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4 18:34:55

김행웅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메가스터디 강사 김행웅}}}에 대한 내용은 [[김행웅(강사)]]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김행웅(강사)#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김행웅(강사)#|]]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메가스터디 강사 김행웅: }}}[[김행웅(강사)]]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김행웅(강사)#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김행웅(강사)#|]]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P&B엔터테인먼트 로고.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Artists
박성연 박지빈 방유인 신혜지
안현호 오세은 오수혜 오승준
이예은 이정인 이지훈 임정희
조다은 황성빈
}}}}}}}}} ||
<colbgcolor=#055088><colcolor=#fff> 김행웅
金智彬 | Kim hang Woong
파일:배우 김행웅 프로필.jpg
출생 1995년 3월 14일[조기입학] ([age(1995-03-14)]세)
전라남도 목포시 상동(목포시)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59cm[2], A형
가족 어머니 임창승[3], 누나 김창곤(1992년생)
학력 목포상동초등학교 (졸업)
목포유달중학교 (졸업)
고등학교 졸업학력 검정고시 (합격)
국제사이버대학교 (엔터테인먼트학 / 학사)
종교 개신교
병역 대한민국 육군 제37보병사단 병장 만기전역
(2015년 5월 26일 ~ 2017년 2월 25일)
소속사 P&B엔터테인먼트
데뷔 2001년 뮤지컬 토미
(데뷔일로부터 [dday(2001-12-04)]일, [age(2001-12-04)]주년)
링크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데뷔 전3. 캐릭터
3.1. 성격3.2. 인터뷰
4. 개인 활동
4.1. 2001년 ~ 2010년4.2. 2011년 ~ 2012년4.3. 2013년 ~ 2014년4.4. 2015년 ~ 2018년4.5. 2019년 ~ 2020년4.6. 뮤지컬4.7. 뮤직비디오4.8. 광고4.9. 방송4.10. 라디오
5. 수상 경력6. 여담

1. 개요

파일:김행웅 프로필1.jpg
대한민국배우.

2. 데뷔 전

1995년 3월 14일 대한민국 전라남도 목포시 상동에서 1남 1녀 중 둘째로 태어났다. 어렸을 적 웃는 모습이 예쁘니 아역배우를 한 번 시켜보라는 권유로 프로필 사진을 찍었다가 스튜디오에서 그 사진을 에이전시에 돌리며 아역배우 오디션을 보게 되었다고 한다. 연예계에 관심이 없을 때에는 친구들과 노는 것을 좋아하고 공부에 관심이 많았는데 특히 수학을 좋아해 수학으로 전국 수학경시대회에서 3만 명 중 100등 안에 든 적이 있다고 한다. 어렸을 때부터 아역배우 생활을 해와서 그런지 또래에 비해 성숙하고 영리했다고 한다.

3. 캐릭터

3.1. 성격

본인이 수다 떠는 것을 좋아한다고 할 정도로 대화하는 것을 좋아하고 활발한 편인듯하다. 분야 가릴 것 없이 인맥이 다양하고 넓은 편이며 예전에는 눈 뜨면 밖에 나갈 정도로 밖에 나가 돌아다니는 걸 좋아했다고 한다. 운동 등 활동적인 것을 좋아하며 주로 즉흥적인 편이라고 한다. 하지만 이런 활발한 성격과는 다르게 또 다른 면으로는 생각이 많고 걱정이 많으며 겁이 많은 면도 있다고.

게임을 좋아하는데 게임을 할 때 정해놓은 목표를 달성할 때까지 끝장을 봐야 한다고 하며 2014년 배우 이현우와 함께했던 《Real Mate in 사이판》에서 클라이밍을 할 때 끝까지 침착하게 목표지점에 도달한 것으로 보아 끈기가 있는 편인 듯하다.

연기나 음악 등 본인이 관심 있는 분야에서는 꽤 진중한 면도 보이며 자신만의 확고한 주관이 있음과 동시에 좋아하는 분야에 대한 열정이 큰 듯하다.

3.2. 인터뷰

풀려고 해서 풀리는 문제면 누구나 다 풀 수 있겠죠. 원하는 타이밍에 원하는 작품에 출연해 원하는 인생을 살고 있지 않을까요. 대중의 마음이나 남의 시선은 한순간에 바뀌지 않아요. 사람들이 보는 내가 맞아요. 가령 어떤 역할을 하고 싶은데 비슷한 이미지가 부족하다면 노력해서 그 작품에 출연할 수 있겠죠. 이게 배우가 할 수 있는 최선이라고 생각해요. 술, 담배 등 성인만 할 수 있는 것을 보여준다고 해서 크게 달라지지는 않아요. 자연스러운 흐름에 맞춰 살아가는 게 제 직업이에요.

