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플래시 애니메이션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감자도리 | 쿠쿠쿠의 하루인생 | 옹스 | 꼬마 파티쉐 슈 | 나롱이 시리즈 | |
떳다 그녀!! | 라면보이 | 랑카스 | 마시마로 | 묻지마 육남매 | ||
뮤직 스토리 | 밀키 | 뿌까 | 사이버 범죄 예방극장 | 시포 | ||
씽씽씽! 동요나라 | 아바타 스타 슈 | 아이러브에그 | 에그네 하숙집 | 오인용 | ||
우당탕탕 재동이네 | 으쌰으쌰 우비소년 | 졸라맨 | 쿠쿠쿠의 하루인생 | 큐리 스토리 | ||
판타지 개그 | 퐁이 | 포에버스토리 | 플라이스토리 | Animator vs. Animation | ||
Happy Tree Friends | Madness Combat | Nightmare City | The Change | You are an idiot | ||
Eddsworld * | 스위트 발렌타인 | 샤오샤오 | 웨딩드레스 | 꼬라지 * | ||
누야 * | 안전가족 * | |||||
*: 일부 작품이나 회차만 아카이브됨. | }}}}}}}}} |
''네바다주 어딘가에서..'' Somewhere in Nevada... 에피소드 오프닝 멘트. |
1. 개요
2002년부터 krinkels[1]라는 애니메이터가 제작하는 플래시 애니메이션. 음악은 3편부터 Cheshyre(유튜브 채널)가 제작했다.2. 특징
꽤 단순한 캐릭터 비주얼과는 다르게 실제로는 대학살과 유혈이 난무하는 매우 하드고어한 작품이다. 출시 초기에는 그냥 아무런 이유, 목적 없이 나오는 녀석들을 모두 죽여 버리는 게 전부였으나[2][3] 편수가 늘어남에 따라 캐릭터와 스토리를 첨가하기 시작했다. 그래봤자 이해하라고 만든 스토리가 아니라서 여전히 난해하다. 대사와 나레이션이 극히 드문 애니메이션이라 등장인물의 이름을 비롯한 대부분의 설정 내적인 정보는 스쳐지나가는 포스터 같은 잡다한 뒷배경 같은 것을 통해서나 알 수 있다.3. 에피소드
4. 등장인물
매드니스 컴뱃 등장인물 및 설정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주인공측 또는 동료 | 행크 J. 윔블턴 | 샌포드 | 데이모스 | 2BDamned |
주요적군 | 셰리프 | 지져스 H. 크라이스트 | 트리키 더 클라운 | 오디터 | |
잡몹들 | 그런트 | 좀비 | 정예 경호원 | L33T 요원 | ATP 엔지니어 | 매그 에이전트 | ATP 솔댓 | 스켈레톤 | 리테이너 | |
기타 등장인물 | 댄싱맨 | 붐박스맨 | 핫도그 장사꾼 | fellowD9 | 해님 | 리치 | 과학자 | 스크랩페이스 | 데몬 | 콧수염 별 | 콧수염 캐릭터 | | |
매드니스 컴뱃 : 프로젝트 넥서스 | Subject 1v02p_6 | 호프너 박사 | 과학자 | 매그 에이전트: N | 어보미네이션 | 매그 에이전트: 게슈탈트 | G03LM | 진압 부대 | 슬립워커 | 포보스 | 용병들 | |
설정 | A.A.H.W. | 이공간 | 고위 권능 | 비개연성 추진기 | 헤일로 |
5. 설정
6. 게임
게임이 공식적으로 두 차례 발매되었다. Project Nexus(Classic)이 전편, Project Nexus가 후편 격으로, 게임 내의 모든 설정과 스토리는 본편과 이어진다.6.1. MADNESS: Project Nexus(Classic)
6.2. MADNESS: Project Nexus
MADNESS: Project Nexus | ||
개발 | GIBBING TREE, LLC[4] | |
유통 | ||
출시 | 2021년 9월 29일 | |
원작 | krinkels의 매드니스 컴뱃 | |
장르 | 핵 앤 슬래시, 런앤건, 액션, 고어 | |
엔진 | 유니티 | |
출시판 | DL 전용 | |
플레이 인원 | PC:1~4인 | |
관련 페이지 |
7. 2차 창작
뉴그라운즈의 매드니스 페이지에 매드니스 컴뱃의 파생작들이 모여있다.간단하게 생긴 캐릭터들에게 마리오네트 기법을 사용해 제작하기가 간단한데다 원작자 크링클스가 직접 상금을 걸고 개최하는 일종의 경연 대회인 Madness day도 존재하기 때문에 2차 창작이 매우 활성화되어있다.
- 매드니스 데이 2021년 영상
Krinkels 본인이 아닌 여러명의 팬이 만든 작품이라 퀄리티는 작품에 따라 매우 들쭉날쭉한데, 지뢰가 있는가 하면 원작 못지않게 잘 만든 작품도 있고, 사이오닉 매드니스와 같이 원작 매드니스 컴뱃에서는 형식만 빌려왔을 뿐 특유의 개성을 가진 파생작도 있다.
7.1. 목록
- 매드니스 액셀런트
- 매드니스 리전트
- 매드니스 인터렉티브
- 매드니스 인터렉티브 리로디드
- DOTM
- 맥시멈 닌자(Maximum Ninja) - 1편, 2편, 3편
- Madness Vandalization - Gabriel Barsch 제작.
