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Martinez |
[clearfix]
1. 개요
진을 베이스로 하며, 마티니와 맨해튼의 중간 형태를 띈다. 현재 IBA 공식 칵테일에 등록되어 있는 레시피 중 하나이다.2. 상세
기원에 대해서는 두 가지 설이 있다. 하나는 옥시덴탈 호텔(Occidental Hotel)의 바텐더였던 제리 토마스가 처음으로 선보였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마르티네스 바의 바텐더였던 리슐리외(Richeliue)에 의해 선보여졌다는 것이다. 여담으로, 둘 다 캘리포니아 주에 위치해 있었다.마르티네스에 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1884년 O. H. 바이런(O. H. Byron)의 저서 <모던 바텐더 가이드(The Modern Bartenders' Guide)>와, 1887년 제리 토마스의 저서 <바텐더 가이드(Thomas' The Bar-Tender's Guide)>이다. 바이런의 책에 따르면 마르티네스는 맨해튼에서 위스키를 진으로 대체한 칵테일이다. 원래의 마르티네스는 제네바 진을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되나, 1887년 제리 토마스의 레시피에서는 올드 톰 진을 사용했다.
여담으로, 1888년 해리 존슨(Harry Johnson)의 <New and Improved Illustrated Bartender's Manual>에서는 마지막 글자 ‘z’ 가 빠진 ‘Martine’ 으로 표기되었는데, 그로 인해 ‘마르티네스에서 마티니가 파생되었다’ 는 가설도 상당히 높은 지지를 얻고 있다.
3. 레시피
3.1. O. H. 바이런 레시피 (1884년)
1884년 바이런의 레시피는 맨해튼에서 기주만 진으로 바꾼 것이며, <모던 바텐더 가이드(Modern Bartender Guide)> 1884년 판에 맨해튼 2종이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마르티네스도 2종이다.3.1.1. No.1
||<tablewidth=5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222,#CCC><colbgcolor=#FFF,#1F2023>마르티네스 No. 1(Martinez Cocktail No. 1)
1884년 『Modern Bartender Guide』 21p
주재료
1884년 『Modern Bartender Guide』 21p
주재료
- 드라이 베르무트[1] - 1 pony[2] (30 ml; 1 oz)
- 진[3] - 1/2 pony (15 ml; 1/2 oz)
- 앙고스투라 비터 3~4 dashes
- 검 시럽 3 dashes
3.1.2. No.2
||<tablewidth=5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222,#CCC><colbgcolor=#FFF,#1F2023>마르티네스 No. 2(Martinez Cocktail No. 2)
『Modern Bartender Guide』 21p
주재료부재료 / 도구
『Modern Bartender Guide』 21p
주재료부재료 / 도구
3.2. 제리 토마스 레시피 (1887년)
||<tablewidth=5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222,#CCC><colbgcolor=#FFF,#1F2023>마르티네스(Martinez Cocktail)
1887년 『The bar-tender's guide』 25p
주재료
1887년 『The bar-tender's guide』 25p
주재료
- 올드 톰 진 1 pony (30 ml; 1 oz)
- 베르무트[6] 1 wine-glass (60 ml; 2 oz)
- 마라스키노 2 dashes
- 보커스 비터스(Boker's Bitters)[7] 1 dash
3.3. IBA 공식 레시피
||<tablewidth=45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111><colbgcolor=#FFF,#111>마르티네스 / Martinez
2024년 IBA 공식 레시피 ||
2024년 IBA 공식 레시피 ||
주재료부재료 / 도구 |
[1] 원본에서는 프렌치 베르무트라 표기되어 있다.[2] 지거(jigger)의 절반으로, 금주법 이전 시대 기준 30 ml (1 oz), 금주법 이후로는 22.5 ml(3/4 oz)이다.[3] 원본에서 진의 종류를 특정하지는 않았으나 제네바 진으로 추정된다.[4] 원본에서는 이탈리안 베르무트라 표기되어 있다.[5] fine의 의미가 단순히 깨끗한 얼음인지 곱게 간 얼음인지는 불명.[6] 원본에서 따로 베르무트에 대한 설명은 없으나 스위트 베르무트로 추정한다.[7] 1828년 창립된 앙고스투라 비터와 비슷한 칵테일 비터스로 'Bogart's Bitters'라고도 불렸다. 이 레시피가 적혀있는 바텐더 가이드에 등장하는 유일한 비터스이다. 19세기 등장할 당시에는 칵테일이 큰 인기를 끌었기 때문에 유명했으나 금주법으로 회사는 문을 닫고 명맥이 끊겨버렸다. 현재 판매되고 있는 보커스 비터스는 당시 추정되는 재료를 기반으로 하여 만든 것이다.[8] fine의 의미가 단순히 깨끗한 얼음인지 곱게 간 얼음인지는 불명.[9] 보통 쿠프 글라스(Coupe glass)를 사용한다.[10] IBA 공식 레시피의 레몬 대신 오렌지 제스트를 사용해도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