- NEWSIS 인터뷰 中에서 -
스스로는 전역 이후부터를 내 진짜 연기 연차라고 생각하고 있다. 아역으로 데뷔해서 연차가 많이 쌓였을 뿐 아직 갈 길이 멀다

- IS 인터뷰 中에서 -

4. 개인 활동

4.1. 2001년 ~ 2010년

7살에 뮤지컬 《토미》로 데뷔하여 악극 《모정의 세월》이라는 작품에 출연했다. 이후, 최진실과 함께 찍은 자동차보험 회사의 월드컵 광고를 시작으로 스무 편이 넘는 광고를 찍으며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 어린이 드라마 《매직키드 마수리》에 출연하기도 하였으며 이후, 드라마 《완전한 사랑》을 통해 아역상을 받는 등 탄탄한 배우로서의 입지를 다져갔다. 2004년 스크린 첫 데뷔작 《가족》을 시작으로 2005년 영화 《안녕, 형아》를 통해 큰 인상을 남겼다.
파일:20230603_013907.gif 파일:20230603_013936.gif
▲ 영화 《안녕, 형아》
이후, 국내외 영화제를 통해 최연소 연기파 주연배우로 인정받을 뿐 아니라 영화 《아이스케키[4], 《청춘만화》, 시트콤 《안녕, 프란체스카[5], 드라마 《드라마시티 - 도깨비가 있다》, 《황금사과》등에 출연하며 청소년 연기상을 수상하는 등 같은 아역배우 출신인 유승호, 이현우와 더불어 브라운관과 스크린을 누비며 대중들의 사랑과 신뢰를 얻었다.

그 후에도 드라마 《이산》, 《천추태후》, 《꽃보다 남자》 등에 출연하며 시청자들에게 눈도장을 찍었는데 최근 SNS에 다시 화제가 된 꽃보다 남자 속 '구준표에게 김치 먹여주는 짤[6]' 이 돌아다니기도 하였다. 드라마 꽃보다 남자 이후에도 드라마 《선덕여왕》, 《별을 따다줘》, 영화 《고래를 찾는 자전거》에 출연하며 활발한 작품 활동을 이어 나갔다.

4.2. 2011년 ~ 2012년

2012년 드라마 《메이퀸》에서 김재원의 아역으로 출연하며 배우 김유정, 박건우, 정지소, 서영주, 김동현 등과 호흡을 맞췄다.
이후, 영화 《천국의 아이들》에서 '정훈' 역을 연기하며 배우 김보라 와 함께 실감나는 일진 연기를 보여주었다.[7]

4.3. 2013년 ~ 2014년

2013년 드라마 《돈의 화신》에 어린 이차돈역으로 출연했다. 이때 배우 강지환의 아역을 맡았는데 극중 크면서 성인 이차돈이 되는 장면이 자연스럽게 연출 되며 이 장면에서 어려 보이는 외모와는 다르게 탄탄한 복근이 공개되어 화제가 되기도 하였다.
이후, 드라마《수상한 가정부》에 '신우재' 역으로 출연하며 배우 김소현, 서강준과 호흡을 맞추었다.

2014년 1월, 평소 친분이 있던 같은 아역 배우 출신 이현우와 함께 찍은 리얼 예능 《Real Mate in 사이판, 이현우&박지빈》이 방송되었다.

4.4. 2015년 ~ 2018년

2015년 5월 26일 군대에 입대해 군백기를 가지게 되었다.[8]

2017년 2월 25일 전역한 후 같은 해 5월 24일, 《이홍기의 키스 더 라디오》에 게스트로 출연하였다. 이후, 별다른 활동 없이 휴식기를 가지다 2018년 웹드라마 《두부의 의인화》를 시작으로 MBC 드라마 《배드파파》를 통하여 안방극장에 복귀하였다. 드라마 《배드파파》에서는 처음으로 악역 연기를 선보였는데, 피도 눈물도 없는 젊은 대표 '정찬중' 역을 열연했다. 다만, 방영 당시 이에 대해 여전히 앳된 얼굴에 악독한 회사 대표라는 이미지가 매치가 안 된다는 평도 있었으나 이는 감독이 의도한 바였다고 한다. 젊은 나이에 대표 자리에 앉게 된 악독한 캐릭터의 모습을 표현하고 싶었다고.
또, 같은 해 서울시와 함께한 웹드라마 《취업인류》에 출연하기도 하였다.

4.5. 2019년 ~ 2020년

2019년 영화 《다시, 봄》을 통해 7년만에 스크린에 복귀했다.[9] 영화 《다시, 봄》에서는 시간을 거꾸로 사는 노인을 연기했는데, 학생의 몸에 갇힌 노인의 영혼을 연기하느라 표현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었다고 한다.[10] 시간을 거꾸로 사는 설정에 이 영화가 생각날 수도 있는데, 실제로 극중에서도 자신을 '벤자민' 이라고 칭하기도 했다.[11]
같은 해 출연한 드라마 《빅이슈》에서는 금수저이자 어린 나이에 스타덤에 오른 '백은호' 역을 맡아 연기했다.[12] 드라마 본방송 중 후반작업이 제대로 되지 않아 CG나 자막 등이 그대로 송출되는 사고가 일어난 적이 있는데 하필 본인이 나오던 초반에 일어난 사고라 안타까워하기도 했다.

