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법무부 비서국장으로 선임되었다.


[1] #[2] 金東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