- 사이오닉 매드니스
- REALM 시리즈 - Kelzad 제작. 1편, 2편, 3편, 4편, 5편
- 버니킬[5]
- 만약에... 시리즈
- Madness Anniversary Collab - Zapchon 주최, Sentry Turbo 작곡.
- Madness Redeemer 2: Revenger - krYY 주최, Sentry Turbo 작곡.
- Madness:Jailbreak
- Madness Cellfıcation
- White Hank 시리즈
- see no , hear no , speak no madness IVANALMIGHTY 제작.
- Feelings 시리즈 - TUVSTER 제작.
- Kilroy madness 시리즈[6]1편, 2편, 3편, 4편, 5편, 외전1, 외전2
- bridge mankind collapse
8. 기타
- 동네방네 다 알려질 정도로 유명한 작품은 아니지만 그래도 뉴그라운즈 내 인기가 상당해서 팬들이 만든 게임이나 애니메이션을 꽤나 찾아볼 수 있으며, 뉴그라운즈 페이지 상에선 이미 매드니스 컴뱃과 프로젝트 넥서스를 기념하는 'Madness day'까지 만들어졌다.
- 전체적으로, 특히 애니메이션이 극히 상향된 4편 이후로 유혈 묘사가 극도로 많은 편인데도 특이하게 뼈나 내장이 노출되는 장면은 잘 나오지 않는다. 4편에서 에이전트를 세로로 두동강내어 뇌가 드러났으며, 7편에서 체력단련 중이던 그런트 중 하나의 심장이 뽑혔고, 외전인 트리키 매드니스에서 초반에 트리키가 그런트를 죽이고 내장을 끄집어내어 씹었다. 그리고 incident:110a 에서 새로 나온 Mag Agent가 예수에게 뇌가 뽑혀 죽는다. 이렇게 작중 총 4회 발생한다.
- 대사가 거의 없는 애니메이션이지만 시리즈의 자세한 설정이 정해진 5편 이후로 가끔 단문장으로 된 대사가 나오긴 하는데, 이후 캐릭터마다 자기 대사의 폰트 색상이 다르게 표시된다.
- 작중 사망 플래그가 있는데,2편에서 담배를 피우던 적이 가장 먼저 죽는 장면을 시작으로 담배=사망이라는 공식이 생겨났다. 그 덕분에 9편이 발표되기 전 팬들은 데이모스가 곧 죽을 것이라고 예상을 했다. 그리고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다만 Incident편에서 담배를 피우고도 플래그가 서지않은 인물이 딱 한명 있다. 바로 Incident:010A에서 등장한 좀비들에게 쫒기고 프렌드 실드로 이용당하며 행크와 에이전트들의 총격전에 끼어있는 와중에도 절대로 안 죽은 그런트다. 이 플래그를 셀프 패러디하는 듯한 장면이 프로젝트 넥서스에서도 등장하는데, 플레이어블 캐릭터가 데스 매치를 시작할 시 취하는 무기별 모션 중 맨손의 모션이 바로 담배를 피우는 것. 그리고 맨손으로 시작할 경우 아주 드문 경우를 제외하면 대부분 중간에 무기를 강탈하지 않는 이상 높은 확률로 중간에 죽는다. [8] 여담으로 실제 전쟁에서도 담배를 피우는 건 매우 위험한 행위인데, 어둠 속에서도 보이는 담뱃불 때문에 위치가 훤히 노출되기 때문. 럭키 스트라이크 항목에서도 관련 내용을 볼 수 있다. 정작 웃긴 건 제작자인 Krinkel은 골초다.
- 또다른 유명 플래시 게임인 씽씽 시리즈와 매우 흡사하다. 국외에서도 흡사하다는 평가가 되는건지 매드니스컴뱃을 검색했을 때 씽씽 시리즈가 딸려 나오기도 한다.
- 마리오네트 기법을 사용한다는 점과 대량학살극이라는 특징이 어우러져 한 화면에서도 수많은 오브젝트가 나타나기 때문에 컴퓨터 사양이 좋지못할 경우 렉이 매우 심하게 걸리는데
Geekbench플래시 애니메이션에서 렉이 걸려 감상하기 힘들다면 본편과 Incident편은 유튜브의 Krinkels의 채널을 통해 볼 수 있다.
[1] 본명은 맷 졸리(Matt Jolly).[2] 심지어 일부 작품에는 죽인 머릿수도 나온다.[3] 게다가 1편 한정으로 유혈묘사가 없었다.[4] 매드니스 컴뱃의 원작자이자 아타스트인 크린켈스, 프로그래밍 담당자인 스웨인, 작곡 및 음향 담당자이자 원작 매컴에서의 담당작곡가이기도 한 체셔리, 그리고 또 다른 담당작곡가(이쪽은 원작에서는 데뷔한 적이 없다) 데빈 마틴 이렇게 총 4명이 게임 개발에 참여했다.[5] 이쪽은 2차창작이 아니라 매드니스 컴뱃의 영향을 받은 작품에 가깝다.[6] 제작자는 DioToons. 2차 세계대전을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나치 독일군에 맞써 싸우는 연합군과 레지스탕스들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7] 또한 여기에서는 유명한 2차창작들도 다루는데 나무위키에 비해 범위가 넓다.[8] 언암드 어택을 제대로 숙련시켜둘 경우 어느 정도 살아남을 수 있긴하지만 그래도 무기가 있는 것에 비해 매우 불리하다.