4.6. 뮤지컬

<rowcolor=#fff> 연도 제목 비고
2001년 토미 데뷔작
2002년 모정의 세월

4.7. 뮤직비디오

<rowcolor=#fff> 발표 연도 아티스트 곡명 비고
2004년 최정철 비가 와
이수영 꽃들은 지고 영상
2007년 이재훈 환상 영상

4.8. 광고

<rowcolor=#fff> 연도 기업명 제품명 비고
2004년 캘로그 첵스
2007년 롯데 헬스원 드림키드
2010년 한국 닌텐도 뉴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Wii

4.9. 방송

<rowcolor=#fff> 출연 연도 방송사 제목 역할 비고
2003년 12월 27일~2004년 1월 3일 파일:MBC 로고(1986-2005).svg파일:MBC 로고(1986-2005) 컬러 화이트.svg 코미디하우스 웃지마 코너
2012년 10월 10일 파일:MBC 로고.svg파일:MBC 로고 화이트.svg 라디오스타 with 이세영, 노영학, 오재무
2014년 1월 9일~16일 파일:QTV 배경제거.png Real Mate in 사이판, 이현우&박지빈 with 이현우
2014년 3월 17일 파일:SBS 텍스트 로고.svg파일:SBS 텍스트 로고 화이트.svg 좋은 아침
2019년 4월 14일 파일:Olive 로고.svg파일:Olive 로고 화이트.svg 모두의 주방
2020년 5월 19일 파일:와이낫미디어 로고.svg 보라를 보라 with 김보라
2020년 7월 16일~12월 29일 파일:킼TV 로고.svg 보라 다방
2021년 11월 23일 파일:MBC every1 로고(2011-2022) 가로형.svg 나를 불러줘
2022년 4월 4일 파일:JTBC 로고.svg파일:JTBC 로고_White.svg 우리_사이 with 이수현

4.10. 라디오

<rowcolor=#fff> 출연 연도 방송사 제목 역할 비고
2017년 5월 24일 파일:KBS CoolFM 로고.svg파일:KBS CoolFM 로고 화이트.svg 이홍기의 키스 더 라디오 게스트
2018년 12월 20일 파일:V LIVE 아이콘.svg 라디오 아파트 일일 DJ
2019년 4월 13일 파일:KBS CoolFM 로고.svg파일:KBS CoolFM 로고 화이트.svg 악동뮤지션 수현의 볼륨을 높여요 게스트
2019년 11월 27일 파일:네이버 나우 로고.svg파일:네이버 나우 로고 화이트.svg
들려주고 싶어서 일일 DJ
2021년 3월 9일 수현의 숲 게스트 with 김보라

5. 수상 경력

<rowcolor=#fff> 수상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2003년 SBS 연기대상 아역상 완전한 사랑
2005년 KBS 연기대상 청소년연기상 드라마시티 - 도깨비는 있다
황금사과
제1회 뉴 몬트리올 영화제 남우주연상 안녕, 형아
2007년 MBC 연기대상 아역상 이산

6. 여담



[조기입학] [2] 네이버, 다음, 구글 프로필 기준 하지만 최소 159cm 이상 161cm 이하로 추정되나, 정확하게 밝혀진 게 없어서 이 사이의 값으로 측정.[3] 아버지는 2014년 지병으로 별세.[4] 제작진은 시나리오 단계부터 만장일치로 박지빈을 '영래'로 점 찍고 있었다고.[5] 귀신 보는 아이[6] 사실 구준표에게 김치를 먹여주는 사람은 '금잔디 어머니'로 사진의 착시 효과 때문에 강산이 먹여주는 것처럼 보이는 것뿐이다.파일:구준표 김치 먹여주는 짤.png[7] 현실에 비해 착한 일진들이라는 평도 있었다.[8] 연예인임에도 스물 한 살이라는 제 나이에 입대를 하였다. 특이하게도 본인이 입대한 날짜에는 송중기가 전역한 날짜이기도 한다.(참고로 송중기는 2013년 8월 27일 입대 후 이 날 전역) 현재는 육군 기준으로 복무기간이 1년 6개월이지만 당시에는 1년 9개월이었다.[9] 촬영은 2018년에 했지만 개봉은 2019년에 해 7년만의 스크린 복귀작이 된 셈이다.[10] 정확히 말하자면, 그냥 노인을 연기하는 것도 힘든데 학생의 몸으로 사는 노인을 연기해야하니 답답함이 있었다고 한다.[11] 극중 본인이 촬영한 장면 중 가장 기억에 남는 장면으로 어린시절의 아내에게 아내가 끼던 반지를 주며 인사를 건네는 장면을 꼽기도 했다. 미래에서 기다릴게?[12] 한 여자를 일편단심으로 사랑하는 캐릭터를 맡아 첫 키스신을 보여주기도 했다. 링크[13] 다만 이민호는 교통사고 부상으로 인해 사회복무요원으로 갔다.[14] 링크[15] 링크[16] 링크[17]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